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루블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1번째 줄: 21번째 줄:
|인쇄처  = [[파일:GoznakLogo.jpg|20px]]<small> 러시아 국인기구(國印-) </small>고즈낙<ref>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Знак. 대개 별다른 번역명을 만들지 않고, 약칭을 고유명사화 한 고즈낙=가즈나크(Гознак)로 부른다.</ref>
|인쇄처  = [[파일:GoznakLogo.jpg|20px]]<small> 러시아 국인기구(國印-) </small>고즈낙<ref>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Знак. 대개 별다른 번역명을 만들지 않고, 약칭을 고유명사화 한 고즈낙=가즈나크(Гознак)로 부른다.</ref>
|조폐국  = [[파일:GoznakLogo.jpg|20px]] 고즈낙
|조폐국  = [[파일:GoznakLogo.jpg|20px]] 고즈낙
|환율    = 14.0원 미만/₽<small> (2023년 10월 기준)</small><br />96~100₽/$
|환율    = 17.5원 내외/₽<small> (2023.03.15 기준)</small><br />{{색|#FF0000|▲}}68~75{{색|#0042ED|▼}}₽/$
|고정환율 =  
|고정환율 =  
|이전화폐 = [[소비에트 루블]]<ref>다만 엄밀히 말해서 소련 루블과 러시아 루블은 서로 다른 통화다. 지금의 [[유로]] & 유로이전권과 비슷한 관계.</ref>
|이전화폐 = [[소비에트 루블]]<ref>다만 엄밀히 말해서 소련 루블과 러시아 루블은 서로 다른 통화다. 지금의 [[유로]] & 유로이전권과 비슷한 관계.</ref>
45번째 줄: 45번째 줄:
허나 2022년 2월 초부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우려가 감돌며 미국과 한 판 붙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에 도로 떨어지기 시작했고, 이후 서방세계의 대 러시아 경제제재가 선언되자 처음으로 80₽/USD를 돌파하여 확연한 하락세를 보였으며, 끝내 전쟁 개막을 알린 2월 23일~24일 사이에 약 10% 급락하여 역대 최저값인 89₽/USD(약 13원대/₽)<ref>루블화-원화 그래프로는 루블화 폭락이 크게 와닿지 않을텐데, 이는 외부 위기에 취약한 원화도 똑같이 떨어졌기 때문이다(...)</ref>를 찍었다가 다시 83₽까지 내려왔으나, 그 다음주인 28일에 SWIFT망 퇴출이 결정되면서 갑작스레 순간 환율이 90₽부터 140₽(!)까지도 찍는 등의 대혼란 상태가 되었다.
허나 2022년 2월 초부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우려가 감돌며 미국과 한 판 붙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에 도로 떨어지기 시작했고, 이후 서방세계의 대 러시아 경제제재가 선언되자 처음으로 80₽/USD를 돌파하여 확연한 하락세를 보였으며, 끝내 전쟁 개막을 알린 2월 23일~24일 사이에 약 10% 급락하여 역대 최저값인 89₽/USD(약 13원대/₽)<ref>루블화-원화 그래프로는 루블화 폭락이 크게 와닿지 않을텐데, 이는 외부 위기에 취약한 원화도 똑같이 떨어졌기 때문이다(...)</ref>를 찍었다가 다시 83₽까지 내려왔으나, 그 다음주인 28일에 SWIFT망 퇴출이 결정되면서 갑작스레 순간 환율이 90₽부터 140₽(!)까지도 찍는 등의 대혼란 상태가 되었다.


3월 중순 무렵부터는 러시아 은행 주도로 외환시장 자체가 문을 닫는 바람에<ref>일단은 2022년 9월까지 중단이 확정되었다.</ref> 외부 충돌이 줄어들어 폭락 직전값(100~110₽)으로 되돌아왔다. 뒤이은 3월 23일에는 서방국가의 최대 약점이기도 한 천연가스를 구매할 때 루블화 결제를 강제시키는 강경책 등을 가하는 등으로 어떻게든 가치를 최대한 끌어올리려 하였고, 실제로도 효과가 나타나 4월 6~7일 무렵엔 정말로 전쟁 이전 수준(80₽▼)까지 회복시켰다. 5월부터는 도리어 역전으로 치솟음으로서, 자원의 무기화라는게 어떤 것인지를 확실하게 보여주고 있다.  
