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워프햄스터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Phodopus roborovskii side.jpg|250px|섬네일|Phodopus 속의 한 종인 로보로브스키햄스터]]
'''드워프햄스터'''는 설치목 비단털쥐과 비단털쥐아과 드워프햄스터속(Phodopus)의 생물을 말한다. 정글리안햄스터(Djungarian hamster, P. sungorus), 로보로브스키햄스터(Roborovski hamster, P. roborovskii), 캠벨햄스터(Campbell hamster, P. campbelli)가 여기에 속한다.
'''드워프햄스터'''는 [[설치목]] [[비단털쥐과]] 비단털쥐아과 드워프햄스터속(''Phodopus'')의 생물을 말한다. 정글리안햄스터(Djungarian hamster, ''P. sungorus''), 로보로브스키햄스터(Roborovski hamster, ''P. roborovskii''), 캠벨햄스터(Campbell hamster, ''P. campbelli'')가 여기에 속한다.


드워프햄스터속 생물들은 모두 [[대한민국]]에서 사육되고 있으며, 그중에서 정글리안햄스터가 가장 널리 사육된다.
드워프햄스터속 생물들은 모두 국내에서 사육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정글리안햄스터가 가장 널리 사육된다.


==역사==
==역사==
정글리안햄스터는 [[1773년]]에 [[중국]] 북서부 준가얼(중가리아) 분지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1960년대]]에 [[독일]]의 [[막스 플랑크 연구소]]에서 애완용으로 선보였다.
정글리안햄스터는 1773년에 중국 북서부 준가얼(중가리아) 분지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1960년대에 독일의 막스 플랑크 연구소에서 애완용으로 선보였다.


로보로브스키햄스터는 [[1894년]]에 중국 북부의 [[고비사막]]과 [[몽골]] 주변에서 발견되었다. [[1960년대]]에 [[유럽]]에서 본격적으로 연구하였으며, [[1990년대]] 말에 여러 나라에서 애완동물로 사육하기 시작했다.
로보로브스키햄스터는 1894년에 중국 북부의 고비사막과 몽골 주변에서 발견되었다. 1960년대에 유럽에서 본격적으로 연구하였으며, 1990년대 말에 여러 나라에서 애완동물로 사육하기 시작했다.


캠벨햄스터는 [[1905년]]에 중국 북부의 [[내몽고]]에서 최초로 발견되었다. [[1961년]]에 [[소련]]의 레닌그라드 동물 학회에서 처음으로 사육했고, [[1963년]]에 [[영국]]의 런던 동물원에서 사육했고 [[1970년]]부터 애완동물로 널리 사육되었다.
캠벨햄스터는 1905년에 중국 북부의 내몽고에서 최초로 발견되었다. 1961년에 소련의 레닌그라드 동물 학회에서 처음으로 사육했고, 1963년에 영국의 런던 동물원에서 사육했고 1970년부터 애완동물로 널리 사육되었다.


==종류==
==종류==
18번째 줄: 17번째 줄:
수명은 1~3년 정도로, 더 오래 사는 경우도 있다. 야생에서의 수명은 1년 정도다.
수명은 1~3년 정도로, 더 오래 사는 경우도 있다. 야생에서의 수명은 1년 정도다.


털색은 보통 여름에 갈색이 섞인 회색이며, 겨울에는 흰색으로 변한다. 검은색 줄무늬가 척추를 따라 이마에서 엉덩이까지 이어져 있는데 이마와 어깨 사이에서 넓어진다. 배는 흰색에 가깝다. 옆구리에는 3자 무늬가 있으며, 등과 배 사이에 진한 선이 있다. 머리를 옆에서 보면 이마와 코 사이에서 매부리코처럼 살짝 꺾여 있다. 이마에는 희끄무레한 눈썹이 있다. 발에는 털이 덮여 있다.
털색은 보통 여름에 갈색이 섞인 회색이며, 겨울에는 흰색으로 변한다. 검은색 줄무늬가 척추를 따라 이마에서 엉덩이까지 이어져있는데 이마와 어깨 사이에서 넓어진다. 배는 흰색에 가깝다. 옆구리에는 3자 무늬가 있으며, 등과 배 사이에 진한 선이 있다. 머리를 옆에서 보면 이마와 코 사이에서 매부리코처럼 살짝 꺾여있다. 이마에는 희끄무레한 눈썹이 있다. 발에는 털이 덮혀있다.
 
