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선거구/서울특별시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제20대 총선 선거구}}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선거구를 정리한 문서이다.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선거구를 정리한 문서이다.


10번째 줄: 9번째 줄:
===종로구===
===종로구===
*청운효자동, 사직동, 삼청동, 부암동, 평창동, 무악동, 교남동, 가회동, 종로1·2·3·4가동, 종로5·6가동, 이화동, 혜화동, 창신제1동, 창신제2동, 창신제3동, 숭인제1동, 숭인제2동
*청운효자동, 사직동, 삼청동, 부암동, 평창동, 무악동, 교남동, 가회동, 종로1·2·3·4가동, 종로5·6가동, 이화동, 혜화동, 창신제1동, 창신제2동, 창신제3동, 숭인제1동, 숭인제2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class="wikitable sortable"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 1 || [[새누리당]] || [[오세훈]] || style="text-align:right;" | 33,490 ||  {{퍼센트|숫자=예|39.72|{{대한민국 정당색|새누리당}}}} ||
| 1 || [[새누리당]] || [[오세훈]] || || ||
|-
|-
| 2 || [[더불어민주당]] || [[정세균]] || style="text-align:right;" | 44,342 || {{퍼센트|숫자=예|52.60|{{대한민국 정당색|더불어민주당}}}} || 당선
| 2 || [[더불어민주당]] || [[정세균]] || || ||
|-
|-
| 3 || [[국민의당]] || [[박태순]] || style="text-align:right;" | 4,725 || {{퍼센트|숫자=예|5.60|{{대한민국 정당색|국민의당}}}} ||
| 3 || [[국민의당]] || [[박태순]] || || ||
|-
|-
| 4 || [[정의당]] || [[윤공규]] || style="text-align:right;" | 458 || {{퍼센트|숫자=예|0.54|{{대한민국 정당색|정의당}}}} ||
| 4 || [[정의당]] || [[윤공규]] || || ||
|-
|-
| 5 || [[노동당 (대한민국)]] || [[김한울]] || style="text-align:right;" | 353 || {{퍼센트|숫자=예|0.41|{{대한민국 정당색|노동당}}}} ||
| 5 || [[노동당 (대한민국)]] || [[김한울]] || || ||
|-
|-
| 6 || [[녹색당]] || [[하승수]] || style="text-align:right;" | 590 || {{퍼센트|숫자=예|0.69|{{대한민국 정당색|녹색당}}}} ||
| 6 || [[녹색당]] || [[하승수]] || || ||
|-
|-
| 7 || [[진리대한당]] || [[이석인]] || style="text-align:right;" | 62 || {{퍼센트|숫자=예|0.07|{{대한민국 정당색|기타}}}} ||
| 7 || [[진리대한당]] || [[이석인]] || || ||
|-
|-
| 8 || [[한나라당 (2012년)|한나라당]] || [[박종구]] || style="text-align:right;" | 56 || {{퍼센트|숫자=예|0.06|{{대한민국 정당색|한나라당2012}}}} ||
| 8 || [[한나라당 (2012)]] || [[박종구]] || || ||
|-
|-
| 9 || 무소속 || [[김대한]] || style="text-align:right;" | 123 || {{퍼센트|숫자=예|0.14|{{대한민국 정당색|무소속}}}} ||
| 9 || 무소속 || [[김대한]] || || ||
|-
|-
| 10 || 무소속 || [[이원옥]] || style="text-align:right;" | 100  || {{퍼센트|숫자=예|0.11|{{대한민국 정당색|무소속}}}} ||
| 10 || 무소속 || [[이원옥]] || || ||
|}
|}


{{^|개요}}
종로구는 '정치 1번지'로 불리는 선거구로 상징성이 매우 크다.
종로구는 '정치 1번지'로 불리는 선거구로 상징성이 매우 크다.


[[새누리당]]은 [[오세훈]] 전 서울시장을 공천했다.<ref>[http://news.donga.com/ISSUE/Vote2016/News?m=view&gid=77010147&date=20160315 <nowiki><속보></nowiki> 오세훈, ‘정치 1번지’ 종로구 공천…박진 탈락], 동아일보, 2016.03.15.</ref> [[더불어민주당]]에서 단수공천된 [[정세균]] 의원은 6선 및 종로구 재선에 도전한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3/11/0200000000AKR20160311085700001.HTML 더민주, '정세균계' 전병헌·오영식 공천탈락…107곳 발표], 연합뉴스, 2016.03.11.</ref> [[국민의당]]은 [[박태순]] 전 국민회의대외협력의원장을 공천했다.<ref>[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60316_0013961050&cID=10301&pID=10300 국민의당 4차 공천발표…서울 5곳 추가 단수공천], 뉴시스, 2016.03.16.</ref> [[정의당]]은 [[윤공규]] [[심상정]]대표 정책특보를 공천했다.
[[새누리당]]은 [[오세훈]] 전 서울시장을 공천했다.<ref>[http://news.donga.com/ISSUE/Vote2016/News?m=view&gid=77010147&date=20160315 <nowiki><속보></nowiki> 오세훈, ‘정치 1번지’ 종로구 공천…박진 탈락], 동아일보, 2016.03.15.</ref> [[더불어민주당]]에서 단수공천된 [[정세균]] 의원은 6선 및 종로구 재선에 도전한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3/11/0200000000AKR20160311085700001.HTML 더민주, '정세균계' 전병헌·오영식 공천탈락…107곳 발표], 연합뉴스, 2016.03.11.</ref> [[국민의당]]은 [[박태순]] 전 국민회의대외협력의원장을 공천했다.<ref>[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60316_0013961050&cID=10301&pID=10300 국민의당 4차 공천발표…서울 5곳 추가 단수공천], 뉴시스, 2016.03.16.</ref> [[정의당]]은 [[윤공규]] [[심상정]]대표 정책특보를 공천했다.


[[박세준]] 후보는 자신의 두 아들과 함께 무소속 예비후보로 등록했다가<ref>[http://www.tvseoul.kr/news/article.html?no=5127 박세준 종로구 예비후보, 국회 정당정치 개혁 위한 개헌 공약], TV서울, 2016.02.18.</ref> [[개혁국민신당]] 공동대표로 추대되었다.<ref>[http://m.talk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446 <nowiki>[단독]</nowiki>박세준(힐링바이오)회장, 개혁국민신당 공동대표로 추대], Talk News, 2016.02.23.</ref> 이후 박 대표와 아들들은 지역구 출마를 철회하고 박 대표만 비례대표 1번으로 출마했다. [[노동당 (대한민국)]]은 [[김한울]] 부대표가, [[녹색당]]은 [[하승수]] 공동운영위원장이 출마한다. [[진리대한당]]은 [[이석인]] 대표가 출사표를 던졌다. [[박종구]] 후보는 당초 무소속으로 예비후보 등록을 했으나 [[한나라당 (2012년)|한나라당]]에 입당했다.
[[박세준]] 후보는 자신의 두 아들과 함께 무소속 예비후보로 등록했다가<ref>[http://www.tvseoul.kr/news/article.html?no=5127 박세준 종로구 예비후보, 국회 정당정치 개혁 위한 개헌 공약], TV서울, 2016.02.18.</ref> [[개혁국민신당]] 공동대표로 추대되었다.<ref>[http://m.talk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446 <nowiki>[단독]</nowiki>박세준(힐링바이오)회장, 개혁국민신당 공동대표로 추대], Talk News, 2016.02.23.</ref> 이후 박 대표와 아들들은 지역구 출마를 철회하고 박 대표만 비례대표 1번으로 출마했다. [[노동당 (대한민국)]]은 [[김한울]] 부대표가, [[녹색당]]은 [[하승수]] 공동운영위원장이 출마한다. [[진리대한당]]은 [[이석인]] 대표가 출사표를 던졌다. [[박종구]] 후보는 당초 무소속으로 예비후보 등록을 했으나 [[한나라당 (2012)]]에 입당했다.


이밖에 [[김대한]] 후보, [[이원옥]] 후보가 무소속으로 출마한다.
이밖에 [[김대한]] 후보, [[이원옥]] 후보가 무소속으로 출마한다.
{{^|결과}}
[[더불어민주당]] [[정세균]] 의원이 [[오세훈]] 전 서울시장을 누르고 당선되었다. 정 의원은 52.7%라는 득표율을 기록했으며 오 전 시장은 39.7%를 기록했다. 이 밖에도 국민의당 [[박태순]] 후보가 참여했으나 득표율은 5.6%로 저조했다.


===중구성동구갑===
===중구성동구갑===
*응봉동, 성수1가제1동, 성수1가제2동, 성수2가제1동, 성수2가제3동, 왕십리도선동, 왕십리제2동, 행당제1동, 행당제2동, 마장동, 사근동, 송정동, 용답동
*응봉동, 성수1가제1동, 성수1가제2동, 성수2가제1동, 성수2가제3동, 왕십리도선동, 왕십리제2동, 행당제1동, 행당제2동, 마장동, 사근동, 송정동, 용답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class="wikitable sortable"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 1 || [[새누리당]] || [[김동성 (정치인)]] || style="text-align:right;" | 44,253 || {{퍼센트|숫자=예|39.39|{{대한민국 정당색|새누리당}}}} ||
| 1 || [[새누리당]] || [[김동성 (정치인)]] || || ||
|-
|-
| 2 || [[더불어민주당]] || [[홍익표]] || style="text-align:right;" | 50,630  || {{퍼센트|숫자=예|45.07|{{대한민국 정당색|더불어민주당}}}} || 당선
| 2 || [[더불어민주당]] || [[홍익표]] || || ||
|-
|-
| 3 || [[국민의당]] || [[서경선]] || style="text-align:right;" | 15,059  || {{퍼센트|숫자=예|13.40|{{대한민국 정당색|국민의당}}}} ||
| 3 || [[국민의당]] || [[서경선]] || || ||
|-
|-
| 4 || [[정의당]] || [[장지웅]] || style="text-align:right;" | 2,379  || {{퍼센트|숫자=예|2.11|{{대한민국 정당색|정의당}}}} ||
| 4 || [[정의당]] || [[장지웅]] || || ||
|}
|}


중구성동구갑 선거구는 2016년 선거구 획정으로 탄생했다. 기존 성동구을 선거구에 성수동·응봉동이 합쳐졌다.
{{^|개요}}
중구성동구갑 선서구는 2016년 선거구 획정으로 탄생했다. 기존 성동구을 선거구에 성수동·응봉동이 합쳐졌다.


