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기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 생태 ==
== 생태 ==
다른 피리목의 곤충들처럼 모기는 완전변태 곤충으로 알, 유충, 번데기과정을 거쳐 성충이 된다. 보통 피를 빤다는 이미지가 있지만, 피를 빠는 것은 암컷 한정으로, 수컷은 평생 식물의 즙을 먹고 산다. 보통은 숲과 꽃이 많은 곳에 살면서 기온이 적당하면 등장하는데, 장구벌레 때는 수질 정화에 기여하기도 한다. http://www.kyeonggi.com/news/articleView.html?idxno=1264456
다른 피리목의 곤충들처럼 모기는 완전변태 곤충으로 알,유충,번데기과정을 거쳐 성충이 된다. 수컷의 경우 보통 이슬이나 꿀 들을 흡수하며 살고, 암컷의 경우 생식하게 되면 단백질 공급을 위하여 동물의 피를 흡혈한다. 그러므로 보통은 숲과 꽃이 많은 곳에 살면서 기온이 적당하면 등장하는데, 수컷 역시 이러한 꿀과 이슬을 흡수하지 못하는 환경에서는 돌변하여 동물의 피를 신나게 흡혈한다. 단, 도시에서는 이슬이면 이슬 꿀이면 꿀 못 먹을 수가 없다보니 수컷이 무는 광경을 보는 것은 별로 없다. <s>애당초 수컷이든 암컷이든 일단 물리면 둘 다 줘패고 싶은게 사람이다</s> 장구벌레 때는 수질 정화에 기여하기도 한다. http://www.kyeonggi.com/news/articleView.html?idxno=1264456
 
=== 암수 구별법 ===
보통 우리 근처에 접근하는 것은 암컷 모기들이다. 산란 시 영양분 보충을 위해 접근하는 것이니 암컷 모기들만이 보인다. 수컷은 애초에 피를 빨 일이 없으니 당연 볼 일이 거의 없다.
 
우선, 주둥이 모양이 서로 다르다. 수컷은 주둥이 옆에 털이 복실한 더듬이가 쌍으로 나있고, 암컷과는 달리 끝이 굽어있기 때문에 동물의 피를 빨지 못한다. 반면, 암컷은 더듬이에 털이 없고, 침이 일직선이며, 길이도 수컷보다 길다. 식물의 즙도 먹긴 하지만 보통 동물의 피를 빨기에 적합한 구조를 지니고 있다. 또한, 크키도 암컷이 수컷보다 조금 크다.


=== 주요 서식지===
=== 주요 서식지===
개울가가 생기면 암컷이 좋다고 산란하기 시작한다. <s>하앍하앍 개울가 기모찟</s> 그렇기 때문에 여름날 비가 오는 것은 모기 때를 늘리는 것과 비슷하며, 개울가가 만들어지지 않는 곳의 경우에는 지하수로 들어오는 모기 이외에 대부분 모기는 전멸당한다. [http://news.joins.com/article/21640388 뉴스] 더불어 날씨가 너무 더운 경우에도 버티지 못하여 <s>버틸수가 없다!</s> 바닥에 배를 내밀고 죽어 있는 모기들이 종종 보인다. 추운 겨울날에도 죽어버리는게 모기지만, 너무 더운 여름에도 죽을 수 있는 것이 모기이다. 단, 이는 모기의 주요 서식지와 종류에 따라 살아가는 환경에 따른 것이므로 사막이나 시베리아의 모기는 '''그런 거 없다'''
개울가가 생기면 암컷이 좋다고 산란하기 시작한다. <s>하앍하앍 개울가 키모찟</s> 그렇기 때문에 여름날 비가 오는 것은 모기 때를 늘리는 것과 비슷하며, 개울가가 만들어지지 않는 곳의 경우에는 지하수로 들어오는 모기 이외에 대부분 모기는 전멸당한다. [http://news.joins.com/article/21640388 뉴스] 더불어 날씨가 너무 더운 경우에도 버티지 못하여 <s>버틸수가 없다!</s> 바닥에 배를 내밀고 죽어 있는 모기들이 종종 보인다. 추운 겨울날에도 죽어버리는게 모기지만, 너무 더운 여름에도 죽을 수 있는 것이 모기이다. 단, 이는 모기의 주요 서식지와 종류에 따라 살아가는 환경에 따른 것이므로 사막이나 시베리아의 모기는 '''그런 거 없다'''


