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법천자문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7번째 줄: 7번째 줄:
|그림        =  
|그림        =  
|그림설명    =  
|그림설명    =  
|지은이      = 스튜디오 시리얼 (1~19권)<br />김현수 (20, 21, 42~48권)<br />올댓스토리 (22권~41권)<br />유대영 (49권~)
|지은이      = 스튜디오 시리얼 (1~19권)<br />김현수 (20, 21권)<br />올댓스토리 (22권~)
|그린이      = 스튜디오 시리얼 (1~19권)<br />홍거북 (20권~53권)<br />박상영, 정수영 (54권~)
|그린이      = 스튜디오 시리얼 (1~19권)<br />홍거북 (20권~)
|장르        = 학습만화
|장르        = 학습만화
|나라         =  
|국가         =  
|언어        =  
|언어        =  
|연작제목    =  
|연작제목    =  
38번째 줄: 38번째 줄:
대한민국의 [[한자]] [[학습만화]]다. 출판사는 아울북이다. 출간할 때마다 베스트 셀러에 오르는 인기 민화다. 부록으로 카드, 딱지 등 [[TCG]] 제품을 끼워주고 있다.
대한민국의 [[한자]] [[학습만화]]다. 출판사는 아울북이다. 출간할 때마다 베스트 셀러에 오르는 인기 민화다. 부록으로 카드, 딱지 등 [[TCG]] 제품을 끼워주고 있다.


21권까지를 1부, 22권부터 53건까지 2부, 54권부터 3부로 나뉜다. 등장인물, 배경, 스토리는 1부는 [[서유기]], 2부는 [[그리스 로마 신화]], [[북유럽 신화]], [[이집트 신화]]를 모티브로 했다. 3부는 [https://www.instagram.com/p/Cf5P87FJvND/ 53권에 나온 예고편]에 따르면 [[어반 판타지]] 느낌으로 가는 것으로 보인다.
21권까지를 1부, 22권부터는 2부로 나뉜다. 등장인물, 배경, 스토리는 1부는 [[서유기]], 2부는 [[그리스 로마 신화]], [[북유럽 신화]], [[이집트 신화]]를 모티브로 했다.


=== 서유기에서 따온 것들 ===
=== 서유기에서 따온 것들 ===
103번째 줄: 103번째 줄:


[http://magichanja.com/?p=14193&cpage=1#comment-11205 웹진]에서도 항의 댓글이 올라오고 있다. 다행히도 이러한 항의를 받아들였는지 37권 이후에는 상술했던 40권의 설정붕괴를 빼면 이러한 문제점들이 해결되었다.
[http://magichanja.com/?p=14193&cpage=1#comment-11205 웹진]에서도 항의 댓글이 올라오고 있다. 다행히도 이러한 항의를 받아들였는지 37권 이후에는 상술했던 40권의 설정붕괴를 빼면 이러한 문제점들이 해결되었다.
==== 2부도 모자라서 3부까지? ====
53권에 2부를 끝내고 나서 54권부터 3부가 나온다고 하자 [[코믹 메이플스토리 오프라인 RPG]]처럼 오래 우려먹을 거냐며 반응이 좋지 않다. 게다가 2부 완결을 내는 것도 제대로 하지 않아서 문제가 되고 있다.
49권의 스토리 작가 교체 이후로 스토리에 대한 평가가 좋지 않은데다가 53권은 3부 떡밥을 넣다 보니까 설정오류가 나오는 등 평가가 좋지 않다. 그리고 2021년에 54권에서 2부를 완결하겠다고 한 것에서 한 권 단축한 덕분에 53권은 급전개가 되었다고 한다. 그런데도 가격은 14,000원으로 올려서 더더욱 까이고 있다.
{{나무위키|마법천자문 3부 강행 논란|나무위키에 개별 문서가 작성될 정도로}} 마법천자문 사상 최악의 병크가 되어가고 있다.
그리고 전술했던 1부 완결 직전인 20권에 작가를 교체한 사건이 완결 직전에 작가를 교체해서 결말 부분을 말아먹고 완결 이후에 후속 시즌을 내놓겠다고 한 점에서 이 사건하고 똑같아서 다시 구설에 올랐다. 53권이 20권보다 더 망작이라는 얘기도 있다. 게다가 2부를 진행한 건 삼장의 부모 떡밥과 같은 떡밥 회수를 위해서였지만 3부를 진행한 건 그런 명분조차도 없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까 네이버에 있는 팬카페, 디시인사이드의 마법천자문 마이너 갤러리에서는 3부를 내놓기 전에 먼저 2부의 결말 부분을 다시 만들었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 개정판 ===
=== 개정판 ===
2019년부터 기존에 나왔던 권의 개정판이 나오기 시작했다. 현재 1~20권까지 나온 상태다. 표지가 바뀌었으며 {{ㅊ|36권 사태로부터 배운 게 있는지}} [https://blog.naver.com/sunplus2/221437219671 일부 대사가 순화]되었다. 그리고 새로 등장하는 한자에 중국어 간체자도 표기되었다.