[[새누리당]]에서는 당내 갈등에도 불구하고<ref>[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3/11/2016031100888.html 새누리, 내분에 3차 공천 발표 보류…이한구 "오늘 중 발표"], 조선일보, 2016.03.11.</ref> 경선 결과 발표를 강행, [[김동성 (정치인)|김동성]] 전 18대 의원을 공천했다.<ref>[http://news.donga.com/ISSUE/Vote2016/News?m=view&gid=77091340&date=20160319 ‘친이 맞대결’서 김동성 승리…새누리당 경선결과 추가 발표], 동아일보, 2016.03.19.</ref> [[더불어민주당]] [[홍익표]] 의원은 경선에서 [[장백건]] 전 서울특별시시설관리공단 상임감사를 누르고 재선에 도전한다.<ref>[http://www.yonhapnews.co.kr/politics/2016/03/17/0502000000AKR20160317000400001.HTML 이석현·추미애·도종환·홍익표 공천확정…박민수 임종석 탈락], 연합뉴스, 2016.03.17.</ref> [[정의당]]은 [[장지웅]] 정책위원회 교육팀장을 공천했다.<ref>[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189014&PAGE_CD=N0002&BLCK_NO=&CMPT_CD=M0123 청년당당 장지웅 정의당 중구성동구 갑 지역구 출마], 오마이뉴스, 2016.03.10.</ref>
[[새누리당]]에서는 당내 갈등에도 불구하고<ref>[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3/11/2016031100888.html 새누리, 내분에 3차 공천 발표 보류…이한구 "오늘 중 발표"], 조선일보, 2016.03.11.</ref> 경선 결과 발표를 강행, [[김동성 (정치인)|김동성]] 전 18대 의원을 공천했다.<ref>[http://news.donga.com/ISSUE/Vote2016/News?m=view&gid=77091340&date=20160319 ‘친이 맞대결’서 김동성 승리…새누리당 경선결과 추가 발표], 동아일보, 2016.03.19.</ref> [[더불어민주당]] [[홍익표]] 의원은 경선에서 [[장백건]] 전 서울특별시시설관리공단 상임감사를 누르고 재선에 도전한다.<ref>[http://www.yonhapnews.co.kr/politics/2016/03/17/0502000000AKR20160317000400001.HTML 이석현·추미애·도종환·홍익표 공천확정…박민수 임종석 탈락], 연합뉴스, 2016.03.17.</ref> [[정의당]]은 [[장지웅]] 정책위원회 교육팀장을 공천했다.<ref>[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189014&PAGE_CD=N0002&BLCK_NO=&CMPT_CD=M0123 청년당당 장지웅 정의당 중구성동구 갑 지역구 출마], 오마이뉴스, 2016.03.10.</ref>


이후 [[국민의당]] [[서경선]] 후보가 최종 후보등록을 했다.
이후 [[국민의당]] [[서경선]] 후보가 최종 후보등록을 했다.
{{^|결과}}
더불어민주당 [[홍익표]] 의원이 새누리당 [[김동성 (정치인)|김동성]] 전 18대 의원을 누르고 당선되었다. 홍 의원은 45.1%의 득표율을 기록했으며 김 전 의원은 39.4%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이외에도 [[국민의당]] [[서경선]] 후보는 13.4%의 득표율을 기록했고, [[정의당]] 장지웅 의원은 2.1%를 기록했다.


===중구성동구을===
===중구성동구을===
*소공동, 회현동, 명동, 필동, 장충동, 광희동, 을지로동, 신당동, 다산동, 약수동, 청구동, 신당제5동, 동화동, 황학동, 중림동, 금호1가동, 금호2·3가동, 금호4가동, 옥수동
*소공동, 회현동, 명동, 필동, 장충동, 광희동, 을지로동, 신당동, 다산동, 약수동, 청구동, 신당제5동, 동화동, 황학동, 중림동, 금호1가동, 금호2·3가동, 금호4가동, 옥수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class="wikitable sortable"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 1 || [[새누리당]] || [[지상욱]] || style="text-align:right;" | 37,981 || {{퍼센트|숫자=예|38.03|{{대한민국 정당색|새누리당}}}} || 당선
| 1 || [[새누리당]] || [[지상욱]] || || ||
|-
|-
| 2 || [[더불어민주당]] || [[이지수]] || style="text-align:right;" | 24,307 || {{퍼센트|숫자=예|24.33|{{대한민국 정당색|더불어민주당}}}} ||
| 2 || [[더불어민주당]] || [[이지수]] || || ||
|-
|-
| 3 || [[국민의당]] || [[정호준]] || style="text-align:right;" | 36,231 || {{퍼센트|숫자=예|36.27|{{대한민국 정당색|국민의당}}}} ||
| 3 || [[국민의당]] || [[정호준]] || || ||
|-
|-
| 5 || [[가자코리아]] || [[정재복]] || style="text-align:right;" | 253 || {{퍼센트|숫자=예|0.25|{{대한민국 정당색|가자코리아}}}} ||
| 5 || [[가자코리아]] || [[정재복]] || || ||
|-
|-
| 6 || [[민중연합당]] || [[김수정]] || style="text-align:right;" | 1096 || {{퍼센트|숫자=예|1.09|{{대한민국 정당색|민중연합당}}}} ||
| 6 || [[민중연합당]] || [[김수정]] || || ||
|}
|}


{{^|개요}}
[[정호준]] 의원의 지역구이다. [[더불어민주당]]은 이 선거구를 전략공천 지역으로 결정했다. 이 과정에서 [[정호준]] 의원이 공천 탈락했다. 이에 반발한 정 의원은 [[더민주]]를 탈당하여 [[국민의당]]에 입당했다. [[국민의당]]은 [[정호준]] 의원을 단수공천했다.<ref>[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60318_0013966233&cID=10301&pID=10300 국민의당, '더민주 탈당' 정호준 단수공천…박준영 경선], 뉴시스, 2016.03.18.</ref>
[[정호준]] 의원의 지역구이다. [[더불어민주당]]은 이 선거구를 전략공천 지역으로 결정했다. 이 과정에서 [[정호준]] 의원이 공천 탈락했다. 이에 반발한 정 의원은 [[더민주]]를 탈당하여 [[국민의당]]에 입당했다. [[국민의당]]은 [[정호준]] 의원을 단수공천했다.<ref>[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60318_0013966233&cID=10301&pID=10300 국민의당, '더민주 탈당' 정호준 단수공천…박준영 경선], 뉴시스, 2016.03.18.</ref>


91번째 줄: 87번째 줄:


[[가자코리아]]는 [[정재복]]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위원이 출마한다. [[개혁국민신당]]은 [[박병은]] 힐링바이오 이사가 아버지와 함께 예비후보로 등록했으나 철회했다. [[민중연합당]]은 [[김수정]] 중구·성동구 위원장이 출마한다.
[[가자코리아]]는 [[정재복]]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위원이 출마한다. [[개혁국민신당]]은 [[박병은]] 힐링바이오 이사가 아버지와 함께 예비후보로 등록했으나 철회했다. [[민중연합당]]은 [[김수정]] 중구·성동구 위원장이 출마한다.
{{^|결과}}
[[새누리당]] [[지상욱]] 의원이 [[더불어민주당]] [[이지수]] 후보와 [[국민의당]] [[정호준]] 전 의원을 꺾고 당선되었다. 지 의원은 정 전 의원과 불과 1.7% 차이의 아슬아슬한 득표율 차이를 보였다. 이외에도 [[민중연합당]]과 [[가자코리아]]에서 후보를 출마시켰지만 1% 내외의 저조한 성적을 거두며 낙선되었다.


