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탈슬러그 디펜스/모덴군 유닛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안내문|게임 《[[메탈슬러그 디펜스]]》의 모덴군 유닛들의 목록입니다.}}
== 개요 ==
== 개요 ==
모덴군 유닛들은 워낙 다른 소속들에 비해 유닛들이 많아 콕 집어 특징을 잡기는 어려우나, 대체로 원거리 공격과 확산 공격에 집중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기동력이 빠르다곤 할 수 없으며 hp가 낮은 유닛들이 대부분을 차지하는데다 근접형 유닛들이 매우 부족하다.<br />
[[메탈슬러그 디펜스]]의 모덴군 유닛들의 일람이다. 모덴군 유닛들은 워낙 다른 소속들에 비해 유닛들이 많아 콕 집어 특징을 잡기는 어려우나, 대체로 원거리 공격과 확산 공격에 집중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기동력이 빠르다곤 할 수 없으며 hp가 낮은 유닛들이 대부분을 차지하는데다 근접형 유닛들이 매우 부족하다.<br>
모든 유닛의 HP는 만렙인 40레벨의 기준으로 작성하였으며, 여러 스펙이나 공격, 공격명의 경우에는 없는 경우는 '없음'으로, 표기되어 있지 않지만 존재하는 경우는 '--'로 표기하였다.<br />
모든 유닛의 hp는만렙인 40레벨의 기준으로 작성 하였으며, 여러 스펙이나 공격, 공격명의 경우에는 없는 경우는 '없음'으로, 표기되어 있지 않지만 존재하는 경우는 '--'로 표기하였다.<br>
<!-- 되도록이면 혼동을 피하기 위해 MSD내에서의 이미지를 기준으로 올려주기 바란다. 그리고 아직 수정 중. -->
되도록이면 혼동을 피하기 위해 MSD내에서의 이미지를 기준으로 올려주기 바란다.
 
그리고 아직 수정 중.
== 기본 제공 유닛 ==
== 기본 제공 유닛 ==
알렌 Jr.
알렌 Jr.
44번째 줄: 42번째 줄:
| 알렌 오닐의 아들. 불사신의 육체는 부전자전.
| 알렌 오닐의 아들. 불사신의 육체는 부전자전.
|}
|}
게임 시작시 획득 가능하다.<br />근접 공격으로는 칼을 꺼내는 것과, 원거리 공격으로 5발의 대형 기관총을 발사하는 것, 그리고 특수기로는 수류탄을 하나 발사한다.<br />대형 기관총이 연발인지라 단식에도 불구하고 활용성이 높은 편이고, 아버지인 알렌 오닐에 비해 수류탄 던지는 범위가 길지만 hp가 낮다. 표기된 hp를 전부 소진하면 잠시 쓰러졌다 일어서는데, 이때는 원거리 공격이 없어지고 근접 공격과 특수 공격만 남게 되며(공격 범위도 짧아진다.) 수류탄 투척이 5발 연발로 바뀐다. 이때는 초반 유닛들을 견제하는데 뛰어난 성능을 보이지만, 전체적으로 의미있는 데미지를 주기는 힘든 편이라 초반 버티기에 최적화된 유닛이라고 보면 된다. 또한 생산력 도 높은 편이 아니기에 후반용으로 쓰기에도 약간 껄끄럽다.
게임 시작시 획득 가능하다. 근접 공격으로는 칼을 꺼내는 것과, 대형 기관총이 연발인지라 단식에도 불구하고 활용성이 높은 편이고, 아버지인 알렌 오닐에 비해 수류탄 던지는 범위가 길지만 hp가 낮다. 표기된 hp를 전부 소진하면 잠시 쓰러졌다 일어서는데, 이때는 원거리 공격이 봉인되지만 수류탄 투척이 5발 연발로 바뀐다. 이때는 초반 유닛들을 견제하는데 뛰어난 성능을 보이지만, 전체적으로 의미있는 데미지를 주기는 힘든 편이라 초반 버티기에 최적화된 유닛이라고 보면 된다. 또한 생산력 도 높은 편이 아니기에 후반용으로 쓰기에도 약간 껄끄럽다.
* 미니 주피터 킹
* 미니 주피터 킹
== 포로 구출 유닛 ==
== 포로 구출 유닛 ==
60번째 줄: 58번째 줄:
| 100
| 100
| 보통
| 보통
| 느리게
| 느림
| 없음
| 없음
| 없음
| 없음
84번째 줄: 82번째 줄:
| 반란군의 이동 수단. 트럭에서 "아랍 돌격병"을 출격시킴.
| 반란군의 이동 수단. 트럭에서 "아랍 돌격병"을 출격시킴.
|}
|}
출격시 트럭이 나오며 특수기가 바로 충전되어 있는데, 특수기를 원하는 때에 사용하는 것이나 사거리 내에 적 기지/적 유닛 이 있다면 자동으로 차를 정차시켜 유닛을 생산할 수 있다.<br /> 설명에서 보이듯이 아랍 돌격병을 생산하며, 생산 딜레이가 조금 긴 감이 있지만 트럭 자체의 생산이 그렇게 길지는 않기 때문에 트럭을 잘 살려만 둔다면 충분히 보완이 가능하다. 하지만 후반이 되거나 스플래쉬 범위를 지닌 유닛에게 너무 취약하다. 가끔 가다 후반에 단일 공격을 혼자 받아냄으로써 대박을 노릴수도 있지만, 그걸 노리고 쓰기에는 차라리 다른 유닛을 쓰는 것이 효율이 높다. 초반 방어용으로 쓰자니 AP100을 모으고 돌격병을 뽑기까지의 시간이 너무나도 오레 걸리기에, 초중반의 근접 보조용으로 쓰는 것이 적절하다. 근접 유닛을 배출하는 유닛 중에서는 유일하게 광부가 출격하지 않고 차량을 직접 고정시키는 타입이라 출격 모드에서는 긴급 탱커로 쓰거나 전선을 미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출격시 트럭이 나오며 특수기가 바로 충전되어 있는데, 특수기를 원하는 때에 사용하는 것이나 사거리 내에 적 기지/적 유닛 이 있다면 자동으로 차를 정차시켜 유닛을 생산할 수 있다. 설명에서 보이듯이 아랍 돌격병을 생산하며, 생산 딜레이가 조금 긴 감이 있지만 트럭 자체의 생산이 그렇게 길지는 않기 때문에 트럭을 잘 살려만 둔다면 충분히 보완이 가능하다. 하지만 후반이 되거나 스플래쉬 범위를 지닌 유닛에게 너무 취약하다. 가끔 가다 후반에 단일 공격을 혼자 받아냄으로써 대박을 노릴수도 있지만, 그걸 노리고 쓰기에는 차라리 다른 유닛을 쓰는 것이 효율이 높다. 초반 방어용으로 쓰자니 AP100을 모으고 돌격병을 뽑기까지의 시간이 너무나도 오레 걸리기에, 초중반의 근접 보조용으로 쓰는 것이 적절하다. 근접 유닛을 배출하는 유닛 중에서는 유일하게 광부가 출격하지 않고 차량을 직접 고정시키는 타입이라 출격 모드에서는 긴급 탱커로 쓰거나 전선을 미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디-코카
* 디-코카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97번째 줄: 95번째 줄:
| 4200
| 4200
| 100
| 100
| 느리게
| 느림
| 느리게
| 느림
| 없음
| 없음
| 수평 캐논
| 수평 캐논
122번째 줄: 120번째 줄:
| 기리다-O보다 크고 장갑이 두꺼운 전차.
| 기리다-O보다 크고 장갑이 두꺼운 전차.
|}
|}
전체적인 성능은 기본적인 원거리 딜러. 원거리 공격은 전차포를 하나 발사하고 특수 공격은 대포를 3연사하는 것.<br />원거리 공격과 특수기의 차이는 탄속인데, 기본 공격보다 탄속이 훨씬 빠르다. 기본 공격과 특수 공격 모두 확산 판정이라 기지에 적이 붙어 있을때도 다같이 데미지를 줄 수 있고 AP에 비해 hp가 적절하다. 낮은 넉백 저항력을 살리는 게 중요한데 잘못하면 딜로스를 유발하는 단점이 되지만 잘 쓰면 생존성을 높여 둘수 있다. 출격 모드의 초반 딜러로 중후반에도 충분히 활약할 수는 있지만 한두기로는 특수기를 적절히 활용하지 않는한 그다지 큰 화력을 보기 힘들다. 이러니 저러니 해도 무산한 생산력과 hp덕분에 획득시 단숨에 SV_001을 제치고 원거리 유닛으로 활약 가능하다. 하지만 협력 모드나 WIFI대전에서는, 직선적인 성능 때문에 상쇄기나 돌진 유닛에 많이 약한 편이라 다른 딜러에 비해 입지가 매우 낮은 편이다.
전체적인 성능은 기본적인 원거리 딜러. 특수 공격은 대포를 3연사하는 것인데, 기본 공격보다 탄속이 훨씬 빠르다. 기본 공격과 특수 공격 모두 확산 판정이라 기지에 적이 붙어 있을때도 다같이 데미지를 줄 수 있고 AP에 비해 hp가 적절하다. 낮은 넉백 저항력을 살리는 게 중요한데 잘못하면 딜로스를 유발하는 단점이 되지만 잘 쓰면 생존성을 높여 둘수 있다. 출격 모드의 초반 딜러로 중후반에도 충분히 활약할 수는 있지만 한두기로는 특수기를 적절히 활용하지 않는한 그다지 큰 화력을 보기 힘들다. 이러니 저러니 해도 무산한 생산력과 hp덕분에 획득시 단숨에 SV_001을 제치고 원거리 유닛으로 활약 가능하다. 하지만 협력 모드나 WIFI대전에서는, 직선적인 성능 때문에 상쇄기나 돌진 유닛에 많이 약한 편이라 다른 딜러에 비해 입지가 매우 낮은 편이다.
