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좌우이동
{{좌우이동
|왼쪽=대한민국 제12대 대통령 선거
|왼쪽=대한민국 제12대 대통령 선거
|왼쪽축약=제12대
|왼쪽축약=제12대 대통령 선거
|오른쪽=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오른쪽=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오른쪽축약=제14대
|오른쪽축약=제14대 대통령 선거
|가운데=[[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가운데=[[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
}}
[[파일:13대대선포스터.jpg|250픽셀|섬네일|노태우 후보의 13대 대선 포스터]]
[[파일:13대대선포스터.jpg|250픽셀|섬네일|노태우 후보의 13대 대선 포스터]]
{{대사|16년 만의 직선제 대통령 선거}}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는 [[대한민국]]에서 [[1987년]] [[12월 16일]] 치러진 대통령 선거이다.
{{대사|16년 만의 직선제 대통령선거}}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선거'''는 [[대한민국]]에서 {{날짜/출력|1987-12-16}} 치러진 대통령 선거이다.  


== 배경 ==
== 배경 ==
[[전두환]]은 자신의 7년 임기가 끝나가자, [[12·12 군사 반란]]의 동지이자 자신의 베스트 프렌드인 [[노태우]]를 차기 대통령으로 지명하였다. 하지만 국민들은 더 이상 전두환의 [[독재]]를 보고만 있지 않았다. [[서울대학교]] 재학생이던 [[박종철]]이 경찰의 전기고문과 물고문으로 인해 사망한 사건 등은 들끓던 여론이 폭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1987년]] [[6월 10일]]부터 야권인사와 종교계인사 등을 중심으로 직선제 개헌을 요구하는 전국적 규모의 민주화시위가 일어났는데, 이를 [[6월 항쟁]]이라 한다. 결국 국민적 저항에 굴복한 노태우는 [[1987년]] [[6월 29일]], [[6·29 민주선언]]을 통해 직선제 개헌과 자유로운 정치 활동을 약속하게 된다. 이에 따라 13대 대통령 선거는 '''보통·평등·직접·비밀선거'''의 원칙을 준수하는 '''16년 만의 직선제 대통령 선거'''가 되었다.
[[전두환]]은 자신의 7년 임기가 끝나가자, [[12·12 군사반란]]의 동지이자 자신의 베스트 프렌드인 [[노태우]]를 차기 대통령으로 지명하였다. 하지만 국민들은 더 이상 전두환의 독재를 보고만 있지 않았다. [[서울대학교]] 재학생이던 [[박종철]]이 경찰의 전기고문과 물고문으로 인해 사망한 사건 등은 들끓던 여론이 폭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날짜/출력|1987-6-10}}부터 야권인사와 종교계인사 등을 중심으로 직선제 개헌을 요구하는 전국적 규모의 민주화시위가 일어났는데, 이를 [[6월 항쟁]]이라 한다. 결국 국민적 저항에 굴복한 노태우는 {{날짜/출력|1987-6-29}}, [[6·29 민주선언]]을 통해 직선제 개헌과 자유로운 정치 활동을 약속하게 된다. 이에 따라 13대 대통령선거는 '''보통·평등·직접·비밀선거'''의 원칙을 준수하는 '''16년 만의 직선제 대통령선거'''가 되었다.  


