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교역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새 철도역 정보
{{새 철도역 정보
|이름    = 매교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그림    = Q702256 Maegyo A01.JPG
|관할약칭 = KORAIL
|그림설명 =  
|역명    = 매교역
|그림alt  =  
|그림    = [[파일:Q702256 Maegyo A01.JPG]]
|역번호  = {{역번호/한국|K244|수도권|수인분당|ls=-0.05}}
|역코드  =
|주소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효원로]] 지하126
|주소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효원로]] 지하126
|번호    = {{역번호/한국|K244|수도권|수인분당|ls=-0.05}}
|노선    = [[분당선]] <small>51.4 km</small>
|관할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광역본부
|개업일  = [[2013년]] [[11월 30일]]
|개업일  = [[2013년]] [[11월 30일]]
|폐지일  =  
|폐지일  =
|코드     =  
|관할     = [[한국철도공사]]<br>수도권광역본부 [[죽전역 (용인)|죽전관리역]]
|승강장  = 2면 2선
|승강장  = 2면 2선
|관련역  =  
|운임구역 =
|참고     =  
|노선     = [[분당선]] <small>51.4 km</small>
|비고    =
|하위 틀  =
}}
}}
{{+1|{{PAGENAME}}}}<br />梅橋驛 / Maegyo Station


== 개요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효원로]] 지하 126에 위치한 지하역.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효원로]] 지하 126에 위치한 지하역.


== 시설 ==
== 역 구조 ==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승강장 번호=1번|승강장 정보='''수인·분당선''' [[수원역|수원]] · [[오이도역|오이도]] · [[인천역|인천]] 방면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오른쪽 승강장=1번 승강장|승강장 정보='''수인·분당선''' [[수원역|수원]] · [[오이도역|오이도]] · [[인천역|인천]] 방면  
}}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분당선]] [[수원역|수원]]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분당선]] [[수원역|수원]] →
33번째 줄: 30번째 줄: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 [[분당선]] [[수원시청역|수원시청]]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 [[분당선]] [[수원시청역|수원시청]]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승강장 번호=2번|승강장 정보='''수인·분당선''' [[죽전역 (용인)|죽전]] · [[서현역|서현]] · [[왕십리역|왕십리]] 방면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오른쪽 승강장=2번 승강장|승강장 정보='''수인·분당선''' [[죽전역 (용인)|죽전]] · [[서현역|서현]] · [[왕십리역|왕십리]] 방면
}}
}}
}}
}}


== 역사 ==
== 역사 ==
* 2013년 11월 30일: [[분당선]] [[망포역|망포]] ~ [[수원역|수원]] 구간 개통과 함께 개업
=== 연혁 ===
* [[2013년]] [[11월 30일]] : 영업 개시