* 플라잉 타라
* 플라잉 타라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160번째 줄: 158번째 줄:
| 모덴 군이 배치한 1인승 폭격기. 육지 전투 지원을 위해 개발되었다.
| 모덴 군이 배치한 1인승 폭격기. 육지 전투 지원을 위해 개발되었다.
|}
|}
적의 전방 유닛에 근접하여 한번 미사일을 뿌리고 사라진다.<br />
초창기 공중 유닛들이 그렇듯이 한번 미사일을 뿌리고 사라지는지라 자폭 유닛 비슷하게 운용을 해야 한다. HP가 낮지만 이동 속도가 매우 빠른지라 대공 유닛을 대동해도 격추가 힘든데, 설사 잡는다 하더라도 별 손해를 보는 일은 없다. 하지만 공격력이 낮은 편에 속하고, 미사일은 수직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기동력이 좋은 유닛에게 취약하다. 단식 판정이라 후반에도 별 활약은 하지 못한다. 초반 화력 지원으로나 쓸만한 유닛.  
초창기 공중 유닛들이 그렇듯이 공격 한번 하고 사라지는지라 자폭 유닛 비슷하게 운용을 해야 한다. HP가 낮지만 이동 속도가 매우 빠른지라 대공 유닛을 대동해도 격추가 힘든데, 설사 잡는다 하더라도 별 손해를 보는 일은 없다. 하지만 공격력이 낮은 편에 속하고, 미사일은 수직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기동력이 좋은 유닛에게 취약하다. 단식 판정이라 후반에도 별 활약은 하지 못한다. 초반 화력 지원으로나 쓸만한 유닛.
* 엘리트 아라비아 병사
* 엘리트 아라비아 병사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189번째 줄: 186번째 줄:
|-
|-
| 판정
| 판정
| 기갑
| 공중
|  
|  
|
|
199번째 줄: 196번째 줄:
| 아지라비아 혁명파의 엘리트 병사.
| 아지라비아 혁명파의 엘리트 병사.
|}
|}
근접 공격은 칼로 찌르는 것과 특수기는 약간의 선딜과 함께 돌진하며 찌르는 것.<br />
저렴한 가격에 쓸수 있는 초반 근접 유닛이다. 근접 공격도 판정 수가 널널한데 특수기는 넓은 돌진 범위와 공격 판정이 있어, 슈퍼아머 유닛들에게 큰 데미지를 줄 수 있고, 그렇지 않더라도 최소한 넉백을 주기는 쉽다. 하지만 각종 무적기로 무장한 달팽이나 KOF에 비하면 초라하며, hp도 그렇게 높다고 보기에는 어렵다. 그리고 전면전에 최적화되어 있어, 공중 공격에 취약하니 저렴한 AP를 소모한다는 점을 살려 다른 유닛과의 조합을 노려보도록 하자.
저렴한 가격에 쓸수 있는 초반 근접 유닛이다. 근접 공격도 판정 수가 널널한데 특수기는 넓은 돌진 범위와 공격 판정이 있어, 슈퍼아머 유닛들에게 큰 데미지를 줄 수 있고, 그렇지 않더라도 최소한 넉백을 주기는 쉽다. 하지만 각종 무적기로 무장한 달팽이나 KOF에 비하면 초라하며, hp도 그렇게 높다고 보기에는 어렵다. 그리고 전면전에 최적화되어 있어, 공중 공격에 취약하니 저렴한 AP를 소모한다는 점을 살려 다른 유닛과의 조합을 노려보도록 하자.
* 도날드 모덴
* 도날드 모덴
{| class="wikitable"
비싼 AP의 보스 유닛이며, 기본적인 스펙 자체는 넉백 저항이 적다는 것과 생산 쿨타임이 동 AP 대비 약간 빠르다는 것 의외엔 별 특징이 없으나, 특수기인 하이도 폭격이 진국이다. 하이도 폭격은 관통+맵 전체 폭격이며 이 특수기는 후반으로 갈수록 더욱 빛을 발한다. 후방에 위치한 딜러, 특히 후반에도 긴 사거리로 활약하지만 적은 Hp를 가지고 있는 햐쿠타로나 아이언 이소에게 매우 효과적이며, 운이 좋다면 후반의 빅존이나 달마뉴 설치를 캔슬할수 있는 것은 물론이요, 피격 판정이 긴 샌드 마린에겐 아주 쥐약이다. 사거리가 의외로 짧아서 혼자 전선에 나가 파괴되기 일쑤이니 최소한의 전선 공간을 확보해 놓고 소환하여야 하는 겄이 좋다.
| Hp
| Ap
| 이동속도
| 생산속도
| 근거리 공격
| 원거리 공격
| 특수 공격
|-
| 21000
| 950
| 느림
| 매우 느리게
| 바주카
| 바주카
| Hi-Do에서 폭탄을 투하
|-
| 사거리
|
|
|
| 매우 짧게
| 짧게
| 매우 길게
|-
| 판정
| 기갑
|
|
| 확산
| 확산
| 확산
|-
| 설명
| 전 군 장군. 군부와 정치의 부패를 단죄하기 위해 쿠데타를 일으킨 아주 카리스마 있는 캐릭터.
|}
근거리 공격으로는 바주카포를, 원거리 공격은 바주카포를 발사하며, 특수기로는 폭탄을 투하하는 하이도를 부른다.<br />
비싼 AP의 보스 유닛이며, 기본적인 스펙 자체는 넉백 저항이 적다는 것과 생산 쿨타임이 동 AP 대비 약간 빠르다는 것 의외엔 별 특징이 없으나, 특수기인 하이도 폭격이 진국이다. 하이도 폭격은 관통+맵 전체 폭격이며 이 특수기는 후반으로 갈수록 더욱 빛을 발한다. 후방에 위치한 딜러, 특히 후반에도 긴 사거리로 활약하지만 적은 Hp를 가지고 있는 햐쿠타로나 아이언 이소에게 매우 효과적이며, 운이 좋다면 후반의 빅존이나 달마뉴 설치를 캔슬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요, 피격 판정이 긴 샌드 마린에겐 아주 쥐약이다. 사거리가 의외로 짧아서 혼자 전선에 나가 파괴되기 일쑤이니 최소한의 전선 공간을 확보해 놓고 소환하여야 하는 것이 좋다.
* 알렌 오닐
* 알렌 오닐
{| class="wikitable"
| Hp
| Ap
| 이동속도
| 생산속도
| 근거리 공격
| 원거리 공격
| 특수 공격
|-
| 12500
| 350
| 빠르게
| 매우 느리게
| --
| 대형 기관총
| 수류탄
|-
| 사거리
|
|
|
| 매우 짧게
| 길게
| 매우 길게
|-
| 판정
| 기갑
|
|
| 확산
| 단식
| 확산
|-
| 설명
| 적과 아군을 불문하고 두려워하는 "귀신 교관". 가장 압도적인 힘을 자랑한다.
|}
근접 공격으로는 나이프를, 원거리 공격으로는 기관총을 여러발 발사한다. 특수기는 수류탄 하나를 투척<./br>
적당한 Ap의 중반 유닛. 기관총은 단식이라는 점만 빼면 적절하고, 초중반에 하나 뽑아 딜탱으로 무난하게 활약하는 편이다. 소속 버프라도 받으면 초반 탱까지 욕심내 볼수도 있고, 수류탄은 스플래쉬 판정이 널널해서 슬러그 거너의 캐논 쓰듯이 아무때나 쓸 수 있다. 하지만 알렌 주니어와 같이 전방의 유닛을 제거하는데 최적화되어 있는지라 딜러와의 조합이 중요하다. 사거리가 길고 관통 공격을 하거나 넓은 확산 판정의 유닛과 조합하도록 하자.
적당한 Ap의 중반 유닛. 기관총은 단식이라는 점만 빼면 적절하고, 초중반에 하나 뽑아 딜탱으로 무난하게 활약하는 편이다. 소속 버프라도 받으면 초반 탱까지 욕심내 볼수도 있고, 수류탄은 스플래쉬 판정이 널널해서 슬러그 거너의 캐논 쓰듯이 아무때나 쓸 수 있다. 하지만 알렌 주니어와 같이 전방의 유닛을 제거하는데 최적화되어 있는지라 딜러와의 조합이 중요하다. 사거리가 길고 관통 공격을 하거나 넓은 확산 판정의 유닛과 조합하도록 하자.
* 아불 아바스
* 아불 아바스
{| class="wikitable"
| Hp
| Ap
| 이동속도
| 생산속도
| 근거리 공격
| 원거리 공격
| 특수 공격
|-
| 4500
| 130
| 빠르게
| 보통
| 검
| 없음
| 부하 호출
|-
| 사거리
|
|
|
| 매우 짧게
| 없음
| --
|-
| 판정
| 기갑
|
|
| 확산
| 없음
| --
|-
| 설명
| 아랍 혁명파의 지도자. 불굴의 투지를 가졌지만 위기의 순간에 백기를 들고 항복한다.
|}
근접 공격은 칼로 찌르고, 특수기 사용시엔 3톤 트럭 하나를 호출한다.<br />
근접 유닛 자체의 스펙은 적절하다. 특수기는 3톤 트럭으로, 하나둘 쌓으면 금세 아라비아 돌격병들이 아불 아바스와 같이 근접딜을 넣는 것을 보...기에는 hp가 너무 적고, 특수기 쿨타임은 너무나도 느린데다, 이동력은 너무나도 평범한지라 혼자서 전선을 유리하게 만드는 능력은 미약한 편이다. 즉 다른 돌진기를 포함한 유닛과 조합되어야 하는데, 그러면 낭비되는 덱슬롯이 많아진다는 것. 보조형 유닛으로는 적절하지만, 이 역시 의미있는 활약을 하기에는 힘들다.