== 전개 ==
== 전개 ==
=== 노태우 출마 ===
=== 노태우 출마 ===
민주정의당에서는 전두환의 후원 속에 [[노태우]]가 대통령 후보로 출마하였다. 노태우는 선거기간 동안 [[독재자]] 이미지를 씻어내기 위해 노력하였다. 노태우는 [[6·29 민주선언]]을 통해 국민의 뜻에 승복하였다는 사실을 강조하며, '''"나, 이 사람! 보통사람입니다. 믿어주세요"'''라고 외쳤다.<s>5,000억쯤은 가지고 있어야 보통사람이라고 할 수 있나보다. [[만수르|니들이 그지야?]]</s> 노태우는 '''이제는 안정입니다'''를 슬로건으로 내세우며 자신이 대통령이 되면 안정 속에서 [[경제]]를 발전시키고 주변국과의 [[외교]] 관계를 넓혀나갈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민주정의당에서는 전두환의 후원 속에 [[노태우]]가 대통령 후보로 출마하였다. 노태우는 선거기간 동안 독재자 이미지를 씻어내기 위해 노력하였다. 노태우는 [[6·29 민주선언]]을 통해 국민의 뜻에 승복하였다는 사실을 강조하며, '''"나, 이 사람! 보통사람입니다. 믿어주세요"'''라고 외쳤다.<s>5,000억쯤은 가지고 있어야 보통사람이라고 할 수 있나보다. [[만수르|니들이 그지야?]]</s> 노태우는 '''이제는 안정입니다'''를 슬로건으로 내세우며 자신이 대통령이 되면 안정 속에서 [[경제]]를 발전시키고 주변국과의 [[외교]] 관계를 넓혀나갈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 김영삼, 김대중 출마 ===
=== 김영삼, 김대중 출마 ===
김영삼과 김대중을 비롯한 야권인사들은 [[통일민주당]]을 창당, 결집하고 [[김영삼]]을 총재로 추대하였다. 김대중은 일찍이 차기 대통령 선거에 불출마하겠다는 의사를 드러내었고, [[1987년]] [[7월 10일]]의 기자회견에서도 '''"나는 대통령이 되는데 관심 없다. 현재로서 불출마 선언은 변함이 없다"'''고 발언하였으나, 바로 다음날인 [[7월 11일]] 인터뷰에서 '''"작년의 불출마 선언은 전두환 대통령이 자발적으로 대통령직선제를 하면 불출마 한다고 한 것이지, 이번처럼 국민의 압력에 의해 이루어진 것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고 발언하면서 불출마 선언을 하룻밤 만에 뒤집게 된다. 이로서 김영삼과 김대중은 야당 대통령 후보 자리를 두고 격돌을 예고하게 되었다. 하지만 통일민주당에서의 대통령 후보 선출이 김영삼 쪽으로 분위기가 기울자, 김대중은 아예 통일민주당을 탈당하여 [[평화민주당 (1987년)|평화민주당]]을 창당해버렸다. 결국 김영삼은 통일민주당의 대통령 후보로, 김대중은 평화민주당의 대통령 후보로 각각 출마하였고, 끝까지 후보 단일화에 합의하지 못하였다. 이후 김영삼은 [[부산]]·[[경남]] 지역을 중심으로, 김대중은 [[호남]] 지역을 중심으로 유권자를 끌어모으며 서로 자신이야말로 독재를 종식시키고 진정한 민주화를 이룩할 강력한 야권후보라고 주장하였다.<del>그렇게 영남과 호남의 정치적 갈등은 건널 수 없는 길을 건너버렸다.</del>
김영삼과 김대중을 비롯한 야권인사들은 [[통일민주당]]을 창당, 결집하고 [[김영삼]]을 총재로 추대하였다. 김대중은 일찍이 차기 대통령 선거에 불출마하겠다는 의사를 드러내었고, {{날짜/출력|1987-7-10}}의 기자회견에서도 '''"나는 대통령이 되는데 관심 없다. 현재로서 불출마 선언은 변함이 없다"'''고 발언하였으나, 바로 다음날인 [[7월 11일]] 인터뷰에서 '''"작년의 불출마 선언은 전두환 대통령이 자발적으로 대통령직선제를 하면 불출마 한다고 한 것이지, 이번처럼 국민의 압력에 의해 이루어진 것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고 발언하면서 불출마 선언을 하룻밤 만에 뒤집게 된다. 이로서 김영삼과 김대중은 야당 대통령 후보 자리를 두고 격돌을 예고하게 되었다. 하지만 통일민주당에서의 대통령 후보 선출이 김영삼 쪽으로 분위기가 기울자, 김대중은 아예 통일민주당을 탈당하여 [[평화민주당 (1987년)|평화민주당]]을 창당해버렸다. 결국 김영삼은 통일민주당의 대통령 후보로, 김대중은 평화민주당의 대통령 후보로 각각 출마하였고, 끝까지 후보 단일화에 합의하지 못하였다. 이후 김영삼은 [[부산]]·[[경남]] 지역을 중심으로, 김대중은 [[호남]] 지역을 중심으로 유권자를 끌어모으며 서로 자신이야말로 독재를 종식시키고 진정한 민주화를 이룩할 강력한 야권후보라고 주장하였다. <del>그렇게 영남과 호남의 정치적 갈등은 건널 수 없는 길을 건너버렸다.</del>


