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인크래프트/모드/FTB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 개요 ==
{{정보상자|
{{정보상자|
| 큰제목 = Feed The Beast(FTB)
| title = Feed The Beast(FTB)
| 그림 = [[파일:FTB logo.png]]
| image = [[파일:FTB logo.png]]
| 주제1 = URL
| label1 = URL
| 내용1 = [http://www.feed-the-beast.com/ 공식홈페이지] [http://forum.feed-the-beast.com/ 포럼]
| data1 = [http://www.feed-the-beast.com/ 공식홈페이지] [http://forum.feed-the-beast.com/ 포럼]
| 항목2 = 활동버전
| label2 = 활동버전
| 내용2 = 1.2.5~1.7.10
| data2 = 1.2.5~1.7.10
| 항목3 = 활동 분야
| label3 = 활동 분야
| 내용3 = 마인크래프트 모드팩 제작, 포지 개발, 맵제작, 모드잼 개최 등
| data3 = 마인크래프트 모드팩 제작, 포지 개발, 맵제작, 모드잼 개최 등
}}
}}


18번째 줄: 19번째 줄:
=== 공인된 모드팩 ===
=== 공인된 모드팩 ===
FTB 팀과 FTB 유저들이 FTB런처에 있는 모드팩들을 소개하면서 가장 강조하는 부분 중 하나가 바로 '''FTB는 공인된 모드팩'''이라는 점이다.
FTB 팀과 FTB 유저들이 FTB런처에 있는 모드팩들을 소개하면서 가장 강조하는 부분 중 하나가 바로 '''FTB는 공인된 모드팩'''이라는 점이다.
즉, FTB 팀의 모드팩들은 모드개발자의 허락을 받는 모드들만 자신의 모드팩에 넣는다는 소리인데, 여기에는 재미있는 사실이 하나 존재한다.  웬만한 유명 모드개발자들은 대부분 FTB팀 소속<ref> MCP(마인크래프트 코더팩)의 개발자인 Searge(현재는 마인크래프트의 개발자중 한명이다), Forge(포지)개발자 Lexmanos,cpw , 포지에서 광물사전(오어 딕셔너리)를 만든 Eloraam등이 대표적이다.</ref>이기 때문에 자신들의 모드들을 자신의 팀에 포함시키는 것과 다름 없다.
즉, FTB 팀의 모드팩들은 모드개발자의 허락을 받는 모드들만 자신의 모드팩에 넣는다는 소리인데, 여기에는 재미있는 사실이 하나 존재한다.  왠만한 유명 모드개발자들은 대부분 FTB팀 소속<ref> MCP(마인크래프트 코더팩)의 개발자인 Searge(현재는 마인크래프트의 개발자중 한명이다), Forge(포지)개발자 Lexmanos,cpw , 포지에서 광물사전(오어 딕셔너리)를 만든 Eloraam등이 대표적이다.</ref>이기 때문에 자신들의 모드들을 자신의 팀에 포함시키는 것과 다름 없다.
또한, FTB 팀은 모드 영입에 꽤나 개방적이어서 FTB 팀 소속이 아닌 다른 개발자들의 모드들도 FTB모드팩에 많이 들어오고 있어서 앞으로도 많은 수의 모드가 FTB 모드팩에 추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FTB 팀은 모드 영입에 꽤나 개방적이어서 FTB 팀 소속이 아닌 다른 개발자들의 모드들도 FTB모드팩에 많이 들어오고 있어서 앞으로도 많은 수의 모드가 FTB 모드팩에 추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포지크래프트(ForgeCraft) ===
=== 포지크래프트(ForgeCraft) ===
모드 관련 영상을 찍는 FTB 팀 소속의 유명 유투버인 Direwolf20가 업로드하는 영상이며{{ㅈ|다른 ForgeCraft유저들도 업로드 하기도 한다.}}, FTB 팀에서 운영하는 비공개 서버이다. 이 포지크래프트는 FTB 소속 팀원, 개발자들이 플레이하는 데다가 FTB 모드팩에 있는 모드들의 클로즈 베타가 이 포지크래프트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폐쇄적이다. 그렇다 보니 현재 마인크래프트 버전에 업데이트가 되지 않은 모드나 현재 버전에는 존재하지 않는 기능들을 선보일 때가 있다. 물론, 해당 아이템에 대한 기능 설명은 대부분 Direwolf20가 한다. 포지크래프트에는 "Where Bugs come to die"("버그가 죽으러 오는 곳")라는 우스갯소리도 나오는데, 포지가 다음 마인크래프트 버전으로 업데이트될 때마다 포지크래프트는 리셋을 하게 된다.<ref> 중간에 리셋할 때도 존재하긴 한다</ref> 그 때 업데이트된 모드들을 모두 포지크래프트에서 실험을 하다보니까 서버가 박살나는 것도 흔한 일이라고<ref>1.4.7시절 포지크래프트에서는 하루에 서버를 14번 초기화했다고 전해진다.</ref> 그렇게 이곳에서 버그를 찾고 수정하거나 타 모드간의 호환성 등을 감안해 출시하게 된다. 2015년 08월 20일부터 포지크래프트가 배포되기 시작했다.[http://minecraft.curseforge.com/modpacks/233579-forgecraft-the-modpack #] 다만 여러 가지 버그가 있을 수도 있으니 주의
모드 관련 영상을 찍는 FTB 팀 소속의 유명 유투버인 Direwolf20가 업로드하는 영상이며{{ㅈ|다른 ForgeCraft유저들도 업로드 하기도 한다.}}, FTB 팀에서 운영하는 비공개 서버이다. 이 포지크래프트는 FTB 소속 팀원, 개발자들이 플레이하는 데다가 FTB 모드팩에 있는 모드들의 클로즈 베타가 이 포지크래프트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폐쇄적이다. 그렇다 보니 현재 마인크래프트 버전에 업데이트가 되지 않은 모드나 현재 버전에는 존재하지 않는 기능들을 선보일 때가 있다. 물론, 해당 아이템에 대한 기능 설명은 대부분 Direwolf20가 한다. 포지크래프트에는 "Where Bugs come to die"("버그가 죽으러 오는 곳")라는 우스갯소리도 나오는데, 포지가 다음 마인크래프트 버전으로 업데이트될 때마다 포지크래프트는 리셋을 하게 된다.<ref> 중간에 리셋할 때도 존재하긴 한다</ref> 그 때 업데이트된 모드들을 모두 포지크래프트에서 실험을 하다보니까 서버가 박살나는 것도 흔한 일이라고<ref>1.4.7시절 포지크래프트에서는 하루에 서버를 14번 초기화했다고 전해진다.</ref> 그렇게 이곳에서 버그를 찾고 수정하거나 타 모드간의 호환성 등을 감안해 출시하게 된다. 2015년 08월 20일부터 포지크래프트가 배포되기 시작했다.[http://minecraft.curseforge.com/modpacks/233579-forgecraft-the-modpack #] 다만 여러가지 버그가 있을 수도 있으니 주의