근접 유닛 자체의 스펙은 적절하다. 특수기는 3톤 트럭으로, 하나둘 쌓으면 금세 아라비아 돌격병들이 아불 아바스와 같이 근접딜을 넣는 것을 보...기에는 hp가 너무 적고, 특수기 쿨타임은 너무나도 느린데다, 이동력은 너무나도 평범한지라 혼자서 전선을 유리하게 만드는 능력은 미약한 편이다. 즉 다른 돌진기를 포함한 유닛과 조합되어야 하는데, 그러면 낭비되는 덱슬롯이 많아진다는 것. 보조형 유닛으로는 적절하지만, 이 역시 의미있는 활약을 하기에는 힘들다.
== 메달 구매 유닛 ==
== 메달 구매 유닛 ==
328번째 줄: 213번째 줄:
보병 중에서는 hp가 높은 편에 속하며, 넉백 저항이 매우 낮아 여러 타수의 공격을 잘 버티는 편이고, 특수기인 방어는 일정 시간동안 방패병이 모든 공격을 무시하는, 무적상태를 만들어준다. 탱커라기보다는 저렴하게 뽑을 수 있는 시간끌기용 유닛이며, 근접 유닛이기에 손만 좋다면 끈질기게 달라붙어 초반 유닛을 지체시키는데 쓸 수도 있다.
보병 중에서는 hp가 높은 편에 속하며, 넉백 저항이 매우 낮아 여러 타수의 공격을 잘 버티는 편이고, 특수기인 방어는 일정 시간동안 방패병이 모든 공격을 무시하는, 무적상태를 만들어준다. 탱커라기보다는 저렴하게 뽑을 수 있는 시간끌기용 유닛이며, 근접 유닛이기에 손만 좋다면 끈질기게 달라붙어 초반 유닛을 지체시키는데 쓸 수도 있다.
* 설원 방패병
* 설원 방패병
방패병과의 차이점은 특수기 발동 시 방패병은 약간 앞으로 나아가는 이동기인데 비해, 이쪽은 제자리에서 방어한다는 점. 전체적으로 볼 때 이를 통해 자체의 생존률을 높아질언정 실제 상황에서 얻는 메리트는 거의 없다.
방패병과의 차이점은 특수기 발동 시 방패병은 약간 앞으로 나아가는 이동기인데 비해, 이쪽은 제자리에서 방어한다는 점. 전체적으로 볼 때 이를 통해 자체의 생존률을 높아질언정 실제 상황에서 얻는 메리트는 거의 없다.  
* 미래 방패병
* 미래 방패병
다른 방패병들에 비해 AP가 확 올랐긴 했지만 그만큼 스펙도 올랐으며, 이 때문에 강력한 한방의 공격에 취약한 방패병 시리즈의 단점을 어느 정도 상쇄해 준다. 때문에 중반까지는 그럭저럭 써먹을 수 있고 후반에도 의외의 유닛으로 활약해 줄수 있다.
다른 방패병들에 비해 AP가 확 올랐긴 했지만 그만큼 스펙도 올랐으며, 이 때문에 강력한 한방의 공격에 취약한 방패병 시리즈의 단점을 어느정도 상쇄해 준다. 때문에 중반까지는 그럭저럭 써먹을 수 있고 후반에도 의외의 유닛으로 활약해 줄수 있다.
* 바주카병
* 바주카병
보병 유닛중 사용하기 편한 확산 요원. 특수기는 바주카 3연발로 바주카병이 모여 다같이 특수기를 쏘면 무시못할 화력이 나온다. 하지만 의외로 짧은 사정거리가 걸리는 편. 잘 지킬 수만 있담녀, 같은 물량형 유닛을 처리하기에 좋게 설계 되어있다.
보병 유닛중 사용하기 편한 확산 요원. 특수기는 바주카 3연발로 바주카병이 모여 다같이 특수기를 쏘면 무시못할 화력이 나온다. 하지만 의외로 짧은 사정거리가 걸리는 편. 잘 지킬 수만 있담녀, 같은 물량형 유닛을 처리하기에 좋게 설계 되어있다.
352번째 줄: 237번째 줄:
대체적인 스펙은 소총병과 비슷하나 사격시 앉아서 사격하고 특수기 공격 속도가 약간 느리다. 딜로스로 생각할 수도 있지만 후방에서 있는 시간이 늘어나고 실제로 앉아있는 동안은 피격 범위가 감소하기 때문에 안전성이 약간 늘어났다. 생존성이 부족한 물량 유닛에게는 의외로 소소한 장점.
대체적인 스펙은 소총병과 비슷하나 사격시 앉아서 사격하고 특수기 공격 속도가 약간 느리다. 딜로스로 생각할 수도 있지만 후방에서 있는 시간이 늘어나고 실제로 앉아있는 동안은 피격 범위가 감소하기 때문에 안전성이 약간 늘어났다. 생존성이 부족한 물량 유닛에게는 의외로 소소한 장점.
* 로켓 폭탄병
* 로켓 폭탄병
펜슬 로켓형 폭탄...이라기보단 폭죽을 날리는 보병. 바주카병과 마찬가지로 확산 판정이고, 모덴 버스 등으로 소환될 때는 의외로 물량 보병 중에서는 생존성이 뛰어난 편이다. 특수기는 포복 후 로켓 투척이지만 발사 수는 딱 한 번이고 선딜도 있어 화력 증가로써의 의미는 미미하고 포복시 앞으로 뛰어내리기 때문에 오히려 생존성을 깍아먹는 독이 될 수도 있다. 로켓 폭탄 자체도 발사되고 난 뒤에는 속도가 느려서 시간이 필요하고, 의외로 생산 속도도 다른 보병에 비해 미묘하게 느린 것도 단점.
펜슬 로켓형 폭탄...이라기보단 폭죽을 날리는 보병. 바주카병과 마찬가지로 확산 판정이고, 모덴 버스 등으로 소환될 때는 의외로 물량 보병 중에서는 생존성이 뛰어난 편이다. 특수기는 포복 후 로켓 투척이지만 발사 수는 딱 한 번이고 선딜도 있어 화력 증가로써의 의미는 미미하고 포복시 앞으로 뛰어내리기 떄문에 오히려 생존성을 깍아먹는 독이 될 수도 있다. 로켓 폭탄 자체도 발사되고 난 뒤에는 속도가 느려서 시간이 필요하고, 의외로 생산 속도도 다른 보병에 비해 미묘하게 느린 것도 단점.
* 설원 로켓 폭탄병
* 설원 로켓 폭탄병
이쪽은 대부분의 스펙은 같지만 특수기의 포복 범위가 좀 더 늘어났고 발사 수는 2개로 늘어났다. 하지만 늘어난 화력에 비해 그만큼의 리스크도 감수해야 하기에 사용하기 쉬운 편의 유닛은 아니다.
이쪽은 대부분의 스펙은 같지만 특수기의 포복 범위가 좀 더 늘어났고 발사 수는 2개로 늘어났다. 하지만 늘어난 화력에 비해 그만큼의 리스크도 감수해야 하기에 사용하기 쉬운 편의 유닛은 아니다.
358번째 줄: 243번째 줄:
이쪽은 아예 중립과 이동 모션부터가 포복이지만 공격을 할 대 점프를 하기 때문에 이 때 빈틈을 보일 수 있다. 특수기 발동시엔 3발을 발사하므로 화력은 로켓 폭탄병 시리즈중 제일 뛰어난 편.
이쪽은 아예 중립과 이동 모션부터가 포복이지만 공격을 할 대 점프를 하기 때문에 이 때 빈틈을 보일 수 있다. 특수기 발동시엔 3발을 발사하므로 화력은 로켓 폭탄병 시리즈중 제일 뛰어난 편.
* 박격포병
* 박격포병
광부 유닛 비슷하게 고정을 해야 공격을 할 수 있는 유닛이며,  특수기는 각각 다른 각도로 3발을 발사하는 것. 화력이 뛰어나고 멀리서부터 공격을 할 수 있지만 hp가 낮기 때문에 후방에서 안전하게 딜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박격포 시리즈 중에서는 화력이 가장 뛰어난 편.
광부 유닛 비슷하게 고정을 해야 공격을 할수 있는 유닛이며,  특수기는 각각 다른 각도로 3발을 발사하는 것. 화력이 뛰어나고 멀리서부터 공격을 할 수 있지만 hp가 낮기 때문에 후방에서 안전하게 딜을 할수 있도록 해야 한다. 박격포 시리즈 중에서는 화력이 가장 뛰어난 편.
* 설원 박격포병
* 설원 박격포병
박격포병과 비슷한 스펙이지만, 특이한 점으로 특수기를 써서 다시 이동을 할 수 있다. 때문에 실수로 후방에 배치한 박격포병을 움직이게 할 수도 있으며 여러 가지 방법으로 써먹을 수도 있다.(앉아있을 때 특수기를 쓰면 고정을 위한 특수기는 바로 충전된다.) 박격포 시리즈 중 유틸성이 가장 뛰어난 편. 이 유닛이 추가될 당시에는 고정유닛중 사용하기 편했기 때문에 널리 이용되지만, 점점 카운터가 연구되고 관통 공격이 부각되기 시작하면서 점점 뭍혔다. (슨크의 직접적인 너프도 한 몫 했기도 했다.)
박격포병과 비슷한 스펙이지만, 특이한 점으로 특수기를 써서 다시 이동을 할 수 있다. 때문에 실수로 후방에 배치한 박격포병을 움직이게 할 수도 있으며 여러가지 방법으로 써먹을 수도 있다.(앉아있을 때 특수기를 쓰면 고정을 위한 특수기는 바로 충전된다.) 박격포 시리즈 중 유틸성이 가장 뛰어난 편. 이 유닛이 추가될 당시에는 고정유닛중 사용하기 편했기 때문에 널리 이용되지만, 점점 카운터가 연구되고 관통 공격이 부각되기 시작하면서 점점 뭍혔다. (슨크의 직접적인 너프도 한 몫 했기도 했다.)
