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오스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나라 정보
{{나라 정보
|나라이름    = 라오인민민주공화국
| 나라 이름 = 라오 인민 민주 공화국
|원어이름    = ສາທາລະນະລັດ ປະຊາທິປະໄຕ ປະຊາຊົນລາວ
| 다른 이름 = ສາທາລະນະລັດ ປະຊາທິປະໄຕ ປະຊາຊົນລາວ
|존속연도    =
| 국기 = Flag of Laos.svg
|국기       = Flag of Laos.svg
| 국기 이름 = 라오스 국기
|국기설명    = 라오스 국기
| 국장 = Emblem of Laos.svg-1-.png
|국장       = Emblem of Laos.svg
| 공식 명칭 =  
|국장설명    =  
| 공용어 = 라오어
|지도        = Laos (orthographic projection).svg
| 수도 = 비엔티안
|지도설명    =  
| 표어 = ສັນຕິພາບ ເອກະລາດ ປະຊາທິປະໄຕ ເອກະພາບ ວັດທະນະຖາວອນ
|표어       = 평화, 독립, 민주주의, 통일과 번성<br />(ສັນຕິພາບ ເອກະລາດ ປະຊາທິປະໄຕ ເອກະພາບ ວັດທະນະຖາວອນ)
| 표어 설명 = 평화, 독립, 민주주의, 통일과 번성
|국가       = 라오스의 국가
| 국가 = 라오스의 국가
|수도        = 비엔티안
| 국화 =
|공용어      = 라오어
| 국교 =
|국어        =  
| 인구 = 6,500,000
|국교        =  
| 인구 순위 = 104
|정부유형    = [[일당제]] [[사회주의 국가]]
| 인구 밀도 = 25
|군주        =  
| 인구 밀도 순위 = 177
|수반 직책  =  
| 면적 = 236,800
|수반        =  
| 면적 순위 = 84
|부수반 직책 =  
| 시간대 =  
|부수반      =  
| 정부 형태 = [[일당제]] [[사회주의 국가]]
|입법부      =  
| 지도자 직함1 = 국가주석
|인구        = 6,500,000
| 지도자 이름1 = 분냥 워라찓
|인구밀도    = 25
| 지도자 직함2 = 총리
|인구 연도  =  
| 지도자 이름2 = 통룬 씨쑬릳
|면적        = 236,800
| 지도자 직함3 = 국가부주석
|면적 연도  =  
| 지도자 이름3 = 판캄 위파완
|GDP PPP     =  
| 지도자 직함4 =  
|GDP PPP 1인 =  
| 지도자 이름4 =
|GDP        =  
| 지도자 직함5 =
|GDP 1인    =  
| 지도자 이름5 =
|GDP 연도    =  
| 지도자 직함6 =
|화폐        = [[라오스 킵|킵]]
| 지도자 이름6 =
|시간대      =  
| 유통 화폐 = [[라오스 킵]]
|ISO        = 418, LA, LAO
| 수입 =  
|국가도메인  = .la
| 수입 순위 =  
|국제전화    =  
| 수출 =  
|이전나라    =  
| 수출 순위 =  
|이후나라    =  
| 명목 GDP =  
|비고        =  
| 명목 GDP 순위 =
| 명목 1인당 =
| 명목 1인당 순위 =
| PPP GDP =  
| PPP GDP 순위 =
| PPP 1인당 =
| PPP 1인당 순위 =  
| 외환보유액 =
| 외환보유 순위 =
| 평가기관1 =
| 신용등급1 =
| 평가기관2 =
| 신용등급2 =
| 평가기관3 =
| 신용등급3 =
| 평가기관4 =
| 신용등급4 =  
| 평가기관5 =  
| 신용등급5 =  
| 평가기관6 =  
| 신용등급6 =
| 평가기관7 =  
| 신용등급7 =  
| 평가기관8 =  
| 신용등급8 =  
| ISO =  
| 국가 도메인 =  
| 국제전화번호 =
}}
}}
'''라오스'''는 인도차이나 반도에 위치한 국가로, [[동남아시아]]의 유일한 [[내륙국]]이다. 인구는 2013년 기준으로 약 680만 명 정도로 추정된다.
라오스는 인도차이나 반도에 위치한 국가로, [[동남아시아]]의 유일한 [[내륙국]]이다. 인구는 2013년 기준으로 약 680만명 정도로 추정된다.
 