===용산구===
===용산구===
*후암동, 용산2가동, 남영동, 청파동, 원효로제1동, 원효로제2동, 효창동, 용문동, 한강로동, 이촌제1동, 이촌제2동, 이태원제1동, 이태원제2동, 한남동, 서빙고동, 보광동
*후암동, 용산2가동, 남영동, 청파동, 원효로제1동, 원효로제2동, 효창동, 용문동, 한강로동, 이촌제1동, 이촌제2동, 이태원제1동, 이태원제2동, 한남동, 서빙고동, 보광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class="wikitable sortable"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 1 || [[새누리당]] || [[황춘자]] || style="text-align:right;" | 45,691 || {{퍼센트|숫자=예|39.91|{{대한민국 정당색|새누리당}}}} ||
| 1 || [[새누리당]] || [[황춘자]] || || ||
|-
|-
| 2 || [[더불어민주당]] || [[진영 (정치인)|진영]] || style="text-align:right;" | 48,965 || {{퍼센트|숫자=예|42.77|{{대한민국 정당색|더불어민주당}}}} || 당선
| 2 || [[더불어민주당]] || [[진영 (정치인)]] || || ||
|-
|-
| 3 || [[국민의당]] || [[곽태원]] || style="text-align:right;" | 15,805 || {{퍼센트|숫자=예|13.80|{{대한민국 정당색|국민의당}}}} ||
| 3 || [[국민의당]] || [[곽태원]] || || ||
|-
|-
| 4 || [[정의당]] || [[정연욱]] || style="text-align:right;" | 3,161 || {{퍼센트|숫자=예|2.76|{{대한민국 정당색|정의당}}}} ||
| 4 || [[정의당]] || [[정연욱]] || || ||
|-
|-
| 5 || [[민중연합당]] || [[이소영]] || style="text-align:right;" | 838 || {{퍼센트|숫자=예|0.73|{{대한민국 정당색|민중연합당}}}} ||
| 5 || [[민중연합당]] || [[이소영]] || || ||
|}
|}


{{^|개요}}


용산구가 지역구인 [[진영 (정치인)|진영]] [[새누리당]] 의원이 공천배제에 반발·탈당하여<ref>[http://the300.mt.co.kr/newsView.html?no=2016031711167624943 '기초연금 파문' 진영, 공천배제에 탈당…무소속 출마할 듯], the300, 2016.03.17.</ref>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했다.<ref>[http://the300.mt.co.kr/newsView.html?no=2016032009457669009 진영, 더민주 입당…20대 공천 첫 與→野 이동], the300, 2016.03.20.</ref> [[더민주]]는 진 의원을 용산구에 전략공천했다.<ref>[http://the300.mt.co.kr/newsView.html?no=2016032010517664554 더민주, 용산 진영·은평갑 '세월호' 박주민 등 전략공천], the300, 2016.03.20.</ref> [[새누리당]]은 대항마로 [[황춘자]] 후보를 내세웠다. [[정의당]]에서는 [[정연욱]] 후보가 출마한다.
용산구가 지역구인 [[진영 (정치인)|진영]] [[새누리당]] 의원이 공천배제에 반발·탈당하여<ref>[http://the300.mt.co.kr/newsView.html?no=2016031711167624943 '기초연금 파문' 진영, 공천배제에 탈당…무소속 출마할 듯], the300, 2016.03.17.</ref>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했다.<ref>[http://the300.mt.co.kr/newsView.html?no=2016032009457669009 진영, 더민주 입당…20대 공천 첫 與→野 이동], the300, 2016.03.20.</ref> [[더민주]]는 진 의원을 용산구에 전략공천했다.<ref>[http://the300.mt.co.kr/newsView.html?no=2016032010517664554 더민주, 용산 진영·은평갑 '세월호' 박주민 등 전략공천], the300, 2016.03.20.</ref> [[새누리당]]은 대항마로 [[황춘자]] 후보를 내세웠다. [[정의당]]에서는 [[정연욱]] 후보가 출마한다.


이밖에 [[개혁국민신당]]은 [[박병희]] 힐링바이오 이사가 아버지와 함께 예비후보로 등록했다가 출마를 철회했다. [[민중연합당]]에서는 [[이소영]] 흙수저당 용산구 위원장이 출마했다.
이밖에 [[개혁국민신당]]은 [[박병희]] 힐링바이오 이사가 아버지와 함께 예비후보로 등록했다가 출마를 철회했다. [[민중연합당]]에서는 [[이소영]] 흙수저당 용산구 위원장이 출마했다.
{{^|결과}}
[[더불어민주당]] [[진영 (정치인)|진영]] 의원이 [[새누리당]] [[황춘자]]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진 의원은 42.8%의 득표율을 기록하였다. [[국민의당]]에서는 [[곽태원]] 후보가 13.8%의 득표율을 기록하였으며, [[정의당]]과 [[민중연합당]]에도 후보가 있었으나 큰 지지를 얻지는 못하였다.


===광진구갑===
===광진구갑===
*중곡제1동, 중곡제2동, 중곡제3동, 중곡제4동, 능동, 구의제2동, 광장동, 군자동
*중곡제1동, 중곡제2동, 중곡제3동, 중곡제4동, 능동, 구의제2동, 광장동, 군자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class="wikitable sortable"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 1 || [[새누리당]] || [[정송학]] || style="text-align:right;" | 33,445 || {{퍼센트|숫자=예|37.94|{{대한민국 정당색|새누리당}}}} ||
| 1 || [[새누리당]] || [[정송학]] || || ||
|-
|-
| 2 || [[더불어민주당]] || [[전혜숙]] || style="text-align:right;" | 35,855 || {{퍼센트|숫자=예|40.67|{{대한민국 정당색|더불어민주당}}}} || 당선
| 2 || [[더불어민주당]] || [[전혜숙]] || || ||
|-
|-
| 3 || [[국민의당]] || [[임동순]] || style="text-align:right;" | 17,573 || {{퍼센트|숫자=예|19.93|{{대한민국 정당색|국민의당}}}} ||
| 3 || [[국민의당]] || [[임동순]] || || ||
|-
|-
| 5 || [[고용복지연금선진화연대]] || [[이정희]] || style="text-align:right;" | 770 || {{퍼센트|숫자=예|0.87|{{대한민국 정당색|기타}}}} ||
| 5 || [[고용복지연금선진화연대]] || [[이정희]] || || ||
|-
|-
| 6 || [[한나라당 (2012년)|한나라당]] || [[백승원]] || style="text-align:right;" | 507 || {{퍼센트|숫자=예|0.57|{{대한민국 정당색|한나라당2012}}}} ||
| 6 || [[한나라당 (2012)]] || [[백승원]] || || ||
|}
|}


[[서울 지하철 7호선]]과 [[서울 지하철 5호선]]이 만나는 [[군자역]]을 중심으로 빌라촌이 많은 선거구이다. 전체적으로 야당이 유리하다는 평이지만 광진구갑을 차지한 정당은 매번 바뀐 지역이기도 하다.
{{^|개요}}
[[서울지하철 7호선]]과 [[서울지하철 5호선]]이 만나는 [[군자역]]을 중심으로 빌라촌이 많은 선거구이다. 전체적으로 야당이 유리하다는 평이지만 광진구갑을 차지한 정당은 매번 바뀐 지역이기도 하다.


[[김한길]] [[국민의당]] 의원의 지역구로 한때 단수공천을 받았으나<ref name="gwangjingu_the300">[http://the300.mt.co.kr/newsView.html?no=2016031514187628692 <nowiki>[격전! 4·13]</nowiki>서울 광진갑·을…정치 거물들의 수성전], the300, 2016.03.16.</ref> 야권 연대 실패를 책임지겠다며 불출마를 선언했다.<ref>[http://www.hani.co.kr/arti/politics/assembly/735602.html 김한길 “연대 실패 책임지겠다” 불출마 선언], 한겨레, 2016.03.17.</ref> 그의 빈 자리는 [[임동순]] 후보가 대타로 나선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3/23/0200000000AKR20160323100300001.HTML 국민의당, 불출마 김한길 대타에 임동순…선대위 추가인선], 연합뉴스, 2016.03.23.</ref>
[[김한길]] [[국민의당]] 의원의 지역구로 한때 단수공천을 받았으나<ref name="gwangjingu_the300">[http://the300.mt.co.kr/newsView.html?no=2016031514187628692 <nowiki>[격전! 4·13]</nowiki>서울 광진갑·을…정치 거물들의 수성전], the300, 2016.03.16.</ref> 야권 연대 실패를 책임지겠다며 불출마를 선언했다.<ref>[http://www.hani.co.kr/arti/politics/assembly/735602.html 김한길 “연대 실패 책임지겠다” 불출마 선언], 한겨레, 2016.03.17.</ref> 그의 빈 자리는 [[임동순]] 후보가 대타로 나선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3/23/0200000000AKR20160323100300001.HTML 국민의당, 불출마 김한길 대타에 임동순…선대위 추가인선], 연합뉴스, 2016.03.23.</ref>


[[새누리당]]은 [[정송학]] 전 광진구청장(최종 공천)을, [[더불어민주당]]은 [[전혜숙]] 전 의원(단수 공천)을 후보로 내세웠다.
[[새누리당]]은 [[정송학]] 전 광진구청장(최종 공천)을, [[더불어민주당]]은 [[전혜숙]] 전 의원(단수 공천)을 후보로 내세웠다.  


그밖에 [[고용복지연금선진화연대]]에서는 [[이정희]] 뮤엠영어구의교습소 원장<ref>[[이정희]] 전 [[통합진보당]] 대표와 동명이인이다.</ref>이 출사표를 던졌다. 예비후보 등록 때는 무소속이었던 [[백승원]] 후보는 [[한나라당 (2012년)|한나라당]]에 입당하여 출마한다.
그밖에 [[고용복지연금선진화연대]]에서는 [[이정희]] 뮤엠영어구의교습소 원장<ref>[[이정희]] 전 [[통합진보당]] 대표와 동명이인이다.</ref>이 출사표를 던졌다. 예비후보 등록 때는 무소속이었던 [[백승원]] 후보는 [[한나라당 (2012)]]에 입당하여 출마한다.
 
{{^|결과}}
[[전혜숙]] 전 의원이 [[정송학]] 전 광진구청장을 꺾고 당선되었다. 전 의원은 40.67%의 득표율을 보였으며, 정 의원은 37.94%의 득표율을 보였다. 국민의당의 [[임동순]] 후보는 19.93%의 득표율을 얻었으며, [[고용복지연금선진화연대]]의 이정희 후보와 한나라당의 백승원 후보는 1% 내외의 지지율을 얻었다.