=== 김종필 출마 ===
=== 김종필 출마 ===
[[김종필]]은 구 [[민주공화당]]([[박정희]] 정권) 세력들을 결집시키고 [[신민주공화당]]을 창당하여 총재 자리에 오른다. 자신의 고향인 [[충청남도|충남도민]]지지를 등에 업고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였다.
[[김종필]]은 구 [[민주공화당]]([[박정희]] 정권) 세력들을 결집시키고 [[신민주공화당]]을 창당하여 총재 자리에 오른다. 자신의 고향인 [[충남]]도민의 지지를 등에 업고 대통령선거에 출마하였다.  


=== 불상사 ===
=== 불상사 ===
28번째 줄: 29번째 줄:


*노태우 후보의 [[전라북도]] 유세
*노태우 후보의 [[전라북도]] 유세
노태우 후보의 [[전주]] 유세장에서 폭력 시위가 발생하며 유세장이 엉망이 되었다. 시민들은 ‘김대중’을 연호하였다.
노태우 후보의 [[전주]] 유세장에서 폭력 시위가 발생하며 유세장이 엉망이 되었다. 시민들은 ‘김대중’을 연호하였다.  


{{유튜브|rMuyD6yhPts}}
{{유튜브|rMuyD6yhPts}}


*김영삼 후보의 [[광주]] 유세
*김영삼 후보의 [[광주]] 유세
김대중을 지지하는 광주시민들이 ‘김대중’, ‘양보’를 외치며 폭력시위를 벌여 김영삼 후보는 4분 동안 자제만을 호소하다가 연설은 하지 못하고 연단을 내려와야 했다.
김대중을 지지하는 광주시민들이 ‘김대중’, ‘양보’를 외치며 폭력시위를 벌여 김영삼 후보는 4분 동안 자제만을 호소하다가 연설은 하지 못하고 연단을 내려와야 했다.  


{{유튜브|3Fx6M7kzgfo}}
{{유튜브|3Fx6M7kzgfo}}


*김대중 후보의 [[대구]] 유세  
*김대중 후보의 [[대구]] 유세  
김영삼을 지지하는 대구시민들이 ‘김영삼’을 외치며 폭력시위를 벌여 돌멩이와 병을 연단을 향해 던지는 소란사태가 벌어졌으나, 이후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대동단결’, ‘질서유지’를 외치며 분위기가 안정, 김대중은 연설을 무사히 끝마칠 수 있었다.
김영삼을 지지하는 대구시민들이 ‘김영삼’을 외치며 폭력시위를 벌여 돌멩이와 병을 연단을 향해 던지는 소란사태가 벌어졌으나, 이후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대동단결’, ‘질서유지’를 외치며 분위기가 안정, 김대중은 연설을 무사히 끝마칠 수 있었다.  