* 눈사람 병사
* 눈사람 병사
{| class="wikitable"
광부가 먼저 눈사람을 설치하며, 특수기를 사용하거나 표기된 hp를 소진하면 설원 일반병이 나이프로 돌진하며 나온다. 설원 보병이 나올 때는 무적이기에 공격이 가능한 샌드백 정도로 운용할수 있으며(특히 샌드백은 정규군 소속이라 소속 통일할떄 쓸만할 수도 이다.)비슷한 형식의 공격을 하는 게릴라병과 달리 안정적이고 모을 수 있다는 건 큰 장점. 설원 일반병은 나오자마자 바로 죽을 가능성이 높으니 보너스 정도로만 생각하자.
| Hp
| Ap
| 이동속도
| 생산속도
| 근거리 공격
| 원거리 공격
| 특수 공격
|-
| 2700
| 60
| --
| 보통
| 없음
| 없음
| 나이프
|-
| 사거리
|
|
|
| 없음
| 없음
| 매우 짧게
|-
| 판정
| 광부
|
|
| 없음
| 없음
| 단식
|-
| 설명
| 설산의 잠복 병사. 가까이 다가가면 눈사람 속에서 뛰쳐나온다.
|}
유닛 자체로는 아무것도 하지 않으나 특수기를 사용하거나 표기된 hp를 소진하면 설원 일반병이 뛰쳐나온다. 특수기로 일반병이 튀어 나오면 공격 판정이 적용되고 더 멀리 도약한다. 그 이후로는 설원 일반병과 동일.<br />
광부가 먼저 눈사람을 설치하며, 특수기를 사용하거나 표기된 hp를 소진하면 설원 일반병이 나이프로 돌진하며 나온다. 설원 보병이 나올 때는 무적이기에 공격이 가능한 샌드백 정도로 운용할 수 있으며(특히 샌드백은 정규군 소속이라 소속 통일할떄 쓸만할 수도 이다.)비슷한 형식의 공격을 하는 게릴라병과 달리 안정적이고 모을 수 있다는 건 큰 장점. 설원 일반병은 나오자마자 바로 죽을 가능성이 높으니 보너스 정도로만 생각하자.
* 설원 보병
* 설원 보병
눈덩이를 굴리는 병사이며, 이동 자체에 공격 판정이 적용된다. 넉백력과 공격력은 미미해서 매우 빠른 공격 속도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때문에 넉백 테스트 용으로 써먹을 수도 있지만 전체적으로 전투에는 부적합. 크리스마스 이벤트에서는 무지막지한 공격 속도로 냉장고를 공격하는데 이용된다.
눈덩이를 굴리는 병사이며, 이동 자체에 공격 판정이 적용된다. 넉백력과 공격력은 미미해서 매우 빠른 공격 속도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때문에 넉백 테스트 용으로 써먹을 수도 있지만 전체적으로 전투에는 부적합. 크리스마스 이벤트에서는 무지막지한 공격 속도로 냉장고를 공격하는데 이용된다.
407번째 줄: 255번째 줄:
철처히 근접 공격에 특화된 물량 유닛. 근접 공격+특수 공격의 콤보의 공격력이 무시못할 수준이고 특수 공격으로 약간 모자란 기동력도 적절히 보충해줄수 있지만 hp가 적고 사거리도 매우 짧아 공격도 못해보고 공중 분해되기 일수다. 게다가 3톤 트럭, 아불 아바스 등의 유닛으로 인해 단품으로는 더욱 볼 일이 없는 상황.
철처히 근접 공격에 특화된 물량 유닛. 근접 공격+특수 공격의 콤보의 공격력이 무시못할 수준이고 특수 공격으로 약간 모자란 기동력도 적절히 보충해줄수 있지만 hp가 적고 사거리도 매우 짧아 공격도 못해보고 공중 분해되기 일수다. 게다가 3톤 트럭, 아불 아바스 등의 유닛으로 인해 단품으로는 더욱 볼 일이 없는 상황.
* 낙타 기수
* 낙타 기수
설명대로 특수기는 일정 높이 이하의 유닛은 공격할 수 없다. 공격 딜레이가 짧지는 않지만 어차피 딜러라기보단 공격 기능이 있는 탱커로 운영되는 성격이 강하다. 저렴한 가격과 높은 생산력, 그리고 ap대비 준수한 hp와 기갑 판정이라는 점으로 인해 예전에는 초반 탱커로 운용되었으나 점점 높은 공격력을 자랑하는 초반 유닛들이 늘어나서 사장되었다. 그래도 저렴한 슬택막이로써 활용성 자체는 있는 편.
설명대로 특수기는 일정 높이 이하의 유닛은 공격할수 없다. 공격 딜레이가 짧지는 않지만 어차피 딜러라기보단 공격 기능이 있는 탱커로 운영되는 성격이 강하다. 저렴한 가격과 높은 생산력, 그리고 ap대비 준수한 hp와 기갑 판정이라는 점으로 인해 예전에는 초반 탱커로 운용되었으나 점점 높은 공격력을 자랑하는 초반 유닛들이 늘어나서 사장되었다. 그래도 저렴한 슬택막이로써 활용성 자체는 있는 편.
* 레벨 아머
* 레벨 아머
설명대로 예전 유닛이지만 지금 기준으로도 딜러치고는 방어력이 그렇게까지 나쁘지는 않은 편이고, 빠르게 발사되는 특수기는 여러모로 활용이 가능하다. 저렴한 가격에 양산도 쉽지만 하지만 근접 저지력이 부족해서 탱커와 운용해야 하는, 딜러의 성격이 강한 유닛이다. 보통 초반에는 몰려서, 후반에는 여유가 날때마다 뽑는 범용성 높은 딜러로써 가끔 채용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특징 때문에 예전 유닛 치고는 의외로 장수한 유닛이다.
설명대로 예전 유닛이지만 지금 기준으로도 딜러치고는 방어력이 그렇게까지 나쁘지는 않은 편이고, 빠르게 발사되는 특수기는 여러모로 활용이 가능하다. 저렴한 가격에 양산도 쉽지만 하지만 근접 저지력이 부족해서 탱커와 운용해야 하는, 딜러의 성격이 강한 유닛이다. 보통 초반에는 몰려서, 후반에는 여유가 날때마다 뽑는 범용성 높은 딜러로써 가끔 채용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특징 때문에 예전 유닛 치고는 의외로 장수한 유닛이다.
* 헤비'B
* 헤비'B
{| class="wikitable"
| Hp
| Ap
| 이동속도
| 생산속도
| 근거리 공격
| 원거리 공격
| 특수 공격
|-
| 3000
| 90
| 매우 빠르게
| 보통
| 없음
| 로켓 런처
| 돌진
|-
| 사거리
|
|
|
| 없음
| 길게
| 길게
|-
| 판정
| 기갑
|
|
| 없음
| 확산
| 확산
|-
| 설명
| 모덴군이 개발한 사륜구동 공격용 지프. 비포장도로에서도 매우 높은 기동성을 보여준다.
|}
역시 저렴한 가격의 딜러. 특수기는 돌진 후 미사일 발사인데, 돌진은 공격 판정 자체는 있지만 공격력이 매우 낮고 돌격 범위도 짧아 이동용으로 쓰는 편. 사거리가 의외로 길어 후반에도 생존하여 2~3기가 밀착된 경우를 볼 수 있고, 위의 레벨 아머와는 다르게 매우 빠른 기동력과 확산 판정으로 차별화를 할 수 있지만, 오히려 그 때문에 초반에는 기동력 때문에, 후반에는 특수기를 잘못 쓰는 바람에 실직적으로는 생존력이 낮은 편이다. 공격 선딜 자체도 긴 편.
역시 저렴한 가격의 딜러. 특수기는 돌진 후 미사일 발사인데, 돌진은 공격 판정 자체는 있지만 공격력이 매우 낮고 돌격 범위도 짧아 이동용으로 쓰는 편. 사거리가 의외로 길어 후반에도 생존하여 2~3기가 밀착된 경우를 볼 수 있고, 위의 레벨 아머와는 다르게 매우 빠른 기동력과 확산 판정으로 차별화를 할 수 있지만, 오히려 그 때문에 초반에는 기동력 때문에, 후반에는 특수기를 잘못 쓰는 바람에 실직적으로는 생존력이 낮은 편이다. 공격 선딜 자체도 긴 편.
* 미래 MV-280C
* 미래 MV-280C
위의 헤비B와는 비슷하지만 이쪽은 중반용 유닛. 머신건의 발사 수가 많다 못해 흉악하기 때문에 딜러 중에서도 저지력이 좋은 편이다. 기동력도 매우 좋지만 극단적으로 직선 공격에 특화되어 있고 생산성도 좋지 않아 공중 유닛등에 약한 편. 현재 공중 유닛들이 사장된 지금은 초반 딜탱으로써 심심찮게 채용되는 편.
위의 헤비B와는 비슷하지만 이쪽은 중반용 유닛. 머신건의 발사 수가 많다 못해 흉악하기 때문에 딜러 중에서도 저지력이 좋은 편이다. 기동력도 매우 좋지만 극단적으로 직선 공격에 특화되어 있고 생산성도 좋지 않아 공중 유닛등에 약한 편. 현재 공중 유닛들이 사장된 지금은 초반 딜탱으로써 심심찮게 채용되는 편.
* 패트롤 로봇
* 패트롤 로봇
높은 넉백력과 흉악한 판정이 일품인 유닛으로 자체 HP는 낮지만 크기가 작아 헤비B같은 일부 유닛의 공격을 회피할 수도 있고 설명답게 저지력도 뛰어나다. 하지만 프톨레마이크 방패병같이 일부 레이저를 완전히 막을 수 있거나 슬러그 기간트, 루트마스 슬러그 같이 넓은 범위에 관통 공격을 넣을 수 있는 유닛, 슬러그 어택에 취약한 편이니 거의 무조건 탱커를 대동하여야 한다. 예전에는 이 특성 때문에 맹활약했으나 직접적인 너프를 먹고 지금은 가끔 보이는 실정.