3월 중순 무렵부터는 러시아 은행 주도로 외환시장 자체가 문을 닫는 바람에<ref>일단은 2022년 9월까지 중단이 확정되었다.</ref> 외부 충돌이 줄어들어 폭락 직전값(100~110₽)으로 되돌아왔다. 뒤이은 3월 23일에는 서방국가의 최대 약점이기도 한 천연가스를 구매할 때 루블화 결제를 강제시키는 강경책 등을 가하는 등으로 어떻게든 가치를 최대한 끌어올리려 하였고, 실제로도 효과가 나타나 4월 6~7일 무렵엔 정말로 전쟁 이전 수준(80₽▼)까지 회복시켰다. 5월부터는 도리어 역전으로 치솟음으로서, 자원의 무기화라는게 어떤 것인지를 확실하게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상승세는 6월 말에 정점을 찍었고, 7월부터는 줄다리기에 들어갔다.


한편 일각에선 러시아의 자원 수출은 (수요처가 꾸준이 존재하므로) 어떻게든 이뤄지는 반면, 유럽-미국의 경제제제의 일환으로 러시아 내 수입이 극단적으로 줄어들어서, 자연스레 대흑자가 나타나 루블화 가치가 오를 수 밖에 없게 되었을 뿐, 이게 장기간 지속될 시엔 과거 소련 말기 때와 유사하게 만성적인 자금/상품 부족에 시달리는 상황([[포템킨 경제]])에 빠질 수 있다는 의견도 있었다. 그 예견이 유효하였는지 22년 7월부터 23년 1월까지는 줄다리기가 이어졌으나, 석유 자원 무기화 효력이 사실상 다 된 뒤로는 꾸준한 루블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일각에선 러시아의 자원 수출은 (수요처가 꾸준이 존재하므로) 어떻게든 이뤄지는 반면, 유럽-미국의 경제제제의 일환으로 러시아 내 수입이 극단적으로 줄어들어서, 자연스레 대흑자가 나타나 루블화 가치가 오를 수 밖에 없게 되었을 뿐, 이게 장기간 지속될 시엔 과거 소련 말기 때와 유사하게 만성적인 자금/상품 부족에 시달리는 상황([[포템킨 경제]])에 빠질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 환율 기록
* 환율 기록
** 2022년 5월 19일 ~ 12월 31일 : 20 ~ 24원/₽ (54 ~ 73₽/US$)
** 2022년 5월 19일 ~ 12월 19일 : 20 ~ 24원/₽ (54 ~ 62₽/US$)
** 2022년 2월 14일 ~ 3월 14일 : 7.7원 ~ 13.1원/₽ (77 ~ 134₽/US$) / 이후 5월까지 지속적 가치 상승
** 2022년 2월 14일 ~ 3월 14일 : 7.7원 ~ 13.1원/₽ (77 ~ 134₽/US$) / 이후 5월까지 지속적 가치 상승
** 14.3원/₽<small> (2020.11.01)</small>, 19.2원/₽<small> (2017.07.15)</small>, 17.9원/₽<small> (2016.06.10)</small>, 29.8원/₽<small> (2014.03.21)</small>, 35.0원/₽<small> (2012.10.19)</small>, 39.0원/₽<small> (2009.08.14)</small>, 54.1원/₽<small> (2008.11.21)</small>, 41.0원/₽<small> (2004.12.26)</small>
** 14.3원/₽<small> (2020.11.01)</small>, 19.2원/₽<small> (2017.07.15)</small>, 17.9원/₽<small> (2016.06.10)</small>, 29.8원/₽<small> (2014.03.21)</small>, 35.0원/₽<small> (2012.10.19)</small>, 39.0원/₽<small> (2009.08.14)</small>, 54.1원/₽<small> (2008.11.21)</small>, 41.0원/₽<small> (2004.12.26)</small>


== 러시아 은행 발행 ==
== 러시아 은행 발행 ==
구분상 소련의 7기 루블화의 연장선에서 시작한다. 단, 구권 р.5,000 및 р.10,000는 소련 붕괴 이후에 나타났기에 '러시아'의 이름으로 발행했다. 이 때까지의 부분은 [[소비에트 루블]]항목 참고.