==지리==
==지리 및 교통==
라오스는 대부분이 산악, 구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태국과의 서쪽 국경에 메콩강이 흐른다. 북동쪽 산악지방을 제외하면 몬순 기후와 열대 기후(사바나)를 넘나드는 매우 습한 기후를 보인다. 우기가 늦봄부터 늦가을까지 계속 이어질 정도로 덥고 습하여 다른 지방출신의 사람이 살기에는 많이 험난한 편. 특히 남부(태국과 베트남 사이)지역은 거의 정글에 가깝다.
라오스는 대부분이 산악, 구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타이]](태국)과의 서쪽 국경에 메콩강이 흐른다. 북동쪽 산악지방을 제외하면 몬순 기후와 열대 기후(사바나)를 넘나드는 매우 습한 기후를 보인다. 우기가 늦봄부터 늦가을까지 계속 이어질 정도로 덥고 습하여 다른 지방출신의 사람이 살기에는 많이 험난한 편. 특히 남부(태국과 [[베트남]] 사이)지역은 거의 정글에 가깝다.


=== 행정구역 ===
=== 행정구역 ===
라오스는 [[대한민국]]의 [[(행정구역)|도]](Province)에 해당하는 17개의 (ແຂວງ)과 특별시에 해당하는 나콘루앙(ນະຄອນຫຼວງ)이 있다. <ref>[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la.html CIA 월드 팩트북]</ref> 이하 단위로 시/군에 해당하는 므앙(Muang)과 동/읍/리에 해당하는 반(Ban)으로 세분화된다.
라오스는 한국의 도(Province)에 해당하는 17개의 쿠앙(Khoueng)과 특별시에 해당하는 캄펭나콘(Kampheng Nakhon)이 있다. <ref>[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la.html CIA 월드 팩트북]</ref> 이하 단위로 시/군에 해당하는 무앙(Muang)과 동/읍/리에 해당하는 반(Ban)으로 세분화된다.


지도상 라오스는 크게 수도 비엔티안이 속한 중부를 기준으로 북부와 남부로 나뉜다.
지도상 라오스는 크게 수도 비엔티안이 속한 중부를 기준으로 북부와 남부로 나뉜다.  
* 중부
* 중부
** 나콘 루앙 비엔티안 (Nakhon Louang Viangchan) - 수도 (특별시(캄펭나콘))
** 나콘 루앙 비엔티안 (Nakhon Louang Viangchan) - 수도 (특별시(캄펭나콘))
71번째 줄: 97번째 줄:
** 앗따뿌 (attapu)
** 앗따뿌 (attapu)
** 참빠삭 (Champasak)
** 참빠삭 (Champasak)
=== 철도 ===
2021년 12월 3일에 라오스의 '''첫 철도'''노선이자 국제선 및 고속선이기도 하는 [[중라오철도|라오중철도]](ລົດໄຟລາວ-ຈີນ<sup>롯파이라오칭</sup>)<ref>중국 방향에선 당연히 중라오철도(中老铁路)로 부른다. 라오스 국내 노선만 지칭할 땐 양 끝의 역명 앞자리를 딴 모완철로(磨万铁路)라 한다.</ref>가 개통하였다. 다만 중국에서 대부분을 투자하여 건설했기에 역사가 라오스에 있어도 중국어 역명판이 크게 걸려있으며, 당연히 중국에서 개발한 타입의 고속열차가 투입되며, 티켓 구매부터 개찰 과정까지 모두 중국 철도 시스템으로 도입되었다.
라오스 내에 설치된 주요역은 다음과 같다.
* 보텐(ບໍ່ເຕັນ/磨丁, 0km) - 나뛔이(ນາເຕີຍ/纳堆, 13km) - 므엉싸이(ເມືອງໄຊ/孟赛, 67km) - 루앙프라방(ຫຼວງພະບາງ/琅勃拉邦, 167km) - 방비엥(ວັງວຽງ/万荣, 283km) - 비엔티안(ນະຄອນຫຼວງວຽງຈັນ<ref>비엔티안(ວຽງຈັນ)이 아니라 광역 명칭인 "비엔티안수도(나콘루앙비엥짠)"로 표기되어 있다.</ref>/万象, 406km)


