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바툰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만화 정보
{{만화정보
|책/만화이름  = 레바툰
|제목 =레바툰
|원어이름    =
|원제 =
|배경색      =
|사진 =revatoon_banner.png
|글자색      =  
|그림설명 =
|그림        = [[파일:revatoon banner.png|300px]]
|작가 = [[레바]]
|그림설명     =  
|=
|지은이      = [[레바]]
|그림 =
|장르        = 개그, 일상, [[에세이 만화]]
|연재처 = 레진코믹스
|나라        = {{나라|대한민국}}
|연재처국적 =
|언어        = [[한국어]]
|형태 = 웹툰
|출판사      =  
|장르 = 개그, 일상
|연재처      = [[레진코믹스]]
|연령 = '''전연령'''
|연재기간    = 2015년 2월 13일~ (주 1회)
|연재시작 = 2015.02.13.
|권수        =  
|연재종료 =
|화수        =  
|연재주기 = 주간(금요일)
|시리즈      =  
|과금 = 무료
|이전작품    =  
|링크 = https://www.lezhin.com/comic/revatoon/
|다음작품    =  
|비고        =  
}}
}}
{{인용문2|'''이 작가 미친 것 같아요(작가님이 요청한 문구입니다).'''|편집부 한마디}}
{{인용문2|'''이 작가 미친 것 같아요(작가님이 요청한 문구입니다).'''|편집부 한마디}}
26번째 줄: 24번째 줄:
정신나간 [[병맛]] 개그 센스와 단순하면서도 개성 있는 그림체로 독자들에게 호평을 받고 있다. 특유의 동그랗고 하얀 캐릭터가 인기를 끌고 있으며 캐릭터의 이름은 읭읭이.
정신나간 [[병맛]] 개그 센스와 단순하면서도 개성 있는 그림체로 독자들에게 호평을 받고 있다. 특유의 동그랗고 하얀 캐릭터가 인기를 끌고 있으며 캐릭터의 이름은 읭읭이.


== <span id="여성혐오"/>[[여성혐오]] 논란 ==
== [[여성혐오]] 논란 ==


[http://gosunggo.tistory.com/245 논란에 관한 정리글(수정 전 장면 포함)]
[http://gosunggo.tistory.com/245 논란에 관한 정리글(수정 전 장면 포함)]
37번째 줄: 35번째 줄:


===옹호론===
===옹호론===
13화의 경우만 해도 외계인이 인간을 납치하는 것은 상당히 고전적인 수법으로  해당 에피소드에서는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 역시 제대로 저항을  하지 못했다.
13화의 경우만 해도 외계인이 인간을 납치하는것은 상당히 고전적인 수법으로  해당 에피소드에서는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 역시 제대로 저항을  하지 못했다.


[[코즈믹 호러]]가 유머식으로 뒤틀린 상황에서 여성이건 남성이 제대로 된 저항을 하리라 기대되는 건 힘들다. 애초에 주 타켓이 된 내용 자체가 상당히 자주 쓰이는 이야기를 레바툰 식으로 해석한 것인데 내용이 [[여성혐오]]적 운운하는 것은 작가에 대한 과도한 간섭이다. 만약 남자가  먼저 나가서 병크를 터트렸다면 그것은 남성혐오란 말인가? 이는 사려깊은 여자가  행동부터 하고 보는 남자보다 먼저 나간다는게 말이 안 된다와 유사하다.
[[코즈믹 호러]]가 유머식으로 뒤틀린 상황에서 여성이건 남성이 제대로 된 저항을 하리라 기대되는건 힘들다. 애초에 주 타켓이 된 내용 자체가 상당히 자주 쓰이는 이야기를 레바툰 식으로 해석한 것인데 내용이 [[여성혐오]]적 운운하는것은 작가에 대한 과도한 간섭이다. 만약 남자가  먼저 나가서 병크를 터트렸다면 그것은 남성혐오란 말인가? 이는 사려깊은 여자가  행동부터 하고 보는 남자보다 먼저 나간다는게 말이 안된다와 유사하다.


[[토큰 블랙]]같은 쓸데없는 군더더기를 강요하는 이유가 뭔가? 유일한 여성이 비난당하는 걸 막기위해 [[토큰 블랙|토큰 걸]]이라도 작가가 하나 더 투입했어야 한단 말인가?
[[토큰 블랙]]같은 쓸데없는 군더더기를 강요하는 이유가 뭔가? 유일한 여성이 비난당하는 걸 막기위해 [[토큰 블랙|토큰 걸]]이라도 작가가 하나 더 투입했어야 한단 말인가?