{{유튜브|y9VGhQR90Us}}
{{유튜브|y9VGhQR90Us}}
45번째 줄: 46번째 줄:
<del>선거 결과가 발암물질이다.</del>
<del>선거 결과가 발암물질이다.</del>


야권 표가 [[김영삼]]과 [[김대중]]으로 크게 분열되면서 당초 당선 가능성이 낮았던 [[노태우]]가 [[어부지리]]로 당선되었다. 신군부를 몰아내기 위해 벌인 [[6월 항쟁]]이 성공을 거두어 열린 직선제 대통령 선거가, 다시 신군부 출신의 인물을 당선시키는 아이러니한 일이 벌어진 것이다. 노태우의 전국 득표율은 겨우 37%로서, 이는 대통령 선거 역대 최저 득표율 당선이다.
야권 표가 [[김영삼]]과 [[김대중]]으로 크게 분열되면서 당초 당선 가능성이 낮았던 [[노태우]]가 어부지리로 당선되었다. 신군부를 몰아내기 위해 벌인 [[6월 항쟁]]이 성공을 거두어 열린 직선제 대통령 선거가, 다시 신군부 출신의 인물을 당선시키는 아이러니한 일이 벌어진 것이다. 노태우의 전국 득표율은 겨우 37%로서, 이는 대통령선거 역대 최저 득표율 당선이다.  


선거유세 중 발생한 폭력 시위와 북한 공작원에 의한 [[대한항공 805편 폭파사고]]가 ‘안정’을 외치는 노태우 후보에게 유리하게 작용하였다는 분석도 있다.
선거유세 중 발생한 폭력시위와 북한 공작원에 의한 [[대한항공 805편 폭파사고]]가 ‘안정’을 외치는 노태우 후보에게 유리하게 작용하였다는 분석도 있다.  


{| class="wikitable" style="margin:10px auto"
<center>
{| class="wikitable" style="float: margin:10px"
|-
|-
!style="background-color:#E9E9E9" align=center width="70" colspan=2|후보자
!style="background-color:#E9E9E9" align=center width="70" colspan=2|후보자
58번째 줄: 60번째 줄:
|style="background-color:#3366ff" |
|style="background-color:#3366ff" |
|valign="top" align=center|[[노태우]]||align=center|[[민주정의당]]||8,282,738||36.64
|valign="top" align=center|[[노태우]]||align=center|[[민주정의당]]||8,282,738||36.64
|<div style="width: 100px; background: white; border: 1px solid black; margin-top: 0px;"><div style="width: 36.64%; background:#3366ff; font-size: 10px; line-height: 20px;">&nbsp; </div></div>
|<div style="width: 100px; background: white; border: 1px solid black; margin-top: 0px;"><div style="width: 36.64%; background:#3366ff; font-size: 10px; line-height: 20px;">&nbsp; <font color=white></font></div></div>
|-
|-
|style="background-color:#EF4122" |
|style="background-color:#EF4122" |
|valign="top" align=center|[[김영삼]]||align=center|[[통일민주당]]||6,337,581||28.03
|valign="top" align=center|[[김영삼]]||align=center|[[통일민주당]]||6,337,581||28.03
|<div style="width: 100px; background: white; border: 1px solid black; margin-top: 0px;"><div style="width: 28.03%; background:#EF4122; font-size: 10px; line-height: 20px;">&nbsp; </div></div>
|<div style="width: 100px; background: white; border: 1px solid black; margin-top: 0px;"><div style="width: 28.03%; background:#EF4122; font-size: 10px; line-height: 20px;">&nbsp; <font color=white></font></div></div>
|-
|-
|style="background-color:#D2811A" |
|style="background-color:#D2811A" |
|valign="top" align=center|[[김대중]]||align=center|[[평화민주당]]||6,113,375||27.04
|valign="top" align=center|[[김대중]]||align=center|[[평화민주당]]||6,113,375||27.04
|<div style="width: 100px; background: white; border: 1px solid black; margin-top: 0px;"><div style="width: 27.04%; background:#D2811A; font-size: 10px; line-height: 20px;">&nbsp; </div></div>
|<div style="width: 100px; background: white; border: 1px solid black; margin-top: 0px;"><div style="width: 27.04%; background:#D2811A; font-size: 10px; line-height: 20px;">&nbsp; <font color=white></font></div></div>
|-
|-
|style="background-color:#498C00" |
|style="background-color:#498C00" |
|valign="top" align=center|[[김종필]]||align=center|[[신민주공화당]]||1,823,067||8.06
|valign="top" align=center|[[김종필]]||align=center|[[신민주공화당]]||1,823,067||8.06
|<div style="width: 100px; background: white; border: 1px solid black; margin-top: 0px;"><div style="width: 8.06%; background:#498C00; font-size: 10px; line-height: 20px;">&nbsp; </div></div>
|<div style="width: 100px; background: white; border: 1px solid black; margin-top: 0px;"><div style="width: 8.06%; background:#498C00; font-size: 10px; line-height: 20px;">&nbsp; <font color=white></font></div></div>
|-
|-
|style="background-color:#E0E0E0" |
|style="background-color:#E0E0E0" |
|valign="top" align=center|[[신정일]]||align=center|[[한주의통일한국당]]||46,650||0.20
|valign="top" align=center|[[신정일]]||align=center|[[한주의통일한국당]]||46,650||0.20
|<div style="width: 100px; background: white; border: 1px solid black; margin-top: 0px;"><div style="width: 0.20%; background:#E0E0E0; font-size: 10px; line-height: 20px;">&nbsp;</div></div>
|<div style="width: 100px; background: white; border: 1px solid black; margin-top: 0px;"><div style="width: 0.20%; background:#E0E0E0; font-size: 10px; line-height: 20px;">&nbsp; <font color=white></font></div></div>
|-
|-
|align=left colspan=3|무효표||463,008||colspan=2|–
|align=left colspan=3|무효표||463,008||colspan=2|–
82번째 줄: 84번째 줄:
|align=left colspan=3|등록된 투표자수/투표율||25,127,158||colspan=2|89.2%
|align=left colspan=3|등록된 투표자수/투표율||25,127,158||colspan=2|89.2%
|-
|-
|}
|}<noinclude>
</center>
 
