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항해시대 III Costa del Sol/도시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0번째 줄: 10번째 줄:
** 백과사전을 본다: 플레이어가 발견한 것과 라이벌이 발견한 것 모두 뜬다. (발견자가 별도로 기록되어 있다) 은퇴한 플레이어를 새 플레이에 영입한 경우도 반영된다.
** 백과사전을 본다: 플레이어가 발견한 것과 라이벌이 발견한 것 모두 뜬다. (발견자가 별도로 기록되어 있다) 은퇴한 플레이어를 새 플레이에 영입한 경우도 반영된다.
** 연표를 본다: 플레이어의 삶 일지가 모조리 기록되어 있다. 주로 발견, 보고에 관한 이야기.
** 연표를 본다: 플레이어의 삶 일지가 모조리 기록되어 있다. 주로 발견, 보고에 관한 이야기.
** 은퇴한다: 말 그대로 게임이 끝난다. 새 게임을 할 때 이전 플레이어 캐릭터를 라이벌 항해자로 등록할 수 있는데 기록깨기용이다.
** 은퇴한다: 말 그대로 게임이 끝난다. 새 게임을 할 때 이전 플레이어 캐릭터를 라이벌 항해자로 등록할 수 있는데 기록깨기용이다.  
** 기능: 세이브, 로드가 가능하다.
** 기능: 세이브, 로드가 가능하다.
* 도시 내 건물
* 도시 내 건물
** 성문: 모든 도시에 존재하는 건물로 육상으로 탐험을 떠나는 데 이용한다.
** 성문: 모든 도시에 존재하는 건물로 육상으로 탐험을 떠나는 데 이용한다.
29번째 줄: 30번째 줄:
=== 이베리아 ===
=== 이베리아 ===
* [[리스본]]: 포르투갈의 수도 및 포르투갈 국적의 모항. 포어 명칭은 리스보아(Lisboa).
* [[리스본]]: 포르투갈의 수도 및 포르투갈 국적의 모항. 포어 명칭은 리스보아(Lisboa).
* [[포르투|오포르토]]: Oporto. 한국어 명칭은 포르투.
* [[포르투|오포르토]]: Oporto. 한국어 명칭은 포르투.  
* [[세비야|세빌리아]]: 에스파냐의 주요도시 및 에스파니아 국적의 모항. 서어 명칭은 세비야(Sevilla).
* [[세비야|세빌리아]]: 에스파냐의 주요도시 및 에스파니아 국적의 모항. 서어 명칭은 세비야(Sevilla).
* [[카디스]]: Cadiz. 세빌리아 남서쪽 끄트머리에 있는 해안도시이자 항구도시. 실질적인 항구역할은 이곳에서 하였다.
* [[카디스]]: Cadiz. 세빌리아 남서쪽 끄트머리에 있는 해안도시이자 항구도시. 실질적인 항구역할은 이곳에서 하였다.
35번째 줄: 36번째 줄:
* [[말라가]]: 그라나다와 마찬가지.
* [[말라가]]: 그라나다와 마찬가지.
* [[코르도바]]
* [[코르도바]]
* [[라코루냐]]: La Coruna. 에스파냐 북서부 갈리시아 지방의 라코루냐 주의 주도.
* [[라코루냐]]: La Coruna. 에스파냐 북서부 갈리시아 지방의 라코루냐 주의 주도.  
* [[톨레도]]: 카스티야 라 만차의 도시이자 [[마드리드]]로 옮기기 이전의 수도.
* [[톨레도]]: 카스티야 라 만차의 도시이자 [[마드리드]]로 옮기기 이전의 수도.  
* [[발렌시아]]
* [[발렌시아]]
* [[바르셀로나]]
* [[바르셀로나]]
43번째 줄: 44번째 줄:
* [[마요르카]]: 대항해시대 2, 온라인에서는 [[팔마]]가 등장하는데 팔마가 마요르카 내에 있는 도시이다.
* [[마요르카]]: 대항해시대 2, 온라인에서는 [[팔마]]가 등장하는데 팔마가 마요르카 내에 있는 도시이다.