그렇다면 흑인, 황인, 백인, 메스티소부터 민족별로 한 명씩 투입해야 했단 말인가? 검은 읭읭이가 가 나오지 않은게 [[인종차별]]과 무슨 상관인가. 완벽을 기하기위해  두 쌍씩, 트롤러와 트롤러가 아닌 이들을 실어야 하나? 정체성이 여성도 남성도 아닌 이들까지 쌍쌍으로 맞추고 나면 소수의 생존자가 있는 상황은  어느새 지구인이 모두 탑승한 노아의 방주가 되고 만다. 이야기의 서사구조가 붕괴해버리는 것이다.
그렇다면 흑인, 황인, 백인, 메스티소부터 민족별로 한 명씩 투입해야 했단 말인가? 검은 읭읭이가 가 나오지 않은게 [[인종차별]]과 무슨 상관인가. 완벽을 기하기위해  두 쌍씩, 트롤러와 트롤러가 아닌 이들을 실어야 하나? 정체성이 여성도 남성도 아닌 이들까지 쌍쌍으로 맞추고 나면 소수의 생존자가 있는 상황은  어느새 지구인이 모두 탑승한 노아의 방주가 되고 만다. 이야기의 서사구조가 붕괴해버리는것이다.


이점은 다른 에피소드에서도 역시 다를게 없다.
이점은 다른 에피소드에서도 역시 다를게 없다.
우리는 여성인권 문제역시  소수민족문제,문맹,절대적 빈곤등의 인류의 존엄성에 관한 문제중 하나이지,
우리는 여성인권 문제역시  소수민족문제,문맹,절대적 빈곤등의 인류의 존엄성에 관한 문제중 하나이지,
절대적으로 우선시해야 하는 무언가는 아님을 명심해야 한다.
절대적으로 우선시해야 하는 무언가는 아님을 명심해야 한다.
패러디의 힘은 뒤틀고 웃기는 것에 있다. 여혐논란을 일으키는 것은 그 힘을 부정하는 것과 다를바가 없으다.
패러디의 힘은 뒤틀고 웃기는 것에 있다. 여혐논란을 일으키는 것은 그 힘을 부정하는것과 다를바가 없으다.
수없이 많은 동등하고, 역시 존엄한 문제들 속에서  어떤걸 중시할지는 작가의 몫이다.
수없이 많은 동등하고, 역시 존엄한 문제들 속에서  어떤걸 중시할지는 작가의 몫이다.
이러한 것을 여혐이라 보는 시선은 빵터졌다는 표현을 폭탄에 피살된 이들을 능욕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과 같다.
 
기억하라, 빵 터졌다는 표현은 폭탄에 피살된 이들을 능욕하는것이 아니다.


===비판론===
===비판론===
56번째 줄: 55번째 줄:
갑자기 이런 비판이 쏟아진 이유로는 이 에피소드에서 ''''읭읭이'가 아니라 '인간'이 등장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동안 독자들이 레바툰에서 다뤄진 표현들(폭력과 욕설)을 용인했던 가장 큰 이유는 ''인간 대신에 읭읭이가 등장했기 때문''이다. 이것은 읭읭이라는 캐릭터가 가진 정보량(인종, 성별, 생김새, 묘사의 정도 등)이 매우 적기 때문에 독자와 '거리두기'가 가능하기 때문이다.<ref>[http://criticm.com/?p=4490 ‘우리에게 ‘다른 웃음’이 존재할 수 있을까‘ _ 여성혐오와 <nowiki><</nowiki>레바툰<nowiki>></nowiki>], criticM (이연숙), 2015.09.04.</ref>
갑자기 이런 비판이 쏟아진 이유로는 이 에피소드에서 ''''읭읭이'가 아니라 '인간'이 등장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동안 독자들이 레바툰에서 다뤄진 표현들(폭력과 욕설)을 용인했던 가장 큰 이유는 ''인간 대신에 읭읭이가 등장했기 때문''이다. 이것은 읭읭이라는 캐릭터가 가진 정보량(인종, 성별, 생김새, 묘사의 정도 등)이 매우 적기 때문에 독자와 '거리두기'가 가능하기 때문이다.<ref>[http://criticm.com/?p=4490 ‘우리에게 ‘다른 웃음’이 존재할 수 있을까‘ _ 여성혐오와 <nowiki><</nowiki>레바툰<nowiki>></nowiki>], criticM (이연숙), 2015.09.04.</ref>