==문화==
==문화==
83번째 줄: 103번째 줄:
==역사==
==역사==
===고대===
===고대===
{{빈 문단}}
===란상 왕국 (1354~1707)===
===란상 왕국 (1354~1707)===
{{빈 문단}}
====전기====
====전기====
1354년 라오계 귀족이었던 파 응움(Fa Ngum; ຝ້າງູ່ມ)이 [[크메르 제국]]에서 만 명의 병력을 이끌고 라오스 지방을 차례차례 정복한 뒤 란상 왕국(Lan Xang; ລ້ານຊ້າງ)<ref>흔히 란쌍 왕국으로도 불리나, 일단 [[라오어]]와 친척 관계에 있는 [[타이어]] 표기법을 참고하여 "쌍"이 아닌 "상"으로 표기하였다.</ref>를 세웠다. 그는 20년 동안 란상 왕국을 다스리며 꾸준히 영토를 넓히고 불교를 전파했으나, 계속된 전쟁에 지친 궁정 관료들이 그를 내쫓고 대신 그의 맏아들이었던 삼센타이가 왕위에 올랐다. 삼센타이는 타이-라오족과 크메르족 사이의 대립을 완화하는 데에 심혈을 기울였고, [[명나라]]로부터 란상 왕국을 인정받았다.
1354년 라오계 귀족이었던 파 응움(Fa Ngum; ຝ້າງູ່ມ)이 [[크메르 제국]]에서 만 명의 병력을 이끌고 라오스 지방을 차례차례 정복한 뒤 란상 왕국(Lan Xang; ລ້ານຊ້າງ)<ref>흔히 란쌍 왕국으로도 불리나, 일단 [[라오어]]와 친척 관계에 있는 [[타이어]] 표기법을 참고하여 "쌍"이 아닌 "상"으로 표기하였다.</ref>를 세웠다. 그는 20년 동안 란상 왕국을 다스리며 꾸준히 영토를 넓히고 불교를 전파했으나, 계속된 전쟁에 지친 궁정 관료들이 그를 내쫓고 대신 그의 맏아들이었던 삼센타이가 왕위에 올랐다. 삼센타이는 타이-라오족과 크메르족 사이의 대립을 완화하는 데에 심혈을 기울였고, [[명나라]]로부터 란상 왕국을 인정받았다.


1416년 삼센타이가 43년 동안 왕으로 다스리다 사망하다 그를 이어 란캄댕이 왕위를 이었다. 1421년 명나라가 다스리던 안남 지방에서 [[베트남]]인들이 반란을 일으키자 (람선 반란), 란캄댕은 베트남인들을 도와주기로 하고 군대를 보낸다. 그러나 란상 왕국의 군대는 무슨 이유에선지 베트남인들을 돕는 대신 명나라 군대와 한 편이 되어 반란군과 맞서 싸운다. 그러나 람선 반란이 반란군의 승리로 끝나고 다이비엣 왕국(Đại Việt)이 세워지자 란상과 다이비엣 사이의 관계는 매우 험악해진다.
1416년 삼센타이가 43년 동안 왕으로 다스리다 사망하다 그를 이어 란캄댕이 왕위를 이었다. 1421년 명나라가 다스리던 안남 지방에서 [[베트남]]인들이 반란을 일으키자 (람선 반란), 란캄댕은 베트남인들을 도와주기로 하고 군대를 보낸다. 그러나 란상 왕국의 군대는 무슨 이유에선지 베트남인들을 돕는 대신 명나라 군대와 한 편이 되어 반란군과 맞서 싸운다. 그러나 람선 반란이 반란군의 승리로 끝나고 다이비엣 왕국(Đại Việt)이 세워지자 란상과 다이비엣 사이의 관계는 매우 험악해진다.  


란캄댕이 1428년에 사망하자 란상 왕국에는 한바탕 혼란이 몰아닥친다. 1428년부터 1438년까지 여덟 명이 서로 왕위를 가지고 싸웠고, 이런 와중에 마하데비라는 정체 불명의 여성 섭정이 란상 왕국을 통치한다. 이후 1438년부터는 왕위가 아예 공석(!!!)이 되고 승려들과 고위 왕족들이 임시로 왕국을 다스린다. 이 혼란기는 1456년 차까팟이 왕위에 오르면서 일단 끝난다.
란캄댕이 1428년에 사망하자 란상 왕국에는 한바탕 혼란이 몰아닥친다. 1428년부터 1438년까지 여덟 명이 서로 왕위를 가지고 싸웠고, 이런 와중에 마하데비라는 정체 불명의 여성 섭정이 란상 왕국을 통치한다. 이후 1438년부터는 왕위가 아예 공석(!!!)이 되고 승려들과 고위 왕족들이 임시로 왕국을 다스린다. 이 혼란기는 1456년 차까팟이 왕위에 오르면서 일단 끝난다.
103번째 줄: 119번째 줄:


====중기•후기====
====중기•후기====
란상 왕국은 전쟁이 끝나자 전쟁 전의 상태로 돌아가는 데 온 힘을 쏟았고 이 덕분에 라오 문화는 매우 융성해졌다. 음악, 시, 의약 분야가 체계화되고 불교가 더 왕성하게 퍼졌다.
란상 왕국은 전쟁이 끝나자 전쟁 전의 상태로 돌아가는 데 온 힘을 쏟았고 이 덕분에 라오 문화는 매우 융성해졌다. 음악, 시, 의약 분야가 체계화되고 불교가 더 왕성하게 퍼졌다.  