===광진구을===
===광진구을===
*구의제1동, 구의제3동, 자양제1동, 자양제2동, 자양제3동, 자양제4동, 화양동
*구의제1동, 구의제3동, 자양제1동, 자양제2동, 자양제3동, 자양제4동, 화양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class="wikitable sortable"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 1 || [[새누리당]] || [[정준길]] || style="text-align:right;" | 33,701 || {{퍼센트|숫자=예|37.18|{{대한민국 정당색|새누리당}}}} ||
| 1 || [[새누리당]] || [[정준길]] || || ||
|-
|-
| 2 || [[더불어민주당]] || [[추미애]] || style="text-align:right;" | 43,980 || {{퍼센트|숫자=예|48.53|{{대한민국 정당색|더불어민주당}}}} || 당선
| 2 || [[더불어민주당]] || [[추미애]] || || ||
|-
|-
| 3 || [[국민의당]] || [[황인철]] || style="text-align:right;" | 12,938 || {{퍼센트|숫자=예|14.27|{{대한민국 정당색|국민의당}}}} ||
| 3 || [[국민의당]] || [[황인철]] || || ||
|}
|}


{{^|개요}}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의원이 17대를 제외한 15·16·18·19대를 역임한 지역구이다.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의원이 17대를 제외한 15·16·18·19대를 역임한 지역구이다.


166번째 줄: 156번째 줄:


그밖에 [[친반평화통일당]] [[유윤석]] 후보가 예비후보로 등록했다가 철회했다.
그밖에 [[친반평화통일당]] [[유윤석]] 후보가 예비후보로 등록했다가 철회했다.
{{^|결과}}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의원이 [[새누리당]]의 [[정준길]] 당협의원장을 꺾고 당선되며 역임에 성공하였다. 추 의원은 48.53%의 득표율을 보였으며, 정 후보의 득표율인 37.18%를 크게 앞섰다. 한편, [[국민의당]] [[황인철]] 후보는 14.27%의 득표율을 보였다.


===동대문구갑===
===동대문구갑===
*용신동, 제기동, 청량리동, 회기동, 휘경제1동, 휘경제2동, 이문제1동, 이문제2동
*용신동, 제기동, 청량리동, 회기동, 휘경제1동, 휘경제2동, 이문제1동, 이문제2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class="wikitable sortable"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 1 || [[새누리당]] || [[허용범]] || style="text-align:right;" | 35,593 || {{퍼센트|숫자=예|38.31|{{대한민국 정당색|새누리당}}}} ||
| 1 || [[새누리당]] || [[허용범]] || || ||
|-
|-
| 2 || [[더불어민주당]] || [[안규백]] || style="text-align:right;" | 39,728 || {{퍼센트|숫자=예|42.76|{{대한민국 정당색|더불어민주당}}}} || 당선
| 2 || [[더불어민주당]] || [[안규백]] || || ||
|-
|-
| 3 || [[국민의당]] || [[김윤]] || style="text-align:right;" | 14,674 || {{퍼센트|숫자=예|15.79|{{대한민국 정당색|국민의당}}}} ||
| 3 || [[국민의당]] || [[김윤]] || || ||
|-
|-
| 4 || [[정의당]] || [[오정빈]] || style="text-align:right;" | 2,911 || {{퍼센트|숫자=예|3.13|{{대한민국 정당색|정의당}}}} ||
| 4 || [[정의당]] || [[오정빈]] || || ||
|}
|}


{{^|개요}}
[[더불어민주당]] [[안규백]] 19대 의원의 지역구로 이번 총선에서 재선을 노린다.
[[더불어민주당]] [[안규백]] 19대 의원의 지역구로 이번 총선에서 재선을 노린다.


[[새누리당]]에서는 [[허용범]] 전 국회 대변인이, [[국민의당]]에서는 [[김윤]] 후보가 출사표를 던졌다. [[정의당]]에서는 [[오정빈]] 후보가 출마한다. 허용범 후보는 지난 [[19대 총선]]에서 [[안규백]] 의원에게 패해 낙선한 바 있어 리턴 매치가 성사됐다.
[[새누리당]]에서는 [[허용범]] 전 국회 대변인이, [[국민의당]]에서는 [[김윤]] 후보가 출사표를 던졌다. [[정의당]]에서는 [[오정빈]] 후보가 출마한다. 허용범 후보는 지난 [[19대 총선]]에서 [[안규백]] 의원에게 패해 낙선한 바 있어 리턴 매치가 성사됐다.
{{^|결과}}
[[더불어민주당]]의 [[안규백]] 의원이 [[새누리당]]의 [[허용범]] 전 국회 대변인을 꺾고 당선되며 재선에 성공했다. 안 후보는 42.76%의 득표율을 보였으며, 38.31%를 보인 허 후보의 득표율을 앞섰다. 한편 [[국민의당]] [[김윤]] 후보는 15.79%의 득표율을 보였으며, [[정의당]] [[오정빈]] 후보는 3.13%의 득표율을 보였다.


===동대문구을===
===동대문구을===
*전농제1동, 전농제2동, 답십리제1동, 답십리제2동, 장안제1동, 장안제2동
*전농제1동, 전농제2동, 답십리제1동, 답십리제2동, 장안제1동, 장안제2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class="wikitable sortable"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 1 || [[새누리당]] || [[박준선]] || style="text-align:right;" | 32,765 || {{퍼센트|숫자=예|38.15|{{대한민국 정당색|새누리당}}}} ||
| 1 || [[새누리당]] || [[박준선]] || || ||
|-
|-
| 2 || [[더불어민주당]] || [[민병두]] || || || 당선
| 2 || [[더불어민주당]] || [[민병두]] || || ||
|-
|-
| 5 || [[민중연합당]] || [[윤미연]] || || ||
| 5 || [[민중연합당]] || [[윤미연]] || || ||
|}
|}


{{^|개요}}
동대문구을 선거구의 면적은 6.01㎢로 전국 선거구 중 가장 좁은 선거구로 [[2016년 선거구 획정]] 덕분에 가장 많이 비교대상이 됐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3/07/0200000000AKR20160307132700062.HTML 강원 '공룡선거구' 면적, 서울 동대문을의 '948배'], 연합뉴스, 2016.03.07.</ref>
동대문구을 선거구의 면적은 6.01㎢로 전국 선거구 중 가장 좁은 선거구로 [[2016년 선거구 획정]] 덕분에 가장 많이 비교대상이 됐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3/07/0200000000AKR20160307132700062.HTML 강원 '공룡선거구' 면적, 서울 동대문을의 '948배'], 연합뉴스, 2016.03.07.</ref>


214번째 줄: 200번째 줄:
*면목본동, 면목제2동, 면목제3·8동, 면목제4동, 면목제5동, 면목제7동, 상봉제2동, 망우제3동
*면목본동, 면목제2동, 면목제3·8동, 면목제4동, 면목제5동, 면목제7동, 상봉제2동, 망우제3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class="wikitable sortable"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 1 || [[새누리당]] || [[김진수]] || style="text-align:right;" | 26,622 || {{퍼센트|숫자=예|31.45|{{대한민국 정당색|새누리당}}}} ||
| 1 || [[새누리당]] || [[김진수]] || || ||
|-
|-
| 2 || [[더불어민주당]] || [[서용교]] || || || 당선
| 2 || [[더불어민주당]] || [[서용교]] || || ||
|-
|-
| 3 || [[국민의당]] || [[민병록]] || || ||
| 3 || [[국민의당]] || [[민병록]] || || ||
226번째 줄: 212번째 줄:
|}
|}


{{^|개요}}
[[서용교]]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지역구로 재선에 도전한다.
[[서용교]]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지역구로 재선에 도전한다.


235번째 줄: 222번째 줄:
*상봉제1동, 중화제1동, 중화제2동, 묵제1동, 묵제2동, 망우본동, 신내제1동, 신내제2동
*상봉제1동, 중화제1동, 중화제2동, 묵제1동, 묵제2동, 망우본동, 신내제1동, 신내제2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class="wikitable sortable"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 1 || [[새누리당]] || [[강동호]] || style="text-align:right;" | 41,117 || {{퍼센트|숫자=예|36.69|{{대한민국 정당색|새누리당}}}} ||
| 1 || [[새누리당]] || [[강동호]] || || ||
|-
|-
| 2 || [[더불어민주당]] || [[박홍근]] || || || 당선
| 2 || [[더불어민주당]] || [[박홍근]] || || ||
|-
|-
| 3 || [[국민의당]] || [[강원 (정치인)]] || || ||
| 3 || [[국민의당]] || [[강원 (정치인)]] || || ||
249번째 줄: 236번째 줄:
|}
|}


{{^|개요}}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지역구로 재선에 도전한다. 지난 [[19대 총선]]에서 850여표 차로 낙선한 [[강동호]] [[새누리당]] 후보가 다시 출마하면서 리턴매치가 성사됐다. [[국민의당]]은 [[강원 (정치인)]] 후보가 출마한다.<ref>[http://news.kbs.co.kr/news/view.do?ncd=3250527 초접전지 재대결 -경기 시흥갑, 중랑을], KBS, 2016.03.18.</ref>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지역구로 재선에 도전한다. 지난 [[19대 총선]]에서 850여표 차로 낙선한 [[강동호]] [[새누리당]] 후보가 다시 출마하면서 리턴매치가 성사됐다. [[국민의당]]은 [[강원 (정치인)]] 후보가 출마한다.<ref>[http://news.kbs.co.kr/news/view.do?ncd=3250527 초접전지 재대결 -경기 시흥갑, 중랑을], KBS, 2016.03.18.</ref>


[[민정기]] [[민주당 (2014년)]]후보는 예비등록을 했으나 철회했고, [[김민상]]·[[윤정화]] 후보는 각각 무소속으로 출마한다.
[[민정기]] [[민주당 (2014)]]후보는 예비등록을 했으나 철회했고, [[김민상]]·[[윤정화]] 후보는 각각 무소속으로 출마한다.