구분상 소련의 7기 루블화의 연장선에서 시작한다. 단, 구권 5,000 및 10,000루블화는 소련 붕괴 이후에 나타났기에 '러시아'의 이름으로 발행했다. 이때까지의 부분은 [[소비에트 루블]]항목 참고.


=== 동전 ===
=== 동전 ===
66번째 줄: 66번째 줄:
2014년 환율 대폭락으로 러시아 국내 물가가 폭등해, 카페이카 단위 주화 전체 사실상 사장 직전에 놓였다. 실생활에서는 коп.50도 이미 푼돈취급이고, 그 미만은 땅에 떨어져도 줍지 않을 수준이 되었다.
2014년 환율 대폭락으로 러시아 국내 물가가 폭등해, 카페이카 단위 주화 전체 사실상 사장 직전에 놓였다. 실생활에서는 коп.50도 이미 푼돈취급이고, 그 미만은 땅에 떨어져도 줍지 않을 수준이 되었다.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의 여파로 소전(素錢) 수급 및 주화 주조에 차질을 빚자, 생산 중단되었던 ₽5 및 ₽10 지폐를 2023년부터 다시 찍어내 공급하고 있다.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의 여파로 소전(素錢) 수급 및 주화 주조에 차질을 빚자, 2023년부터 생산을 중단했던 ₽5 지폐를 다시 찍어내 공급하였다.


=== 21세기의 러시아 (2017, 2022~) ===
=== 21세기의 러시아 (2017, 2022~) ===
2017년 말 ₽200 및 ₽2,000 신액면을 발행했는데, 기존 판형을 유지할 것이라는 예상을 뒤엎고 신 판형으로 등장하였다. 기존 시리즈가 특정 도시를 배경으로 테마를 정했기에 이에 맞춰서 2016년 여름에 [http://xn----ctbtwbliac6kg.xn--p1ai/ 설문조사]를 치뤘다. 당시 남부지방(남부연방관구)의 도시가 없고, 크림 반도(크림연방관구)를 최근에 영입한 일도 있어서 최소 1종은 이들 지역에서 채택될 가능성이 컸으며, 그 결과로 ₽200에 [[세바스토폴]]이 확정이고, ₽2,000에는 본래 [[블라디보스토크]]가 투표에서 2위를 차지했으나 명확하지 않은 이유<ref>일설에는 이미 구 1,000루블권에 사용했었으니 일부러 제외시켰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그렇다면 처음부터 노미네이트 하지 않았을 것이다.</ref>로 3위인 [[카잔]]([[타타르스탄 공화국]]의 수도)으로 바뀌어 선정되어 발표했지만, 끝내는 도로 블라디보스토크로 바뀌어서 출시하였다. 그래도 화제의 땅인 세바스토폴이 선정된 이상, 우크라이나와 외교마찰이 더 커질 것은 이미 안 봐도 블루레이 디스크가 되었다.
2017년 말 ₽200 및 ₽2,000 신액면을 발행했는데, 기존 판형을 유지할 것이라는 예상을 뒤엎고 신 판형으로 등장하였다. 기존 시리즈가 특정 도시를 배경으로 테마를 정했기에 이에 맞춰서 2016년 여름에 [http://xn----ctbtwbliac6kg.xn--p1ai/ 설문조사]를 치뤘다. 당시 남부지방(남부연방관구)의 도시가 없고, 크림 반도(크림연방관구)를 최근에 영입한 일도 있어서 최소 1종은 이들 지역에서 채택될 가능성이 컸으며, 그 결과로 ₽200에 [[세바스토폴]]이 확정이고, ₽2,000에는 본래 [[블라디보스토크]]가 투표에서 2위를 차지했으나 명확하지 않은 이유<ref>일설에는 이미 구 1,000루블권에 사용했었으니 일부러 제외시켰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그렇다면 처음부터 노미네이트 하지 않았을 것이다.</ref>로 3위인 [[카잔]]([[타타르스탄 공화국]]의 수도)으로 바뀌어 선정되어 발표했지만, 끝내는 도로 블라디보스토크로 바뀌어서 출시하였다. 그래도 화제의 땅인 세바스토폴이 선정된 이상, 우크라이나와 외교마찰이 더 커질 것은 이미 안 봐도 블루레이 디스크가 되었다.