== 주변 정보 ==
== 주변 정보 ==
45번째 줄: 43번째 줄:
== 논란 ==
== 논란 ==
* 이 역의 출입구 공사 때문에 80대 할머니가 홀로 사는 집이 무너지기 직전의 상황에 이르게 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벽에 금이 '쩍'…지하철역 공사에 민가 쑥대밭|url=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2164559&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저자=류란 기자|출판사=[[SBS]]|날짜=2014-01-02}}</ref> 더군다나 시공사인 동양건설산업은 부도가 나버렸고, 시행사인 철도시설공단은 할머니에게 원룸을 하나 구해주고는 방값조차 지급하지 않아, 할머니가 다시 집으로 돌아오게 만들었고, 공단으로 찾아온 할머니 및 기자 측에게 철도시설공단 담당자는 폭언을 퍼부었다. 전말은 [http://mnews.sbs.co.kr/news/endPage.do?serviceDt=20140104&newsId=N1002166713&gubun=95&plink=SEARCH&cooper=SBSAPPNEWSSEARCH 해당 기사] 참조.
* 이 역의 출입구 공사 때문에 80대 할머니가 홀로 사는 집이 무너지기 직전의 상황에 이르게 되었다.<ref>{{뉴스 인용|제목=벽에 금이 '쩍'…지하철역 공사에 민가 쑥대밭|url=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2164559&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저자=류란 기자|출판사=[[SBS]]|날짜=2014-01-02}}</ref> 더군다나 시공사인 동양건설산업은 부도가 나버렸고, 시행사인 철도시설공단은 할머니에게 원룸을 하나 구해주고는 방값조차 지급하지 않아, 할머니가 다시 집으로 돌아오게 만들었고, 공단으로 찾아온 할머니 및 기자 측에게 철도시설공단 담당자는 폭언을 퍼부었다. 전말은 [http://mnews.sbs.co.kr/news/endPage.do?serviceDt=20140104&newsId=N1002166713&gubun=95&plink=SEARCH&cooper=SBSAPPNEWSSEARCH 해당 기사] 참조.
* 매교역 출입구 공사의 후유증은 할머니에게서 끝나지 않았다. 한 언론사의 취재에 따르면, (개통으로부터 약 5개월이 지난) 2014년 4월 기준, 철도시설공단은 아직도 굴삭기 등 중장비 기사들에 대한 중장비 사용료 약 2억 1,000만원을 지급하지 않고 있다.<ref>[http://m.moneys.mt.co.kr/view.html?no=2014041106548065049&mtype=&msubtype=search# '서민 눈물'로 달리는 '시민의 발'],MoneyS, 2014.4.16.</ref> 또한, 인부들의 식대 금 1억 800만원 역시 미지급 상태이며,<ref>[http://m.moneys.mt.co.kr/view.html?no=2014040402138063796&mtype=&msubtype=search 철도공단, 서민 밥값마저 떼먹으려나], MoneyS, 2014.4.8.</ref> 공단의 부실시공 및 이에 따른 지반침체는 주민들의 안전마저 위협하고 있다.<ref>[http://m.moneys.mt.co.kr/view.html?no=2014041721408071167&mtype=&msubtype=search 갈라지고 내려앉고… "최악의 국책사업 될 것"], MoneyS, 2014.4.22.</ref> 2014.8.에 나온 후속 기사에 따르면, 철도공단은 대부분의 금액을 지급하였다.<ref>[http://m.moneys.mt.co.kr/view.html?no=2014080609228038396&mtype=&msubtype=search 철도공단, "시공사 부도로 발생한 매교역 공사 미불금 1차분 지급"], MoneyS, 2014.8.6.</ref>
* 매교역 출입구 공사의 후유증은 할머니에게서 끝나지 않았다. 한 언론사의 취재에 따르면, (개통으로부터 약 5개월이 지난) 2014년 4월 기준, 철도시설공단은 아직도 굴삭기 등 중장비 기사들에 대한 중장비 사용료 약 2억 1,000만원을 지급하지 않고 있다.<ref>[http://m.moneys.mt.co.kr/view.html?no=2014041106548065049&mtype=&msubtype=search# '서민 눈물'로 달리는 '시민의 발'],MoneyS, 2014.4.16.</ref> 또한, 인부들의 식대 금 1억 800만원 역시 미지급 상태이며,<ref>[http://m.moneys.mt.co.kr/view.html?no=2014040402138063796&mtype=&msubtype=search 철도공단, 서민 밥값마저 떼먹으려나], MoneyS, 2014.4.8.</ref> 공단의 부실시공 및 이에 따른 지반침체는 주민들의 안전마저 위협하고 있다.<ref>[http://m.moneys.mt.co.kr/view.html?no=2014041721408071167&mtype=&msubtype=search 갈라지고 내려앉고… "최악의 국책사업 될 것"], MoneyS, 2014.4.22.</ref> 2014.8.에 나온 후속 기사에 따르면, 철도공단은 대부분의 금액을 지급하였다.<ref>[http://m.moneys.mt.co.kr/view.html?no=2014080609228038396&mtype=&msubtype=search 철도공단, "시공사 부도로 발생한 매교역 공사 미불금 1차분 지급"], MoneyS, 2014.8.6.</ref>


== 경유 노선 ==
== 경유 노선 ==
{{경유 노선/열기}}
{{경유 노선/열기|닫기=닫음}}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노선명=318 [[분당선]]|노선거리=51.4 km
|노선명=318 [[분당선]]|노선거리=51.4 km
56번째 줄: 55번째 줄:
{{경유 노선/닫기}}
{{경유 노선/닫기}}


== 경유 열차 ==
=== 수도권 전철 ===
{{경유 계통/열기}}
{{경유 계통/열기}}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글자색=white|계통=[[수인·분당선]]}}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글자색=white|계통=[[수인·분당선]]}}
67번째 줄: 66번째 줄:


[[분류:분당선]]
[[분류:분당선]]
[[분류:경기도에 있는 철도시설]]
[[분류:수인·분당선]]
[[분류:수원시의 철도역]]
[[분류:죽전관리역]]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