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시아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나라 정보
{{나라 정보
|나라이름    = 말레이시아
|나라 이름=말레이시아
|원어이름    = {{lang|ms|Malaysia}}
|다른 이름={{lang|ms|Malaysia}}
|존속연도    =
|국기 =Flag of Malaysia.svg
|국기       = Flag of Malaysia.svg
|표어=Bersekutu Bertambah Mutu
|국기설명    =  
|국가=나의 땅
|국장        = Coat of arms of Malaysia.svg
|지도_그림=Malaysia on the globe (Southeast Asia centered).svg
|국장설명    =
|수도=[[쿠알라룸푸르]] (공식)<br>[[푸트라자야]] (행정)
|지도        = Malaysia on the globe (Southeast Asia centered).svg
|공용어=[[말레이어]]
|지도설명    =
|정부 형태=[[연방제]], [[양원제]], [[의원내각제]] [[입헌군주국]]
|표어        = Bersekutu Bertambah Mutu
|지도자 직함1=양 디-프르투안 아공
|국가        = 나의 땅
|지도자 이름1=[[무하맛 5세 (말레이시아)|무하맛 5세]]
|수도       = [[쿠알라룸푸르]] (공식)<br />[[푸트라자야]] (행정)
|지도자 직함2=팀발란 양 디-프르투안 아공
|공용어     = [[말레이어]]
|지도자 이름2=[[나즈린 샤흐]]
|국어        =
|지도자 직함3=수상
|국교        = [[이슬람교]]
|지도자 이름3=[[나지브 라자크]]
|정부유형    = [[연방제]], [[양원제]], [[의원내각제]] [[입헌군주국]]
|지도자 직함4=부수상
|군주        =  
|지도자 이름4=[[아흐마드 자히드 하미디]]
|수반 직책  =  
|정부수립일=[[1957년]] [[8월 31일]]
|수반        =  
|면적=329,847
|부수반 직책 =  
|면적 순위=67
|부수반      =  
|인구어림년도=2015
|입법부      =  
|어림인구수=30,436,000
|인구        =  
|인구 순위=44
|인구밀도    =  
|인구밀도=77
|인구 연도  =  
|인구밀도 순위=115
|면적       = 329,847
|GDP PPP 년도=2012
|면적 연도  =  
|GDP PPP=5,067억$
|GDP PPP     =  
|GDP PPP 순위=29
|GDP PPP 1인 =  
|일인당 GDP PPP=16,922
|GDP         =  
|일인당 GDP PPP 순위=56
|GDP 1인    =  
|인간개발지수=0.769
|GDP 연도    =  
|HDI 순위=64
|화폐        =  
|HDI 조사년도=2012
|시간대     = MST
|통화=[[말레이시아 링깃|링깃]]
|ISO        = 458, MY, MYS
|통화기호=MYR
|국가도메인  = .my
|시간대=MST
|국제전화    = 60
|UTC 시차=UTC+8
|이전나라    =  
|접경국=[[태국]], [[인도네시아]], [[브루나이]]
|이후나라    =  
|일광절약시간=UTC+8
|비고        =  
|ISO1=458
|ISO2=MY
|ISO3=MYS
|국가도메인=[[.my]]
|국제전화번호=60&sup1;
}}
}}
'''말레이시아'''[[동남아시아]]에 위치한 [[나라]]다. 수도는 [[쿠알라룸푸르]]. 행정중심도시는 [[푸트라자야]].
'''말레이시아'''[[동남아시아]]에 위치한 [[나라]]다. 수도는 [[쿠알라룸푸르]]. 행정중심도시는 [[푸트라자야]].  
 
[[싱가포르]]<ref>직접 닿아있지는 않고 다리를 통해 연결된다.</ref>, [[인도네시아]], [[태국]], [[브루나이]]와 닿아있다.  
[[싱가포르]]<ref>직접 닿아있지는 않고 다리를 통해 연결된다.</ref>, [[인도네시아]], [[태국]], [[브루나이]]와 닿아있다.