* [[칼리아리]]
* [[칼리아리]]
* [[세우타]]: 아프리카 문화권이지만 시대배경상 포르투갈어권이다. 훗날 에스파냐가 빼앗는다.
* [[세우타]]: 아프리카 문화권이지만 시대배경상 포르투갈어권이다. 훗날 에스파냐가 빼앗는다.  


=== 지중해 ===
=== 지중해 ===
* [[마르세유]]: 남프랑스의 주요도시.
* [[마르세유]]: 남프랑스의 주요도시.  
* [[베네치아]]: 베네치아 공화국의 수도.
* [[베네치아]]: 베네치아 공화국의 수도.  
* [[밀라노]]: 이곳에서 [[레오나르도 다 빈치]]를 만날 수 있다.
* [[밀라노]]: 이곳에서 [[레오나르도 다 빈치]]를 만날 수 있다.
* [[제노바]]
* [[제노바]]
75번째 줄: 76번째 줄:
* [[사우샘프턴]]
* [[사우샘프턴]]
* [[에든버러]]
* [[에든버러]]
* [[더블린]]: 아일랜드의 수도.
* [[더블린]]: 아일랜드의 수도.  
* [[브뤼셀]]: 벨기에의 수도인데 시대배경상 아직 벨기에가 등장하지 않는다.
* [[브뤼셀]]: 벨기에의 수도인데 시대배경상 아직 벨기에가 등장하지 않는다.
* [[앤트워프]]: 네덜란드어 명칭은 안트베르펀(Antwerpen). 게임에서는 독립하지 않았기에 스페인령이다.
* [[앤트워프]]: 네덜란드어 명칭은 안트베르펀(Antwerpen). 게임에서는 독립하지 않았기에 스페인령이다.
* [[암스테르담]]: 네덜란드의 수도.
* [[암스테르담]]: 네덜란드의 수도.  
* [[베른]]: 스위스의 수도.
* [[베른]]: 스위스의 수도.
* [[스트라스부르|스트라스부르크]]: 지금은 프랑스의 도시지만 시대배경상 신성로마제국에서 분리된 자유도시이다. 독어 명칭은 슈트라스부르크(Strassburg). 처음 프랑스에 합병된 것은 1681년이다.
* [[스트라스부르|스트라스부르크]]: 지금은 프랑스의 도시지만 시대배경상 신성로마제국에서 분리된 자유도시이다. 독어 명칭은 슈트라스부르크(Strassburg). 처음 프랑스에 합병된 것은 1681년이다.
* [[프랑크푸르트]]: 서부 독일의 주요도시.
* [[프랑크푸르트]]: 서부 독일의 주요도시.  
* [[함부르크]]
* [[함부르크]]
* [[브레멘]]
* [[브레멘]]
87번째 줄: 88번째 줄:
* [[뉘른베르크]]: 독일 바이에른주(시대상 신성로마제국)의 주요도시.
* [[뉘른베르크]]: 독일 바이에른주(시대상 신성로마제국)의 주요도시.
* [[아우크스부르크]]: Augsburg. 현재 독일 바이에른 주의 도시이며 뮌헨의 위성도시 역할을 하고 있다.
* [[아우크스부르크]]: Augsburg. 현재 독일 바이에른 주의 도시이며 뮌헨의 위성도시 역할을 하고 있다.
* [[마그데부르크]]: 독일 작센-안할트 주의 주도.
* [[마그데부르크]]: 독일 작센-안할트 주의 주도.  
* [[쾰른]]: 시대상 한자동맹의 도시이다.
* [[쾰른]]: 시대상 한자동맹의 도시이다.
* [[비엔나]]: 오스트리아의 수도. 시대배경상 합스부르크 왕가 소속.
* [[비엔나]]: 오스트리아의 수도. 시대배경상 합스부르크 왕가 소속.
94번째 줄: 95번째 줄:
* [[바르샤바]]: 폴란드의 수도. 이곳에서 [[코페르니쿠스]] 이벤트가 있다.
