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역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뜻|마산역 (김포)||[[김포골드라인]]의 역}}
{{새 철도역 정보
{{새 철도역 정보
|이름    = 마산
|배경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
|원어이름 =
|글자색 = white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상단 =
|글자색   = white
|역명 = KORAIL 마산역
|그림     = Korail Masan station 20121215.jpg
|그림 = [[파일:Korail Masan station 20121215.jpg|thumb|center|역사]]
|그림설명 =  
|역번호 =  
|그림alt  =  
|역등급 = 관리역 (1급)
|주소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마산역광장로]] 18
|역코드 = 59
|번호    =  
|주소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마산역광장로]] 18
|노선    = [[경전선]] <small>42.1 km</small><br />{{|[[마산항제1부두선|마산임항선]] <small>0.0 km</small>}}
|개업일 = [[1905년]] [[4월 1일]]
|관할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폐지일 = [[2012년]] [[1월 26일]]{{-1|([[마산항제1부두선|마산임항선]])}}
|개업일  = [[1905년]] [[4월 1일]]
|관할 = [[한국철도공사]] (KORAIL)
|폐지일  =  
|승강장 = 3면 6선
|코드    = 59
|운임구역 =  
|승강장  = 3면 6선
|이용객 =
|관련역  =
|노선 = <nowiki></nowiki>
|참고    =
* [[경전선|경전본선]] <small>42.1 km</small>
|비고    =
* {{ㅊ|[[마산항제1부두선|마산임항선]] <small>0.0 km</small>}}
|하위 틀  =
}}
}}
 
<big>馬山驛 / Masan Station</big>
== 개요 ==
[[경전선]]의 철도역.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마산역광장로]] 18에 위치한다. 등급은 1급 [[관리역]].
[[경전선]]의 철도역.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마산역광장로]] 18에 위치한다. 등급은 1급 [[관리역]].


삼랑진 ~ 순천까지 이어지는 동부 경전선에서 운전 정리를 제대로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역이다. [[2015년]] 기준으로 전 열차 필수 정차역이며, [[동대구역]]을 거쳐 경전선으로 들어오는 [[KTX]]와 [[무궁화호]] 절반 정도가 마산역에서 시종착한다. [[새마을호]]는 [[2012년]]부터 진주까지 연장되었다. [[남도해양관광열차]] 1왕복이 정차한다.
삼랑진 ~ 순천까지 이어지는 동부 경전선에서 운전 정리를 제대로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역이다. [[2015년]] 기준으로 전 열차 필수 정차역이며, [[동대구역]]을 거쳐 경전선으로 들어오는 [[KTX]]와 [[무궁화호]] 절반 정도가 마산역에서 시종착한다. [[새마을호]]는 [[2012년]]부터 진주까지 연장되었다. [[남도해양관광열차]] 1왕복이 정차한다.


== 시설 ==
== 구조 ==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선로
|왼쪽 선로 정보=|오른쪽 선로 정보=[[경전선]] [[창원역|창원]]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승강장 번호=6번<br />5번|승강장 정보='''ITX-새마을·무궁화호''' [[서울역|서울]] · [[대구역|대구]] · [[밀양역|밀양]] · [[부전역|부전]] · [[삼랑진역|삼랑진]] 방면<br />'''KTX''' [[서울역|서울]] · [[대전역|대전]] · [[동대구역|동대구]] 방면
}}
{{철도승강장/선로
|왼쪽 선로 정보=|오른쪽 선로 정보=[[경전선]] [[창원역|창원]] →
}}
{{철도승강장/선로
|왼쪽 선로 정보=← [[경전선]] [[중리역|중리]]|오른쪽 선로 정보=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승강장 번호=4번<br />3번|승강장 정보='''KTX''' [[진주역|진주]] 방면<br /> '''ITX-새마을·무궁화호''' [[진주역|진주]] · [[순천역|순천]] · [[서광주역|서광주]] · [[목포역|목포]] 방면
}}
{{철도승강장/선로
|왼쪽 선로 정보=← [[경전선]] [[중리역|중리]]|오른쪽 선로 정보=
}}
{{철도승강장/선로
|왼쪽 선로 정보=|오른쪽 선로 정보=[[경전선]] [[창원역|창원]]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 }}
|승강장 번호=2번<br />1번|승강장 정보='''''KTX-이음 · 경전선''' [[부전역|부전]] · [[사상역|사상]] 방면''
(예정)
}}
{{철도승강장/선로
|왼쪽 선로 정보=|오른쪽 선로 정보=[[경전선]] [[창원역|창원]] →
}}
}}
 