기존 액면을 대체하는 신권은 2019년에 발행할 것을 공고하였으나, 실제로는 2022년부터 2025년에 걸쳐서 발행하게 되었다. 허나 2022년 첫 발행 대상이던 ₽100 권종이 [[어른의 사정]]을 가진 당국의 요청으로 배포가 연기되었는데, 그 전에 일부는 이미 시중으로 <s>몰래</s> 풀려서, 수집가들 사이에서 액면가의 100 ~ 200배에 달하는 값으로 거래되었었다. 하지만 2023년 중순 즈음하여 정상 발행이 이뤄졌는지 액면가의 2배수 미만까지 도로 급락하였다.
기존 액면을 대체하는 신권은 2019년에 발행할 것을 공고하였으나, 실제로는 2022년부터 2025년에 걸쳐서 발행하게 되었다. 허나 2022년 첫 발행 대상이던 ₽100 권종이 [[어른의 사정]]을 가진 당국의 요청으로 배포가 연기되었는데, 그 전에 일부는 이미 시중으로 풀려버렸다.
 
2023년 10월 16일에 ₽1,000 및 ₽5,000, 기존 두 고액 권종이 새로 발행될 예정이었으나, ₽1,000 권종 뒷면 궁정교회(現, 타타르족 역사박물관)의 첨탑에 이슬람을 상징하는 초승달은 있고 정교회 상징의 십자가가 없다는 종교 논란으로 인해 러시아 은행이 긴급히 발행 계획을 중단하였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93번째 줄: 91번째 줄: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 style="text-align: center;" | ₽1,000 [[니즈니노브고로드]] & [[프리볼시스키 연방관구|볼가]]
| style="text-align: center;" | ₽1,000 (발행 준비 중)
| style="text-align: center;" | ₽2,000 [[블라디보스토크]]
| style="text-align: center;" | ₽2,000 [[블라디보스토크]]  
| style="text-align: center;" | ₽5,000 [[예카테린부르크]] & [[우랄 연방관구|우랄]]
| style="text-align: center;" | ₽5,000 (발행 준비 중)
| style="background-color:#A2A2A2;" |
| style="background-color:#A2A2A2;" |
|-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RUB809.jpg]]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RUB811.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RUB811.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RUB813.jpg]]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background-color:#A2A2A2;" |
| style="background-color:#A2A2A2;" |
|-
|-
| style="text-align: center;" | 니콜스카야(첨탑) & 니즈니노브고로드 크렘린 궁의 다리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루스키 다리 (동보스포루스 해협)
| style="text-align: center;" | Космодром Восточный / Мост на остров Русский
| style="text-align: center;" | 예카테린부르크 유럽-아시아 경계판(Stele) 위쪽 조형탑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background-color:#A2A2A2;" |
| style="background-color:#A2A2A2;" |
|}
|}
* 2017년 10월 13일, 우크라이나 정부가 세바스토폴을 테마로 하는 ₽200 권종 발행에 반발하여, 우크라이나 내 모든 금융기관 및 통화취급기관(우체국, 사설환전소 등을 포함)에서 ₽200 권종을 포함해 '''크림 반도를 러시아 영토로 표기하는 모든 권종의 유통을 불법'''으로 규정하는 법령을 제정하였다. 이에 따라 2014년에 발행된 ₽100 기념지폐도 자동 포함되었고, 훗날인 2018년에 발행된 러시아 월드컵 ₽100 기념권에도 뒷면에 아주 조그맣게 크림 반도가 러시아 영토로 그려진 까닭에 유통이 불법이 되었다. 허나 우크라이나 사람이라 해도 개인이 소지하는 것 자체는 딱히 불법이 아닌지라, 개인간 거래는 별 문제없이 이루어졌다.