* [[바르샤바]]: 폴란드의 수도. 이곳에서 [[코페르니쿠스]] 이벤트가 있다.
* [[모스크바]]: 러시아의 수도.
* [[모스크바]]: 러시아의 수도.
* [[노브고르트]]: 모스크바 서북부에 있는 도시.
* [[노브고르트]]: 모스크바 서북부에 있는 도시.  
* [[쾨니히스베르크]]: 현재 러시아의 도시, 칼리닌그라드. 시대상 한자 동맹의 도시로 1525년 프로이센 공국의 수도가 된다.
* [[쾨니히스베르크]]: 현재 러시아의 도시, 칼리닌그라드. 시대상 한자 동맹의 도시로 1525년 프로이센 공국의 수도가 된다.
* [[리가]]: 현재 라트비아의 수도. 시대상 한자 동맹의 도시이다. 1581년 폴란드-리투아니아에게 점령된다.
* [[리가]]: 현재 라트비아의 수도. 시대상 한자 동맹의 도시이다. 1581년 폴란드-리투아니아에게 점령된다.
109번째 줄: 110번째 줄:
* [[몬카스트로]]: Moncastro. [[몰도바|몰다비아 공국]]의 항구도시. 현재는 우크라이나령이고 빌호로드-니스트로프스키(Bilhorod-Dnistrovskyi)로 바뀌었다.
* [[몬카스트로]]: Moncastro. [[몰도바|몰다비아 공국]]의 항구도시. 현재는 우크라이나령이고 빌호로드-니스트로프스키(Bilhorod-Dnistrovskyi)로 바뀌었다.
* [[부쿠레슈티]]: 루마니아 공국의 수도. 1459년 블라드 체페슈 왕이 세운 요새도시로 [[드라큘라|흡혈귀]] 발견물과 오버랩 된 이벤트가 준비되어 있다.
* [[부쿠레슈티]]: 루마니아 공국의 수도. 1459년 블라드 체페슈 왕이 세운 요새도시로 [[드라큘라|흡혈귀]] 발견물과 오버랩 된 이벤트가 준비되어 있다.
* [[페오도시야|카파]]: 오늘날 [[크림 공화국]] 페오도시야.
* [[페오도시야|카파]]: 오늘날 [[크림 공화국]] 페오도시야.  
* [[이스탄불]]: 오스만 투르크의 수도. 대항해시대 3 최강무기인 롱기누스의 창은 이곳 성 소피아 성당(하기아 소피아 모스크)를 발견해야 한다.
* [[이스탄불]]: 오스만 투르크의 수도. 대항해시대 3 최강무기인 롱기누스의 창은 이곳 성 소피아 성당(하기아 소피아 모스크)를 발견해야 한다.
* [[앙카라|앙골라]]: 게임에서는 아프리카 국가의 앙골라가 아닌 현 터키 수도인 앙카라의 옛 명칭인 앙고라(Angora)를 말한다.일판에서는 앙고라(アンゴラ)라고 제대로 썼는데 번역하면서 오해한 듯.
* [[앙카라|앙골라]]: 게임에서는 아프리카 국가의 앙골라가 아닌 현 터키 수도인 앙카라의 옛 명칭인 앙고라(Angora)를 말한다.일판에서는 앙고라(アンゴラ)라고 제대로 썼는데 번역하면서 오해한 듯.
* [[시노프|시높]]: Sinop. 터키 중앙북부의 항구도시로 그리스어로는 시노피.
* [[시노프|시높]]: Sinop. 터키 중앙북부의 항구도시로 그리스어로는 시노피.  
* [[트레비존드]]: 현재 터키어로 트라브존.
* [[트레비존드]]: 현재 터키어로 트라브존.  
* [[아테네]]: 그리스의 수도이지만 시대상 오스만 투르크 영역이라 이슬람 풍으로 물씬거린다.
* [[아테네]]: 그리스의 수도이지만 시대상 오스만 투르크 영역이라 이슬람 풍으로 물씬거린다.