=== CurseVoice와의 연계 ===
=== CurseVoice와의 연계 ===
마인크래프트 포럼을 운영하고 있는 Curse<ref> 스카이림이나 리그오브레전드 같은 게임도 있긴하다</ref>에서 CurseVoice라는 런처를 현재 베타버전으로  공개했는데 그 중 마인크래프트 항목에서는 FTB팀의 모드팩을 추가할 수 도 있다. 기존 FTB런처에서는 불가능했던 마인크래프트 포지의 버전을 바꿀 수 있다는 점<ref> 정확히 CurseVoice가 마인크래프트 바닐라 런처와 중계해주는 역할을 하기때문에 기존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포지가 사용가능하다.</ref>에서 많은 매력을 가지고 있다.
마인크래프트 포럼을 운영하고 있는 Curse<ref> 스카이림이나 리그오브레전드 같은 게임도 있긴하다</ref>에서 CurseVoice라는 런처를 현재 베타버전으로  공개했는데 그 중 마인크래프트 항목에서는 FTB팀의 모드팩을 추가할 수 도 있다. 기존 FTB런처에서는 불가능했던 마인크래프트 포지의 버전을 바꿀 수 있다는 점<ref> 정확히 CurseVoice가 마인크래프트 바닐라 런처와 중계해주는 역할을 하기때문에 기존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포지가 사용가능하다.</ref>에서 많은 매력을 가지고 있다.


== FTB 팀의 문제점 ==
== FTB 팀의 문제점 ==
58번째 줄: 60번째 줄:
* Departed (1.7.10) : 모든 월드가 테인트인곳에서 살아남는 HQM식 모드팩
* Departed (1.7.10) : 모든 월드가 테인트인곳에서 살아남는 HQM식 모드팩
* 인피니티(Infinity) (1.7.10)
* 인피니티(Infinity) (1.7.10)
* 메이지 퀘스트(Mage Quest) (1.7.10) : 뱀파이어와 인간으로 나뉘어서 싸우는 HQM식 모드팩
* 메이지 퀘스트(Mage Quest) (1.7.10) : 뱀파이어와 인간으로 나뉘어져서 싸우는 HQM식 모드팩
* 트라이던트(Trident) (1.7.10) : 모드PVP용 모드팩으로 밀리터리에 관련된 모드가 많다.
* 트라이던트(Trident) (1.7.10) : 모드PVP용 모드팩으로 밀리터리에 관련된 모드가 많다.
* 바닐라플러스(Vanilla +) (1.7.10)
* 바닐라플러스(Vanilla +) (1.7.10)
87번째 줄: 89번째 줄:
== MODJAM / JAMPACK ==
== MODJAM / JAMPACK ==
=== 모드잼(MODJAM) ===
=== 모드잼(MODJAM) ===
{{참고|마인크래프트/모드#모드잼(MODJAM)}}
모드잼은 FTB팀에서 개최하는 대회이다. 자세한 사항은 [[마인크래프트/모드#모드잼(MODJAM) | 항목]] 참고
모드잼은 FTB팀에서 개최하는 대회이다.
 
== 더보기 ==
{{마인크래프트}}


{{주석}}
{{주석}}
{{마인크래프트}}
[[분류:마인크래프트]]
[[분류:마인크래프트|/]]
[[분류:모드]]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