1520년 재위한 포띠사랏은 불교를 국교로 지정하고 란나에서 삼장을 전달받은 뒤 1527년 민간 신앙을 금지하는 등 매우 신실한 불교 신자였다. 또한 그는 동맹국이었던 란나를 [[미얀마|버마]]와 [[태국|아유타야]]에 맞서 지원하는 등 외교도 매우 능란하게 했다. 그 덕에 포띠사랏의 아들 세타티랏은 1546년 란나의 귀족들에게 란나의 왕위를 양도받게 되었다.
1520년 재위한 포띠사랏은 불교를 국교로 지정하고 란나에서 삼장을 전달받은 뒤 1527년 민간 신앙을 금지하는 등 매우 신실한 불교 신자였다. 또한 그는 동맹국이었던 란나를 [[미얀마|버마]]와 [[태국|아유타야]]에 맞서 지원하는 등 외교도 매우 능란하게 했다. 그 덕에 포띠사랏의 아들 세타티랏은 1546년 란나의 귀족들에게 란나의 왕위를 양도받게 되었다.  


1548년 버마가 아유타야에 전쟁을 선포하자 인도차이나의 정세는 혼란에 휩싸인다. 그러나 버마가 동맹 관계를 제안했을 때 이를 내키지 않아했던 포띠사랏은 이를 거절하고 전쟁을 관망한다. 이후 1550년 포띠사랏이 사고<ref>외교관들 앞에서 란상의 위세를 보여주려 자신이 직접 참여했다가 자신이 가지고 있던 코끼리가 넘어지면서 그 밑에 깔려(...) 죽었다.</ref>로 사망한 뒤 그의 아들 세타티랏이 란상의 왕이 된다. 세타티랏은 급격히 세가 커지던 버마를 견제하기 위해 1560년 수도를 루앙쁘라방에서 비엔티안으로 옮기고 아유타야에게 접근한다. 비록 아유타야는 제2차 버마-아유타야 전쟁에서 패배하고 완전히 몰락하나 세타티랏은 지형지리를 이용한 게릴라 전법으로 버마군을 물리친다.
1548년 버마가 아유타야에 전쟁을 선포하자 인도차이나의 정세는 혼란에 휩싸인다. 그러나 버마가 동맹 관계를 제안했을 때 이를 내키지 않아했던 포띠사랏은 이를 거절하고 전쟁을 관망한다. 이후 1550년 포띠사랏이 사고<ref>외교관들 앞에서 란상의 위세를 보여주려 자신이 직접 참여했다가 자신이 가지고 있던 코끼리가 넘어지면서 그 밑에 깔려(...) 죽었다.</ref>로 사망한 뒤 그의 아들 세타티랏이 란상의 왕이 된다. 세타티랏은 급격히 세가 커지던 버마를 견제하기 위해 1560년 수도를 루앙쁘라방에서 비엔티안으로 옮기고 아유타야에게 접근한다. 비록 아유타야는 제2차 버마-아유타야 전쟁에서 패배하고 완전히 몰락하나 세타티랏은 지형지리를 이용한 게릴라 전법으로 버마군을 물리친다.
154번째 줄: 170번째 줄:


==경제==
==경제==
{{빈 문단}}
==외교==
==외교==
===대한민국과의 관계===
===대한민국과의 관계===
162번째 줄: 176번째 줄:
주한 라오스 대사관은 [[서울특별시|서울]] [[용산구]] [[한남동]]에 있다. [[도로명주소]]로는 서울시 용산구 대사관로11길 30-4 (한남동)이다.
주한 라오스 대사관은 [[서울특별시|서울]] [[용산구]] [[한남동]]에 있다. [[도로명주소]]로는 서울시 용산구 대사관로11길 30-4 (한남동)이다.


{{번역된 문서|en|History of Laos}}
{{각주}}
{{각주}}
{{아시아의 나라}}
{{틀: 국가}}
 
[[분류:아시아의 나라]]
[[분류:아시아의 나라]]
[[분류:라오스| ]]
[[분류:동남아시아]]
{{번역된 문서|en|History of Laos}}
 
{{리브레 맵스 마커|19.30314959164825|102.74809717832954|5|라오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2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