모스 부호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Morse Code
*Morse Code
==개요==
전신에 주로 사용되는 부호로 길이가 짧은 단점(dot/dit-돈)과 길이가 긴 장점(dash/dah-쓰)으로 구성되어있다. 유선전신과 무선전신에 주로 이용되며, 현대에는 [[무전기]]의 발달로 음성을 직접 전달할 수 있게 되면서 직접적으로 쓸 일 자체는 많이 줄었지만 말을 하기 어려운 상황(무전기의 고장같은 상황)이나 긴급상황 등에서는 여전히 국제적으로 사용되는 부호이다.
전신에 주로 사용되는 부호로 길이가 짧은 단점(dot/dit-돈)과 길이가 긴 장점(dash/dah-쓰)으로 구성되어있다. 유선전신과 무선전신에 주로 이용되며, 현대에는 [[무전기]]의 발달로 음성을 직접 전달할 수 있게 되면서 직접적으로 쓸 일 자체는 많이 줄었지만 말을 하기 어려운 상황(무전기의 고장같은 상황)이나 긴급상황 등에서는 여전히 국제적으로 사용되는 부호이다.


7번째 줄: 8번째 줄:
*국문(한국어)의 경우 글자와 글자 사이의 간격은 5단점의 간격을 둔다
*국문(한국어)의 경우 글자와 글자 사이의 간격은 5단점의 간격을 둔다


==모스 부호표==
==모르스부호표==
*단점을 • 장점을 ― 로 표시. <!-- U+2022, U+2015 사용. 기호 구분용 띄어쓰기 1칸 사용 -->
*단점을 • 장점을 ― 로 표시. <!-- U+2022, U+2015 사용, 식별을 위해 ―― 사이에는 띄어쓰기 사용 -->
===로마자 및 숫자===
===로마자===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문자
! 문자
19번째 줄: 20번째 줄:
|-
|-
| A
| A
| • ―
| •―
| J
| J
| • ― ― ―  
| •― ― ―
| S
| S
| • • •
| •••
|-
|-
| B
| B
| ― • • •
| ―•••
| K
| K
| ― • ―
| ―•―
| T
| T
| ―  
| ―
|-
|-
| C
| C
| ― • ― •
| ―•―•
| L
| L
| • ― • •
| •―••
| U
| U
| • • ―
| ••―
|-
|-
| D
| D
| ― • •
| ―••
| M
| M
| ― ―  
| ― ―
| V
| V
| • • • ―
| •••―
|-
|-
| E
| E
| •  
| •
| N
| N
| ― •
| ―•
| W
| W
| • ― ―  
| •―
|-
|-
| F
| F
| • • ― •
| ••―•
| O
| O
| ― ― ―  
| ― ― ―
| X
| X
| ― • • ―
| ―••―
|-
|-
| G
| G
| ― ― •
| ― ―•
| P
| P
| • ― ― •
| •― ―•
| Y
| Y
| ― • ― ―  
| ―•―
|-
|-
| H
| H
| • • • •
| ••••
| Q
| Q
| ― ― • ―
| ― ―•―
| Z
| Z
| ― ― • •
| ― ―••
|-
|-
| I
| I
| • •
| ••
| R
| R
| • ― •
| •―•
|  
|  
|  
|  
|}
|}
 
===숫자===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숫자
! 문자
! 부호
! 부호
! 숫자
! 문자
! 부호
! 부호
|-
|-
| 0
| 0
| ― ― ― ― ―  
| ― ― ― ― ―
| 5
| 5
| • • • • •
| •••••
|-
|-
| 1
| 1
| • ― ― ― ―  
| •― ― ― ―
| 6
| 6
| ― • • • •
| ―••••
|-
|-
| 2
| 2
| • • ― ― ―  
| ••― ― ―
| 7
| 7
| ― ― • • •
| ― ―•••
|-
|-
| 3
| 3
| • • • ― ―  
| •••―
| 8
| 8
| ― ― ― • •
| ― ― ―••
|-
|-
| 4
| 4
| • • • • ―
| ••••―
| 9
| 9
| ― ― ― ― •
| ― ― ― ―•
|-
|-
|}
|}


