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포레스트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충격적임}}
{{게임 정보
{{게임 정보
|게임이름 = 공포의 숲
|게임이름 = 공포의 숲
36번째 줄: 35번째 줄:
특히 후술할 요시에라는 머리귀신은 주인공이 들고 다니는 손전등의 배터리가 다 떨어져서 손전등이 꺼지고 10초가 지나면 주인공을 죽이기 때문에 작중 보이는 배터리는 무조건 먹어두도록 하자. 특히 작중 등장하는 [[미로]]와 오두막은 배터리 소모가 심하기 때문에 배터리 2~3개는 비축해두는 편이 좋다. 배터리의 잔여전류량과 배터리의 남은 갯수는 왼쪽 상단에 표시되며 나머지 스쿠터를 고치기 위한 4개의 아이템은 왼쪽 하단에 표시된다.
특히 후술할 요시에라는 머리귀신은 주인공이 들고 다니는 손전등의 배터리가 다 떨어져서 손전등이 꺼지고 10초가 지나면 주인공을 죽이기 때문에 작중 보이는 배터리는 무조건 먹어두도록 하자. 특히 작중 등장하는 [[미로]]와 오두막은 배터리 소모가 심하기 때문에 배터리 2~3개는 비축해두는 편이 좋다. 배터리의 잔여전류량과 배터리의 남은 갯수는 왼쪽 상단에 표시되며 나머지 스쿠터를 고치기 위한 4개의 아이템은 왼쪽 하단에 표시된다.


{{|P}}를 누르면 게임을 일시정지할 수 있다.
{{키눌림|P}}를 누르면 게임을 일시정지할 수 있다.


여담이지만 주인공의 스쿠터 실력이 정말 영 별로인 듯하다. 일단 이런 숲에 스쿠터가 고장나서 갇힌 것도 그렇고(...) 이 게임을 거의 다 깨고 나면 마지막으로 스쿠터를 고쳐 몰고 숲에서 나가야 하는데 주인공놈이 운전도 못하면서 쓸데없이 속도는 높게 걸어서 게임을 다 깨놓고 마지막에 스쿠터 몰다가 어이없게 죽는 경우가 많다. 침착하게 몰고 깨도록 하자.
여담이지만 주인공의 스쿠터 실력이 정말 영 별로인 듯하다. 일단 이런 숲에 스쿠터가 고장나서 갇힌 것도 그렇고(...) 이 게임을 거의 다 깨고 나면 마지막으로 스쿠터를 고쳐 몰고 숲에서 나가야 하는데 주인공놈이 운전도 못하면서 쓸데없이 속도는 높게 걸어서 게임을 다 깨놓고 마지막에 스쿠터 몰다가 어이없게 죽는 경우가 많다. 침착하게 몰고 깨도록 하자.
56번째 줄: 55번째 줄:


철창 울타리 안에서 등장하는 괴물. 생김새도 그렇고 헥헥거리는 울음소리도 그렇고 스토커랑 거의 똑같은데 눈이 없고 그래서인지 상당히 눈이 나쁘다(...) 입이 엄청 길게 찢어져 있는데 울타리 안에 들어갈 때 이벤트 때 입을 벌리며 <s>끼에엑</s>비명을 지르는 모습이 보이는데 이때가 상당히 소름끼친다. 여담이지만 움직이는 모양새로 보아 거동이 심히 불편한 듯하다(...) 제자리를 빙빙 돌면서 걷는다. 이 게임을 깨기 위해서는 스쿠터의 활주 코스를 확보하기 위해 이 철창 울타리 문을 열어놓아야 하는데 이 철창 안에 들어가려면 꼭 보아야 하는 귀신으로 사실상 이 게임을 깨려면 어쩔 수 없이 보게 되는 귀신이다.
철창 울타리 안에서 등장하는 괴물. 생김새도 그렇고 헥헥거리는 울음소리도 그렇고 스토커랑 거의 똑같은데 눈이 없고 그래서인지 상당히 눈이 나쁘다(...) 입이 엄청 길게 찢어져 있는데 울타리 안에 들어갈 때 이벤트 때 입을 벌리며 <s>끼에엑</s>비명을 지르는 모습이 보이는데 이때가 상당히 소름끼친다. 여담이지만 움직이는 모양새로 보아 거동이 심히 불편한 듯하다(...) 제자리를 빙빙 돌면서 걷는다. 이 게임을 깨기 위해서는 스쿠터의 활주 코스를 확보하기 위해 이 철창 울타리 문을 열어놓아야 하는데 이 철창 안에 들어가려면 꼭 보아야 하는 귀신으로 사실상 이 게임을 깨려면 어쩔 수 없이 보게 되는 귀신이다.
=== 요시다 ===
=== 요시다 ===
[[파일:데포몹3.png|300px]]<br />
[[파일:데포몹3.png|300px]]<br />
62번째 줄: 60번째 줄:
나이 : 17세<br />
나이 : 17세<br />


이 게임의 <s>[[히로인]]</s>등장 귀신. 게임 내에 등장하는 오두막의 주인인 건 확실한데 집에서 나갔다 다시 들어와야만 볼 수 있는 특별 몹으로 다른 귀신에게 쫓기고 있던 플레이어 입장에선 이 몹을 만나면 깜짝 놀라긴 하는데 닿아도 게임오버되지도 않고 오히려 주인공에게 공손하게 허리를 90도로 꺾어 인사하고는 친절하게 배터리 2개를 준다.<ref>[https://m.youtube.com/watch?v=CNpJxixecq8 이 영상의 7분 35초부터 등장.]</ref> 생긴 것도 이상하게 생긴 다른 귀신들과는 달리 이쪽은 생긴 것도 깔끔하고 옷차림도 정상적이어서 그냥 인간 아닌가 싶을 정도. 다만 다른 귀신에게 쫓기고 있을 때는 그냥 길막하는 장애물 느낌. 유일하게 작중에서 선한 귀신으로 자신과 마찬가지로 명량했던 미술부 선배였던 스도 렌은 기괴하고 흉폭한 괴물로 변했는데 어째서 이쪽은 그냥 선한 귀신으로 변한건지는 미스테리.
이 게임의 <s>[[히로인]]</s>등장 귀신. 게임 내에 등장하는 오두막의 주인인 건 확실한데 집에서 나갔다 다시 들어와야만 볼 수 있는 특별 몹으로 다른 귀신에게 쫓기고 있던 플레이어 입장에선 이 몹을 만나면 깜짝 놀라긴 하는데 닿아도 게임오버되지도 않고 오히려 주인공에게 공손하게 허리를 90도로 꺾어 인사하고는 친절하게 배터리 2개를 준다.<ref>[https://m.youtube.com/watch?v=CNpJxixecq8 이 영상의 7분 35초부터 등장.]</ref> 생긴 것도 좆같이 생긴 다른 귀신들과는 달리 이쪽은 생긴 것도 깔끔하고 옷차림도 정상적이어서 그냥 인간 아닌가 싶을 정도. 다만 다른 귀신에게 쫓기고 있을 때는 그냥 길막하는 장애물 느낌. 유일하게 작중에서 선한 귀신으로 자신과 마찬가지로 명량했던 미술부 선배였던 스도 렌은 기괴하고 흉폭한 괴물로 변했는데 어째서 이쪽은 그냥 선한 귀신으로 변한건지는 미스테리.