2019년부터 기존에 나왔던 권의 개정판이 나오기 시작했다. 현재 1~20권까지 나온 상태다. 표지가 바뀌었으며 {{ㅊ|36권 사태로부터 배운 게 있는지}} [https://blog.naver.com/sunplus2/221437219671 일부 대사가 순화]되었다. 그리고 새로 등장하는 한자에 중국어 간체자도 표기되었다.
122번째 줄: 110번째 줄:
[[ㅋㄷㅋㄷ코딩TV]] [http://vod.kbs.co.kr/index.html?source=episode&sname=vod&stype=vod&program_code=T2017-0600&program_id=PS-2019024119-01-000&section_code=05&broadcast_complete_yn=N&local_station_code=00 52화]에서 마법천자문 한자 카드를 증강현실로 보는 것이 나왔다.
[[ㅋㄷㅋㄷ코딩TV]] [http://vod.kbs.co.kr/index.html?source=episode&sname=vod&stype=vod&program_code=T2017-0600&program_id=PS-2019024119-01-000&section_code=05&broadcast_complete_yn=N&local_station_code=00 52화]에서 마법천자문 한자 카드를 증강현실로 보는 것이 나왔다.
{{-}}
{{-}}
=== 3부에서 바뀐 점 ===
3부는 1, 2부와 다르게 크게 바뀌었다. 문해력 향상을 위한 어휘 학습을 강화했다고 한다. 감수자를 국어교사인 강용철<ref>[https://blog.naver.com/yongchury 블로그]</ref>로 바꿨다.  각 권에 새로 나오는 한자가 낱자로 세서 반드시 20자씩 나오는 방식을 버리고 단어마법 위주로 나온다. 각 권의 부제와 표지에 나오는 대표 한자가 낱자가 아니라 단어마법으로 나온다. 그 단어마법에는 이전 권에 나왔던 한자가 들어가기도 한다.
손오공의 모습이 바뀌었다.
한자마법을 그냥 쓸 수 있는 사람이 줄어들었다고 설정된 것인지 마정석을 이용해서 한자마법을 쓴다. 한자마법을 쓰는 장면은 표지에서만 분홍색 한양해서체로 나오는 방식을 유지했고 본편에서는 다른 서체로 나오고 마법진이 같이 나온다.
한자마법을 쓸 때의 대사가 주문, 한자의 뜻, 한자의 소리 순으로 나오는 방식에서 주문과 한자의 소리만 나오는 것으로 바뀌었다.
신의 시대가 끝난 후의 인간의 시대를 배경으로 했다.
==== 비판 ====
3부에 나오는 마정석은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cheonjamun&no=1149&s_type=search_subject_memo&s_keyword=.EB.A7.88.EC.A0.95.EC.84.9D&page=1 공식 측에서는 1, 2부에서는 존재하지 않았다]고 답했는데 마정석은 마법천자문, 마법천자패의 원료인 만큼 8권부터 쭉 등장했다. 나중에 이름만 같고 다른 물체라고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cheonjamun&no=1371&page=1 답변을 수정]했는데 겹치지 않는 다른 이름으로 지었어야 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그리고 수정 전에 잘못된 답변을 한 것에서 1, 2부의 내용을 제대로 숙지하지 않았다는 것이 드러난 거여서 팬들의 우려가 사그라들지 않게 되었다.
한자마법을 쓸 때의 대사에서 한자의 뜻을 없앤 게 한자 학습만화라는 정체성이 흔들릴 정도로 가장 큰 문제점으로 꼽히고 있다. "모두 막아라! 방패 간(干)!"에서 "모두 막아라! 간(干)!" 이런 식으로 바뀌었는데 이러면 干 자의 뜻을 '방패'가 아니라 '막다'로 오해하게 될 수도 있다. 그리고 마법진이 같이 나오는 것도 쓸데없이 정신사납게 만들어서 한자 모양을 익히는 데 방해가 된다는 지적도 있다. 대사에 한자의 뜻과 소리가 나오고 해당 한자가 크게 나오는 장면을 보고 그 한자가 기억되게 하는 게 이 작품의 한자 학습 원리인데 그걸 건드려서 한자 학습만화가 아닌 판타지 만화처럼 되어버렸다. 
54권의 스토리가 이전 권하고 잘 안 이어진다는 지적도 있다.