=== 지역별 득표율 ===
=== 지역별 득표율 ===
{|class="wikitable" style="margin: 10px auto;"
<center>
{|class="wikitable"
|-
|-
! style="text-align:center;" rowspan="3" colspan="2"| 지역 / 시 · 도
! style="text-align:center;" rowspan="3" colspan="2"| 지역 / 시 · 도
92번째 줄: 97번째 줄: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498C00" colspan="2" |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498C00" colspan="2" |
|-
|-
! style="text-align:center;" colspan="2"| 노태우<br /><small>민주정의당</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span="2"| 노태우<br><small>민주정의당</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span="2"| 김영삼<br /><small>통일민주당</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span="2"| 김영삼<br><small>통일민주당</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span="2"| 김대중<br /><small>평화민주당</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span="2"| 김대중<br><small>평화민주당</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span="2"| 김종필<br /><small>신민주공화당</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span="2"| 김종필<br><small>신민주공화당</small>
|-
|-
! style="text-align:center;"|득표수
! style="text-align:center;"|득표수
168번째 줄: 173번째 줄: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498C00;"| '''45.03%'''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498C00;"| '''45.03%'''
|-
|-
! style="text-align:center;" rowspan="3"| [[호남]]<br />(전라도)
! style="text-align:center;" rowspan="3"| [[호남]]<br>(전라도)
! style="text-align:center;"| [[광주직할시]]
! style="text-align:center;"| [[광주직할시]]
| style="text-align:center;"| 22,943
| style="text-align:center;"| 22,943
199번째 줄: 204번째 줄:
| style="text-align:center;"| 0.33%
| style="text-align:center;"| 0.33%
|-
|-
! style="text-align:center;" rowspan="4"| [[영남]]<br />(경상도)
! style="text-align:center;" rowspan="4"| [[영남]]<br>(경상도)
! style="text-align:center;"| [[부산직할시]]
! style="text-align:center;"| [[부산직할시]]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afc3ff;"| 640,622
| style="text-align:center; background:#afc3ff;"| 640,622
252번째 줄: 257번째 줄:
! style="text-align:center;" colspan="10"| <small>지역별 최다 득표자는 '''진한색'''으로, 2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선전한 후보는 '''연한색'''으로 배경을 처리하였다.</small>
! style="text-align:center;" colspan="10"| <small>지역별 최다 득표자는 '''진한색'''으로, 2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선전한 후보는 '''연한색'''으로 배경을 처리하였다.</small>
|}
|}
</center>