해가 뜬 시간이 짧아지면 흰색으로 털갈이를 한다. 하지만 실내에서 사육하는 경우에는 털갈이 하는 경우를 보기 어렵다.
해가 뜬 시간이 짧아지면 흰색으로 털갈이를 한다. 하지만 실내에서 사육하는 경우에는 털갈이 하는 경우를 보기 어렵다. 돌연변이로 여름에도 털색이 희게 유지되는 펄페이드가 있으며 흔히 펄이라고 한다. 전체적으로 노란색인 푸딩, 등줄이 노란색인 펄짱, 등줄이 희미하고 등이 회색인 사파이어 등이 있다. 국내에는 다양한 품종이 없으며, 외국에서 사용하는 품종 명칭과 차이가 있다. 대부분의 품종이 원래 털무늬에서 색상만 바뀐 정도다.
돌연변이로 여름에도 털색이 희게 유지되는 펄페이드가 있으며 흔히 펄이라고 한다. 전체적으로 노란색인 푸딩, 등줄이 노란색인 펄짱, 등줄이 희미하고 등이 회색인 사파이어 등이 있다. 국내에는 다양한 품종이 없으며, 외국에서 사용하는 품종 명칭과 차이가 있다.
대부분의 품종이 원래 털무늬에서 색상만 바뀐 정도다.
http://www.minnyminny.wo.to/images/h7-03.jpg?width=200
푸딩 정글리안햄스터


카자흐스탄 동부에서 시베리아 남서부에 걸친, 수풀이 우거진 초원지대에서 서식한다.
카자흐스탄 동부에서 시베리아 남서부에 걸친, 수풀이 우거진 초원지대에서 서식한다.
포식자로부터 피하기 위해 입구가 여섯 개 정도 되는 깊은 굴을 파고 생활하며, 이러한 특성은 사육 시에도 톱밥을 파헤치고 다니는 행동으로 나타난다. 여름에는 굴 속에 이끼를 깔고, 겨울에는 보온을 위해 입구를 하나만 남기고 닫아버린다. 야생에서의 굴 속 온도는 16℃ 정도로 유지된다.
번식기가 따로 없이 4일마다 발정하여 빠른 속도로 번식할 수 있다. 짝짓기 후에 암컷은 수컷에 대해 공격적으로 행동할 수 있으며, 수컷은 그 기간 동안 다른 곳에 피신해있는다.


포식자로부터 피하기 위해 입구가 여섯 개 정도 되는 깊은 굴을 파고 생활하며, 이러한 특성은 사육 시에도 톱밥을 파헤치고 다니는 행동으로 나타난다. 여름에는 굴 속에 이끼를 깔고, 겨울에는 보온을 위해 입구를 하나만 남기고 닫아버린다. 야생에서의 굴 속 온도는 16°C 정도로 유지된다.
쉽고 빠르게 번식시킬 수 있으며, 사람을 잘 따르는 성격 때문에 현재 한국에서 키우는 드워프햄스터 중에서 숫자가 가장 많다.
번식기가 따로 없이 4일마다 발정하여 빠른 속도로 번식할 수 있다. 짝짓기 후에 암컷은 수컷에 대해 공격적으로 행동할 수 있으며, 수컷은 그 기간 동안 다른 곳에 피신해 있는다.
 
쉽고 빠르게 번식시킬 수 있으며, 사람을 잘 따르는 성격 때문에 한국에서 키우는 드워프햄스터 중에서 숫자가 가장 많다.


===로보로브스키===
===로보로브스키===
39번째 줄: 40번째 줄:
1200~1400m 고도 고지에서 2m 깊이의 굴을 파고 생활한다.
1200~1400m 고도 고지에서 2m 깊이의 굴을 파고 생활한다.


사람을 공격하는 일은 별로 없지만 겁이 많아 흔히 관상용으로 여겨진다. 낯가림이 몹시 심하기 때문에 "로보로브스키를 길들이느니 애완용 사마귀를 길들이겠다."고 할 정도로 핸들링 등의 길들이기는 어렵다. 길들이는 것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개체별 성격에 따라서 접근법이 다르기 때문에 길들이기 매우 까다롭다.
사람을 공격하는 일은 별로 없지만[1] 겁이 많아 흔히 관상용으로 여겨진다. 낯가림이 몹시 심하기 때문에 "로보로브스키를 길들이느니 애완용 사마귀를 길들이겠다."고 할 정도로 핸들링 등의 길들이기는 어렵다. 길들이는 것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개체별 성격에 따라서 접근법이 다르기 때문에 길들이기 매우 까다롭다.


