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메르스 사태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95번째 줄: 395번째 줄:
* 메르스 의심 7세 아동에 대해 [[6월 16일]] 오전에 5차 검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그 동안 진행된 검사에서는 음성과 양성이 번갈아 나타났으며 해당 아동에게 뚜렷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감염 여부를 판정하기 어려운 상황이다.<ref>[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2&cid=1018477&iid=49003917&oid=001&aid=0007662201&ptype=021 메르스 의심 7세 아동, 증상없이 음성·양성 반복], 연합뉴스, 2015.06.15</ref>
* 메르스 의심 7세 아동에 대해 [[6월 16일]] 오전에 5차 검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그 동안 진행된 검사에서는 음성과 양성이 번갈아 나타났으며 해당 아동에게 뚜렷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감염 여부를 판정하기 어려운 상황이다.<ref>[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2&cid=1018477&iid=49003917&oid=001&aid=0007662201&ptype=021 메르스 의심 7세 아동, 증상없이 음성·양성 반복], 연합뉴스, 2015.06.15</ref>
* 응급실을 임시 폐쇄하기로 결정했던 원자력 병원이 [[6월 16일]]부터 재운영하기로 결정하였다. 병원 측은 14일 경, 삼성서울병원에서 온 환자가 입원한 사실이 확인돼 응급실을 임시 폐쇄했지만 해당 환자에게 의심 증상을 없었고 2차례의 검사에서도 음성 판정을 받아 응급실 운영을 재개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ref>[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2&cid=1018477&iid=49004039&oid=001&aid=0007662623&ptype=021 원자력병원 '임시폐쇄' 응급실 16일부터 재운영], 연합뉴스, 2015.06.15</ref>
* 응급실을 임시 폐쇄하기로 결정했던 원자력 병원이 [[6월 16일]]부터 재운영하기로 결정하였다. 병원 측은 14일 경, 삼성서울병원에서 온 환자가 입원한 사실이 확인돼 응급실을 임시 폐쇄했지만 해당 환자에게 의심 증상을 없었고 2차례의 검사에서도 음성 판정을 받아 응급실 운영을 재개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ref>[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2&cid=1018477&iid=49004039&oid=001&aid=0007662623&ptype=021 원자력병원 '임시폐쇄' 응급실 16일부터 재운영], 연합뉴스, 2015.06.15</ref>
* 메르스 격리대상자가 5천명을 넘어섰지만 격리대상자들의 무단 외출이나 난동을 막을 대책이 없어 격리대상자 관리에 어려움이 커져가고 있다.<ref>[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2&cid=1018477&iid=49004086&oid=028&aid=0002278416&ptype=021 무단 외출하고…난동 부리고…격리대상자 관리도 ‘비상’], 한겨레, 2015.06.15</ref>
* 메르스 격리대상자가 5천명을 넘어섰지만 격리대상자들의 무단 외출이나 난동을 막을 대책이 없어 격리대상자 관리에 어려움이 커져가고 있다.<ref>[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2&cid=1018477&iid=49004086&oid=028&aid=0002278416&ptype=021 무단 외출하고…난동 부리고…격리대상자 관리도 ‘비상’], 한겨례, 2015.06.15</ref>
* 삼성서울병원에 대해 정부가 대응팀을 상주시켜 직접 관리하기로 결정했다.<ref>[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2&cid=1018477&iid=49004190&oid=214&aid=0000507334&ptype=021 삼성서울병원 방역 실패…정부, 대응팀 파견해 직접 관리], MBC, 2015.06.15</ref>
* 삼성서울병원에 대해 정부가 대응팀을 상주시켜 직접 관리하기로 결정했다.<ref>[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2&cid=1018477&iid=49004190&oid=214&aid=0000507334&ptype=021 삼성서울병원 방역 실패…정부, 대응팀 파견해 직접 관리], MBC, 2015.06.15</ref>
* 대구광역시에서 남구청 소속 공무원이 메르스 양성 반응을 나타내었다. 이에 대구시는 정확한 진단을 위해 확인 작업을 벌이고 있다. 만약 2차 검사에서 양성 반응을 보일 경우, 대구에서 첫번째 메르스 환자가 발생하는 것이 된다.<ref>[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2&cid=1018477&iid=49004153&oid=003&aid=0006581289&ptype=021 '대구도 뚫리나?'…메르스 첫 양성환자 발생], 뉴시스, 2015.06.15</ref>
* 대구광역시에서 남구청 소속 공무원이 메르스 양성 반응을 나타내었다. 이에 대구시는 정확한 진단을 위해 확인 작업을 벌이고 있다. 만약 2차 검사에서 양성 반응을 보일 경우, 대구에서 첫번째 메르스 환자가 발생하는 것이 된다.<ref>[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2&cid=1018477&iid=49004153&oid=003&aid=0006581289&ptype=021 '대구도 뚫리나?'…메르스 첫 양성환자 발생], 뉴시스, 2015.06.15</ref>
969번째 줄: 969번째 줄:


==== [[10월 29일]] ====
==== [[10월 29일]] ====
'''전염병 위기경보 단계:''' 주의 (Yellow)<br />'''확진:''' 186명, '''사망:''' 37명, '''완치:''' 145명
{{질병상황판
 
|날짜=2015.10.29.
|사망=37
|확진=186
|의심=
|격리=
|완치=145
|위기경보=주의
|사망주석=
|확진주석=
|격리주석=
}}
* 10월 26일 열린 WHO와의 메르스 관련 자문회의에서 세계보건기구는 80번 확진자에 대해 "메르스 유행의 일부(a part of the MERS outbreak)"라고 볼 수 없으며 감염력이 낮기에 "메르스의 전파 가능성 해소(the end of transmission)"라는 표현이 가능하다고 판단하였다. 하지만, 보건복지부는 이를 메르스 상황 종식으로 보는 대신에 계속해서 방역, 감시 및 주의 조치를 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f>[http://mers.go.kr/mers/html/jsp/Menu_C/list_C1.jsp?menuIds=&fid=21&q_type=&q_value=&cid=66086&pageNum= 메르스, 감염가능성 없지만 관리는 지속],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 2015.10.29 ([https://web.archive.org/web/20151125102402/http://mers.go.kr/mers/html/jsp/Menu_C/list_C1.jsp?menuIds=&fid=21&q_type=&q_value=&cid=66086&pageNum=1 아카이브])</ref>
* 10월 26일 열린 WHO와의 메르스 관련 자문회의에서 세계보건기구는 80번 확진자에 대해 "메르스 유행의 일부(a part of the MERS outbreak)"라고 볼 수 없으며 감염력이 낮기에 "메르스의 전파 가능성 해소(the end of transmission)"라는 표현이 가능하다고 판단하였다. 하지만, 보건복지부는 이를 메르스 상황 종식으로 보는 대신에 계속해서 방역, 감시 및 주의 조치를 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f>[http://mers.go.kr/mers/html/jsp/Menu_C/list_C1.jsp?menuIds=&fid=21&q_type=&q_value=&cid=66086&pageNum= 메르스, 감염가능성 없지만 관리는 지속],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 2015.10.29 ([https://web.archive.org/web/20151125102402/http://mers.go.kr/mers/html/jsp/Menu_C/list_C1.jsp?menuIds=&fid=21&q_type=&q_value=&cid=66086&pageNum=1 아카이브])</ref>
{{-}}
{{-}}
976번째 줄: 986번째 줄:
=== [[11월]] ===
=== [[11월]] ===
==== [[11월 3일]] ====
==== [[11월 3일]] ====
'''전염병 위기경보 단계:''' 주의 (Yellow)<br />'''확진:''' 186명, '''사망:''' 37명, '''완치:''' 145명
{{질병상황판
 
|날짜=2015.11.03.
|사망=37
|확진=186
|의심=
|격리=
|완치=145
|위기경보=주의
|사망주석=
|확진주석=
|격리주석=
}}
* 경찰은 삼성서울병원에 대한 수사 결과, 병원측이 감염병관리법을 어기고 환자를 늦게 신고하였다고 결론을 내렸다. 이에 대해 서울 수서경찰서는 삼성서울병원의 송재훈 전 원장에 대해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위반을 기소의견으로 검찰에 불구속 송치하였다고 밝혔다.<ref>[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2&cid=1018477&iid=24638469&oid=001&aid=0007961150&ptype=052 '메르스 의심환자 늑장신고' 전 삼성병원장 검찰 송치], 연합뉴스, 2015.11.03</ref>
* 경찰은 삼성서울병원에 대한 수사 결과, 병원측이 감염병관리법을 어기고 환자를 늦게 신고하였다고 결론을 내렸다. 이에 대해 서울 수서경찰서는 삼성서울병원의 송재훈 전 원장에 대해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위반을 기소의견으로 검찰에 불구속 송치하였다고 밝혔다.<ref>[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2&cid=1018477&iid=24638469&oid=001&aid=0007961150&ptype=052 '메르스 의심환자 늑장신고' 전 삼성병원장 검찰 송치], 연합뉴스, 2015.11.03</ref>
{{-}}
{{-}}


