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우선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철도 노선 정보
== 개요 ==
|이름    = 망우선
망우선 (忘憂線)[[서울특별시]] [[노원구]] [[월계동]][[광운대역]][[중랑구]]에 위치한 [[망우역]]을 잇는 [[대한민국]]의 4.9km 길이의 [[단선]] [[철도]] 노선이다.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KR}}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크기 =
|그림설명 =
|그림alt  =
|나라    = {{나라|대한민국}}
|종류    = [[일반철도]]([[지선철도|지선]])
|번호    = 20301
|구간    = [[망우역|망우]] ~ [[광운대역|광운대]]
|영업거리 = 4.9 km
|역수    = 2개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개통일  = [[1964년]] [[1월 11일]]
|폐지일  =
|경유노선 =
|차량기지 =
|궤간    = 1,435 mm ([[표준궤]])
|선로    = 1
|전기    = [[교류]] 25 kV, 60 Hz, [[가공전차선]]
|신호    = [[ATS]], [[ATP]]
|비고    =
}}
 
'''망우선'''은 최초에는 현 이문차량기지 자리에 있던 [[이문역]]의 대규모 석탄 하역장의 인입철도로 계획되었으며, 화물열차가 바로 고가식 하화선에 진입해 석탄을 쏟아내고 광운대역으로 빠져나가는 식으로 운영되었었다. 이후 석탄사용이 줄면서 석탄 하역장과 이문역은 폐기되고, 이 방대한 부지에 [[이문차량사업소]]를 건설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주중에만 1일 2회 수도권 전철 경춘선 전동차가 [[광운대역]]까지 운행하기 위해 쓰인다. 그런데, [[신이문역]]부터 [[광운대역]]까지는 [[경원선]]과 나란히 가지만, 공간 부족으로 승강장을 내지 못 하여 경춘선 전동차들이 광운대역에서 상봉역까지 무정차 통과하는 요인이 되었다.
 
[[상봉역]]이 광운대역과 망우역 사이에 위치하지만, 철도거리표에 등록되지 않았다.


== 역사 ==
== 역사 ==
* 1963년 8월 19일: 착공. 이듬해 1월 11일 전 구간을 완공시켰다.
[[1963년]] [[8월 19일]] 착공하여 이듬해 [[1월 11일]] 전 구간을 완공시켰다.
* 2013년 9월 23일: 망우선과 중앙선간의 선로높이 차이 해소를 위한 망우선 상봉역 ~ 중랑천교량 구간의 교량화 공사가 완료<ref name="brg">[http://kr.or.kr/boardCnts/view.do?m=040102&boardID=52&viewBoardID=52&boardSeq=18719&lev=0&statusYN=C&page=1 철도시설공단, 망우선 망우~광운대역간 종합시험운행 개시], 국가철도공단</ref>
* 2013년 9월 23일 ~ [[9월 26일]]: 망우선 종합시험운행<ref name="brg" />
* 2013년 11월 4일: [[수도권 전철 경춘선]] 전동차 4편성 광운대 연장 운행 ('''12시간 간격''')<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6575694 경춘선 전철, 출퇴근시간 4회 광운대역 연장운행], 연합뉴스, 이상학</ref>
* 2014년 7월 16일: 망우선 중화고가하부 철도부지에 만든 주차장과 공원을 개방<ref>[http://kr.or.kr/boardCnts/view.do?m=040102&boardID=52&viewBoardID=52&boardSeq=19919&lev=0&statusYN=C&page=1 철도부지에 만든 편의시설을 주민 품으로!], 국가철도공단</ref>
 
== 역 목록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
! 번호
! km
! 정거장
! 연계 노선
|-
! colspan="4" | [[경춘선]] 직결운행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춘}} [[수도권 전철 경춘선|경춘선]])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춘}}; color: white;" | K121
| style="text-align: right;" | 0.0
| [[망우역|망우]]
| style="text-align: left;" | [[경춘선]] (연결)<br />[[중앙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의중앙}} [[경의·중앙선]]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춘}}; color: white;" | K120
| style="text-align: right;" | -
| [[상봉역|상봉]]
| style="text-align: left;" | [[중앙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의중앙}} [[경의·중앙선]]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19
| style="text-align: right;" | 4.9
| [[광운대역|광운대]]
| style="text-align: left;" | [[경원선]] (연결):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
|}
 
----


== 이문역 ==
[[2013년]] [[11월 4일]]부터는 [[수도권 전철 경춘선]] 전동차가 하루 2왕복씩, 즉 '''12시간 간격'''으로 운행하게 되었다.
{{새 철도역 정보
|이름    = 이문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철도청}}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설명 =
|그림alt  =
|주소    =
|번호    =
|노선    = 망우선 <small>2.3 km</small>
|관할    = [[철도청]]
|개업일  = 1966년 11월 11일
|폐지일  = 2004년 7월 5일
|코드    =
|승강장  =
|관련역  =
|참고    =
|비고    =
|하위 틀  =
}}


'''이문역'''은 망우선에 있었던 폐지된 [[철도역]]으로, [[이문차량사업소]] 건설을 위해 폐지되었다.
== 특징 ==
[[경원선]]과 [[중앙선]]을 연결하는 [[삼각선]]의 특성 상 [[급커브]]가 곳곳에 산재하여 있고, 본래의 [[단선]] 형태를 [[복선]]화하기도 상당히 모호한 위치에 있다.


=== 이문역 역사 ===
또한, [[신이문역]]부터 [[광운대역]]까지는 [[경원선]]과 나란히 가게 되는데 선로 공간의 부족으로 승강장을 내지 못 하여 경춘선 전동차들이 광운대역에서 상봉역까지 무정차 통과하는 요인이 되었다.
* 1966년 11월 11일: 개업<ref>철도청고시 제288호</ref>
* 1971년 9월 10일: 민수용 무연탄 도착취급역으로 지정<ref>철도청고시 제37호</ref>
* 2004년 7월 5일: 폐지<ref>철도청고시 제2004-29호</ref>


=== 경유 노선 ===
== 같이 보기 ==
{{경유 노선/열기|열기=열음}}
* [[신이문역]]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철도청}}|글자색=white
* [[이문차량기지]]
|노선명=망우선|노선거리=4.9 km
|전방면=[[망우역|망우]] 방면|전역=[[망우역|망우]]|전거리=2.3 km
|당역='''이문'''
|후방면=[[성북역|성북]] 방면|후역=[[성북역|성북]]|후거리=2.6 km}}
{{경유 노선/닫기}}
{{-}}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