== 피해 ==
== 피해 ==
32번째 줄: 27번째 줄:
다음은 대응 방법에 따른 계급을 나눠보았다.
다음은 대응 방법에 따른 계급을 나눠보았다.
* 뉴비
* 뉴비
*: 모기향만 피워놓으면 다 죽을꺼라고 생각하는 사람. 이외에 다른 방책은 세우지 않는다. 단, 이러한 방책으로도 물렸는데 물리지 않은 것 같은 저항력을 가진 사람이 있는데, 이미 그 쪽 지역의 모기에 몸이 반응하지 않게 되면서 물려도 물리지 않은 효과를 누리게 된다. 물론, 이 사람도 타 지역가서 물리게 되면 반응이 나타난다.
*: 모기향만 피워놓으면 다 죽을꺼라고 생각하는 사람. 이외에 다른 방책은 세우지 않는다. 단, 이러한 방책으로도 물렸는데 물리지 않은 것 같은 저항력을 가진 사람이 있는데, 이미 그 쪽 생태계의 모기에 몸이 반응하지 않게 되면서 물려도 물리지 않은 효과를 누리게 된다. 물론, 이 사람도 타 지역가서 물리게 되면 반응이 나타난다.
* 초보
* 초보
*: 모기향과 일반 파리채나 손바닥으로 모기를 격퇴하려고 한다. 물리 공격이 효과적이지만, 평소 물리 공격을 행사하지 않은 초보의 경우에는 곧 잘 놓치고 만다. 더군다나 모기들은 모기향에 어느 정도 면역력이 생겨서 '[[풉키풉키]]' 하면서 초보들을 농락한다. 결국 살아남은 일부 모기들에 의해 살이 농락당하면서 [[곶통]]의 밤을 보내게 된다.
*: 모기향과 일반 파리채나 손바닥으로 모기를 격퇴하려고 한다. 물리 공격이 효과적이지만, 평소 물리 공격을 행사하지 않은 초보의 경우에는 곧 잘 놓치고 만다. 더군다나 모기들은 모기향에 어느 정도 면역력이 생겨서 '[[풉키풉키]]' 하면서 초보들을 농락한다. 결국 살아남은 일부 모기들에 의해 살이 농락당하면서 [[곶통]]의 밤을 보내게 된다.
* 중수
* 베테랑
*: 모기의 패턴을 조금 숙지하게 되어 [[선풍기]]가 등장한다. 하지만 선풍기 바람에 면역이 없어 시간제로 켜다 보니까 시간이 비는 그 타이밍에 [[곶통]]받는다. 그나마도 뉴비나 초보들보단 모기에 덜 물리게 되어 고통은 완화되지만, 여전히 모기를 막지 못하여 괴로움은 여전하다.
*: 모기의 패턴을 조금 숙지하게 되어 [[선풍기]]가 등장한다. 하지만 선풍기 바람에 면역이 없어 시간제로 켜다 보니까 시간이 비는 그 타이밍에 [[곶통]]받는다. 그나마도 뉴비나 초보들보단 모기에 덜 물리게 되어 고통은 완화되지만, 여전히 모기를 막지 못하여 괴로움은 여전하다.
* 고수
* 수석
*: 방 안에 모기를 [[에프킬라]]로 밀쳐낸 뒤 모기장 혹은 모기텐트를 설치해 빅엿을 날린다. 거기에 입구쪽을 향해서 선풍기를 설치해서 만일에 모기가 들어와도 바람의 영향으로 곧 죽을 수 있게 장치한다.<ref>모기는 선풍기 바람도 못 버틴다.</ref> 단, 모기텐트 안에서만 반무적 상태로 살아남기 때문에 이런 갑갑한 공간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에게는 여전히 고통스럽다.
*: 방 안에 모기를 [[에프킬라]]로 밀쳐낸 뒤 모기장 혹은 모기텐트를 설치해 빅엿을 날린다. 거기에 입구쪽을 향해서 선풍기를 설치해서 만일에 모기가 들어와도 바람의 영향으로 곧 죽을 수 있게 장치한다. 단, 모기텐트 안에서만 반무적 상태로 살아남기 때문에 이런 갑갑한 공간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에게는 여전히 고통스럽다.
* 달인
* 달인
*: 모기가 뭘 싫어하는지 이미 다 파악하고 있다. 자기 전 수정과를 한 컵 마셔서 몸 자체를 모기가 싫어하는 상태로 둔갑시키거나 계피향을 뿌려서 방 자체를 '모기 지옥'으로 만들기도 하며, 손바닥으로 신속하게 때려잡고 그 어떤 무기라도 자유자재로 사용한다. 더군다나 여기에 무반응 효과까지 가지게 되면 모기 한정으로는 끝판왕이 따로 없다.
*: 모기가 뭘 싫어하는지 이미 다 파악하고 있다. 자기 전 수정과를 한 컵 마셔서 몸 자체를 모기가 싫어하는 상태로 둔갑시키거나 계피향을 뿌려서 방 자체를 '모기 지옥'으로 만들기도 하며, 손바닥으로 신속하게 때려잡고 그 어떤 무기라도 자유자재로 사용한다. 더군다나 여기에 무반응 효과까지 가지게 되면 모기 한정으로는 끝판왕이 따로 없다.
53번째 줄: 48번째 줄:
모기향은 자기 전 30분즈음 창문과 방문을 닫은 뒤 켜놓고 있으면 효과가 좋다. 물론 완전 밀폐는 아니기에 성분이 방문과 창문틈새로 빠지긴 하지만 닫지 않은 것 보다는 훨씬 좋다. 이렇게 30분간 켜 두면 구석에 짱박혀서 기회를 노리던 놈들도 성분에 의해 비틀대거나 죽는다. 여기서 완벽하게 하려면, 스프레이형 모기약까지 구석구석 뿌려서 요단강에 던져주면 된다. 그 이후 가능하면 방문을 열지 않는 방향으로 수면을 취하면 된다.
모기향은 자기 전 30분즈음 창문과 방문을 닫은 뒤 켜놓고 있으면 효과가 좋다. 물론 완전 밀폐는 아니기에 성분이 방문과 창문틈새로 빠지긴 하지만 닫지 않은 것 보다는 훨씬 좋다. 이렇게 30분간 켜 두면 구석에 짱박혀서 기회를 노리던 놈들도 성분에 의해 비틀대거나 죽는다. 여기서 완벽하게 하려면, 스프레이형 모기약까지 구석구석 뿌려서 요단강에 던져주면 된다. 그 이후 가능하면 방문을 열지 않는 방향으로 수면을 취하면 된다.