[[파일:Korail Masan station 20170103.jpg|thumb|상행 승강장]]
[[파일:Korail Masan station 20170103.jpg|thumb|상행 승강장]]
[[파일:Korail Masan station 20160914.jpg|thumb|하행 승강장]]
[[파일:Korail Masan station 20160914.jpg|thumb|하행 승강장]]
[[2010년]] [[KTX]] 개통과 함께 완공된 3면 6선의 승강장과 [[유리궁전]] 선상역사는 전형적인 현대 코레일의 역무 시설 스타일을 보여주고 있다. 지붕의 아치 곡선은 [[마산항|마산만]]의 바다를 상징한다. 원래 3면 4선의 배선으로 2면 4선에 1번 선로를 공유하는 바로타 승강장이 있었다. 역사 개축 과정에서 바로타 승강장은 삭제되었고, 1·2번 홈을 고상홈으로 변경하고, 5·6번 저상홈을 신설하여 3면 6선의 구조가 되었다.
[[2010년]] [[KTX]] 개통과 함께 완공된 3면 6선의 승강장과 [[유리궁전]] 선상역사는 전형적인 현대 코레일의 역무 시설 스타일을 보여주고 있다. 지붕의 아치 곡선은 [[마산항|마산만]]의 바다를 상징한다.
 
3면의 승강장 중 전철 승강장인 1·2번 승강장을 제외한 나머지 2면에서 여객열차를 정리하고 있다. 여객열차 승강장만 보면 본선과 부본선이 있는 쌍섬식 승강장으로, 형식적으로는 본선이 [[KTX]] 승강장, 부본선이 [[ITX-새마을]]·[[무궁화호]] 승강장이다.


다만 실제 운용에서는 크게 개의치 않는 부분이며, 완급결합 운용을 안하기 때문에 등급 상관없이 부본선에 당역발착을 정리하고, 본선에서 진행열차 정차를 처리하며 진행열차가 없는 시간대에는 당역발착을 본선에 세워두기도 한다. 진주 방면으로 인상선이 있기 때문에 종착 열차를 시발선으로 밀어넣고 바로 출발시키는 속칭 오리카에시는 드문 편이다.
3면의 승강장 중 전철 승강장인 1·2번 승강장을 제외한 나머지 2면에서 여객열차를 정리하고 있다. 여객열차 승강장만 보면 본선과 부본선이 있는 쌍섬식 승강장으로, 형식적으로는 본선이 [[KTX]] 승강장, 부본선이 [[ITX-새마을]]·[[무궁화호]] 승강장이다. 다만 실제 운용에서는 크게 개의치 않는 부분이며, 등급 상관없이 부본선에서 당역발착 대기, 본선에서 진행열차 정차를 처리하며 진행열차가 없는 시간대에는 당역발착을 본선에 세워두기도 한다.


3면의 승강장 중 역사에 제일 가까운 1면은 [[부전마산선]] 대응을 위해 선상역사를 올리는 과정에서 함께 지어진 섬식 승강장으로, 발차마다 하본선을 가로지르는 평면교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경전선 광역전철의 추가 연장 떡밥이 나올 때마다 문제를 잠재우는 역할을 하고 있다. 전철이 개통하지 않아 격벽으로 승강장 입구를 봉인해 놨다.
3면의 승강장 중 역사에 제일 가까운 1면은 [[동남권 전철 경전선]] 대응을 위해 선상역사를 올리는 과정에서 함께 지어진 섬식 승강장으로, 열차가 출입할 때마다 본선을 가로지르는 평면교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경전선 광역전철의 추가 연장 떡밥이 나올 때 마다 문제를 잠재우는 역할을 하고 있다. 전철이 개통하지 않아 격벽으로 승강장 입구를 봉인해 놨다.


광역전철 승강장으로 들어가는 1번선을 따라가보면 진주 방향에 오래된 콘크리트 고상 승강장이 하나 서있는 데, 해당 부분은 과거 [[철도 소화물]]을 취급했던 흔적이다. 현재는 소화물 사업이 폐지되어 건물은 민간에 대여하고 부지는 직원 주차장 등으로 활용하고 있다. 더 따라가보면 ITX-청춘 같이 보이는 구조물이 있는 데, 해당 구조물은 직업체험공간으로 역사관 및 모의운전장치 등이 있다.
광역전철 승강장으로 들어가는 1번선을 따라가보면 진주 방향에 오래된 콘크리트 고상 승강장이 하나 서있는 데, 해당 부분은 과거 [[철도 소화물]]을 취급했던 흔적이다. 현재는 소화물 사업이 폐지되어 건물은 민간에 대여하고 부지는 직원 주차장 등으로 활용하고 있다. 더 따라가보면 ITX-청춘 같이 보이는 구조물이 있는 데, 해당 구조물은 직업체험공간으로 역사관 및 모의운전장치 등이 있다.
{| class="wikitable"
|+ ↑ 역사 방향 (남쪽)
|- style="opacity:0.6;"
! style=" background-color: #eeeeee;" | 1·2
| style="text-align: center;" | 207 [[경전선|경전본선]] 종착
| style="text-align: center;" | [[동남권 전철 경전선]]
| [[장유역|장유]]·[[부전역|부전]] 방면
|-
!  | 3·4
|  style="text-align: center;" | 207 [[경전선|경전본선]] 하행
| [[KTX]]·[[ITX-새마을]]·[[무궁화호]]
| [[진주역|진주]]·[[순천역|순천]]·[[목포역|목포]] 방면
|-
! 5·6
|  style="text-align: center;" | 207 [[경전선|경전본선]] 상행
| [[KTX]]·[[ITX-새마을]]·[[무궁화호]]
| [[삼랑진역|삼랑진]]·[[부전역|부전]]·[[밀양역|밀양]]·[[동대구역|동대구]]·[[서울역|서울]] 방면
|}