== 파생 작품 ==
== 파생 작품 ==
===애니메이션 ===
===애니메이션 ===
==== 극장판 ====
==== 극장판 ====
{{영상물 정보
{{애니메이션 정보
|영상물이름  = 마법천자문 : 대마왕의 부활을 막아라
|구분 = 극장판
|원어이름    =  
|장르 = 판티지, 어드벤처
|배경색      =  
|제목 = 마법천자문 : 대마왕의 부활을 막아라
|글자색      =  
|제목/원어 =
|그림         =  
|제목/영어 = The Five Magic Letters
|그림설명    =  
|제목/기타 =  
|배급사      =  
|로고 =  
|방송채널    =  
|그림 =  
|제작사      = 디엔에이 프로덕션
|화수 =
|감독        = 윤영기
|전작 =
|제작        =  
|후속작 =  
|작가        = 선지연, 오정은
<!-- 방영 정보: 현지 -->
|출연        =  
|현지국가 =  
|해설        =  
|방영일자 =  
|장르        = 판티지, 어드벤처
|최속방송 =  
|나라        = {{나라|대한민국}}
|방영시각 =  
|언어        = [[한국어]]
|개봉일자 =  
|연작제목    =  
|상영시간 =  
|개봉일      =  
|방영사이트 =  
|방영일      =  
|공식사이트 =  
|방영시각    =  
<!-- 방영 정보: 한국 -->
|시즌수      =  
|한국방영일자 =  
|화수        =  
|한국최속방송 =  
|시간        =  
|한국방영시각 =
|시리즈      =  
|한국개봉일자 = [[2010년]] [[8월 19일]]
|이전작품    =  
|한국상영시간 = 85분
|다음작품    =  
|한국방영사이트 =  
|웹사이트    =  
|한국공식사이트 = http://cafe.naver.com/magichunja
|캐릭터원안  =  
<!-- 제작 정보 -->
|캐릭터디자인 = 강원영
|원작 = 마법천자문
|연출        =  
|총감독 =  
|미술        =  
|감독 = 윤영기
|촬영감독    =  
|시리즈 구성 =  
|음악        = 이영빈, 양광섭
|음악 = 이영빈, 양광섭
|여는곡      =  
|제작사 = 디엔에이 프로덕션
|닫는곡      =  
|제작위원회 =  
|영상포맷    =  
<!-- 세부 제작 정보 -->
|음성포맷    =  
|각본 = 선지연, 오정은
|번역배급사  =  
|연출 =  
|번역방송채널 =  
|캐릭터 원안 =  
|번역개봉일  = [[2010년]] [[8월 19일]]
|캐릭터 디자인 = 강원영
|번역방영일  =  
|메카닉디자인 =  
|번역방영시각 =  
|배경 =  
|비고        =  
|작화감독 =  
|미술감독 =  
|색채설계 =  
|음향감독 =  
|음악제작 =  
|촬영감독 =  
|편집 =  
|특수효과 =  
|3D감독 =  
|기획 =  
|프로듀스 =  
}}
}}
원작과 달리 옥동자가 빠지고 돈돈이 주연으로 출현한다. 마법천자패 한자 다섯개를 찾고 대마왕의 부활을 막는다는 이야기다.
원작과 달리 옥동자가 빠지고 돈돈이 주연으로 출현한다. 마법천자패 한자 다섯개를 찾고 대마왕의 부활을 막는다는 이야기다.
193번째 줄: 174번째 줄:


==== TV 애니메이션 ====
==== TV 애니메이션 ====
{{영상물 정보
{{애니메이션 정보
|영상물이름  = 마법천자문
|구분 = TV 애니메이션
|원어이름    =  
|장르 = 액션, 어드벤처, 판타지
|배경색      =  
|제목 = 마법천자문
|글자색      =  
|제목/원어 =
|그림         =  
|제목/영어 =  
|그림설명    =  
|제목/기타 =  
|배급사      =  
|로고 =  
|방송채널    =  
|그림 =  
|제작사      = [[지앤지엔터테인먼트]]
|화수 = 1기: 26화, 2기: 26화
|감독        = 이병직
|전작 =  
|제작        =  
|후속작 =  
|작가        =  
<!-- 방영 정보: 현지 -->
|출연        =  
|현지국가 =  
|해설        =  
|방영일자 =  
|장르        = 액션, 어드벤처, 판타지
|최속방송 =  
|나라        = {{나라|대한민국}}
|방영시각 =  
|언어        = [[한국어]]
|개봉일자 =  
|연작제목    =  
|상영시간 =  
|개봉일      =  
|방영사이트 =  
|방영일      =  
|공식사이트 =  
|방영시각    =  
<!-- 방영 정보: 한국 -->
|시즌수      =  
|한국방영일자 = 1기: [[2011년]] [[9월 5일]]~[[12월 20일]]<br />2기: [[2015년]] [[8월 12일]]~[[11월 11일]]