높은 넉백력과 흉악한 판정이 일품인 유닛으로 자체 HP는 낮지만 크기가 작아 헤비B같은 일부 유닛의 공격을 회피할 수도 있고 설명답게 저지력도 뛰어나다. 하지만 프톨레마이크 방패병같이 일부 레이저를 완전히 막을 수 있거나 슬러그 기간트, 루트마스 슬러그 같이 넓은 범위에 관통 공격을 넣을 수 있는 유닛, 슬러그 어택에 취약한 편이니 거의 무조건 탱커를 대동하여야 한다. 예전에는 이 특성 떄문에 맹활약했으나 직접적인 너프를 먹고 지금은 가끔 보이는 실정.
* 랜드 시크
* 랜드 시크
{| class="wikitable"
표기상으로는 AP에 비해 매우 높은 hp를 지니고 있으나 방어력이 매우 약하고 생산력도 매우 느려 실제로는 탱커로써의 운용이 힘들다. 적당한 사거리를 살려 중거리에서 대기하다 돌격 유닛들을 근접 공격으로 제압하거나 특수 공격으로 대공을 하는 용도. 하지만 사거리가 너무 애매하고 원거리나 특수 공격의 공격력이 너무 낮아 마크스넬 같은 유닛도 겨우 격추시킬 정도이다. 무작정 높은 hp로 탱킹을 하기보단 여러가지 공격 수단으로 전선의 붕괴를 막는 보조 탱커로서의 성격이 더욱 강한 유닛.
| Hp
| Ap
| 이동속도
| 생산속도
| 근거리 공격
| 원거리 공격
| 특수 공격
|-
| 10500
| 150
| 보통
| 매우 느리게
| --
| 벌컨
| 벌컨
|-
| 사거리
|
|
|
| 매우 짧게
| 보통
| 보통
|-
| 판정
| 기갑
|
|
| 확산
| 확산
| 확산
|-
| 설명
| 모덴병을 운반하는 4톤 트럭. 이번에는 후방에 벌컨포를 장착하고 있다.
|}
표기상으로는 AP에 비해 매우 높은 hp를 지니고 있으나 방어력이 매우 약하고 생산력도 매우 느려 실제로는 탱커로써의 운용이 힘들다. 적당한 사거리를 살려 중거리에서 대기하다 돌격 유닛들을 근접 공격으로 제압하거나 특수 공격으로 대공을 하는 용도. 하지만 사거리가 너무 애매하고 원거리나 특수 공격의 공격력이 너무 낮아 마크스넬 같은 유닛도 겨우 격추시킬 정도이다. 무작정 높은 hp로 탱킹을 하기보단 여러 가지 공격 수단으로 전선의 붕괴를 막는 보조 탱커로서의 성격이 더욱 강한 유닛. 말은 확산 공격인데 근접 공격을 빼면 그냥 단식이라고 봐도 무난하다.
* 모덴 버스
* 모덴 버스
{| class="wikitable"
일반 광부보다 빠른 광부가 출격하는 설치 유닛이며 설치 이후에는 반란군 보병/방패병/로켓 폭탄병/바주카병/소총병/개틀링병 중 랜덤으로 하나가 일정 간격으로 나온다. 설치 유닛 자체도 hp가 널널한 편이고 유닛을 뽑아내는 간격이 빨라 2~3개를 쌓아놓으면 금세 그럴듯해 보이는 전선이 생성된다. 하지만 모덴 버스의 단독 운용으로는 방패병의 출연 확률이 승패에 영향을 미치니 다른 저려만 탱커와 조합하는 것이 좋다. 높은 생산력 때문에 인구수가 막히는 일이 발생하는 경우가 후반에 가끔 생기는 지라 무조건 후방에 설치하기보다는, 전선의 중간 쯔음에 탱킹이나 슬택막이를 겸용해서 바리케이드로 세워 놓는 것이 좋다.  
| Hp
| Ap
| 이동속도
| 생산속도
| 근거리 공격
| 원거리 공격
| 특수 공격
|-
| 700
| 100
| --
| 느리게
| --
| 없음
| 없음
|-
| 사거리
|
|
|
| 없음
| 없음
| 없음
|-
| 판정
| 광부
|
|
| 없음
| 없음
| 없음
|-
| 설명
| 모덴군이 이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이층 버스 안에는 모덴병이 잔뜩 타고 있으므로 주의.
|}
일반 광부보다 빠른 광부가 출격하는 설치 유닛이며 설치 이후에는 반란군 보병/방패병/로켓 폭탄병/바주카병/소총병/개틀링병 중 랜덤으로 하나가 일정 간격으로 나온다. 설치 유닛 자체도 hp가 널널한 편이고 유닛을 뽑아내는 간격이 빨라 2~3개를 쌓아놓으면 금세 그럴듯해 보이는 전선이 생성된다. 하지만 모덴 버스의 단독 운용으로는 방패병의 출연 확률이 승패에 영향을 미치니 다른 저려만 탱커와 조합하는 것이 좋다. 높은 생산력 때문에 인구수가 막히는 일이 발생하는 경우가 후반에 가끔 생기는 지라 무조건 후방에 설치하기보다는, 전선의 중간 쯔음에 탱킹이나 슬택막이를 겸용해서 바리케이드로 세워 놓는 것이 좋다.
* 스파이크 벙커
* 스파이크 벙커
{| class="wikitable"
| Hp
| Ap
| 이동속도
| 생산속도
| 근거리 공격
| 원거리 공격
| 특수 공격
|-
| 3200
| 70
| --
| 보통
| 없음
| 수평 캐논
| 없음
|-
| 사거리
|
|
|
| 없음
| 보통
| 없음
|-
| 판정
| 광부
|
|
| 없음
| 단식
| 없음
|-
| 설명
| 이동은 불가능하지만 장갑이 두껍고 위력이 높은 공격을 갖춘 벽 병기.
|}
광부가 출격하며, 곡괭이질 한번에 바로 설치가 되는지라 설치 성공률이 높은 편이다. 생산 속도가 준수한지라 초반에는 아무데나 놓아도 되며, 설명이 아에 거짓말은 아니라 밑의 안티 에어-크래프트보다는 hp가 약간 낮음에도 불구하고 의외로 더 잘 버티는 편이다. 공격적인 스펙은, 디-코카의 경량화 버전. 특수기가 없고 판정이 단식으로 바뀌어서, 후반에는 활약하기 어렵다.
광부가 출격하며, 곡괭이질 한번에 바로 설치가 되는지라 설치 성공률이 높은 편이다. 생산 속도가 준수한지라 초반에는 아무데나 놓아도 되며, 설명이 아에 거짓말은 아니라 밑의 안티 에어-크래프트보다는 hp가 약간 낮음에도 불구하고 의외로 더 잘 버티는 편이다. 공격적인 스펙은, 디-코카의 경량화 버전. 특수기가 없고 판정이 단식으로 바뀌어서, 후반에는 활약하기 어렵다.
* 안티 에어-크래프트
* 안티 에어-크래프트
{| class="wikitable"
역시 광부가 출격하며, 스파이크 벙커와 동일하게 곡괭이질 한번에 바로 설치가 되는지라 설치 성공률이 높은 편이다. 기본적으로는 박격포의 광부 버전. 사거리가 약간 짧고 공격력이 높진 않지만, 높은 연사력과 박격포병들과 비교해 높은 hp로 차별화가 된다. 하지만 특수기도 없고, 의외로 공격을 맞추지 못하고 헛발 공격을 2~3번 하다 겨우 제 공격 각도를 찾는 일이 가끔 발생하기 때문에, 안티 에어-크래프트만으로 딜을 하기는 쉽지 않은 편이다. 대공포라는 이름답지 않게 공중 인식 능력은 없지만, 공격 고도는 의외로 높아서 가끔 공중 유닛을 격추하는 일도 생긴다.  
| Hp
| Ap
| 이동속도
| 생산속도
| 근거리 공격
| 원거리 공격
| 특수 공격
|-
| 3350
| 60
| --
| 보통
| 없음
| 대형 대포
| 없음
|-
| 사거리
|
|
|
| 없음
| 길게
| 없음
|-
| 판정
| 광부
|
|
| 없음
| 단식
| 없음
|-
| 설명
| 이동은 불가능하지만 포물선을 그리는 대포로 후방의 적을 공격할 수 있다.
|}
역시 광부가 출격하며, 스파이크 벙커와 동일하게 곡괭이질 한번에 바로 설치가 되는지라 설치 성공률이 높은 편이다. 기본적으로는 박격포의 광부 버전. 사거리가 약간 짧고 공격력이 높진 않지만, 높은 연사력과 박격포병들과 비교해 높은 hp로 차별화가 된다. 하지만 특수기도 없고, 의외로 공격을 맞추지 못하고 헛발 공격을 2~3번 하다 겨우 제 공격 각도를 찾는 일이 가끔 발생하기 때문에, 안티 에어-크래프트만으로 딜을 하기는 쉽지 않은 편이다. 대공포라는 이름답지 않게 공중 인식 능력은 없지만, 공격 고도는 의외로 높아서 가끔 공중 유닛을 격추하는 일도 생긴다.
* 아이언 이소
* 아이언 이소
광부가 출격하며, 광부가 나가는 설치 유닛중 유일하게 넉백 모션이 존재한다. 특수 공격도 없지만 일반 공격이 통짜 관통에 공격 사거리고, 공격 사거리고 긴지라 후방에서 상대 딜러들을 저격하거나, 물량 유닛들을 처리하는 데 쓰인다. 의외로 광부 유닛이나 예쩐 유닛 치고는 자주 쓰였으며 현재까지도 몇몇 유닛의 카운터용으로 가끔 채용된다.
광부가 출격하며, 광부가 나가는 설치 유닛중 유일하게 넉백 모션이 존재한다. 특수 공격도 없지만 일반 공격이 통짜 관통에 공격 사거리고, 공격 사거리고 긴지라 후방에서 상대 딜러들을 저격하거나, 물량 유닛들을 처리하는 데 쓰인다. 의외로 광부 유닛이나 예쩐 유닛 치고는 자주 쓰였으며 현재까지도 몇몇 유닛의 카운터용으로 가끔 채용된다.  