하지만 13화에서 (상대적으로 사실적으로 그려진) 만화체로 그려진 인물들이 등장하면서 이런 '거리두기'는 깨지게 된다. 덕분에 독자가 감정을 이입할 만큼의 정보량이 '갑자기' 늘어나면서 등장인물들이 '읭읭이'가 아니라 '사람'이라는 것을 자각하기 쉬워진다. 13화에 나오는 것처럼 만화체 인물들이 어떠한 이유로 읭읭이로 바뀐다고 해도 한번 깨어진 거리두기는 최소한 같은 에피소드에서는 복구되기 어렵다. 반대로 그간 용인되던 표현들에는 "이래도 괜찮은가"하는 의문이 들기에는 쉬워진다. 비슷한 예로 [[톰과 제리]]와 같은 고전 애니메이션에서 빈번히 등장하는 폭력을 들 수 있다. 이런 폭력이 용인된 가장 큰 이유는 폭력의 주체와 대상이 독자·시청자와 같은 인간이 아니라 거리두기가 가능한 동물 캐릭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13화에서 (상대적으로 사실적으로 그려진) 만화체로 그려진 인물들이 등장하면서 이런 '거리두기'는 깨지게 된다. 덕분에 독자가 감정을 이입할 만큼의 정보량이 '갑자기' 늘어나면서 등장인물들이 '읭읭이'가 아니라 '사람'이라는 것을 자각하기 쉬워진다. 13화에 나오는 것처럼 만화체 인물들이 어떠한 이유로 읭읭이로 바뀐다고 해도 한번 깨어진 거리두기는 최소한 같은 에피소드에서는 복구되기 어렵다. 반대로 그간 용인되던 표현들에는 "이래도 괜찮은가"하는 의문이 들기에는 쉬워진다. 비슷한 예로 [[톰과 제리]]와 같은 고전 애니메이션에서 빈번히 등장하는 폭력을 들 수 있다. 이런 폭력이 용인된 가장 큰 이유는 폭력의 주체와 대상이 독자·시청자와 같은 인간이 아니라 거리두기가 가능한 동물 캐릭터이기 때문이다.


또한 이 에피소드에서 등장한 유일한 인간 여성은 동료 남성들로부터 "미친 저런년이 인류의 마지막 년이라니"라는 소리를 듣는 무개념 캐릭터로 등장한다. "[[아몰랑]] 여기 괜찮은거같애"라는 인간 여성 캐릭터의 대사는 앞서 깨진 '거리두기'와 엮이면서 이후 벌어진 [[여성혐오]] 논란에 빌미를 제공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 에피소드에서 등장한 유일한 인간 여성은 동료 남성들로부터 "미친 저런년이 인류의 마지막 년이라니"라는 소리를 듣는 무개념 캐릭터로 등장한다. "[[아몰랑]] 여기 괜찮은거같애"라는 인간 여성 캐릭터의 대사는 앞서 깨진 '거리두기'와 엮이면서 이후 벌어진 [[여성혐오]] 논란에 빌미를 제공한 것으로 보인다.
62번째 줄: 61번째 줄:
또한 작가는 이러한 비판에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했다. 문제가 된 장면을 수정했다고 하지만, 이후 에피소드인 14화 [http://www.lezhin.com/comic/revatoon/14 Trans 下]나 16화 [http://www.lezhin.com/comic/revatoon/16 판타지 만화 - 용사 上], 그리고 이후 자신의 블로그에 올린 [http://mister1315.tistory.com/98 입장 표명] 글을 보면 [[여성혐오]]나 성평등·[[페미니즘]] 등 비판의 논지에 대해서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다는 인상을 주면서 추가적인 비판의 빌미를 주고 말았다.
또한 작가는 이러한 비판에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했다. 문제가 된 장면을 수정했다고 하지만, 이후 에피소드인 14화 [http://www.lezhin.com/comic/revatoon/14 Trans 下]나 16화 [http://www.lezhin.com/comic/revatoon/16 판타지 만화 - 용사 上], 그리고 이후 자신의 블로그에 올린 [http://mister1315.tistory.com/98 입장 표명] 글을 보면 [[여성혐오]]나 성평등·[[페미니즘]] 등 비판의 논지에 대해서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다는 인상을 주면서 추가적인 비판의 빌미를 주고 말았다.


== 관련 사이트 ==
== 바깥 고리 ==
*[http://mister1315.tistory.com/ 레바티스토리]
*[http://mister1315.tistory.com/ 레바티스토리]
* {{트위터|twit_reva|작가 트위터 계정}} (@twit_reva)]
*[https://twitter.com/twit_reva 작가 트위터 (@twit_reva)]


{{웹툰}}
{{각주}}
{{각주}}
[[분류:레진코믹스]]
[[분류:레진코믹스]]
[[분류:2015년 만화]]
[[분류:코미디 만화]]
[[분류:에세이 만화]]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