== 개요 ==
== 개요 ==
면적은 약 33만㎢ 정도로 [[한반도]]보다 1.5배 가량 더 넓으며, 인구 숫자는 약 3,000만명 가량으로 [[대한민국]]보다도 더 적은 나라이다. 적도 근방에 있는 나라로 계절이 없이 일년 내내 덥고 비가 오는 열대우림 기후(Af)이다.
면적은 약 33만㎢ 정도로 [[한반도]]보다 1.5배 가량 더 넓으며, 인구 숫자는 약 3,000만명 가량으로 [[대한민국]]보다도 더 적은 나라이다. 적도 근방에 있는 나라로 계절이 없이 일년 내내 덥고 비가 오는 열대우림 기후(Af)이다.  


[[동남아시아]]에서 비교적 경제가 안정되어 있는 나라로 1인당 구매력 기준 GDP로 소국인 [[싱가포르]]와 [[브루나이]]를 제외하고 가장 높은 나라이다. 통화는 [[말레이시아 링깃]]을 사용한다.
[[동남아시아]]에서 비교적 경제가 안정되어 있는 나라로 1인당 구매력 기준 GDP로 소국인 [[싱가포르]]와 [[브루나이]]를 제외하고 가장 높은 나라이다. 통화는 [[말레이시아 링깃]]을 사용한다.
52번째 줄: 55번째 줄:
모두 13개의 주가 있는 [[연방|연방국가]]이며, 국교가 [[이슬람교]]인 이슬람 국가이다. 인구의 60% 가까이 차지하고 있는 말레이인들은 거의 다 이슬람교를 믿으며, 약 30% 가량을 차지하는 [[화교]]는 이슬람교 신자가 거의 없고 [[불교]]신자가 많은 편. 13개 주 중에서 9개 주는 [[술탄]]이 다스리며, 이 술탄이 돌아가면서 국가의 군주를 맡는 [[입헌군주국]]이다. [[내각제]]를 채택하고 있어 실질적으로는 [[총리]]가 국가의 정치 수반이며 국왕은 총리를 임명하는 의례적인 권한을 갖고 있으나 국가 전체를 통치하고 있지는 않다.
모두 13개의 주가 있는 [[연방|연방국가]]이며, 국교가 [[이슬람교]]인 이슬람 국가이다. 인구의 60% 가까이 차지하고 있는 말레이인들은 거의 다 이슬람교를 믿으며, 약 30% 가량을 차지하는 [[화교]]는 이슬람교 신자가 거의 없고 [[불교]]신자가 많은 편. 13개 주 중에서 9개 주는 [[술탄]]이 다스리며, 이 술탄이 돌아가면서 국가의 군주를 맡는 [[입헌군주국]]이다. [[내각제]]를 채택하고 있어 실질적으로는 [[총리]]가 국가의 정치 수반이며 국왕은 총리를 임명하는 의례적인 권한을 갖고 있으나 국가 전체를 통치하고 있지는 않다.


이슬람교를 국교로 하는 나라이나 [[영국]]의 식민지였기에 [[영미법]]에 기반한 법률 체계를 가지고 있다.
이슬람교를 국교로 하는 나라이나 [[영국]]의 식민지였기에 [[영미법]]에 기반한 법률 체계를 가지고 있다.    


==역사==
==역사==
61번째 줄: 64번째 줄:
[[제2차 세계 대전]] 도중에는 [[일본 제국]]이 일시적으로 점령했으나 일본의 패배 이후 영국이 다시 점령한다. 그러나 말레이인들의 강한 저항 속에 [[1957년]] 말레이시아 연방은 영국으로부터 독립하게 된다. 이후에 [[싱가포르]]와 [[브루나이]]는 말레이시아 연방에서 떨어져 나가 독립국가로 자리잡는다.
[[제2차 세계 대전]] 도중에는 [[일본 제국]]이 일시적으로 점령했으나 일본의 패배 이후 영국이 다시 점령한다. 그러나 말레이인들의 강한 저항 속에 [[1957년]] 말레이시아 연방은 영국으로부터 독립하게 된다. 이후에 [[싱가포르]]와 [[브루나이]]는 말레이시아 연방에서 떨어져 나가 독립국가로 자리잡는다.