=== 자본경제화 적응기 (1995/1998 ~ 202?) ===
=== 자본경제화 적응기 (1995/1998 ~ 202?) ===
116번째 줄: 113번째 줄: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colspan="4" | 러시아 루블 1995년판(디노미 이전, 1기 2차) / 1998년판(디노미 이후, 2기 1차)
|-
| style="background-color:#A2A2A2; width:25%;" |  
| style="background-color:#A2A2A2; width:25%;"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5%;" | [[파일:RUB221.jpg]]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5%;" | [[파일:RUB221.jpg]]
136번째 줄: 135번째 줄:
|<sup>앞면 </sup>옛 상트 페테르부르크 주식시장의 로스트랄 기둥 앞 동상 & 페트로파블롭스크 요새<br /><sup>뒷면 </sup>옛 상트페테르부르크 주식시장 건물
|<sup>앞면 </sup>옛 상트 페테르부르크 주식시장의 로스트랄 기둥 앞 동상 & 페트로파블롭스크 요새<br /><sup>뒷면 </sup>옛 상트페테르부르크 주식시장 건물
|-
|-
! colspan="4" | 러시아 루블 1995년판(디노미 이전, 1기 2차) / 1998년판(디노미 이후, 2기 1차)
! colspan="4" |  
|-
|-
|<sup>앞면 </sup>볼쇼이 극장 앞의 사두마차(四頭馬車)<br />[[볼쇼이]] 극장
|<sup>앞면 </sup>볼쇼이 극장 앞의 사두마차(四頭馬車)<br />[[볼쇼이]] 극장
156번째 줄: 155번째 줄: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RUB211.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RUB211.jpg]]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A2A2A2;"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A2A2A2;" |
|-
! colspan="4" | 러시아 루블 1995년판(디노미 이전, 1기 2차) / 1998년판(디노미 이후, 2기 1차)
|}
|}
* ₽1,000 및 ₽5,000 신권이 나올 당시에는 외국인 한정으로 디노미 이전의, 가치면으로만 1,000배 차이가 나는 동액권과 은근슬쩍 바꿔치기 하는 사기 수법이 존재했었다. 다만 세월이 흐르면서 러시아 루블의 가치가 반토막나고, 2010년대 중엽부터는 개혁 이전 권종의 잔존수량이 급감하면서 거꾸로 품귀현상이 일어났기에, 자연스레 이런 악용 사례가 사라지게 되었다.
* ₽1,000 및 ₽5,000 신권이 나올 당시에는 외국인 한정으로 디노미 이전의, 가치면으로만 1,000배 차이가 나는 동액권과 은근슬쩍 바꿔치기 하는 사기 수법이 존재했었다. 다만 세월이 흐르면서 러시아 루블의 가치가 반토막나고, 2010년대 중엽부터는 개혁 이전 권종의 잔존수량이 급감하면서 거꾸로 품귀현상이 일어났기에, 자연스레 이런 악용 사례가 사라지게 되었다.
165번째 줄: 166번째 줄:
** 2004년 개정 때 ₽10 부터 ₽1,000에 아울러 앞면에 요판잠상 기법을 도입하고, 숨은은선을 부분노출은선으로 대체하였다.
** 2004년 개정 때 ₽10 부터 ₽1,000에 아울러 앞면에 요판잠상 기법을 도입하고, 숨은은선을 부분노출은선으로 대체하였다.
** 2006년에 신 고액권 ₽5,000 권종이 추가되었다. 그러나 표기는 1997년으로 되어있는데, 당초부터 고액권 발행 계획에 있었기 때문이다.
** 2006년에 신 고액권 ₽5,000 권종이 추가되었다. 그러나 표기는 1997년으로 되어있는데, 당초부터 고액권 발행 계획에 있었기 때문이다.
** 2010년에 ₽500 ~ ₽5,000 권종에 기본적으로 부분노출은선을 보안에 강한 것으로 교체하는 개정을 가하였다. 동시에 뒷면 패턴 디자인에 복제를 어렵게 하는 무늬를 변경 적용하였다.
** 2010년에 ₽500 ~ ₽5,000 권종에 기본적으로 부분노출은선을 보안에 강한 것으로 교체하는 개정을 가하였다. 동시에 뒷면 패턴 디자인에 복제를 어렵게 하는 무늬를 변경 적용하였으며, 또한 ₽500 권종은 앞뒷면 메인 도안에도 소소한 변화를 주었다.
