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갈리아4 티셔츠 사태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5번째 줄: 5번째 줄:


== 발단 ==
== 발단 ==
2016년 7월 7일 온라인 게임 [[클로저스]]의 신캐릭터 [[티나]]가 발표되었다. 해당 캐릭터의 성우는 [[김자연]]으로 지정되어 있었고, 시기상 녹음이 완료되어 게임 내 런칭만 기다리고 있었다. 런칭 이틀전인 7월 18일에 성우 트위터 계정에 티셔츠를 인증한 트윗이 올라왔고,{{ㅈ|[https://twitter.com/KNKNOKU/status/754982063258734593 "I don't need a hero. I need a friend." Star vs. the Forces of Evil EP08] [http://archive.is/zGfaC A]}} 인터넷을 발칵 뒤집어놓게 된다.
2016년 7월 7일 온라인 게임 [[클로저스]]의 신캐릭터 [[티나]]가 발표되었다. 해당 캐릭터의 성우는 [[김자연]]으로 지정되어 있었고, 시기상 녹음이 완료되어 게임 내 런칭만 기다리고 있었다. 런칭 이틀전인 7월 18일에 성우 트위터 계정에 티셔츠를 인증한 트윗이 올라왔고,{{ㅈ|[https://twitter.com/KNKNOKU/status/754982063258734593 "I don't need a hero. I need a friend." Star vs. the Forces of Evil EP08] [http://archive.is/zGfaC A]}} 인터넷을 발칵 뒤집어놓게 된다.  


해당 티셔츠는 페이스북 페이지 [https://www.facebook.com/mersgall4 메갈리아4]에서 [[텀블벅]] 모금을 진행한 [https://tumblbug.com/mersgall4 티셔츠]로, "GIRLS Do Not Need A PRINCE"(여자는 왕자님이 필요없다)라는 문구를 담은 심플한 티셔츠이다. 티셔츠를 받았다는 건 해당 프로젝트를 후원했다는 의미이다.
해당 티셔츠는 페이스북 페이지 [https://www.facebook.com/mersgall4 메갈리아4]에서 [[텀블벅]] 모금을 진행한 [https://tumblbug.com/mersgall4 티셔츠]로, "GIRLS Do Not Need A PRINCE"(여자는 왕자님이 필요없다)라는 문구를 담은 심플한 티셔츠이다. 티셔츠를 받았다는 건 해당 프로젝트를 후원했다는 의미이다.
85번째 줄: 85번째 줄:
== 쟁점 ==
== 쟁점 ==
=== 메갈리아4가 무엇인가 ===
=== 메갈리아4가 무엇인가 ===
"메갈리아4"는 페이스북에서 삭제된 페이지인 "메갈리아" (메갈리아1), "메갈리아2", "메갈리아3"를 이어가는 페이지로, 페미니즘 관련 이슈를 다루어 여성들의 관심 유도를 목표로 한다고 소개하고 있다. 이들은 '김치녀' 같은 여성혐오 페이지는 유지하면서 자신들을 포함한 다른 페미니즘 페이지가 삭제되는 것에 항의하기 위해 민사 소송을 기획했다. 해당 법률 자금 펀딩에서 목표치의 14배인 1억 3401만 7726원을 모금했고,<ref>[https://tumblbug.com/mersgall4 한 장의 페미니즘으로 세상과 맞서다], 텀블벅</ref> 페이스북 코리아와의 법적 싸움에 쓰고 남은 돈을 여성 차별 관련 사건의 법률 지원에 쓰겠다고 밝혔다.<ref>https://www.facebook.com/mersgall4/posts/1202069589828039</ref> 지지파 중 일부는 "메갈리아4라는 '페이스북 페이지'와 메갈리아라는 '웹사이트'는 다른데도 '좋아요'를 누르는 등의 정도로 혐오를 표출하냐"고 주장한다. 또한 [[메갈리아]]의 [[미러링]] 과정에서 혐오 표현에 문제의식을 가진 사람들이 빠져나와 만들어진 것이 '메갈리아4'라고 말하고 있다.
"메갈리아4"는 페이스북에서 삭제된 페이지인 "메갈리아" (메갈리아1), "메갈리아2", "메갈리아3"를 이어가는 페이지로, 페미니즘 관련 이슈를 다루어 여성들의 관심 유도를 목표로 한다고 소개하고 있다. 이들은 '김치녀' 같은 여성혐오 페이지는 유지하면서 자신들을 포함한 다른 페미니즘 페이지가 삭제되는 것에 항의하기 위해 민사 소송을 기획했다. 해당 법률 자금 펀딩에서 목표치의 14배인 1억 3401만 7726원을 모금했고,<ref>[https://tumblbug.com/mersgall4 한 장의 페미니즘으로 세상과 맞서다], 텀블벅</ref> 페이스북 코리아와의 법적 싸움에 쓰고 남은 돈을 여성 차별 관련 사건의 법률 지원에 쓰겠다고 밝혔다.<ref>https://www.facebook.com/mersgall4/posts/1202069589828039</ref> 지지파 중 일부는 "메갈리아4라는 '페이스북 페이지'와 메갈리아라는 '웹사이트'는 다른데도 '좋아요'를 누르는 등의 정도로 혐오를 표출하냐"고 주장한다. 또한 [[메갈리아]]의 [[미러링]] 과정에서 혐오 표현에 문제의식을 가진 사람들이 빠져나와 만들어진 것이 '메갈리아4'라고 말하고 있다.  