== 주변 정보 ==
== 주변 정보 ==
83번째 줄: 67번째 줄:
해방 이후에도 한동안 운행 형태가 유지되었으나 마산 시민의 민원과 비효율성으로 [[철도청]]에서 이설을 결정했다. [[1977년]], 마산역은 현재의 위치에 오게 되고, 기존 노선에서 마산선 부분은 [[3.15대로]]<ref>더 정확히 말하면 서성로(마산지검 사거리 ~ 서성광장) + 3.15대로(서성광장 ~ 경남전자고 사거리) + 회원동로(전 구간) + 3.15대로(회원동로 합류부 ~ 합성동 롯데캐슬 부근)이다. 월영광장 ~ 서성광장 구간은 별도의 도로였다.</ref>로 남아 있고, 진주로 가는 방향은 지금의 [[마산항제1부두선]]으로 남아 화물 노선으로 쓰이다 [[2012년]]에 폐선되어 공원이 되었다.
해방 이후에도 한동안 운행 형태가 유지되었으나 마산 시민의 민원과 비효율성으로 [[철도청]]에서 이설을 결정했다. [[1977년]], 마산역은 현재의 위치에 오게 되고, 기존 노선에서 마산선 부분은 [[3.15대로]]<ref>더 정확히 말하면 서성로(마산지검 사거리 ~ 서성광장) + 3.15대로(서성광장 ~ 경남전자고 사거리) + 회원동로(전 구간) + 3.15대로(회원동로 합류부 ~ 합성동 롯데캐슬 부근)이다. 월영광장 ~ 서성광장 구간은 별도의 도로였다.</ref>로 남아 있고, 진주로 가는 방향은 지금의 [[마산항제1부두선]]으로 남아 화물 노선으로 쓰이다 [[2012년]]에 폐선되어 공원이 되었다.


[[2010년]] 삼랑진 ~ 마산 복선전철 개량과 함께 KTX가 개통되었고, [[2012년]] 마산 ~ 진주 복선전철 개량이 완공되면서 일부 열차편이 [[진주역]]까지 연장되었다. 이 과정에서 광역전철용 고상 플랫폼이 1-2번 타는 곳에 설치되었다. [[2020년]] 완공을 목표로 [[부전마산선]] 신설이 진행중이다.
[[2010년]] 삼랑진 ~ 마산 복선전철 개량과 함께 KTX가 개통되었고, [[2012년]] 마산 ~ 진주 복선전철 개량이 완공되면서 일부 열차편이 [[진주역]]까지 연장되었다. 이 과정에서 광역전철용 고상 플랫폼이 1-2번 타는 곳에 설치되었다. [[2020년]] 완공을 목표로 [[부전마산선]] 신설이 진행중이며, 완공되면 [[동해남부선]] 광역전철과 직결할 계획이다.


역 지위의 경우 철도청 시절에는 부산역 휘하 보통역이었으나 공사화 과정에서 경남지사 그룹대표역으로 지정되었으며, 부산경남본부로 통합되면서 평범한 [[관리역]]이 되었다
역 지위의 경우 철도청 시절에는 부산역 휘하 보통역이었으나 공사화 과정에서 경남지사 그룹대표역으로 지정되었으며, 부산경남본부로 통합되면서 평범한 [[관리역]]이 되었다


== 경유 노선 ==
== 경유 노선 ==
{{경유 노선/열기}}
{{경유 노선/열기|닫기=닫음|style=width: 45em;}}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경유 노선|배경색={{한국 철도 노선색2|KR}}|글자색=white
|노선명=307 [[경전선]]|노선거리=42.1 km
|노선폭=9em|노선명=207 경전본선|노선링크=경전선|노선거리=42.1 km
|전방면=[[삼랑진역|삼랑진]] 방면|전역=[[창원역|창원]]|전거리=3.6 km
|전역폭=12em||전방면=[[삼랑진역|삼랑진]] 방면|전역=[[창원역|창원]]|전거리=3.6 km
|당역='''마산'''
|당역폭=8em|당역='''마산'''
|후방면=[[광주송정역|광주송정]] 방면|후역=[[중리역|중리]]|후거리=6.6 km}}
|후역폭=12em|후방면=[[광주송정역|광주송정]] 방면|후역=[[중리역|중리]]|후거리=6.6 km}}
{{경유 노선/닫기}}
{{경유 노선/닫기}}
 