[[파일:13대대선득표수.jpg|center]]
[[파일:13대대선득표수.jpg|center]]


기어코 지역감정의 지옥문이 열리고 말았다. [[대구]]-[[경북]]지역은 [[노태우]] 몰표, [[부산]]-[[경남]]지역은 [[김영삼]] 몰표, [[호남]]지역은 [[김대중]] 몰표, [[충남]]지역은 [[김종필]] 몰표가 나온 가운데, 그나마 전 지역에서 고른 득표율을 얻은 [[노태우]]가 당선되었다. 이 선거에서 만들어진 지역정치구도는 그대로 굳어지면서, 한국 정치의 최대 골칫거리가 된다.
기어코 지역감정의 지옥문이 열리고 말았다. [[대구]]-[[경북]]지역은 [[노태우]] 몰표, [[부산]]-[[경남]]지역은 [[김영삼]] 몰표, [[호남]]지역은 [[김대중]] 몰표, [[충남]]지역은 [[김종필]] 몰표가 나온 가운데, 그나마 전 지역에서 고른 득표율을 얻은 [[노태우]]가 당선되었다. 이 선거에서 만들어진 지역정치구도는 그대로 굳어지면서, 한국 정치의 최대 골칫거리가 된다.
* '''수도권''': 야당표가 김영삼과 김대중으로 크게 분열되면서 어부지리로 여당후보인 노태우가 가장 많은 득표수를 가져갈 수 있었다. 다만 서울에서는 타 지역들과 달리 김대중 후보의 득표율이 유난히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당시에 기반산업이 발전하지 못한 호남주민들이 일자리를 찾기위해 서울로 이동하는 현상('''[[이촌향도]]''', 離村向都)이 두드러지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 '''영남''': 노태우의 연고지인 [[대구]]-[[경북]]지역에서는 노태우가 크게 선전하였다. 대구에서는 노태우의 득표율이 7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대로 김영삼의 연고지인 [[부산]]-[[경남]]지역에서는 김영삼이 크게 선전하였다. 부산에서는 김영삼의 득표율이 5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이 선거가 치뤄진지 30년이 넘어서야 부산, 경남 지역에서 민주당 계열 대통령 후보가 승리하게 된다.
* '''수도권''': 야당표가 김영삼과 김대중으로 크게 분열되면서 어부지리로 여당후보인 노태우가 가장 많은 득표수를 가져갈 수 있었다. 다만 서울에서는 타 지역들과 달리 김대중 후보의 득표율이 유난히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당시에 기반산업이 발전하지 못한 호남주민들이 일자리를 찾기위해 서울로 이동하는 현상('''[[이촌향도]]''', 離村向都)이 두드러지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 '''호남''': 김대중의 연고지인 호남지역에서는 김대중 후보가 90%에 이르는 <del>독재자급</del> 득표율(광주 94%, 전남 90%, 전북 84%)을 기록하였다. 여론조사에서는 김대중의 득표율이 이렇게까지 높게 나타나지는 않아서, 이 같은 결과에 호남주민 스스로도 적잖이 놀랐다고 한다.
* '''영남''': 노태우의 연고지인 [[대구]]-[[경북]]지역에서는 노태우가 크게 선전하였다. 대구에서는 노태우의 득표율이 7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대로 김영삼의 연고지인 [[부산]]-[[경남]]지역에서는 김영삼이 크게 선전하였다. 부산에서는 김영삼의 득표율이 5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이 선거는 영남지역(정확히는 부산, 경남 지역}에서 민주당 계열 대통령 후보를 밀어준 마지막 선거가 되었다.  
* '''호남''': 김대중의 연고지인 호남지역에서는 김대중 후보가 90%에 이르는 <del>독재자급</del> 득표율(광주 94%, 전남 90%, 전북 84%)을 기록하였다. 여론조사에서는 김대중의 득표율이 이렇게까지 높게 나타나지는 않아서, 이 같은 결과에 호남주민 스스로도 적잖이 놀랐다고 한다.  
* '''충남''': 김종필의 연고지인 충남지역에서는 김종필 후보가 45%로 몰표를 받았다.
* '''충남''': 김종필의 연고지인 충남지역에서는 김종필 후보가 45%로 몰표를 받았다.
* '''강원/충북''': 전통적인 보수 성향 지역인 강원/충북지역에서는 노태우 후보가 선전하였다.
* '''강원/충북''': 전통적인 보수 성향 지역인 강원/충북지역에서는 노태우 후보가 선전하였다.


