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바툰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7번째 줄: 37번째 줄:


===옹호론===
===옹호론===
13화의 경우만 해도 외계인이 인간을 납치하는 것은 상당히 고전적인 수법으로  해당 에피소드에서는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 역시 제대로 저항을  하지 못했다.
13화의 경우만 해도 외계인이 인간을 납치하는 것은 상당히 고전적인 수법으로  해당 에피소드에서는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 역시 제대로 저항을  하지 못했다.


[[코즈믹 호러]]가 유머식으로 뒤틀린 상황에서 여성이건 남성이 제대로 된 저항을 하리라 기대되는 건 힘들다. 애초에 주 타켓이 된 내용 자체가 상당히 자주 쓰이는 이야기를 레바툰 식으로 해석한 것인데 내용이 [[여성혐오]]적 운운하는 것은 작가에 대한 과도한 간섭이다. 만약 남자가  먼저 나가서 병크를 터트렸다면 그것은 남성혐오란 말인가? 이는 사려깊은 여자가  행동부터 하고 보는 남자보다 먼저 나간다는게 말이 안 된다와 유사하다.
[[코즈믹 호러]]가 유머식으로 뒤틀린 상황에서 여성이건 남성이 제대로 된 저항을 하리라 기대되는 건 힘들다. 애초에 주 타켓이 된 내용 자체가 상당히 자주 쓰이는 이야기를 레바툰 식으로 해석한 것인데 내용이 [[여성혐오]]적 운운하는 것은 작가에 대한 과도한 간섭이다. 만약 남자가  먼저 나가서 병크를 터트렸다면 그것은 남성혐오란 말인가? 이는 사려깊은 여자가  행동부터 하고 보는 남자보다 먼저 나간다는게 말이 안 된다와 유사하다.
56번째 줄: 56번째 줄:
갑자기 이런 비판이 쏟아진 이유로는 이 에피소드에서 ''''읭읭이'가 아니라 '인간'이 등장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동안 독자들이 레바툰에서 다뤄진 표현들(폭력과 욕설)을 용인했던 가장 큰 이유는 ''인간 대신에 읭읭이가 등장했기 때문''이다. 이것은 읭읭이라는 캐릭터가 가진 정보량(인종, 성별, 생김새, 묘사의 정도 등)이 매우 적기 때문에 독자와 '거리두기'가 가능하기 때문이다.<ref>[http://criticm.com/?p=4490 ‘우리에게 ‘다른 웃음’이 존재할 수 있을까‘ _ 여성혐오와 <nowiki><</nowiki>레바툰<nowiki>></nowiki>], criticM (이연숙), 2015.09.04.</ref>
갑자기 이런 비판이 쏟아진 이유로는 이 에피소드에서 ''''읭읭이'가 아니라 '인간'이 등장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동안 독자들이 레바툰에서 다뤄진 표현들(폭력과 욕설)을 용인했던 가장 큰 이유는 ''인간 대신에 읭읭이가 등장했기 때문''이다. 이것은 읭읭이라는 캐릭터가 가진 정보량(인종, 성별, 생김새, 묘사의 정도 등)이 매우 적기 때문에 독자와 '거리두기'가 가능하기 때문이다.<ref>[http://criticm.com/?p=4490 ‘우리에게 ‘다른 웃음’이 존재할 수 있을까‘ _ 여성혐오와 <nowiki><</nowiki>레바툰<nowiki>></nowiki>], criticM (이연숙), 2015.09.04.</ref>


하지만 13화에서 (상대적으로 사실적으로 그려진) 만화체로 그려진 인물들이 등장하면서 이런 '거리두기'는 깨지게 된다. 덕분에 독자가 감정을 이입할 만큼의 정보량이 '갑자기' 늘어나면서 등장인물들이 '읭읭이'가 아니라 '사람'이라는 것을 자각하기 쉬워진다. 13화에 나오는 것처럼 만화체 인물들이 어떠한 이유로 읭읭이로 바뀐다고 해도 한번 깨어진 거리두기는 최소한 같은 에피소드에서는 복구되기 어렵다. 반대로 그간 용인되던 표현들에는 "이래도 괜찮은가"하는 의문이 들기에는 쉬워진다. 비슷한 예로 [[톰과 제리]]와 같은 고전 애니메이션에서 빈번히 등장하는 폭력을 들 수 있다. 이런 폭력이 용인된 가장 큰 이유는 폭력의 주체와 대상이 독자·시청자와 같은 인간이 아니라 거리두기가 가능한 동물 캐릭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13화에서 (상대적으로 사실적으로 그려진) 만화체로 그려진 인물들이 등장하면서 이런 '거리두기'는 깨지게 된다. 덕분에 독자가 감정을 이입할 만큼의 정보량이 '갑자기' 늘어나면서 등장인물들이 '읭읭이'가 아니라 '사람'이라는 것을 자각하기 쉬워진다. 13화에 나오는 것처럼 만화체 인물들이 어떠한 이유로 읭읭이로 바뀐다고 해도 한번 깨어진 거리두기는 최소한 같은 에피소드에서는 복구되기 어렵다. 반대로 그간 용인되던 표현들에는 "이래도 괜찮은가"하는 의문이 들기에는 쉬워진다. 비슷한 예로 [[톰과 제리]]와 같은 고전 애니메이션에서 빈번히 등장하는 폭력을 들 수 있다. 이런 폭력이 용인된 가장 큰 이유는 폭력의 주체와 대상이 독자·시청자와 같은 인간이 아니라 거리두기가 가능한 동물 캐릭터이기 때문이다.


또한 이 에피소드에서 등장한 유일한 인간 여성은 동료 남성들로부터 "미친 저런년이 인류의 마지막 년이라니"라는 소리를 듣는 무개념 캐릭터로 등장한다. "[[아몰랑]] 여기 괜찮은거같애"라는 인간 여성 캐릭터의 대사는 앞서 깨진 '거리두기'와 엮이면서 이후 벌어진 [[여성혐오]] 논란에 빌미를 제공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 에피소드에서 등장한 유일한 인간 여성은 동료 남성들로부터 "미친 저런년이 인류의 마지막 년이라니"라는 소리를 듣는 무개념 캐릭터로 등장한다. "[[아몰랑]] 여기 괜찮은거같애"라는 인간 여성 캐릭터의 대사는 앞서 깨진 '거리두기'와 엮이면서 이후 벌어진 [[여성혐오]] 논란에 빌미를 제공한 것으로 보인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