===성북구갑===
===성북구갑===
*성북동, 삼선동, 동선동, 돈암제2동, 안암동, 보문동, 정릉제1동, 정릉제2동, 정릉제3동, 정릉제4동, 길음제1동
*성북동, 삼선동, 동선동, 돈암제2동, 안암동, 보문동, 정릉제1동, 정릉제2동, 정릉제3동, 정릉제4동, 길음제1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class="wikitable sortable"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 1 || [[새누리당]] || [[정태근]] || || ||
| 1 || [[새누리당]] || [[정태근]] || || ||
|-
|-
| 2 || [[더불어민주당]] || [[유승희]] || || || 당선
| 2 || [[더불어민주당]] || [[유승희]] || || ||
|-
|-
| 3 || [[국민의당]] || [[도천수]] || || ||
| 3 || [[국민의당]] || [[도천수]] || || ||
268번째 줄: 256번째 줄:
|}
|}


{{^|개요}}


[[유승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지역구이다. 유 의원이 재선에 도전한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3/14/0200000000AKR20160314195100001.HTML 더민주, 성북갑 유승희-수원갑 이찬열-성남 중원 은수미 공천(속보)], 연합뉴스, 2016.03.14.</ref> [[새누리당]]에서는 [[정태근]] 전 의원이 출마한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3/14/0200000000AKR20160314121400001.HTML 與 서울 광진을 정준길·성북갑 정태근 공천 확정(속보)], 연합뉴스, 2016.03.14.</ref> [[국민의당]]에서는 [[도천수]] 후보가 출마한다.
[[유승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지역구이다. 유 의원이 재선에 도전한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3/14/0200000000AKR20160314195100001.HTML 더민주, 성북갑 유승희-수원갑 이찬열-성남 중원 은수미 공천(속보)], 연합뉴스, 2016.03.14.</ref> [[새누리당]]에서는 [[정태근]] 전 의원이 출마한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3/14/0200000000AKR20160314121400001.HTML 與 서울 광진을 정준길·성북갑 정태근 공천 확정(속보)], 연합뉴스, 2016.03.14.</ref> [[국민의당]]에서는 [[도천수]] 후보가 출마한다.
276번째 줄: 265번째 줄:
*돈암제1동, 길음제2동, 종암동, 월곡제1동, 월곡제2동, 장위제1동, 장위제2동, 장위제3동, 석관동
*돈암제1동, 길음제2동, 종암동, 월곡제1동, 월곡제2동, 장위제1동, 장위제2동, 장위제3동, 석관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class="wikitable sortable"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 1 || [[새누리당]] || [[김효재]] || || ||
| 1 || [[새누리당]] || [[김효재]] || || ||
|-
|-
| 2 || [[더불어민주당]] || [[기동민]] || || || 당선
| 2 || [[더불어민주당]] || [[기동민]] || || ||
|-
|-
| 3 || [[국민의당]] || [[김인원]] || || ||
| 3 || [[국민의당]] || [[김인원]] || || ||
292번째 줄: 281번째 줄:
|}
|}


{{^|개요}}
[[신계륜]] [[더불어민주당]] 4선 의원의 지역구이다. 그러나 신 의원은 [[2016년]] [[2월 24일]] [[더민주]] 현역의원 평가 결과 하위 20%에 들어 원천 공천배제(컷오프) 당했다.<ref>[http://www.hani.co.kr/arti/politics/assembly/731878.html <nowiki>[속보]</nowiki> 더민주 공천 ‘컷오프’ 문희상 유인태 신계륜 노영민 등 현역 의원 10명], 한겨레, 2016.02.24.</ref> 이에 반발한 신 의원은 탈당 후 무소속 출마를 저울질하고 있다.<ref>[http://www.nspna.com/news/?mode=view&newsid=164645 <nowiki>[20대 총선]</nowiki>서울 성북구‘을’ 신계륜, 탈당·무소속 출마 저울질], NSP통신, 2016.03.18.</ref> 신 의원이 컷오프된 자리에는 [[박원순]] 서울시장의 측근으로 알려진 [[기동민]] 전 서울시 정무부시장이 공천됐다.<Ref>[http://news.joins.com/election2016/article/19743072?cloc=joongang%7Chome%7Cnewslist1 문재인계 상당수 건지고 ‘박원순 키즈’는 기동민 빼고 전멸], 중앙일보, 2016.03.18.</ref>
[[신계륜]] [[더불어민주당]] 4선 의원의 지역구이다. 그러나 신 의원은 [[2016년]] [[2월 24일]] [[더민주]] 현역의원 평가 결과 하위 20%에 들어 원천 공천배제(컷오프) 당했다.<ref>[http://www.hani.co.kr/arti/politics/assembly/731878.html <nowiki>[속보]</nowiki> 더민주 공천 ‘컷오프’ 문희상 유인태 신계륜 노영민 등 현역 의원 10명], 한겨레, 2016.02.24.</ref> 이에 반발한 신 의원은 탈당 후 무소속 출마를 저울질하고 있다.<ref>[http://www.nspna.com/news/?mode=view&newsid=164645 <nowiki>[20대 총선]</nowiki>서울 성북구‘을’ 신계륜, 탈당·무소속 출마 저울질], NSP통신, 2016.03.18.</ref> 신 의원이 컷오프된 자리에는 [[박원순]] 서울시장의 측근으로 알려진 [[기동민]] 전 서울시 정무부시장이 공천됐다.<Ref>[http://news.joins.com/election2016/article/19743072?cloc=joongang%7Chome%7Cnewslist1 문재인계 상당수 건지고 ‘박원순 키즈’는 기동민 빼고 전멸], 중앙일보, 2016.03.18.</ref>


301번째 줄: 291번째 줄:
*번제1동, 번제2동, 수유제1동, 수유제2동, 수유제3동, 우이동, 인수동
*번제1동, 번제2동, 수유제1동, 수유제2동, 수유제3동, 우이동, 인수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class="wikitable sortable"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 1 || [[새누리당]] || [[정양석]] || || || 당선
| 1 || [[새누리당]] || [[정양석]] || || ||
|-
|-
| 2 || [[더불어민주당]] || [[천준호]] || || ||
| 2 || [[더불어민주당]] || [[천준호]] || || ||
311번째 줄: 301번째 줄:
|}
|}


{{^|개요}}
[[오영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지역구이다. 그러나 오 의원은 [[더민주]] 공천에서 탈락했다.<ref>[http://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734482.html 더민주, 3선 전병헌·오영식 공천 탈락], 한겨레, 2016.03.11.</ref> 대신 [[더민주]] 선거대책위원회에 이름을 올렸다.<ref>[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6032808293891747 더민주, 총선 불출마 전병헌·오영식·최동익 등 선대위 전진 배치], 아시아경제, 2016.03.28.</ref> [[더민주]]는 오 의원 대신 '[[박원순]] 키드'로 불리는 [[천준호]] 전 [[박원순]] 서울시장 비서실장을 공천했다.<ref>[http://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736183.html 더민주, 서울 강북갑 현역 김기식 탈락…천준호 공천확정], 한겨레, 2016.03.22.</ref>
[[오영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지역구이다. 그러나 오 의원은 [[더민주]] 공천에서 탈락했다.<ref>[http://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734482.html 더민주, 3선 전병헌·오영식 공천 탈락], 한겨레, 2016.03.11.</ref> 대신 [[더민주]] 선거대책위원회에 이름을 올렸다.<ref>[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6032808293891747 더민주, 총선 불출마 전병헌·오영식·최동익 등 선대위 전진 배치], 아시아경제, 2016.03.28.</ref> [[더민주]]는 오 의원 대신 '[[박원순]] 키드'로 불리는 [[천준호]] 전 [[박원순]] 서울시장 비서실장을 공천했다.<ref>[http://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736183.html 더민주, 서울 강북갑 현역 김기식 탈락…천준호 공천확정], 한겨레, 2016.03.22.</ref>


318번째 줄: 309번째 줄:
*삼양동, 미아동, 송중동, 송천동, 삼각산동, 번제3동
*삼양동, 미아동, 송중동, 송천동, 삼각산동, 번제3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class="wikitable sortable"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 1 || [[새누리당]] || [[안홍렬]] || || ||
| 1 || [[새누리당]] || [[안홍렬]] || || ||
|-
|-
| 2 || [[더불어민주당]] || [[박용진]] || || || 당선
| 2 || [[더불어민주당]] || [[박용진]] || || ||
|-
|-
| 3 || [[국민의당]] || [[조구성]] || || ||
| 3 || [[국민의당]] || [[조구성]] || || ||
|}
|}


{{^|개요}}
강북을은 [[유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지역구다. 그러나 [[박용진]] 전 민주당 대변인이 유 의원을 누르고 공천됐다.<ref>[http://www.hani.co.kr/arti/politics/assembly/734979.html 더민주 1차 경선…은수미 등 14명 공천 확정], 한겨레, 2016.03.15.</ref>
강북을은 [[유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지역구다. 그러나 [[박용진]] 전 민주당 대변인이 유 의원을 누르고 공천됐다.<ref>[http://www.hani.co.kr/arti/politics/assembly/734979.html 더민주 1차 경선…은수미 등 14명 공천 확정], 한겨레, 2016.03.15.</ref>


335번째 줄: 327번째 줄:
*쌍문1동, 쌍문3동, 창1동, 창2동, 창3동, 창4동, 창5동
*쌍문1동, 쌍문3동, 창1동, 창2동, 창3동, 창4동, 창5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class="wikitable sortable"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 1 || [[새누리당]] || [[이재범]] || || ||
| 1 || [[새누리당]] || [[이재범]] || || ||
|-
|-
| 2 || [[더불어민주당]] || [[인재근]] || || || 당선
| 2 || [[더불어민주당]] || [[인재근]] || || ||
|}
|}


{{^|개요}}
도봉갑은 [[2016년]] 기준 야권 우세 지역으로 [[새누리당]] 입장에서는 '험지'로 분류된다. 그러나 지난 [[19대 총선]] 정당투표에서는 [[새누리당]]이 0.51%차로 [[더불어민주당]]을 근소하게 앞선 바 있다.
도봉갑은 [[2016년]] 기준 야권 우세 지역으로 [[새누리당]] 입장에서는 '험지'로 분류된다. 그러나 지난 [[19대 총선]] 정당투표에서는 [[새누리당]]이 0.51%차로 [[더불어민주당]]을 근소하게 앞선 바 있다.