*** ₽500 권종 뒷면이 2010년판부터 선박을 없앤 풍경으로 바뀌었다. 사실 1995년에 최고액권인 р.500,000(훗날의 ₽500 권종)의 첫 발행을 앞둔 당시 디자이너가 '''증기선'''을 넣은 디자인으로 제출했었으나, 중앙은행 측이 '''"돛을 넣은 범선으로 바꾸라"'''<ref>앞면에 있던 바크 범선 '세도프호'는 아르한겔스크 400주년을 맞이했을 때 정박하였었다.</ref>하며 반려를 먹였고, 부랴부랴 다른 범선의 자료를 찾아 갈아끼워 넣긴 했는데, 그게 하필이면 아르헨티나 해군이 보유한 프리깃 범선 '해방호(Libertad)'였다. 당연히 그 해방호가 아르한겔스크를 방문한 적이 없었으므로, 뒤늦게나마 고증 오류로 제거된 것이다.
* 2014년 7월 8일, [[트란스니스트리아]] 자유민주당의 의원직을 하고 있던 로만 쿠디야코프<ref>트란스니스트리아는 국제법상으론 몰도바 영토로 간주되나, 실질 정치적으론 러시아권에 완전히 들어가 있고, 때문에 <s>자칭</s>자국 통화인 트란스니스트리아 루블 말고도 러시아 루블의 사용도 원활한 편이다.</ref>가 러시아 ₽100 권종(구 ₽100,000 권종) 앞면에 그려진 볼쇼이 극장 앞 사두마차에 올라 탄 아폴로(청동상)가 성기를 그대로 드러내고 있어 외설적이고 불쾌하고 미성년자 교육에 좋지 않다며 당장 도안을 바꾸라고 러시아 은행 총재에게 서한을 보낸 적이 있었다. 그러나 요청은 묵살되어서 차기 신권 시리즈의 ₽100 지폐가 나올때까지도 변경되지 않았다. 다만 정작 원본 실물 청동상에는 볼쇼이 극장 측이 좀 외설적이라 생각을 했는지 무화과잎으로 덮여져 있다.
* 2014년 7월 8일, [[트란스니스트리아]] 자유민주당의 의원직을 하고 있던 로만 쿠디야코프<ref>트란스니스트리아는 국제법상으론 몰도바 영토로 간주되나, 실질 정치적으론 러시아권에 완전히 들어가 있고, 때문에 <s>자칭</s>자국 통화인 트란스니스트리아 루블 말고도 러시아 루블의 사용도 원활한 편이다.</ref>가 러시아 ₽100 권종(구 р.100,000 권종) 앞면에 그려진 볼쇼이 극장 앞 사두마차에 올라 탄 아폴로(청동상)가 성기를 그대로 드러내고 있어 외설적이고 불쾌하고 미성년자 교육에 좋지 않다며 당장 도안을 바꾸라고 러시아 은행 총재에게 서한을 보낸 적이 있었다. 그러나 요청은 묵살되어서 차기 신권 시리즈의 ₽100 지폐가 나올때까지도 변경되지 않았다. 다만 정작 원본 실물 청동상에는 볼쇼이 극장 측이 좀 외설적이라 생각을 했는지 무화과잎으로 덮여져 있다.


=== 소련 붕괴 직후 (1993 ~ 1997) ===
=== 소련 붕괴 직후 (1993 ~ 1997) ===
180번째 줄: 180번째 줄: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5%;"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5%;" |  
|-
|-
| style="text-align: center;" | р.100
| style="text-align: center;" | ₽100
| style="text-align: center;" | р.200
| style="text-align: center;" | ₽200
| style="text-align: center;" | р.500
| style="text-align: center;" | ₽500
| style="text-align: center;" | р.1,000
| style="text-align: center;" | ₽1,000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90번째 줄: 190번째 줄: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A2A2A2;"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A2A2A2;" |
|-
|-
| style="text-align: center;" | р.5,000
| style="text-align: center;" | ₽5,000
| style="text-align: center;" | р.10,000
| style="text-align: center;" | ₽10,000
| style="text-align: center;" | р.50,000
| style="text-align: center;" | ₽50,000
|}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