문제가 되는 부분은 '''그 '사건'의 범위에 [[메갈리아]] 활동<ref>명예훼손이나 허위사실유포, 음화반포, 아동 및 청소년 보호법 위반 ('좆린이 사건' 등)과 같은 혐의들을 포함한다.</ref>도 포함된다는 점, 판매자 측이 자신들의 돈으로 피해자뿐만 아니라 피의자 (물론 여성)도 법률 지원을 받을 것<ref>텀블벅 '메갈리아4 법률지원 사업 안내' 스크린샷, [http://web.humoruniv.com/board/humor/read.html?table=pds&number=614235 메갈4 티셔츠 수익금이 쓰이는 곳;;]에서 2차 인용</ref>이라고 밝힌 점, 메갈리아4 운영자가 메갈리아에서 활동중이라는 점'''<ref>운영자의 작성글 : [http://www.megalian.com/free/139152 #][http://archive.is/fILWO @], [http://www.megalian.com/project/25494 ##] [http://archive.is/VUMNj @]</ref>이다. 또 펀딩 금액의 1순위는 페이스북 코리아와의 민사 소송에 쓰이며 '모든' [[메갈리아]] 회원들을 지원한다고 밝힌 것이 아니며, 자금의 사용내역이 불투명하게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그 저의가 의심된다는 의견도 상당하다.
문제가 되는 부분은 '''그 '사건'의 범위에 [[메갈리아]] 활동<ref>명예훼손이나 허위사실유포, 음화반포, 아동 및 청소년 보호법 위반 ('좆린이 사건' 등)과 같은 혐의들을 포함한다.</ref>도 포함된다는 점, 판매자 측이 자신들의 돈으로 피해자뿐만 아니라 피의자 (물론 여성)도 법률 지원을 받을 것<ref>텀블벅 '메갈리아4 법률지원 사업 안내' 스크린샷, [http://web.humoruniv.com/board/humor/read.html?table=pds&number=614235 메갈4 티셔츠 수익금이 쓰이는 곳;;]에서 2차 인용</ref>이라고 밝힌 점, 메갈리아4 운영자가 메갈리아에서 활동중이라는 점'''<ref>운영자의 작성글 : [http://www.megalian.com/free/139152 #][http://archive.is/fILWO @], [http://www.megalian.com/project/25494 ##] [http://archive.is/VUMNj @]</ref>이다. 또 펀딩 금액의 1순위는 페이스북 코리아와의 민사 소송에 쓰이며 '모든' [[메갈리아]] 회원들을 지원한다고 밝힌 것이 아니며, 자금의 사용내역이 불투명하게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그 저의가 의심된다는 의견도 상당하다.
174번째 줄: 174번째 줄:


=== 나무위키 ===
=== 나무위키 ===
사관 이미지답게 많은 기록을 작성하고 있으며, 여성시대-메갈리아 계보와의 악연이 있는 만큼 그에 대한 반발성 편집이 빈발하고 있다.
사관 이미지답게 많은 기록을 작성하고 있으며, 여성시대-메갈리아 계보와의 악연이 있는 만큼 그에 대한 반발성 편집이 빈발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관련 옹호와 비판 의견을 남긴 유명인에 관해서 박제 및 목록화 시키고 있기 때문에 친메갈 측에선 이에 대해 나무위키의 주류-비주류의 싸움의 연장선에 불과하고, '''주류가 쪽수로 밀어붙인 상황'''으로 여기며, 나무위키의 문제점만 잔뜩 부각시켰기 때문에 이들은 살생부에 대한 신뢰성 및 공정성은 매우 낮다는 식으로 주장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관련 옹호와 비판 의견을 남긴 유명인에 관해서 박제 및 목록화 시키고 있기 때문에 친메갈 측에선 이에 대해 나무위키의 주류-비주류의 싸움의 연장선에 불과하고, '''주류가 쪽수로 밀어붙인 상황'''으로 여기며, 나무위키의 문제점만 잔뜩 부각시켰기 때문에 이들은 살생부에 대한 신뢰성 및 공정성은 매우 낮다는 식으로 주장하고 있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