* 펄스 트럭
* 펄스 트럭
평소보다 느린 광부가 출격하며, 곡괭이질 수도 4번이나 필요하다. 일반 공격, 특수 공격이 전부 폭탄 투하이며 차이점은 특수 공격이 더욱 폭탄의 밀도가 더욱 높다는 것. hp는 ap에 비해 적절한 편이지만 피격 판정이 크고 광부 판정이라 실질적으로는 슬택에도 상당한 위협을 받는다. 넓은 지역에 폭탄을 떨어트리는 방식이라 돌격 유닛, 공중 유닛에 매우 효과적이며 특히 하나를 설치하면 AP 300이하의 공중 유닛은 거의 완전히 카운터치는 것이 가능하고 4~5기가 모이면 공중 보스유닛조차 벌벌 떨어야 한다. 보통 후방에 설치하여 방어용으로 쓰는 일이 많은 편.
평소보다 느린 광부가 출격하며, 곡괭이질 수도 4번이나 필요하다. 일반 공격, 특수 공격이 전부 폭탄 투하이며 차이점은 특수 공격이 더욱 폭탄의 밀도가 더욱 높다는 것. hp는 ap에 비해 적절한 편이지만 피격 판정이 크고 광부 판정이라 실질적으로는 슬택에도 상당한 위협을 받는다. 넓은 지역에 폭탄을 떨어트리는 방식이라 돌격 유닛, 공중 유닛에 매우 효과적이며 특히 하나를 설치하면 AP 300이하의 공중 유닛은 거의 완전히 카운터치는 것이 가능하고 4~5기가 모이면 공중 보스유닛조차 벌벌 떨어야 한다. 보통 후방에 설치하여 방어용으로 쓰는 일이 많은 편.
611번째 줄: 279번째 줄:
광부가 출격하며, 저렴한 가격에 피격 판정도 작아서 초반의 생존성이 의외로 높다. 고정 가능한 초반 딜러로써 가끔 채용되었었다.
광부가 출격하며, 저렴한 가격에 피격 판정도 작아서 초반의 생존성이 의외로 높다. 고정 가능한 초반 딜러로써 가끔 채용되었었다.
* 스크랩 요새
* 스크랩 요새
광부가 출격한다. ap대비 적당한 hp를 지니고 있고 고정이지만 방어력이 꽤 높은지라 평균적으로 버티는 편이다. 공격은 모두 관통 판정이지만 사거리가 짧아 활약할 여지가 적고 탱커인데 광부유닛인지라 설치가 취소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빠르게 충원할 수 있기 때문에 전선 붕괴 방지용으로 중거리에 설치하면 의외로 짭잘하다. 실제 유닛 컨셉이 그렇기도 하고.
광부가 출격한다. ap대비 적당한 hp를 지니고 있고 고정이지만 방어력이 꽤 높은지라 평균적으로 버티는 편이다. 공격은 모두 관통 판정이지만 사거리가 짧아 활약할 여지가 적고 탱커인데 광부유닛인지라 설치가 취소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빠르게 충원할수 있기 때문에 전선 붕괴 방지용으로 중거리에 설치하면 의외로 짭잘하다. 실제 유닛 컨셉이 그렇기도 하고.
* 다라링 다라다라
* 다라링 다라다라
AP대비 hp도 적절하고, 자재 투하 공격은 넉백력이 매우 높은지라 의외로 초반을 잘 버티는 편이다. 하지만 공격 딜레이가 너무 느리고 베니마루에게 취약하단 점이, 베니마루가 초반을 장악하는 상황에서 불리하다 할 수밖에 없다. 모덴군 유닛중 쓸만한 근접 유닛인지라 모덴군 덱에서 가끔 채용되는 편.
AP대비 hp도 적절하고, 자재 투하 공격은 넉백력이 매우 높은지라 의외로 초반을 잘 버티는 편이다. 하지만 공격 딜레이가 너무 느리고 베니마루에게 취약하단 점이, 베니마루가 초반을 장악하는 상황에서 불리하다 할 수밖에 없다. 모덴군 유닛중 쓸만한 근접 유닛인지라 모덴군 덱에서 가끔 채용되는 편.
621번째 줄: 289번째 줄:
저렴한 ap에 높은 hp를 지니고 있는 슈퍼아머 유닛으로, 생각보다는 잘 터지기 때문에 무조건 탱커로 운용하기보다는 다른 유닛과 적절히 조합하는 겄이 좋고, 특히 공격 딜레이가 있기 때문에, 직사형 공격을 지닌 유닛들과의 조합을 추천한다. 특히 이 유닛의 가장 큰 단점인 사각지대를 보완하기 위해, 발칸형 공격을 하는 유닛들과의 조합을 추천한다.
저렴한 ap에 높은 hp를 지니고 있는 슈퍼아머 유닛으로, 생각보다는 잘 터지기 때문에 무조건 탱커로 운용하기보다는 다른 유닛과 적절히 조합하는 겄이 좋고, 특히 공격 딜레이가 있기 때문에, 직사형 공격을 지닌 유닛들과의 조합을 추천한다. 특히 이 유닛의 가장 큰 단점인 사각지대를 보완하기 위해, 발칸형 공격을 하는 유닛들과의 조합을 추천한다.
* 디 코카(미래)
* 디 코카(미래)
디 코카에 비해 높은 ap를 지녔지만, 일반 공격이 3연발, 특수 공격이 5연발로 바뀌어 화력이 대폭 상승하였고 사거리가 더욱 길어졌다. 생산 디코카 시리즈답게 속도도 준수한 데다가 hp도 뛰어나 후반에도 잘 버텨준다. 때문에 중반부터 뽑아 모아서 후반 딜을 담당하는 역할로 상당히 오래 뛰었으나, 현재는 빅 셰이와 레드 링 레이저 메카의 등장으로 인해 점점 퇴색되는 경향이 있고, 무엇보다 상쇄기와 공중 유닛에 취약하다는 특징 때문에 입지 자체도 점점 좁아지고 있다. 그걸 감안하더라도 일단 상당히 쓸모있는 유닛. 팬들에게는 미코카로 불리는 일이 잦다.
디 코카에 비해 높은 ap를 지녔지만, 일반 공격이 3연발, 특수 공격이 5연발로 바뀌어 화력이 대폭 상승하였고 사거리가 더욱 길어졌다. 생산 디코카 시리즈답게 속도도 준수한 데다가 hp도 뛰어나 후반에도 잘 버텨준다. 때문에 중반부터 뽑아 모아서 후반 딜을 담당하는 역할로 상당히 오래 뛰었으나, 현재는 빅 셰이와 레드 링 레이저 메카의 등장으로 인해 점점 퇴색되는 경향이 있고, 무었보다 상쇄기와 공중 유닛에 취약하다는 특징 때문에 입지 자체도 점점 좁아지고 있다. 그걸 감안하더라도 일단 상당히 쓸모있는 유닛. 팬들에게는 미코카로 불리는 일이 잦다.
* 기리다 O(미래)
* 기리다 O(미래)
{| class="wikitable"
미래 시리즈답게 기리다의 ap를 올린 대신 스펙을 높인 버전. 미래 디코카와 비슷하게 일반 공격이 3발, 특수 공격이 5연발로 바뀌었다. 하지만 기존 기리다 시리즈의 문제점인 애매한 공격 거리와 공격 높이는 해결하지 못했고 낮은 넉백 저항은 여전하며, 사거리도 애매한지라 전선에 잠깐 나왔다가 신나게 넉백 타임을 가지고 터지는 게 대다수. 지속적인 공격에는 꽤나 효과적이지만, 프톨레 아우겐슈타른이나 미래 mv에게 너무나도 취약해 중반에서의 의미도 퇴색하였다.
| Hp
| Ap
| 이동속도
| 생산속도
| 근거리 공격
| 원거리 공격
| 특수 공격
|-
| 10800
| 250
| 보통
| 느리게
| 없음
| 전차포 3연사
| 전차포 5연사
|-
| 사거리
|
|
|
| 없음
| 보통
| 보통
|-
| 판정
| 기갑
|
|
| 없음
| 확산
| 확산
|-
| 설명
| 미래로부터 온 기리다 O. 미래에서도 사랑받는 디자인이 된 듯하다.
|}
미래 시리즈답게 기리다의 ap를 올린 대신 스펙을 높인 버전. 미래 디코카와 비슷하게 일반 공격이 3발, 특수 공격이 5연발로 바뀌어 화력이 대폭 상승하였다. 하지만 기존 기리다 시리즈의 문제점인 애매한 공격 거리와 공격 높이는 해결하지 못했고 낮은 넉백 저항은 여전하며, 사거리도 애매한지라 전선에 잠깐 나왔다가 신나게 넉백 타임을 가지고 터지는 게 대다수. 지속적인 공격에는 꽤나 효과적이지만, 프톨레 아우겐슈타른이나 미래 mv에게 너무나도 취약해 중반에서의 의미도 퇴색하였다.
* 레벨 워커
* 레벨 워커
공격시 호버링 판정을 지니는 점프와 함께 요란하게 움직이는 빔탄을 발사한다. 빔탄은 통짜로 관통 판정이지만 사거리는 애매해서 별 의미가 없고, 특수기인 새틀라이트 탄이 넉백력이 매우 높다는 이유로 간간히 채용된다. 하지만 점프를 할 때는 프토레마이크 슬러그, 블랙 하운드 등의 공격에 취약하지는데다가 특수기도 잠깐 봉인되어서 사용하기 쉽지 않다. 전체적으로는 넉백력이 강한 특수기, 근접기를 피할 수 있는 점프, 와리가리 움직이는 원거리를 볼 때 메타 비트용으로 설계되었지만 유저들의 반응은 글쎄올씨다.