352번째 줄: 345번째 줄:
*쌍문2동, 쌍문4동, 방학1동, 방학2동, 방학3동, 도봉1동, 도봉2동
*쌍문2동, 쌍문4동, 방학1동, 방학2동, 방학3동, 도봉1동, 도봉2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class="wikitable sortable"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 1 || [[새누리당]] || [[김선동]] || || || 당선
| 1 || [[새누리당]] || [[김선동]] || || ||
|-
|-
| 2 || [[더불어민주당]] || [[오기형]] || || ||
| 2 || [[더불어민주당]] || [[오기형]] || || ||
364번째 줄: 357번째 줄:
|}
|}


{{^|개요}}
도봉을은 [[유인태]]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지역구이다. 그러나 유 의원은 [[더민주]] 현역의원 평가에 걸려 공천배제됐다. 그 빈자리를 [[오기형]] 변호사가 대신한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3/07/0200000000AKR20160307051600001.HTML 더민주, 도봉乙 오기형·분당甲 김병관·용인丁 표창원 공천], 연합뉴스, 2016.03.07.</ref>
도봉을은 [[유인태]]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지역구이다. 그러나 유 의원은 [[더민주]] 현역의원 평가에 걸려 공천배제됐다. 그 빈자리를 [[오기형]] 변호사가 대신한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3/07/0200000000AKR20160307051600001.HTML 더민주, 도봉乙 오기형·분당甲 김병관·용인丁 표창원 공천], 연합뉴스, 2016.03.07.</ref>


372번째 줄: 366번째 줄:
===노원구갑===
===노원구갑===
*[[월계동 (서울)|월계1동]], [[월계동 (서울)|월계2동]], [[월계동 (서울)|월계3동]], [[공릉동|공릉1동]], [[공릉동|공릉2동]]
*[[월계동 (서울)|월계1동]], [[월계동 (서울)|월계2동]], [[월계동 (서울)|월계3동]], [[공릉동|공릉1동]], [[공릉동|공릉2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class="wikitable sortable"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 1 || [[새누리당]] || [[이노근]] || || ||
| 1 || [[새누리당]] || [[이노근]] || || ||
|-
|-
| 2 || [[더불어민주당]] || [[고용진]] || || || 당선
| 2 || [[더불어민주당]] || [[고용진]] || || ||
|-
|-
| 3 || [[국민의당]] || [[이형남]] || || ||
| 3 || [[국민의당]] || [[이형남]] || || ||
|}
|}
{{^|개요}}
현역인 [[새누리당]] [[이노근]] 의원 vs 2명의 야권 후보가 나서면서 1여2야가 되는 모양새가 되었다. 이 동네는 역대 선거에서 전형적인 스윙보트 지역으로 보수-진보의 표심이 엎치락 뒤치락하는 양상을 보여왔던 곳이다.
현역인 [[새누리당]] [[이노근]] 의원 vs 2명의 야권 후보가 나서면서 1여2야가 되는 모양새가 되었다. 이 동네는 역대 선거에서 전형적인 스윙보트 지역으로 보수-진보의 표심이 엎치락 뒤치락하는 양상을 보여왔던 곳이다.


386번째 줄: 381번째 줄:


당초에는 1여3야 형세였으나 [[김관철]] [[정의당]] 예비후보가 등록을 하지 않으면서 1여2야 구도가 됐다.
당초에는 1여3야 형세였으나 [[김관철]] [[정의당]] 예비후보가 등록을 하지 않으면서 1여2야 구도가 됐다.
{{^|결과}}
다른 노원구 지역구들이 일찍 당선자를 확정지은데 비해 상대적으로 박빙에 가까운 승부가 펼쳐졌다. 한 가지 특이한 점은 동별로 1위 후보가 갈렸다는 점인데 중랑천 서편의 [[월계동 (서울)|월계동]] 일대에서는 이노근후보가 승리하였으나 동편의 [[공릉동]] 지역에서는 고용진후보가 1위를 차지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는 월계동쪽은 석계역쪽의 교통문제와 [[광운대역]] 지하화 문제, 그리고 일부 슬럼화되어있는 동네의 재개발 문제 등이 걸려있는 것이 이노근 후보에게 표를 준 요인으로 보이며, 중랑천 건너편에서는 구 경춘선 폐선부지의 [[행복주택]] 지정 문제에 있어서 공릉동 주민들의 형평성 제기 문제{{ㅈ|양천구, 송파구는 지정해제가 되었으나 공릉동은 그대로 묶여있다}}와 이로 인한 개발 자체의 지연과 북부지검 이전부지 활용 문제가 지지부진한 점 등이 현역이었던 이노근 후보에 대한 심판으로 작용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노원구을===
===노원구을===
*하계1동, 하계2동, 중계본동, 중계1동, 중계2·3동, 중계4동, 상계6·7동
*하계1동, 하계2동, 중계본동, 중계1동, 중계2·3동, 중계4동, 상계6·7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class="wikitable sortable"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 1 || [[새누리당]] || [[홍범식]] || || ||
| 1 || [[새누리당]] || [[홍범식]] || || ||
|-
|-
| 2 || [[더불어민주당]] || [[우원식]] || || || 당선
| 2 || [[더불어민주당]] || [[우원식]] || || ||
|-
|-
| 3 || [[국민의당]] || [[황상모]] || || ||
| 3 || [[국민의당]] || [[황상모]] || || ||
|}
|}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의원의 선거구이자 야권 우세 지역이다. 우 의원은 재선에 도전하며 [[새누리당]] [[홍범식]] 후보도 나선다. [[국민의당]]에서도 [[황상모]] 후보를 내놓으며 1여 2야 구도가 되었다.


===노원구병===
===노원구병===
*상계1동, 상계2동, 상계3·4동, 상계5동, 상계8동, 상계9동, 상계10동
*상계1동, 상계2동, 상계3·4동, 상계5동, 상계8동, 상계9동, 상계10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class="wikitable sortable"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 1 || [[새누리당]] || [[이준석 (정치인)]] || || ||
| 1 || [[새누리당]] || [[이준석 (정치인)]] || || ||
413번째 줄: 405번째 줄:
| 2 || [[더불어민주당]] || [[황창화]] || || ||
| 2 || [[더불어민주당]] || [[황창화]] || || ||
|-
|-
| 3 || [[국민의당]] || [[안철수]] || || || 당선
| 3 || [[국민의당]] || [[안철수]] || || ||
|-
|-
| 4 || [[정의당]] || [[주희준]] || || ||
| 4 || [[정의당]] || [[주희준]] || || ||
422번째 줄: 414번째 줄:
|}
|}


{{^|개요}}
[[안철수]] [[국민의당]] 공동대표의 지역구이다.
[[안철수]] [[국민의당]] 공동대표의 지역구이다.


429번째 줄: 422번째 줄:
*녹번동, 응암제1동, 응암제2동, 응암제3동, 역촌동, 신사제1동, 신사제2동, 증산동, 수색동
*녹번동, 응암제1동, 응암제2동, 응암제3동, 역촌동, 신사제1동, 신사제2동, 증산동, 수색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class="wikitable sortable"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 1 || [[새누리당]] || [[최홍재]] || || ||
| 1 || [[새누리당]] || [[최홍재]] || || ||
|-
|-
| 2 || [[더불어민주당]] || [[박주민]] || || || 당선
| 2 || [[더불어민주당]] || [[박주민]] || || ||
|-
|-
| 3 || [[국민의당]] || [[김신호]] || || ||
| 3 || [[국민의당]] || [[김신호]] || || ||
444번째 줄: 437번째 줄:
*불광제1동, 불광제2동, 갈현제1동, 갈현제2동, 구산동, 대조동, 진관동
*불광제1동, 불광제2동, 갈현제1동, 갈현제2동, 구산동, 대조동, 진관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class="wikitable sortable"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 2 || [[더불어민주당]] || [[강병원]] || || || 당선
| 2 || [[더불어민주당]] || [[강병원]] || || ||
|-
|-
| 3 || [[국민의당]] || [[고연호]] || || ||
| 3 || [[국민의당]] || [[고연호]] || || ||
453번째 줄: 446번째 줄:
| 4 || [[정의당]] || [[김제남]] || || ||
| 4 || [[정의당]] || [[김제남]] || || ||
|-
|-
| 5 || [[민주당 (2014년)]] || [[이강무]] || || ||
| 5 || [[민주당 (2014)]] || [[이강무]] || || ||
|-
|-
| 6 || [[민중연합당]] || [[유지훈]] || || ||
| 6 || [[민중연합당]] || [[유지훈]] || || ||
462번째 줄: 455번째 줄:
|}
|}


{{^|개요}}
[[이재오]] 의원의 지역구다.
[[이재오]] 의원의 지역구다.