=== [[크립티드|UMA]] ===
=== [[크립티드|UMA]] ===
78번째 줄: 76번째 줄:
작중 등장하는 귀신 중 가장 골때리는 귀신. <s>전생에 주인공에게 반해서 사랑 못받고 죽은게 한이라도 된건지</s>24시간 내내 집요하게 주인공을 쫓아다닌다. 하필 생긴 것도 가장 무섭게 생겨가지고 등장할 때도 헥헥거리며 쫓아오는 다른 몹들과는 달리 섬뜩한 BGM과 함께 쫓아온다.<s>머리만 공중부양해서 쫓아온다.</s> 다만 이 BGM 덕분에 대충 이 귀신이 어딨는지 정도는 알 수 있는데 이 게임은 [[화이트데이 (게임)|화이트데이]]와는 달리 뒤를 보는 것이 불가능한데 이 BGM이 나오는 방향을 통해 대충 방향과 거리를 파악할 수 있다. 무엇보다 가장 골때리는 점은 주인공이 들고 다니는 손전등의 배터리가 다 돼서 꺼진지 10초가 지나면 100% 이 귀신이 등장. 주인공의 시야에서 바로 밑에서 나오는데 회피 불가능하며 무조건 죽기 때문에 배터리는 늘 여유롭게 챙겨놓도록 한다. 게다가 다른 괴물들과는 달리 문도 뚫기 때문에 진짜 상대하기 어렵다. 게임하다 보면 이 귀신 때문에 심장 멎을 뻔하는게 한두 번이 아니다. [[화이트데이 (게임)|화이트데이]]의 수위와 같은 기믹이라 생각하면 된다.
작중 등장하는 귀신 중 가장 골때리는 귀신. <s>전생에 주인공에게 반해서 사랑 못받고 죽은게 한이라도 된건지</s>24시간 내내 집요하게 주인공을 쫓아다닌다. 하필 생긴 것도 가장 무섭게 생겨가지고 등장할 때도 헥헥거리며 쫓아오는 다른 몹들과는 달리 섬뜩한 BGM과 함께 쫓아온다.<s>머리만 공중부양해서 쫓아온다.</s> 다만 이 BGM 덕분에 대충 이 귀신이 어딨는지 정도는 알 수 있는데 이 게임은 [[화이트데이 (게임)|화이트데이]]와는 달리 뒤를 보는 것이 불가능한데 이 BGM이 나오는 방향을 통해 대충 방향과 거리를 파악할 수 있다. 무엇보다 가장 골때리는 점은 주인공이 들고 다니는 손전등의 배터리가 다 돼서 꺼진지 10초가 지나면 100% 이 귀신이 등장. 주인공의 시야에서 바로 밑에서 나오는데 회피 불가능하며 무조건 죽기 때문에 배터리는 늘 여유롭게 챙겨놓도록 한다. 게다가 다른 괴물들과는 달리 문도 뚫기 때문에 진짜 상대하기 어렵다. 게임하다 보면 이 귀신 때문에 심장 멎을 뻔하는게 한두 번이 아니다. [[화이트데이 (게임)|화이트데이]]의 수위와 같은 기믹이라 생각하면 된다.


=== 대두 ===
=== 머리귀신(?) ===
[[파일:데포몹6.png|300px]]<br />
[[파일:데포몹6.png|300px]]<br />
공중화장실(?) 문을 열고 깜짝 등장하는 특별 몹. 움직이는 패턴은 요시에와 동일하지만 어느 정도 쫓아오다 사라진다. 이름은 후속작에 대두라 나왔기에 대두로 표기. 게임 끝나고 나오는 엔딩 크레딧에도 이 귀신의 이름은 등장하지 않았다 구버전 에서는 피눈물이 아닌 눈물을 흘리고 있었다.
공중화장실(?) 문을 열고 깜짝 등장하는 특별 몹. 움직이는 패턴은 요시에와 동일하지만 어느 정도 쫓아오다 사라진다. 이름은 도저히 알 수가 없어서 그냥 머리귀신으로 표기. 게임 끝나고 나오는 엔딩 크레딧에도 이 귀신의 이름은 등장하지 않았다.


{{주석}}
{{주석}}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2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