방제는 아니지만, 이미 물렸을 때, 너무 가렵다면 녹차 티백을 사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티백에 있는 성분이 모기 물린데를 가라앉히면서 진정되게 해 준다. 심지어는 사용 된 티백도 효과가 있기에 모기에 물리면 예민해지는 위키러들은 한 번 시도해보자. 2010년에 들어서부터는 약국에서 반창고처럼 붙이는 방식의 모기약이 있으니, 약국에 방문하여 제품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도 방법이다. 물린 부위에 촛농을 떨어뜨리는 민간 요법이 잘 알려져 있으나, 화상 및 2차 감염 등을 이유로 권장하지 않는다.<ref>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6/10/2016061001671.html</ref>
방제는 아니지만, 이미 물렸을 때, 너무 가렵다면 녹차 티백을 사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티백에 있는 성분이 모기 물린데를 가라앉히면서 진정되게 해 준다. 심지어는 사용 된 티백도 효과가 있기에 모기에 물리면 예민해지는 위키러들은 한 번 시도해보자. 2010년에 들어서부터는 약국에서 반창고처럼 붙이는 방식의 모기약이 있으니, 약국에 방문하여 제품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도 방법이다.
 
화학적인 방법이 아닌 물리적인 방법인 열로 모기 물린 데 가려움을 없앨 수 있다. 집에 [[양초]]가 있다면, 초에 불을 붙인 뒤 녹은 촛농을 상처 위에 들이붓는다면 가려움이 해소된다. 이는 모기가 물었을 때, 항히스타민제를 투여하기 때문인데, 흡혈 도중에는 아무것도 느껴지질 않다가, 흡혈 직후부터 투여가 중단되는 즉시 알러지 반응을 일으키면서 미친듯이 가려운 것. 체내에 남아있는 성분은 섭씨 38도 이상에서는 변성되면서 더 이상 가려움이 느껴지질 않는데, 녹은 촛농의 온도는 약 45 ~ 65도나 되기에 항히스타민을 변성 시키기에는 충분하다.


모기는 날아다니는 기술은 좋으나 날아다니는 '''힘'''은 없어 선풍기 미풍 바람도 뚫지 못 한다. 이를 이용하여 발 끝에서 머리쪽으로 쏴주거나 배를 중심으로 양쪽에서 쏘는 방식으로 어느 정도는 모기에 대한 방어를 할 수 있다.
모기는 날아다니는 기술은 좋으나 날아다니는 '''힘'''은 없어 선풍기 미풍 바람도 뚫지 못 한다. 이를 이용하여 발 끝에서 머리쪽으로 쏴주거나 배를 중심으로 양쪽에서 쏘는 방식으로 어느 정도는 모기에 대한 방어를 할 수 있다.
69번째 줄: 66번째 줄:


== 관련문서 ==
== 관련문서 ==
* [[시리즈:모기 박멸 작전]]
* [[모기경보]]


{{각주}}
[[분류:모기과]]
[[분류:모기과]]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