* [[테살로니키|살로니카]]: 그리스어로 테살로니키. 시대상 오스만 투르크 영역이다.
* [[테살로니키|살로니카]]: 그리스어로 테살로니키. 시대상 오스만 투르크 영역이다.
* [[바르나]]: 불가리아 바르나 주의 주도인 항구도시.
* [[바르나]]: 불가리아 바르나 주의 주도인 항구도시.  
* [[알제]]: 알제리의 수도.
* [[알제]]: 알제리의 수도.
* [[카사블랑카]]: 대서양에 접한 모로코의 항구도시. 서어로 하얀 집(Casa + Blanca)이다. 아랍어로는 다르엘베이다(Dar-el-Beida)  
* [[카사블랑카]]: 대서양에 접한 모로코의 항구도시. 서어로 하얀 집(Casa + Blanca)이다. 아랍어로는 다르엘베이다(Dar-el-Beida)  
130번째 줄: 131번째 줄:
* [[트리폴리]]
* [[트리폴리]]
* [[튀니스]]
* [[튀니스]]
* [[타브리즈]]: Tabriz. 이란 북서부 동아제르바이잔주의 주도.
* [[타브리즈]]: Tabriz. 이란 북서부 동아제르바이잔주의 주도.  
* [[바그다드]]: 이라크의 수도.
* [[바그다드]]: 이라크의 수도.  
* [[이스파한]]: 이란 수도 테헤란의 남쪽 멀리에 있는 옛 수도. 게임에선 페르시아의 수도로 설정되어있는데 바그다드보다 소규모 도시라 바그다드 공략이 불필요하게 되었다.
* [[이스파한]]: 이란 수도 테헤란의 남쪽 멀리에 있는 옛 수도. 게임에선 페르시아의 수도로 설정되어있는데 바그다드보다 소규모 도시라 바그다드 공략이 불필요하게 되었다.
* [[시라즈]]: 이란 중남부 파르스 주의 주도.
* [[시라즈]]: 이란 중남부 파르스 주의 주도.  
* [[무스카트]]
* [[무스카트]]
* [[호르무즈]]  
* [[호르무즈]]  
143번째 줄: 144번째 줄:
=== 중앙아시아 ===
=== 중앙아시아 ===
* [[아스트라한]]: Actraxan, 러시아의 볼가 강 하구 삼각주쪽에 있는 항구도시. 하지만 접한 바다가 [[카스피해]]라서 항구이면서 항구가 아니다(...) 게임시대 당시 아스트라한 칸국의 수도로 1556년 러시아의 이반 4세에게 점령당하여 현재까지 이어진다.
* [[아스트라한]]: Actraxan, 러시아의 볼가 강 하구 삼각주쪽에 있는 항구도시. 하지만 접한 바다가 [[카스피해]]라서 항구이면서 항구가 아니다(...) 게임시대 당시 아스트라한 칸국의 수도로 1556년 러시아의 이반 4세에게 점령당하여 현재까지 이어진다.
* [[카잔]]: Kazan. 러시아 타타르스탄 자치 공화국의 수도.
* [[카잔]]: Kazan. 러시아 타타르스탄 자치 공화국의 수도.  
* [[카불]]: 아프가니스탄의 수도.
* [[카불]]: 아프가니스탄의 수도.
* [[헤라트]]: 아프가니스탄 서부 최대의 도시. [[실크로드]]의 중요 경유지였다.
* [[헤라트]]: 아프가니스탄 서부 최대의 도시. [[실크로드]]의 중요 경유지였다.
150번째 줄: 151번째 줄:
* [[우르겐치|우르겐지]]: Urgenc. 우즈베키스탄 호레즘 주의 주도. 하지만 게임에서 말하는 곳은 투르크메니스탄의 코네우르겐치(Urganj = Konje-Urgench, 옛 우르겐치)로 보인다. 호라즘 왕국의 주요도시였다.