===한글===
===한글===
*1888년에 자음 14개, 모음 10개가 정의되었고, 이후에 ㅐ와 ㅔ를 추가하여 모음이 12개가 되었다.
*ㄲ,ㄸ,ㅃ,ㅆ,ㅉ는 ㄱ,ㄷ,ㅂ,ㅅ,ㅈ 를 2번 입력 한다.
* ㅖ, ㅒ. ㅢ 등은 모음을 조합하여 사용한다.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문자
!문자
128번째 줄: 126번째 줄:
|-
|-
| ㄱ
| ㄱ
| • ― • •
| •―••
| ㄴ
| ㄴ
| • • ― •
| ••―•
| ㄷ
| ㄷ
| ― • • •
| ―•••
|-
|-
| ㄹ
| ㄹ
| • • • ―
| •••―
| ㅁ
| ㅁ
| ― ―  
| ― ―
| ㅂ
| ㅂ
| • ― ―  
| •―
|-
|-
| ㅅ
| ㅅ
| ― ― •
| ― ―•
| ㅇ
| ㅇ
| ― • ―
| ―•―
| ㅈ
| ㅈ
| • ― ― •
| •― ―•
|-
|-
| ㅊ
| ㅊ
| ― • ― •
| ―•―•
| ㅋ
| ㅋ
| ― • • ―
| ―••―
| ㅌ
| ㅌ
| ― ― • •
| ― ―••
|-
|-
| ㅍ
| ㅍ
| ― ― ―  
| ― ― ―
| ㅎ
| ㅎ
| • ― ― ―  
| •― ― ―
|
|
|
|
|-
|colspan="6" |
|-
|-
|ㅏ
|ㅏ
| •
| •  
|ㅑ
|ㅑ
| • •
| ••
|ㅓ
|ㅓ
| ―  
| ―
|-
|-
|ㅕ
|ㅕ
| • • •
| •••
|ㅗ
|ㅗ
| • ―
| •―
|ㅛ
|ㅛ
| ― •
| ―•
|-
|-
|ㅜ
|ㅜ
| • • • •
| ••••
|ㅠ
|ㅠ
| • ― •
| •―•
|ㅡ
|ㅡ
| ― • •
| ―••
|-
|-
|ㅣ
|ㅣ
| • • ―
| ••―
|ㅐ
|ㅐ
| ― ― • ―
| ― ―•―
|ㅔ
|ㅔ
| ― • ― ―  
| ―•―
|}
|}


===기호===
==기타 사항==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긴급조난시의 부호로 SOS를 쓰는데 이유는 이 로마자 S와 O는 모르스부호 중 길이도 적당하면서 가장 단순한 방식의 코드로 되어있기 때문이다. 당장 코드가 S는 *** O는 ---으로 구성된다.
!문자
*선박의 경우 등화를 이용한 모르스부호광을 사용하기도 한다. 일부 [[등대]]들도 등대의 등화로 이 모르스부호광을 이용하기도 한다.
!부호
*해군 함정에서 무선침묵상태에서 인근 선박에게 통신을 할 때 이 모르스부호광을 이용한다. 갑판에 올라온 통신병들이 죽어나는 상황. {{ㅊ|틀리면 과실보고}}
!문자
!부호
!문자
!부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타 사항==
* 모스 부호를 일일이 치는 것은 보내는 사람도 힘들고 받는 사람도 힘들었기 때문에 많은 통신약어가 모스 부호 시절 관습에 기초한다. 대표적으로 긴급조난시의 부호로 SOS를 쓰는데 이유는 이 로마자 S와 O는 모르스부호 중 길이도 적당하면서 가장 단순한 방식의 코드로 되어있기 때문이다. •••  ― ― ―  ••• 로 구성된다. SOS가 정착되기 전에는 CQD(전체 주목, 조난/CQ, Distress)를 사용했다.
* 등화를 이용한 모르스부호광을 사용하기도 한다. 일부 [[등대]]들도 등대의 등화로 이 모르스부호광을 이용하기도 한다.
** 해군 함정에서 무선침묵상태에서 인근 선박에게 통신을 할 때 이 모르스부호광을 이용한다. 갑판에 올라온 통신병들이 죽어나는 상황. {{ㅊ|틀리면 과실보고}}
* 해석기 및 제작기 사이트가 있다. [http://admin0.github.io/morse/ 링크]
* 해석기 및 제작기 사이트가 있다. [http://admin0.github.io/morse/ 링크]
* 한자의 경우에는 4자리 숫자로 구성된 중국전신코드(中文電碼)를 사용한다.


==참고==
* 모스부호 규약에 대해서는 ITU-R M.1677-1을 참고. <ref>[https://www.itu.int/dms_pubrec/itu-r/rec/m/R-REC-M.1677-1-200910-I!!PDF-E.pdf Recommendation ITU-R M.1677-1] (10/2009) International Morse code, ITU</ref>
* 전보장정(電報章程, 1888년)
* 무선통신에 사용하는 모르스부호․약어 및 통화표, [http://www.law.go.kr/행정규칙/무선국의운용등에관한규정/(2018-4,20181212) 무선국의 운용 등에 관한 규정 (고시 제2018-4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앙전파관리소
{{주석}}
{{주석}}
[[분류:통신]]
[[분류:통신]]
[[분류:문자]]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