공격시 호버링 판정을 지니는 점프와 함께 요란하게 움직이는 빔탄을 발사한다. 빔탄은 통짜로 관통 판정이지만 사거리는 애매해서 별 의미가 없고, 특수기인 새틀라이트 탄이 넉백력이 매우 높다는 이유로 간간히 채용된다. 하지만 점프를 할 때는 프토레마이크 슬러그, 블랙 하운드 등의 공격에 취약하지는데다가 특수기도 잠깐 봉인되어서 사용하기 쉽지 않다. 전체적으로는 넉백력이 강한 특수기, 근접기를 피할 수 있는 점프, 와리가리 움직이는 원거리를 볼 때 메타 비트용으로 설계되었지만 유저들의 반응은 글쎄올씨다.
673번째 줄: 305번째 줄:
미사일을 발사하는 헬리콥터. ap는 마크스넬에 비해 높지만, 화력에 비해 안전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직접 전선에 나가 유닛을 공격하는 마크스넬과는 달리, 후방에서 탱커 뒤에서 화력을 지원하는 공중 유닛. R쇼부 시리즈 중 프톨레 R쇼부와 함께 공격시 넉백이 없기 때문에 딜로스 자체는 적은 편이나 hp가 넉넉한 편은 아닌지라 후반에는 쉽게 파괴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설명에서는 특수 공격으로 폭탄 투하가 있으나 실제로는 공격 횟수를 모두 소모하거나 유닛이 근접해야만 볼 수 있다ㅣ.
미사일을 발사하는 헬리콥터. ap는 마크스넬에 비해 높지만, 화력에 비해 안전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직접 전선에 나가 유닛을 공격하는 마크스넬과는 달리, 후방에서 탱커 뒤에서 화력을 지원하는 공중 유닛. R쇼부 시리즈 중 프톨레 R쇼부와 함께 공격시 넉백이 없기 때문에 딜로스 자체는 적은 편이나 hp가 넉넉한 편은 아닌지라 후반에는 쉽게 파괴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설명에서는 특수 공격으로 폭탄 투하가 있으나 실제로는 공격 횟수를 모두 소모하거나 유닛이 근접해야만 볼 수 있다ㅣ.
* R.R. 쇼부
* R.R. 쇼부
빨같게 도색된 R쇼부. 미사일 발사 수 자체는 적지만, 특수기가 생겨 보완할 수 있고 공격시 넉백이 되기에 생존성이 대폭 증가했다. 폭탄 투하를 할 때 투하되는 폭탄 수도 늘어나서, 추가되고 한동안 강력한 공중 유닛으로써 활약했다.
빨같게 도색된 R쇼부. 미사일 발사 수 자체는 적지만, 특수기가 생겨 보완할수 있고 공격시 넉백이 되기에 생존성이 대폭 증가했다. 폭탄 투하를 할 때 투하되는 폭탄 수도 늘어나서, 추가되고 한동안 강력한 공중 유닛으로써 활약했다.
* R'쇼부(미래)
* R'쇼부(미래)
보라색의 R쇼부.  R.R쇼부와 같이 공격시 넉백이 생기는 점은 미사일이 1발 더 발사된다는 점을 빼면 동일하지만, 공격 횟수가 따로 없기 때문에 뒤쪽에 쉽게 쌓여서 공격할 수 있다. 하지만 공격 범위가 꽤나 짧아진 편. 특수기는 폭탄 투하인데, 기존의 R쇼부 시리즈와는 달리 넓은 지역에 흩뿌리고, 사용시 낮은 고도로 내려오며 특수기가 끝날 시 기지로 돌아온다. 빈틈을 노려 특수기를 쓰면 상대에게 짜증을 유발할 수도 있지만 상당한 위험을 요구하고 파괴되면 상대에게 대량의 AP를 주기에 한꺼번에 특수기를 쓰는 방법은 바람직하지 않다.
보라색의 R쇼부.  R.R쇼부와 같이 공격시 넉백이 생기는 점은 미사일이 1발 더 발사된다는 점을 빼면 동일하지만, 공격 횟수가 따로 없기 때문에 뒤쪽에 쉽게 쌓여서 공격할 수 있다. 하지만 공격 범위가 꽤나 짧아진 편. 특수기는 폭탄 투하인데, 기존의 R쇼부 시리즈와는 달리 넓은 지역에 흩뿌리고, 사용시 낮은 고도로 내려오며 특수기가 끝날 시 기지로 돌아온다. 빈틈을 노려 특수기를 쓰면 상대에게 짜증을 유발할 수도 있지만 상당한 위험을 요구하고 파괴되면 상대에게 대량의 AP를 주기에 한꺼번에 특수기를 쓰는 방법은 바람직하지 않다.
679번째 줄: 311번째 줄:
적절한 가격에 적당한 화력의 중반 유닛. 보통 큰 몸체를 활용해 게임 초중반에 탱킹을 하거나, 미사일 발사를 이용해 대공을 맞는다. 특수기에 미사일 발사가 포함되어 있어 대공에도 꽤나 수월한 편. 하지만 세월이 흐름에 따라 파괴되기 쉬워졌고 미사일 한두방으로는 공중 유닛을 격추하기 어려워져서 활약이 어려워졌다. 하지만 아직도 간간히 채용하는 유저들이 있는 편.
적절한 가격에 적당한 화력의 중반 유닛. 보통 큰 몸체를 활용해 게임 초중반에 탱킹을 하거나, 미사일 발사를 이용해 대공을 맞는다. 특수기에 미사일 발사가 포함되어 있어 대공에도 꽤나 수월한 편. 하지만 세월이 흐름에 따라 파괴되기 쉬워졌고 미사일 한두방으로는 공중 유닛을 격추하기 어려워져서 활약이 어려워졌다. 하지만 아직도 간간히 채용하는 유저들이 있는 편.
* 칸
* 칸
슈와는 달리 특수기가 포를 발사하는 것에만 치중되어 있어 전선 힘싸움에 더욱 특화되었다. 하지만 대공이 잘 안 된다는 이유로 실 채용률은 슈에 비해 매우 낮은 편. 그나마 슈와 세트로 쓰이는 경우는 있다.
슈와는 달리 특수기가 포를 발사하는 것에만 치중되어 있어 전선 힘싸움에 더욱 특화되었다. 하지만 대공이 잘 안된다는 이유로 실 채용률은 슈에 비해 매우 낮은 편. 그나마 슈와 세트로 쓰이는 경우는 있다.
* 불 드릴
* 불 드릴
Ap에 비해 준수한 hp를 지니고 있어서 기본적으론 탱커로 운용해야 하는 보스 유닛. 특수기인 드릴은 크라켄, 다이만지 등의 유닛에게 매우 치명적이며 애매한 사거리의 공중 유닛이나 근접 유닛도 전부 박살내 버린다. 하지만 범위가 애매해 원거리 위주의 유닛들에게는 매우 약하고, 원거리 공격의 공격력이 너무나 약한 대다가 특수기는 선딜이 너무 길어 예측을 잘해야 한다. 예측을 잘하면 대박을 노릴 수도 있는 상급자용 유닛이라고 생각되기 쉽지만, 그냥 탱으로 내놔도 어느 정도 활약은 하는 편. 보스 치고는 생산 속도도 준수한 편이다.
Ap에 비해 준수한 hp를 지니고 있어서 기본적으론 탱커로 운용해야 하는 보스 유닛. 특수기인 드릴은 크라켄, 다이만지 등의 유닛에게 매우 치명적이며 애매한 사거리의 공중 유닛이나 근접 유닛도 전부 박살내 버린다. 하지만 범위가 애매해 원거리 위주의 유닛들에게는 매우 약하고, 원거리 공격의 공격력이 너무나 약한 대다가 특수기는 선딜이 너무 길어 예측을 잘해야 한다. 예측을 잘하면 대박을 노릴 수도 있는 상급자용 유닛이라고 생각되기 쉽지만, 그냥 탱으로 내놔도 어느정도 활약은 하는 편.
* 헤어버스터 리버츠
* 헤어버스터 리버츠
AP 600의 공중 유닛. 보스 답지 않게 기동력이 매우 빠른 편이라 전선에서의 합류가 빠른 편이다. 미사일은 딜레이가 짧은 편은 아니지만 쓸만하고 특수기의 범위는 의외로 준수하다. 그렇게 큰 차이를 만들지는 않지만 특수기의 공격이 랜덤으로 나가는지라 아주 약간 불안한 면도 있긴 하지만, 어차피 공중 임시 막이 등으로 이용할 테니 큰 문제는 없다.  특성 때문에 협력 전투 같은 스테이지에서도 꽤나 유용한 편.
* 아이언 노카나
* 아이언 노카나
통칭 놐아나. 보스치고는 저렴한 AP의 유닛. 원거리 공격은 관통하는 포를 3발 쏘고, 특수기는 화염 방사기인데, 뭣도 모르고 접근하는 초중반 근접 유닛들은 말그대로 녹아내리며 후반 유닛에게도 큰 타격을 줄 수 있다. 원거리 공격도 나쁘진 않지만 공격력 자체도 좋진 않은데 3연발이라 광부 잡기를 제외하면 꾸준히 공격해야 하는데 사거리가 짧은 편인 노카나가 살아남기 힘들고, 특수기도 원딜러+무적기를 지닌 근접기 위주로 게임이 진행되어 제대로 된 효력을 보기는 힘들다. 그냥 슈퍼아머를 통해 무작정 밀고 들어가는 막이로 채용되는 정도.
* 아이언 노카나 MK II
* 아이언 노카나 MK II
아이언 노카나와 비슷하지만 ap와 hp를 약간 낮추고 특수기를 미사일 연발로 바꾼 버전. 노카나 차체의 고도가 넓은지라 공수 멜티허나와 비슷한 이유로 의외로 마크스넬 시리즈(미래 제외)를 잘 잡는 편이지만, 이것도 맵에 따라서 다르고, 딜용으로 쓰기에는 딜이 너무나도 부족하다. 생존력 자체도 잘 부서진다고 소문난 노카나보다 잘 부서지는 편. 참고로 설명에는 호밍 미사일을 쏜다고 하는데, 이때는 아직 유도 공격이 거의 없었던 때라 공중 유닛이 때를 지어 와도 유도는 안 된다.