* [[우르겐치|우르겐지]]: Urgenc. 우즈베키스탄 호레즘 주의 주도. 하지만 게임에서 말하는 곳은 투르크메니스탄의 코네우르겐치(Urganj = Konje-Urgench, 옛 우르겐치)로 보인다. 호라즘 왕국의 주요도시였다.
* [[호브드]]: 몽골 서쪽에 있는 오아시스 도시. 시대에 맞지 않게 1731년에 세워진 도시이다.
* [[호브드]]: 몽골 서쪽에 있는 오아시스 도시. 시대에 맞지 않게 1731년에 세워진 도시이다.
* [[라싸|라사]]: 사실상 티베트의 수도.
* [[라싸|라사]]: 사실상 티베트의 수도.  
* [[시빌]]
* [[시빌]]
* [[카라코룸]]: 몽골 제국의 초창기 수도 및 중국 북원왕조의 수도. 현 몽골 오보칸가이 주. 배경 시대인 16세기 초는 한 번 완파된 도시를 재건하는 도중에 해당한다.
* [[카라코룸]]: 몽골 제국의 초창기 수도 및 중국 북원왕조의 수도. 현 몽골 오보칸가이 주. 배경 시대인 16세기 초는 한 번 완파된 도시를 재건하는 도중에 해당한다.
* [[카슈카르]]: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서쪽 끝자락에 있는 도시. 중국이라기 보다는 중앙아시아에 가깝다.
* [[카슈카르]]: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서쪽 끝자락에 있는 도시. 중국이라기 보다는 중앙아시아에 가깝다.
* [[투루판|투르판]]: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도시.
* [[투루판|투르판]]: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도시.  


=== 아프리카 ===
=== 아프리카 ===
202번째 줄: 203번째 줄:
* [[바고|페구]]: 미얀마 남부, 양곤 북동부의 도시. 몽족이 지배하던 페구 왕조의 수도이다. 현 명칭은 바고(Bago)인데 이걸 미얀마어 철자의 로마자 변환으로 바꾸면 'Peh kou'라서 페구라 불렸다.
* [[바고|페구]]: 미얀마 남부, 양곤 북동부의 도시. 몽족이 지배하던 페구 왕조의 수도이다. 현 명칭은 바고(Bago)인데 이걸 미얀마어 철자의 로마자 변환으로 바꾸면 'Peh kou'라서 페구라 불렸다.
* [[말라카]]: 말레이시아의 주요도시. 도시 자체보다는 앞의 해협 때문에 인지도가 높다. 대항해시대 때 특히나 주목받은 도시이기 때문에 시리즈 전통으로 나오는 유서깊은 도시이다.
* [[말라카]]: 말레이시아의 주요도시. 도시 자체보다는 앞의 해협 때문에 인지도가 높다. 대항해시대 때 특히나 주목받은 도시이기 때문에 시리즈 전통으로 나오는 유서깊은 도시이다.
* [[아유타야]]: 태국 방콕 북쪽에 있는 고도(古都). 아유타야 왕조의 수도.
* [[아유타야]]: 태국 방콕 북쪽에 있는 고도(古都). 아유타야 왕조의 수도.  
* [[프놈펜]]: 크메르의 수도.
* [[프놈펜]]: 크메르의 수도.
* [[후에|유에]]: 베트남 중부, 응우옌 왕조의 수도인 후에(Hue).
* [[후에|유에]]: 베트남 중부, 응우옌 왕조의 수도인 후에(Hue).
211번째 줄: 212번째 줄:
* [[수라바야]]: 자바섬 동쪽 끝에 자리한 도시.
* [[수라바야]]: 자바섬 동쪽 끝에 자리한 도시.
* [[브루나이]]: 보르네오 섬 북안 중간쯤에 있는 도시.
* [[브루나이]]: 보르네오 섬 북안 중간쯤에 있는 도시.
* [[테르나테]]: 암보이나와 함께 테르나테 술탄 왕조 소속으로 [[향료 제도]](말루쿠 제도)의 거점이다.
* [[테르나테]]: 암보이나와 함께 테르나테 술탄 왕조 소속으로 [[향료 제도]](말루쿠 제도)의 거점이다.  