대신에 다른 햄스터들과는 달리 무리생활이 비교적 원활하고 크기가 가장 작은 만큼 귀여운 면이 많아서 합사를 원하는 이들이 열대어를 기르듯 관상용으로 두세마리를 함께 기르곤 한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개체간의 성격 차이 때문에 싸우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합사는 신중히 이루어져야 한다.
대신에 다른 햄스터들과는 달리 무리생활이 비교적 원활하고 크기가 가장 작은 만큼 귀여운 면이 많아서 합사를 원하는 이들이 열대어를 기르듯 관상용으로 두세마리를 함께 기르곤 한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개체간의 성격 차이 때문에 싸우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합사는 신중히 이루어져야한다.


===캠벨===
===캠벨===
캠벨햄스터는 캠벨드워프햄스터(Campbell's dwarf hamster)라고도 불리며, 발견자인 캠벨의 이름에서 따온 이름이다. 대부분 정글리안햄스터와 유사하나, 보다 공격적이라 애완용으로의 인기는 조금 떨어진다.
캠벨햄스터는 캠벨드워프햄스터(Campbell's dwarf hamster)라고도 불리며, 발견자인 캠벨의 이름에서 따온 이름이다. 대부분 정글리안햄스터와 유사하나, 보다 공격적이라 애완용으로의 인기는 조금 떨어진다.


서식지는 중앙아시아와 시베리아의 바이칼 호수 주변과 중국 북부에서 북동부에 걸쳐져 있다. 네 개에서 여섯 개의 터널을 수평, 수직으로 연결하여 생활한다. 굴의 깊이는 최대 1m정도 되지만 보통 20~30cm정도다. 정글리안햄스터보다 추위에 더 강하다.
서식지는 중앙아시아와 시베리아의 바이칼 호수 주변과 중국 북부에서 북동부에 걸쳐져있다. 네 개에서 여섯 개의 터널을 수평, 수직으로 연결하여 생활한다. 굴의 깊이는 최대 1m정도 되지만 보통 20~30cm정도다. 정글리안햄스터보다 추위에 더 강하다.


기본색상이 정글리안햄스터와 비슷하여 혼동하기 쉽다. 가장 큰 특징은 정글리안햄스터와는 달리 캠벨햄스터가 흰색으로 털갈이하지 않는다는 것이지만, 가정에서 사육하는 경우에는 구분되지 않는다.
기본색상이 정글리안햄스터와 비슷하여 혼동하기 쉽다. 가장 큰 특징은 정글리안햄스터와는 달리 캠벨햄스터가 흰색으로 털갈이하지 않는다는 것이지만, 가정에서 사육하는 경우에는 구분되지 않는다.
56번째 줄: 57번째 줄:


==사육==
==사육==
드워프햄스터들은 [[시리아햄스터]]와는 달리 가족 단위로 이루어진 소규모 무리를 짓고 일정 기간 암수가 새끼를 공동양육한다. 하지만 야생에서와는 달리 사육되는 상황에서는 활동범위가 좁기 때문에 충분한 크기의 케이지에서 기르지 않는다면 서로 치열하게 영역 다툼을 벌인다.
드워프 햄스터들은 시리아 햄스터와는 달리 가족 단위로 이루어진 소규모 무리를 짓고 일정 기간 암수가 새끼를 공동양육한다. 하지만 야생에서와는 달리 사육되는 상황에서는 활동범위가 좁기 때문에 충분한 크기의 케이지에서 기르지 않는다면 서로 치열하게 영역 다툼을 벌인다.
또한 야생에서도 짝짓기 후에는 암컷이 수컷을 공격하며, 수컷은 암컷을 피해서 살아간다.
또한 야생에서도 짝짓기 후에는 암컷이 수컷을 공격하며, 수컷은 암컷을 피해서 살아간다.


68번째 줄: 69번째 줄:
로보로브스키햄스터는 몸집이 가장 작고 매우 빠르기 때문에, 다른 햄스터와는 달리 철창으로 된 케이지에서 키우면 쉽게 탈출해서 잡지도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기 쉽다.
로보로브스키햄스터는 몸집이 가장 작고 매우 빠르기 때문에, 다른 햄스터와는 달리 철창으로 된 케이지에서 키우면 쉽게 탈출해서 잡지도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기 쉽다.


{{각주}}
[[분류:동물]]
[[분류:햄스터]]
[[분류:애완동물]]
[[분류:포유류]]
[[분류:설치류]]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