=== 경유 열차 ===
== 경유 열차 ==
{{경유 열차 목록/한국/열기}}
{{경유 열차 목록
{{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한국고속철도{{!}}KTX]]}}
|전체목록 =
{{경유 열차 목록/한국/KTX/경전선|표시=표시}}
{{경유 열차 목록/종류
{{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ITX-새마을]]}}
|열차종류 = [[KTX]]
{{경유 열차 목록/한국/ITX-새마을/경전선|표시=표시}}
|세로수  = 1
{{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무궁화호]]|4}}
|노선    =
{{경유 열차 목록/한국/무궁화호/서울-진주|표시=표시|계통칸=3}}
  {{경유 열차 목록/KTX 경전선}}
{{경유 열차 목록/한국/무궁화호/동대구-진주}}
}}
{{경유 열차 목록/한국/무궁화호/부전-목포}}
{{경유 열차 목록/종류
{{경유 열차 목록/한국/무궁화호/포항-순천|표시=표시|}}
|열차종류 = [[SRT]]
{{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S-Train]]|1|}}
|세로수  = 1
{{경유 열차 목록/한국/S-Train 경전선|표시=표시}}
|노선    =
{{경유 열차 목록/한국/닫기}}
  {{경유 열차 목록/SRT 경전선}}
== 승하차량 ==
}}
<div style="overflow:auto;">
{{경유 열차 목록/종류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margin: 0 auto;width: 450px"
|열차종류 = [[ITX|ITX-새마을]]
|-
|세로수  = 1
| colspan="9" style="color: WHITE; background:{{한국 철도 노선색2|KR}};" | 마산역
|노선    =  
|-
  {{경유 열차 목록/ITX-새마을 경전선}}
!rowspan="2" data-sort-type="number" |연도
}}
!colspan=2 |전체
{{경유 열차 목록/종류
!colspan=2 style="color: WHITE; background:{{한국 철도 노선색2|KR}};" | KTX
|열차종류 = [[무궁화호]]
!colspan=2 style="color: WHITE; background:{{한국 철도 노선색2|KR|ITXS}};" | ITX-새마을
|세로수  = 2
!colspan=2 style="color: WHITE; background:#F55839;" | 무궁화
|노선    =
|-
  {{경유 열차 목록/무궁화호 경전선 동대구}}
! 승차량
  {{경유 열차 목록/무궁화호 경전선}}
! 하차량
}}
! style="color: WHITE; background:{{한국 철도 노선색2|KR}};" | 승차량
{{경유 열차 목록/종류
! style="color: WHITE; background:{{한국 철도 노선색2|KR}};" | 하차량
|열차종류 = [[남도해양열차]]
! style="color: WHITE; background:{{한국 철도 노선색2|KR|ITXS}};" | 승차량
|세로수  = 1
! style="color: WHITE; background:{{한국 철도 노선색2|KR|ITXS}};" | 하차량
|노선    =  
! style="color: WHITE; background:#F55839;" | 승차량
  {{경유 열차 목록/남도해양열차 경전선}}
! style="color: WHITE; background:#F55839;" | 하차량
}}
|-
}}
|'''2017'''
 
| 559,090
| 545,884
| 393,086
| 377,794
| 31,869
| 27,069
| 134,135
| 141,021
|-
|'''2016'''
|526,761
|510,741
|358,035
|338,428
|19,142
|14,930
|149,584
|157,383
|-
|'''2015'''
|541,079
|525,921
|351,552
|331,153
|16,674
|14,238
|172,853
|180,530
|-
|'''2014'''
|573,240
|557,949
|357,321
|340,313
|11,549
|13,759
|204,370
|203,877
|-
|'''2013'''
|579,410
|563,956
|350,280
|329,917
|10,777
|14,813
|218,353
|219,226
|}
</div>
*2017년의 이용객 수 증가는 2016년 12월 9일 개정으로 인한 증편의 효과로 추정된다. KTX는 2왕복이 신규로 증편되었으며, 서울-진주 무궁화 1편성이 ITX-새마을로 변경되었다.
{{각주}}
{{각주}}
 
[[분류:창원시의 철도역]]
[[분류:경전선]]
[[분류:경전선]]
[[분류:경상남도에 있는 철도시설]]
[[분류:마산관리역]]
{{리브레 맵스 마커|35.236037186232444|128.5771769285202|10|마산역 (경전선)}}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