* 주피터 킹
* 주피터 킹
통칭 주킹. 높은 AP, 그에 반해 낮은 hp를 지니고 있고 특수기마저 없으나 강력한 레이저 공격으로 모든 것을 커버하는 보스다. 특수기가 없어서 관리도 쉽고, 레이저는 원거리 중거리 근거리 전부 커버하는지라 유닛 들러붙는 걱정도 덜해도 되고 생산 속도도 옛날 유닛이라 빠른 편에 속하는데다 레이저는 무식한 딜과 넉백력을 지닌다. 때문에 넉백 저항이 약한 유닛들에게는 지옥이나 다름없는 유닛. 하지만 공격 딜레이가 길고 그걸 빼면 정말 커다란 깡통 로봇이기에 제대로 된 탱킹을 해줘야 한다. 슬러그 기간트, 스톤 터틀 정도는 되야 제대로 된 실력을 발휘해 주는 편. 그런 고로 현재는 쓰기 어렵고 스펙도 떨어진다는 이유로 안쓰이고 있지만, 여전히 잘 활용하면 쓸모가 있는 유닛이다.
* 주피터 킹 MK II
* 주피터 킹 MK II
위의 주피터 킹과는 달리 완전히 근접형 유닛으로 바뀐 유닛. 미사일 공격은 범위도 엄청나고 불똥으로 대공도 가능한 데다 딜레이도 매우 짧아서 모덴군식 스톤 터틀로 활용....하기는 힘든 것이 넉백 저항이 높은 편이 아니고 그에 따라 미사일을 잘 뽑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특수기는 정상적인 상황 외에서만 쓸모 있지 보스 힘싸움이나 전선이 맞물리고 있는 때는 별 효과가 없는 편이다.
* 더 키시 II
* 더 키시 II
통칭 키시. 특수기인 제트 엔진 분사가 모든 것을 설명하는 보스. 화끈한 관통 판정+풀히트 데미지가 보스들 조차도 벌벌 떨게 만든다. 하지만 기동력이 너무 느리고, 크라켄에 대비해 점점 대공 유닛을 챙기는 유저들이 많아졌으며, 특히 적진에 나홀로 몸을 바치게 되는 컨셉 때문에 초반에는 꽤나 쓰였으나 현재는 저조한 채용률을 보이고 있다. 그래도 주피터 킹과 같이 잘 살릴수만 있다면 어설픈 보스 러쉬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
* 더 키시 III
* 더 키시 III
더 키시 II와는 달리 근접형 공중 보스. 공격인 미사일은 데미지가 좋고 딜레이도 긴 편은 아니지만, 근접 공중 유닛인 특성상 빗나가는 일도 발생한다는 점이 문제. 특수기는 적전의 정중앙으로 가 개틀링을 난사하는 것인데, 몸집큰 보스들이 점점 많아져 이게 특수기 쓴건지 안쓴건지 구별하지 어려운 것이 문제. 다만 범위 자체는 길기에 기습적으로 기지를 타격하는 용으로 쓰는 사람들이 종종 있다.
* 크랩롭스
* 크랩롭스
통칭 크랩. 적당한 ap와 hp에 적당한 딜링과 준수한 대공력을 지니고 있는 원거리 공격, 딜레이는 약간 길지만 우월한 사거리의 커버와 공격력으로 무마되는 근접 공격, 무적 방어벽+전선 붕괴를 수행할 수 있는 특수기, 파괴되어도 공중 유닛으로 분리되서 끈질기게 달라붙는 특성으로 업뎃 추가시부터 지금까지 두루두루 사용되고 있다. 특히 갓 추가되었을 때의 선 크랩롭스는 알고도 당할 수밖에 없었던(그때는 정보가 별로 없었기에 위협적이였다.) 악랄한 전술이였다.
* 크랩롭스(다리)
* 크랩롭스(다리)
{| class="wikitable"
| Hp
| Ap
| 이동속도
| 생산속도
| 근거리 공격
| 원거리 공격
| 특수 공격
|-
| 12500
| 500
| 보통
| 매우 느리게
| 대포
| 대포
| 제트 분사
|-
| 사거리
|
|
|
| 매우 짧음
| 길게
| 길게
|-
| 판정
| 기갑, 슈퍼아머, 귀환
|
|
| 확산
| 확산
| 확산
|-
| 설명
| 크랩롭스의 다리. 제트 분사로 공중에서도 뜬다.
|}
근접 공격은 자신의 앞에 대포를 3연발하는 것과, 원거리 공격은 각기 다른 범위에 대포를 3기 발사하는 것, 특수기는 도약하여 날아오른 뒤 제트 분사를 한다.<br />
통칭 크랩다리. 위의 크랩롭스와는 달리 저렴한 ap의 보스. 원거리 공격이 의외로 대공에 도움되는 경우가 있고 후방 타격에도 용이한데다 딜도 나쁜 편은 아니지만 생존력이 낮아 빛을 보지 못하고 특수기는 잘 써도 넉백을 통한 전선 방어가 전부인 데다 선/후 딜레이가 너무 길다는 평이 많다. 게다가 공중 인식+강력한 딜을 가지고 있는 분노 알렌에 분해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생산 속도도 동 ap의 유닛에 비해 답답한 편. 참고로 특수기를 쏘는 도중에는 공중 유닛 취급인지 만약 제트 분사를 끝내고 유닛이 자신을 앞질러 가면 기지로 귀환한다.
* 하이 도
* 하이 도
헬리콥터 주제에 지상 유닛인 보스. 원거리 공격은 미사일을 난사하는 것이고 근접 공격은 직접 모덴 원수가 바주카를 발사한다. 이 유닛의 특수기는 바로 개틀링인데, 적진의 전방으로 날아가서(이 때는 맵에서 사라진다.) 개틀링을 발사한다. 이 개틀링이 관통인데다 딜도 나쁘진 않아 등장 당시엔 새로운 보스 유닛으로 상당한 위새를 떨쳤으나 펄스트럭, 샌드 마린 등의 카운터와 솔 데 로카, 정규군 헬기 같은 라이벌의 등장으로 잊혀졌다. 그래도 상대의 빈틈을 노려 써보려면 확실히 써볼만한 유닛.
* 빅 셰이
* 빅 셰이
끝장나게 느린 이동속도를 지녔지만 원거리 공격인 주포가 아주 물건으로 주포가 무지개 관통탄을 한번에 발사하는 것이다. 그 아이언 이소가 MSD초반에 위세를 떨쳤다는 걸 감안하면 아주 사기적인 보스로, 심지어 이 관통탄은 거의 전범위를 커버해서 근접 걱정도 없다. 게다가 뱃머리 부분은 피격 판정이 없어 실제 생김새보다 피격 판정이 작으며, 특수기인 부포는 엄청난 한방뎀을 자랑하기 때문에 주포가 잘 안먹히는 보스에게 딜을 날리거나 사용시 슈퍼아머라는 점을 이용해 자리를 지키는 등으로 써먹을수 있다. 엄청난 대공력과 견제력을 자랑해 웬만한 공중 유닛을 바로 Ap 덩어리로 만들어 버리며 빅존 조차도 잘못 걸리면 바로 퇴근해야 하기 때문에 상대에게 엄청난 압박감을 줄 수 있다. 그나마 단점이라면 넉백 저항이 작다는 것인데, 앞서 말한 피격 판정과 사거리가 합쳐저 그다지 부각이 안 된다.
* 레벨 기간트
* 레벨 기간트


747번째 줄: 331번째 줄:
* 카브라칸
* 카브라칸
* 포워
* 포워
KOF의 브라이언 혹은 장거한의 보스 버전. 적절하디 적절한 원거리 공격과 자그마해서 특수기를 노리기 쉬운 판정을 지니고 있는데, 특수기는 높이 점프해 깔아 뭉개는 것. 이 점프의 범위가 실로 막강해 마스크넬~R쇼부 급의 공중 유닛을 저격하기 좋다. 또한 점프 중에는 피해는 받되 파괴되지 않아 어그로 용도로도 적당하다.
* 발로르
* 발로르
{| class="wikitable"
| Hp
| Ap
| 이동속도
| 생산속도
| 근거리 공격
| 원거리 공격
| 특수 공격
|-
| 8500
| 300
| --
| 매우 느리게
| 없음
| 바주카포
| 미사일
|-
| 사거리
|
|
|
| 없음
| 길게
| 매우 길게
|-
| 판정
| 공중
|
|
| 없음
| 단식
| 확산
|-
| 설명
| 지상의 전력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 동원된 잠수함.
|}
고정 유닛이며 소환하면 매우 빠르게 다가가다가 상대방 유닛과 조우하면 천천히 내려오는데, 해치를 열기까지는 지상 유닛 판정에 무적이다. 이를 통해 잠시 어그로를 끄는 데 좋겠지만 사거리가 짧고 방어력이 약한데다 미사일을 제외한 화력도 약해 설명대로 써먹긴 무리다. 그냥 초반에 AP좀 모은 다음에 뽑는 서프라이즈 용도.
* 이메인 마차
* 이메인 마차
보통 이멘 마하라고 불린다. AP 700치고는 수치상으로 높은 hp와 괴랄한 딜링을 자랑하지만 원거리 공격 하나만 달랑 있는 데 반해 거리는 상당히 한정되어 있기에 빈틈을 노린 공격에 취약하다. 다만 버그인지 가끔 깔아 뭉개는 근거리 공격을 하는데 이게 유닛을 가리기도 하고 발동이 안될 때 상당히 많은 편. 특수기가
<!-- 아직 모덴군에 맞게 수정 중이니 이해해 주세요. !-->


{{각주}}
* 아직 모덴군에 맞게 수정 중이니 이해해 주세요.
[[분류:메탈슬러그 디펜스|모덴군 유닛]]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