말레이시아 독립을 이끌었던 초대 총리 [[압둘 라만]]은 [[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싱가포르]]와 같이 ASEAN을 만들고 말레이시아의 발전을 주도했으나 1969년 5월 13일 대폭동이 일어난 이후 계엄령을 선포하고 철권통치를 하는 등 독재자가 되었다. 그러나 국민들의 반말로 1년만에 사퇴하였고 부총리였던 압둘 라자크 후세인이 충리가 되었다. 이후 압둘 라자크 총리는 통일말레이국민조직(UMNO)이라는 정당을 이끌면서 일당 독재체제를 확고히 구축하였고, 말레이인 우대 정책을 앞세워 중국계를 차별대우하였다. 그러나 1976년에 급서하면서 부총리 후세인 온이 정권을 이양받았다.
말레이시아 독립을 이끌었던 초대 총리 [[압둘 라만]]은 [[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싱가포르]]와 같이 ASEAN을 만들고 말레이시아의 발전을 주도했으나 1969년 5월 13일 대폭동이 일어난 이후 계엄령을 선포하고 철권통치를 하는 등 독재자가 되었다. 그러나 국민들의 반말로 1년만에 사퇴하였고 부총리였던 압둘 라자크 후세인이 충리가 되었다. 이후 압둘 라자크 총리는 통일말레이국민조직(UMNO)이라는 정당을 이끌면서 일당 독재체제를 확고히 구축하였고, 말레이인 우대 정책을 앞세워 중국계를 차별대우하였다. 그러나 1976년에 급서하면서 부총리 후세인 온이 정권을 이양받았다.  


후세인 온은 5년 후 1981년에 사임하였고, 곧 마하티르 모하마드가 총리에 올랐다. 모하마드는 한편으로는 일본과 한국으로부터 경제 발전을 배우자는 향동학습정책(向東學習政策, Look East Policy)을 펼치면서 말레이사이 산업화를 이끌고, 말레이인들에 정치적 감시를 완화하는 일을 하면서 수도인 쿠알라룸프르의 과밀화를 막기 위해 행정 수도인 푸트라자야를 건설하는 등 말레이시아의 발전에 힘을 썼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부정선거를 자행하기도 하는 등 자신과 집권정당인 UMNO의 장기집권체제를 구축하고, 중국계의 정치적 자유를 억압하는 일도 하였다. 마하티르 모하마드는 22년간 장기집권하다가  2003년 10월에 22년만에 퇴임하였다.
후세인 온은 5년 후 1981년에 사임하였고, 곧 마하티르 모하마드가 총리에 올랐다. 모하마드는 한편으로는 일본과 한국으로부터 경제 발전을 배우자는 향동학습정책(向東學習政策, Look East Policy)을 펼치면서 말레이사이 산업화를 이끌고, 말레이인들에 정치적 감시를 완화하는 일을 하면서 수도인 쿠알라룸프르의 과밀화를 막기 위해 행정 수도인 푸트라자야를 건설하는 등 말레이시아의 발전에 힘을 썼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부정선거를 자행하기도 하는 등 자신과 집권정당인 UMNO의 장기집권체제를 구축하고, 중국계의 정치적 자유를 억압하는 일도 하였다. 마하티르 모하마드는 22년간 장기집권하다가  2003년 10월에 22년만에 퇴임하였다.  


이후 2003년에 압둘라 바다위가 총리로 임명되었고, 말레이인 우선 정책인 부미푸트라 정책을 완화하기도 하였으나 2008년 집권여당이 야권에 총선에서 패배하게 되자 의회를 해산하였다. 2009년 UMNO의 새로운 지도자가 된 나집 라자크(2대 총리 압둘 라자크 총리의 아들)은 다시 부미푸트라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이후 2003년에 압둘라 바다위가 총리로 임명되었고, 말레이인 우선 정책인 부미푸트라 정책을 완화하기도 하였으나 2008년 집권여당이 야권에 총선에서 패배하게 되자 의회를 해산하였다. 2009년 UMNO의 새로운 지도자가 된 나집 라자크(2대 총리 압둘 라자크 총리의 아들)은 다시 부미푸트라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역사를 보면 알겠지만 집권당인 통일말레이국민조직(UMNO)이 [[일본]] [[자민당 (일본)|자민당]] 못지않은 일당 독주체제를 구축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역사를 보면 알겠지만 집권당인 통일말레이국민조직(UMNO)이 [[일본]] [[자민당 (일본)|자민당]] 못지않은 일당 독주체제를 구축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문화==
==문화==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2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