467번째 줄: 461번째 줄:
*충현동, 천연동, 북아현동, 신촌동, 연희동, 홍제제1동, 홍제제2동
*충현동, 천연동, 북아현동, 신촌동, 연희동, 홍제제1동, 홍제제2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class="wikitable sortable"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 1 || [[새누리당]] || [[이성헌]] || || ||
| 1 || [[새누리당]] || [[이성헌]] || || ||
|-
|-
| 2 || [[더불어민주당]] || [[우상호]] || || || 당선
| 2 || [[더불어민주당]] || [[우상호]] || || ||
|-
|-
| 5 || [[민주당 (2014년)]] || [[이종화]] || || ||
| 5 || [[민주당 (2014)]] || [[이종화]] || || ||
|-
|-
| 6 || [[녹색당]] || [[김영준]] || || ||
| 6 || [[녹색당]] || [[김영준]] || || ||
482번째 줄: 476번째 줄:
*홍제제3동, 홍은제1동, 홍은제2동, 남가좌제1동, 남가좌제2동, 북가좌제1동, 북가좌제2동
*홍제제3동, 홍은제1동, 홍은제2동, 남가좌제1동, 남가좌제2동, 북가좌제1동, 북가좌제2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class="wikitable sortable"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 1 || [[새누리당]] || [[정두언]] || || ||
| 1 || [[새누리당]] || [[정두언]] || || ||
|-
|-
| 2 || [[더불어민주당]] || [[김영호]] || || || 당선
| 2 || [[더불어민주당]] || [[김영호]] || || ||
|-
|-
| 3 || [[국민의당]] || [[홍성덕]] || || ||
| 3 || [[국민의당]] || [[홍성덕]] || || ||
495번째 줄: 489번째 줄:
*공덕동, 아현동, 도화동, 용강동, 대흥동, 염리동, 신수동
*공덕동, 아현동, 도화동, 용강동, 대흥동, 염리동, 신수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class="wikitable sortable"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 1 || [[새누리당]] || [[안대희]] || || ||
| 1 || [[새누리당]] || [[안대희]] || || ||
|-
|-
| 2 || [[더불어민주당]] || [[노웅래]] || || || 당선
| 2 || [[더불어민주당]] || [[노웅래]] || || ||
|-
|-
| 3 || [[국민의당]] || [[홍성문]] || || ||
| 3 || [[국민의당]] || [[홍성문]] || || ||
512번째 줄: 506번째 줄:
*서강동, 서교동, 합정동, 망원1동, 망원2동, 연남동, 성산1동, 성산2동, 상암동
*서강동, 서교동, 합정동, 망원1동, 망원2동, 연남동, 성산1동, 성산2동, 상암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class="wikitable sortable"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 1 || [[새누리당]] || [[김성동]] || || ||
| 1 || [[새누리당]] || [[김성동]] || || ||
|-
|-
| 2 || [[더불어민주당]] || [[손혜원]] || || || 당선
| 2 || [[더불어민주당]] || [[손혜원]] || || ||
|-
|-
| 3 || [[국민의당]] || [[김철]] || || ||
| 3 || [[국민의당]] || [[김철]] || || ||
528번째 줄: 522번째 줄:
|}
|}


{{^|개요}}
제19대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지역구이다. 정 의원은 [[2016년]] [[3월 10일]] [[더민주]] 공천에 탈락했다. [[더민주]]에서는 마포구을을 전략공천 대상으로 한다고 밝혔다.<ref>[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188822 더민주 정청래 공천 탈락, 서울 마포을 '전략공천'], 오마이뉴스, 2016.03.10.</ref>
제19대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지역구이다. 정 의원은 [[2016년]] [[3월 10일]] [[더민주]] 공천에 탈락했다. [[더민주]]에서는 마포구을을 전략공천 대상으로 한다고 밝혔다.<ref>[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188822 더민주 정청래 공천 탈락, 서울 마포을 '전략공천'], 오마이뉴스, 2016.03.10.</ref>


533번째 줄: 528번째 줄:
*목1동, 목2동, 목3동, 목4동, 목5동, 신정1동, 신정2동, 신정6동, 신정7동
*목1동, 목2동, 목3동, 목4동, 목5동, 신정1동, 신정2동, 신정6동, 신정7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class="wikitable sortable"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 1 || [[새누리당]] || [[이기재]] || || ||
| 1 || [[새누리당]] || [[이기재]] || || ||
|-
|-
| 2 || [[더불어민주당]] || [[황희 (정치인)]] || || || 당선
| 2 || [[더불어민주당]] || [[황희 (정치인)]] || || ||
|-
|-
| 5 || 무소속 || [[염동욱]] || || ||
| 5 || 무소속 || [[염동욱]] || || ||
546번째 줄: 541번째 줄:
*신월1동, 신월2동, 신월3동, 신월4동, 신월5동, 신월6동, 신월7동, 신정3동, 신정4동
*신월1동, 신월2동, 신월3동, 신월4동, 신월5동, 신월6동, 신월7동, 신정3동, 신정4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class="wikitable sortable"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 1 || [[새누리당]] || [[김용태]] || || || 당선
| 1 || [[새누리당]] || [[김용태]] || || ||
|-
|-
| 2 || [[더불어민주당]] || [[이용선]] || || ||
| 2 || [[더불어민주당]] || [[이용선]] || || ||
559번째 줄: 554번째 줄:
*화곡제1동, 화곡제2동, 화곡제3동, 화곡제8동, 우장산동, 발산제1동
*화곡제1동, 화곡제2동, 화곡제3동, 화곡제8동, 우장산동, 발산제1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class="wikitable sortable"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 1 || [[새누리당]] || [[구상찬]] || || ||
| 1 || [[새누리당]] || [[구상찬]] || || ||
|-
|-
| 2 || [[더불어민주당]] || [[금태섭]] || || || 당선
| 2 || [[더불어민주당]] || [[금태섭]] || || ||
|-
|-
| 3 || [[국민의당]] || [[김영근]] || || ||
| 3 || [[국민의당]] || [[김영근]] || || ||
|-
|-
| 5 || [[민주당 (2014년)]] || [[신기남]] || || ||
| 5 || [[민주당 (2014)]] || [[신기남]] || || ||
|-
|-
| 6 || 무소속 || [[백철]] || || ||
| 6 || 무소속 || [[백철]] || || ||
576번째 줄: 571번째 줄:
*등촌제3동, 가양제1동, 가양제2동, 공항동, 방화제1동, 방화제2동, 방화제3동
*등촌제3동, 가양제1동, 가양제2동, 공항동, 방화제1동, 방화제2동, 방화제3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class="wikitable sortable"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 1 || [[새누리당]] || [[김성태]] || || || 당선
| 1 || [[새누리당]] || [[김성태]] || || ||
|-
|-
| 2 || [[더불어민주당]] || [[진성준]] || || ||
| 2 || [[더불어민주당]] || [[진성준]] || || ||
591번째 줄: 586번째 줄:
*염창동, 등촌제1동, 등촌제2동, 화곡본동, 화곡제4동, 화곡제6동, 가양제3동
*염창동, 등촌제1동, 등촌제2동, 화곡본동, 화곡제4동, 화곡제6동, 가양제3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class="wikitable sortable"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 1 || [[새누리당]] || [[유영]] || || ||
| 1 || [[새누리당]] || [[유영]] || || ||
|-
|-
| 2 || [[더불어민주당]] || [[한정애]] || || || 당선
| 2 || [[더불어민주당]] || [[한정애]] || || ||
|-
|-
| 3 || [[국민의당]] || [[김성호]] || || ||
| 3 || [[국민의당]] || [[김성호]] || || ||
606번째 줄: 601번째 줄:
*고척제1동, 고척제2동, 개봉제1동, 개봉제2동, 개봉제3동, 오류제1동, 오류제2동, 수궁동
*고척제1동, 고척제2동, 개봉제1동, 개봉제2동, 개봉제3동, 오류제1동, 오류제2동, 수궁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class="wikitable sortable"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 1 || [[새누리당]] || [[김승제]] || || ||
| 1 || [[새누리당]] || [[김승제]] || || ||
|-
|-
| 2 || [[더불어민주당]] || [[이인영]] || || || 당선
| 2 || [[더불어민주당]] || [[이인영]] || || ||
|-
|-
| 3 || [[국민의당]] || [[김철근]] || || ||
| 3 || [[국민의당]] || [[김철근]] || || ||
623번째 줄: 618번째 줄:
*신도림동, 구로제1동, 구로제2동, 구로제3동, 구로제4동, 구로제5동, 가리봉동
*신도림동, 구로제1동, 구로제2동, 구로제3동, 구로제4동, 구로제5동, 가리봉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class="wikitable sortable"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 1 || [[새누리당]] || [[강요식]] || || ||
| 1 || [[새누리당]] || [[강요식]] || || ||
|-
|-
| 2 || [[더불어민주당]] || [[박영선]] || || || 당선
| 2 || [[더불어민주당]] || [[박영선]] || || ||
|-
|-
| 3 || [[국민의당]] || [[정찬택]] || || ||
| 3 || [[국민의당]] || [[정찬택]] || || ||
637번째 줄: 632번째 줄:
===금천구===
===금천구===
*가산동, 독산제1동, 독산제2동, 독산제3동, 독산제4동, 시흥제1동, 시흥제2동, 시흥제3동, 시흥제4동, 시흥제5동
*가산동, 독산제1동, 독산제2동, 독산제3동, 독산제4동, 시흥제1동, 시흥제2동, 시흥제3동, 시흥제4동, 시흥제5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1 || [[새누리당]] || [[한인수]] || || ||
|-
| 2 || [[더불어민주당]] || [[이훈]] || || || 당선
|-
| 3 || [[국민의당]] || [[정두환]] || || ||
|-
| 5 || 무소속 || [[유재운]] || || ||
|}