|화수        = 1기: 26화, 2기: 26화
|한국최속방송 = MBC
|시간        =  
|한국방영시각 = 1기: 월, 화 16:30<br />2기: 수, 목 15:10
|시리즈       =  
|한국개봉일자 =  
|이전작품    =  
|한국상영시간 =  
|다음작품    =  
|한국방영사이트 = http://www.imbc.com/broad/tv/ent/mbcani/
|웹사이트    =  
|한국공식사이트 =  
|캐릭터원안  =  
<!-- 제작 정보 -->
|캐릭터디자인 = 강성욱, 박상호, 이현용, 화소영, 강지민
|원작 = 마법천자문
|연출        = 김재원, 전호성, 성태웅, 한수연
|총감독 =  
|미술        =  
|감독 = 이병직
|촬영감독    =  
|시리즈 구성 =  
|음악        = 나영호
|제작사 = [[지앤지엔터테인먼트]]
|여는곡      =  
|제작위원회 =  
|닫는곡      =  
<!-- 세부 제작 정보 -->
|영상포맷    =  
|각본 =  
|음성포맷    =  
|연출 = 김재원, 전호성, 성태웅, 한수연
|번역배급사  =  
|캐릭터 원안 =  
|번역방송채널 = [[MBC]]
|캐릭터 디자인 = 강성욱, 박상호, 이현용, 화소영, 강지민
|번역개봉일  =  
|메카닉디자인 =  
|번역방영일  = 1기: [[2011년]] [[9월 5일]]~[[12월 20일]]<br />2기: [[2015년]] [[8월 12일]]~[[11월 11일]]
|배경 = 스튜디오 스프라우트
|번역방영시각 = 1기: 월, 화 16:30<br />2기: 수, 목 15:10
|작화감독 =  
|비고        =  
|미술감독 =  
|색채설계 =  
|음향감독 =  
|음악 = 나영호
|음악제작 =  
|촬영감독 =  
|편집 = 남종현
|특수효과 = 이건호
|3D감독 =  
|기획 =  
|프로듀스 =  
}}
}}
[[MBC]]의 애니메이션. 1기는 2011년에 방송했다. 2기는 2015년 8월 12일부터 같은 해 11월 11일까지 매주 수, 목요일 오후 3시 10분에 [http://hsports.heraldcorp.com/news/articleView.html?idxno=9685 방송되었다.]<ref>언론에서는 3시 20분이라고 나왔으나 3시 10분으로 변경되었다.</ref> 그에 앞서 8월 5~7일에 특별판을 방송했다.
[[MBC]]의 애니메이션. 1기는 2011년에 방송했다. 2기는 2015년 8월 12일부터 같은 해 11월 11일까지 매주 수, 목요일 오후 3시 10분에 [http://hsports.heraldcorp.com/news/articleView.html?idxno=9685 방송되었다.]<ref>언론에서는 3시 20분이라고 나왔으나 3시 10분으로 변경되었다.</ref> 그에 앞서 8월 5~7일에 특별판을 방송했다.
286번째 줄: 277번째 줄:
|그린이      = 박이정
|그린이      = 박이정
|장르        = 판타지
|장르        = 판타지
|나라         = {{나라|일본}}
|국가         = {{국기|일본}}
|언어        = [[일본어]]
|언어        = [[일본어]]
|연작제목    =  
|연작제목    =  
314번째 줄: 305번째 줄:
=== 뮤지컬 ===
=== 뮤지컬 ===
=== 드라마 ===
=== 드라마 ===
{{영상물 정보
{{사용자:Pika/대체용 틀
|영상물이름  = 마법천자문
|영상물이름  = 마법천자문
|원어이름    =  
|원어이름    =  
330번째 줄: 321번째 줄:
|해설        =  
|해설        =  
|장르        = 판타지
|장르        = 판타지
|나라         = {{나라|대한민국}}
|국가         = {{국기|대한민국}}
|언어        = [[한국어]]
|언어        = [[한국어]]
|연작제목    =  
|연작제목    =  
386번째 줄: 377번째 줄:
[[분류:판타지 애니메이션]]
[[분류:판타지 애니메이션]]
[[분류:학습 애니메이션]]
[[분류:학습 애니메이션]]
[[분류:만화 원작 애니메이션]]
[[분류:대한민국의 라이트 노벨]]
[[분류:대한민국의 라이트 노벨]]
[[분류:2014년 소설]]
[[분류:2014년 소설]]
[[분류:판타지 소설]]
[[분류:판타지 소설]]
[[분류:만화 원작 소설]]
[[분류:트레이딩 카드 게임]][[분류:아케이드 게임]][[분류:모바일 게임]]
[[분류:트레이딩 카드 게임]][[분류:아케이드 게임]][[분류:모바일 게임]]
[[분류:한국 드라마]]
[[분류:한국 드라마]]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