== 선거 이후 ==
== 선거 이후 ==
노태우가 13대 대통령으로 취임하였다. 노태우는 5년 임기 동안 민주화 정착, 경제발전, 북방외교 등의 성과를 기록하였고, [[1988년 서울올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하였다. 하지만 노태우는 [[12·12 군사 반란]]의 주요 인물 중 하나였다는 점 때문에 임기 동안 곤혹을 치르기도 하였다.
노태우가 13대 대통령으로 취임하였다. 노태우는 5년 임기동안 민주화 정착, 경제발전, 북방외교 등의 성과를 기록하였고, [[1988년 서울올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하였다. 하지만 노태우는 12·12 쿠데타의 주요 인물 중 하나였다는 점 때문에 임기 동안 곤혹을 치르기도 하였다.  
 
김대중은 이 선거를 부정 및 불법 선거로 규정하며, 투쟁의 뜻을 밝혔다. 김대중은 선거가 공정하게 치러졌다면 자신이 당선되었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만약 이때 양김 사이에 단일화가 성공했었다면 부산-경남-호남 지역이 함께 진보진영의 텃밭으로 묶이며 영-호남 지역갈등은 옅어졌을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실패했으며, 이후 [[3당 합당]] 과정을 거쳐 부산-경남 지역은 대구-경북 지역과 함께 보수진영의 텃밭으로 묶이게 된다. 그리고 [[노무현]] 대통령이 당선되기 전에는 부산·경남 지역에서 민주계 정당의 득표율이 20%를 넘는 일은 없어졌다.
김대중은 이 선거를 부정 및 불법 선거로 규정하며, 투쟁의 뜻을 밝혔다. 김대중은 선거가 공정하게 치러졌다면 자신이 당선되었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각주}}
만약 이때 양김사이에 단일화가 성공했었다면 부산-경남-호남 지역이 함께 진보진영의 텃밭으로 묶이며 영-호남 지역갈등은 옅어졌을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실패했으며, 이후 3당합당 과정을 거쳐 부산-경남 지역은 대구-경북 지역과 함께 보수진영의 텃밭으로 묶이게 된다. 그리고 [[노무현]] 대통령이 당선되기 전에는 부산,경남 지역에서 민주계 정당의 득표율이 20%를 넘는 일은 없게 되었다.
[[분류:대한민국의 대통령 선거|13]]
[[분류:대한민국의 대통령 선거|13]]
[[분류:1987년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대통령 선거}}
{{대한민국의 대통령 목록}}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