===영등포구갑===
===영등포구갑===
*영등포본동, 영등포동, 당산제1동, 당산제2동, 도림동, 문래동, 양평제1동, 양평제2동, 신길제3동
*영등포본동, 영등포동, 당산제1동, 당산제2동, 도림동, 문래동, 양평제1동, 양평제2동, 신길제3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1 || [[새누리당]] || [[박선규]] || || ||
|-
| 2 || [[더불어민주당]] || [[김영주]] || || || 당선
|-
| 3 || [[국민의당]] || [[강신복]] || || ||
|-
| 4 || [[정의당]] || [[정재민]] || || ||
|}


===영등포구을===
===영등포구을===
*여의동, 신길제1동, 신길제4동, 신길제5동, 신길제6동, 신길제7동, 대림제1동, 대림제2동, 대림제3동
*여의동, 신길제1동, 신길제4동, 신길제5동, 신길제6동, 신길제7동, 대림제1동, 대림제2동, 대림제3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1 || [[새누리당]] || [[권영세]] || || ||
|-
| 2 || [[더불어민주당]] || [[신경민]] || || || 당선
|-
| 3 || [[국민의당]] || [[김종구]] || || ||
|-
| 5 || [[민중연합당]] || [[성성봉]] || || ||
|-
| 6 || 무소속 || [[진재범]] || || ||
|}


===동작구갑===
===동작구갑===
*노량진제1동, 노량진제2동, 상도제2동, 상도제3동, 상도제4동, 대방동, 신대방제1동, 신대방제2동
*노량진제1동, 노량진제2동, 상도제2동, 상도제3동, 상도제4동, 대방동, 신대방제1동, 신대방제2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1 || [[새누리당]] || [[이상휘]] || || ||
|-
| 2 || [[더불어민주당]] || [[김병기]] || || || 당선
|-
| 3 || [[국민의당]] || [[장환진]] || || ||
|-
| 5 || [[녹색당]] || [[이유진]] || || ||
|-
| 6 || [[민중연합당]] || [[김주식]] || || ||
|}


===동작구을===
===동작구을===
*상도제1동, 흑석동, 사당제1동, 사당제2동, 사당제3동, 사당제4동, 사당제5동
*상도제1동, 흑석동, 사당제1동, 사당제2동, 사당제3동, 사당제4동, 사당제5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1 || [[새누리당]] || [[나경원]] || || || 당선
|-
| 2 || [[더불어민주당]] || [[허동준]] || || ||
|-
| 3 || [[국민의당]] || [[장진영]] || || ||
|-
| 4 || [[정의당]] || [[김종철]] || || ||
|-
| 5 || [[민중연합당]] || [[이상현]] || || ||
|}


===관악구갑===
===관악구갑===
*보라매동, 은천동, 성현동, 중앙동, 청림동, 행운동, 청룡동, 낙성대동, 인헌동, 남현동, 신림동
*보라매동, 은천동, 성현동, 중앙동, 청림동, 행운동, 청룡동, 낙성대동, 인헌동, 남현동, 신림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1 || [[새누리당]] || [[원영섭]] || || ||
|-
| 2 || [[더불어민주당]] || [[유기홍]] || || ||
|-
| 3 || [[국민의당]] || [[김성식]] || || || 당선
|-
| 4 || [[정의당]] || [[이동영]] || || ||
|-
| 5 || [[민중연합당]] || [[연시영]] || || ||
|}


===관악구을===
===관악구을===
*신사동, 조원동, 미성동, 난곡동, 난향동, 서원동, 신원동, 서림동, 삼성동, 대학동
*신사동, 조원동, 미성동, 난곡동, 난향동, 서원동, 신원동, 서림동, 삼성동, 대학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1 || [[새누리당]] || [[오신환]] || || || 당선
|-
| 2 || [[더불어민주당]] || [[정태호]] || || ||
|-
| 3 || [[국민의당]] || [[이행자]] || || ||
|-
| 5 || [[민주당 (2014년)]] || [[송광호]] || || ||
|-
| 6 || [[민중연합당]] || [[이상규]] || || ||
|}


===서초구갑===
===서초구갑===
*잠원동, 반포본동, 반포1동, 반포2동, 반포3동, 반포4동, 방배본동, 방배1동, 방배4동
*잠원동, 반포본동, 반포1동, 반포2동, 반포3동, 반포4동, 방배본동, 방배1동, 방배4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1 || [[새누리당]] || [[이혜훈]] || || || 당선
|-
| 2 || [[더불어민주당]] || [[이정근]] || || ||
|-
| 3 || [[국민의당]] || [[이한준]] || || ||
|}


===서초구을===
===서초구을===
*서초1동, 서초2동, 서초3동, 서초4동, 방배2동, 방배3동, 양재1동, 양재2동, 내곡동
*서초1동, 서초2동, 서초3동, 서초4동, 방배2동, 방배3동, 양재1동, 양재2동, 내곡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1 || [[새누리당]] || [[박성중]] || || || 당선
|-
| 2 || [[더불어민주당]] || [[김기영]] || || ||
|-
| 3 || [[국민의당]] || [[조순형]] || || ||
|-
| 5 || 무소속 || [[김수근]] || || ||
|}


===강남구갑===
===강남구갑===
*신사동, 논현1동, 논현2동, 압구정동, 청담동, 역삼1동, 역삼2동
*신사동, 논현1동, 논현2동, 압구정동, 청담동, 역삼1동, 역삼2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1 || [[새누리당]] || [[이종구]] || || || 당선
|-
| 2 || [[더불어민주당]] || [[김성곤]] || || ||
|}


===강남구을===
===강남구을===
*개포1동, 개포2동, 개포4동, 일원본동, 일원1동, 일원2동, 수서동, 세곡동
*개포1동, 개포2동, 개포4동, 일원본동, 일원1동, 일원2동, 수서동, 세곡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1 || [[새누리당]] || [[김종훈]] || || ||
|-
| 2 || [[더불어민주당]] || [[전현희]] || || || 당선
|-
| 5 || 무소속 || [[김광종]] || || ||
|}


===강남구병===
===강남구병===
*삼성1동, 삼성2동, 대치1동, 대치2동, 대치4동, 도곡1동, 도곡2동
*삼성1동, 삼성2동, 대치1동, 대치2동, 대치4동, 도곡1동, 도곡2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1 || [[새누리당]] || [[이은재]] || || || 당선
|-
| 2 || [[더불어민주당]] || [[전원근]] || || ||
|-
| 5 || [[고용복지연금선진화연대]] || [[양한별]] || || ||
|-
| 6 || [[한나라당 (2012년)|한나라당]] || [[양영철]] || || ||
|}


===송파구갑===
===송파구갑===
*풍납1동, 풍납2동, 방이1동, 방이2동, 오륜동, 송파1동, 송파2동, 잠실4동, 잠실6동
*풍납1동, 풍납2동, 방이1동, 방이2동, 오륜동, 송파1동, 송파2동, 잠실4동, 잠실6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1 || [[새누리당]] || [[박인숙]] || || || 당선
|-
| 2 || [[더불어민주당]] || [[박성수]] || || ||
|-
| 3 || [[국민의당]] || [[김창남]] || || ||
|}


===송파구을===
===송파구을===
*석촌동, 삼전동, 가락1동, 문정2동, 잠실본동, 잠실2동, 잠실3동, 잠실7동
*석촌동, 삼전동, 가락1동, 문정2동, 잠실본동, 잠실2동, 잠실3동, 잠실7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2 || [[더불어민주당]] || [[최명길]] || || || 당선
|-
| 3 || [[국민의당]] || [[이래협]] || || ||
|-
| 5 || 무소속 || [[김영순]] || || ||
|-
| 6 || 무소속 || [[채현]] || || ||
|}


===송파구병===
===송파구병===
*거여1동, 거여2동, 마천1동, 마천2동, 오금동, 가락본동, 가락2동, 문정1동, 장지동, 위례동
*거여1동, 거여2동, 마천1동, 마천2동, 오금동, 가락본동, 가락2동, 문정1동, 장지동, 위례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1 || [[새누리당]] || [[김을동]] || || ||
|-
| 2 || [[더불어민주당]] || [[남인순]] || || || 당선
|-
| 3 || [[국민의당]] || [[차성환]] || || ||
|}


===강동구갑===
===강동구갑===
*강일동, 상일동, 명일제1동, 명일제2동, 고덕제1동, 고덕제2동, 암사제1동, 암사제2동, 암사제3동, 길동
*강일동, 상일동, 명일제1동, 명일제2동, 고덕제1동, 고덕제2동, 암사제1동, 암사제2동, 암사제3동, 길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1 || [[새누리당]] || [[신동우]] || || ||
|-
| 2 || [[더불어민주당]] || [[진선미]] || || || 당선
|-
| 3 || [[국민의당]] || [[신동만]] || || ||
|-
| 4 || 무소속 || [[박승진]] || || ||
|}


===강동구을===
===강동구을===
*천호제1동, 천호제2동, 천호제3동, 성내제1동, 성내제2동, 성내제3동, 둔촌제1동, 둔촌제2동
*천호제1동, 천호제2동, 천호제3동, 성내제1동, 성내제2동, 성내제3동, 둔촌제1동, 둔촌제2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1 || [[새누리당]] || [[이재영]] || 38,833 || {{퍼센트|숫자=예|37.96|{{대한민국 정당색|새누리당}}}} ||
|-
| 2 || [[더불어민주당]] || [[심재권]] || 42,096 || {{퍼센트|숫자=예|41.15|{{대한민국 정당색|더불어민주당}}}} || 당선
|-
| 3 || [[국민의당]] || [[강연재]] || 21,365 || {{퍼센트|숫자=예|20.88|{{대한민국 정당색|국민의당}}}} ||
|}


{{주석}}
{{주석}}
[[분류: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
[[분류: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