* [[암보이나]]: 테르나테와 함께 향료 제도(말루쿠 제도)의 거점.
* [[암보이나]]: 테르나테와 함께 향료 제도(말루쿠 제도)의 거점.  
* [[리골]]
* [[리골]]
* [[아바]]
* [[아바]]
218번째 줄: 219번째 줄:
=== 중국 ===
=== 중국 ===
* [[베이징|북경]]: 중국어명 베이징(Beijing). 대항해시대 3의 정복자로서는 [[최종보스]]에 해당한다.
* [[베이징|북경]]: 중국어명 베이징(Beijing). 대항해시대 3의 정복자로서는 [[최종보스]]에 해당한다.
* [[타이위안|태원]]: 중국어명 타이위안(Taiyuan). 산시성(동쪽)의 성도이다.
* [[타이위안|태원]]: 중국어명 타이위안(Taiyuan). 산시성(동쪽)의 성도이다.  
* [[시안|서안]]: 중국어명 시안(Xi'an). 중국 7대 고도 중 하나로, 대항해3 시점보다 더 과거에는 창안(長安(장안))이라 불렸던 곳이다.
* [[시안|서안]]: 중국어명 시안(Xi'an). 중국 7대 고도 중 하나로, 대항해3 시점보다 더 과거에는 창안(長安(장안))이라 불렸던 곳이다.
* [[카이펑|개봉]]: 중국어명 카이펑(Kaipeng). 중국 7대 고도 중 하나.
* [[카이펑|개봉]]: 중국어명 카이펑(Kaipeng). 중국 7대 고도 중 하나.
224번째 줄: 225번째 줄:
* [[난징|남경]]: 중국어명 난징(Nanjing). 베이징으로 천도하기 직전의 수도로, 실제 게임 내 대사에서 북방민족을 정벌하기 위해 천도했다는 대사를 띄운다.
* [[난징|남경]]: 중국어명 난징(Nanjing). 베이징으로 천도하기 직전의 수도로, 실제 게임 내 대사에서 북방민족을 정벌하기 위해 천도했다는 대사를 띄운다.
* [[푸저우|복주]]: 중국어명 푸저우(Fuzhou).
* [[푸저우|복주]]: 중국어명 푸저우(Fuzhou).
* [[항저우|항주]]: 중국어명 항저우(Hangzhou).
* [[항저우|항주]]: 중국어명 항저우(Hangzhou).  
* [[청두|성도]]: 중국어명 청두(Chengdu). [[쓰촨성]]의 성도이다.
* [[청두|성도]]: 중국어명 청두(Chengdu). [[쓰촨성]]의 성도이다.
* [[구이린|계림]]: 중국어명 구이린(Guilin).
* [[구이린|계림]]: 중국어명 구이린(Guilin).
231번째 줄: 232번째 줄:
* [[요동]]
* [[요동]]
* [[천주]]
* [[천주]]
* [[광저우|광주]]: 중국어명 광저우(Gwangzhou).
* [[광저우|광주]]: 중국어명 광저우(Gwangzhou).  
* [[마카오|오문]]: 중국어명 아오먼(Aomen), 포어명 마카우(Macao). 처음엔 없는 도시였다가 중국을 발견하면 알아서 뚫리고, 아니면 누군가 중국을 발견한 후 사신 이벤트로도 뚫을 수 있다.
* [[마카오|오문]]: 중국어명 아오먼(Aomen), 포어명 마카우(Macao). 처음엔 없는 도시였다가 중국을 발견하면 알아서 뚫리고, 아니면 누군가 중국을 발견한 후 사신 이벤트로도 뚫을 수 있다.
* [[윈난|운남]]: 중국어명 윈난(Yunnan). 도시명이 아닌 지역명으로 성도는 [[쿤밍]](곤명)이다.
* [[윈난|운남]]: 중국어명 윈난(Yunnan). 도시명이 아닌 지역명으로 성도는 [[쿤밍]](곤명)이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