==== [[11월 6일]] ====
==== [[11월 6일]] ====
'''전염병 위기경보 단계:''' 주의 (Yellow)<br />'''확진:''' 186명, '''사망:''' 37명, '''완치:''' 145명
{{질병상황판
 
|날짜=2015.11.06.
|사망=37
|확진=186
|의심=
|격리=
|완치=145
|위기경보=주의
|사망주석=
|확진주석=
|격리주석=
}}
* 서울행정법원은 메르스 확산과 관련하여 정부를 상대로 제기한 소송을 각하하였다. 이에 대해 재판부는 "원고는 메르스로 인한 직접 피해자가 아니라 원고 적격이 없다"며 "피고도 대한민국이 아닌 관할 행정청 보건복지부를 상대로 해야 한다"고 밝혔고, 소송을 제기했던 문정구 변호사는 "정부의 늑장 대응이 위법한지를 아예 판단 받지 못해 안타깝다"며 "사법부 판단을 존중해 항소는 하지 않을 예정"이라고 말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001&aid=0007970043 '메르스 초기대응 부실' 국가상대 행정소송 패소], 연합뉴스, 2015.11.06</ref>
* 서울행정법원은 메르스 확산과 관련하여 정부를 상대로 제기한 소송을 각하하였다. 이에 대해 재판부는 "원고는 메르스로 인한 직접 피해자가 아니라 원고 적격이 없다"며 "피고도 대한민국이 아닌 관할 행정청 보건복지부를 상대로 해야 한다"고 밝혔고, 소송을 제기했던 문정구 변호사는 "정부의 늑장 대응이 위법한지를 아예 판단 받지 못해 안타깝다"며 "사법부 판단을 존중해 항소는 하지 않을 예정"이라고 말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001&aid=0007970043 '메르스 초기대응 부실' 국가상대 행정소송 패소], 연합뉴스, 2015.11.06</ref>
{{-}}
{{-}}


==== [[11월 12일]] ====
==== [[11월 12일]] ====
'''전염병 위기경보 단계:''' 주의 (Yellow)<br />'''확진:''' 186명, '''사망:''' 37명, '''완치:''' 145명
{{질병상황판
 
|날짜=2015.11.12.
|사망=37
|확진=186
|의심=
|격리=
|완치=145
|위기경보=주의
|사망주석=
|확진주석=
|격리주석=
}}
* 대한병원협회는 11월 12일 오후 2시 30분 '2015 메르스 대한병원협회의 기록'이라는 기자간담회를 통해 메르스 백서를 발간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3&oid=014&aid=0003540609 병원협회, '2015 메르스 대한병원협회의 기록' 메르스 백서 발간], 파이낸셜뉴스, 2015.11.12</ref>
* 대한병원협회는 11월 12일 오후 2시 30분 '2015 메르스 대한병원협회의 기록'이라는 기자간담회를 통해 메르스 백서를 발간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3&oid=014&aid=0003540609 병원협회, '2015 메르스 대한병원협회의 기록' 메르스 백서 발간], 파이낸셜뉴스, 2015.11.12</ref>
{{-}}
{{-}}


==== [[11월 16일]] ====
==== [[11월 16일]] ====
'''전염병 위기경보 단계:''' 주의 (Yellow)<br />'''확진:''' 186명, '''사망:''' 37명, '''완치:''' 145명
{{질병상황판
 
|날짜=2015.11.16.
|사망=37
|확진=186
|의심=
|격리=
|완치=145
|위기경보=주의
|사망주석=
|확진주석=
|격리주석=
}}
* 황교안 국무총리는 국가방역체계 개편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고 강조한 다음, "관계 부처회의 등을 통해 이행상황을 직접 꼼꼼히 챙겨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11월 19일 국무총리 주재의 국가정책조정회의를 열어 국가방역체계 개편방안의 후속조치 이행상황을 점검할 계획이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003&aid=0006874263 황 총리 "메르스 이후 국가방역체계, 직접 챙기겠다"], 뉴시스, 2015.11.16</ref>
* 황교안 국무총리는 국가방역체계 개편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고 강조한 다음, "관계 부처회의 등을 통해 이행상황을 직접 꼼꼼히 챙겨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11월 19일 국무총리 주재의 국가정책조정회의를 열어 국가방역체계 개편방안의 후속조치 이행상황을 점검할 계획이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003&aid=0006874263 황 총리 "메르스 이후 국가방역체계, 직접 챙기겠다"], 뉴시스, 2015.11.16</ref>
*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는 80번 환자는 해당 환자의 상태에 따른 필요한 검사 및 항암 치료를 수행 중이라고 밝혔으며, 지속적인 유전자 검사 결과에서 양성과 음성이 번갈아 나타나고 있다고 전했다.(10.12~14 양성, 10.20~21 음성, 10.22~27 양성, 10.29~30 음성, 10.31~11.2 양성, 11.4~6 음성, 11.7 양성, 11.8 음성, 11.9~13 양성)<ref>[http://mers.go.kr/mers/html/jsp/Menu_C/list_C1.jsp?menuIds=&fid=21&q_type=&q_value=&cid=66274&pageNum= 메르스 80번 환자에 대한 치료 및 격리 관련에 대한 보도설명자료],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 2015.11.16 ([https://web.archive.org/web/20151125101845/http://mers.go.kr/mers/html/jsp/Menu_C/list_C1.jsp?menuIds=&fid=21&q_type=&q_value=&cid=66274&pageNum= 아카이브])</ref>
*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는 80번 환자는 해당 환자의 상태에 따른 필요한 검사 및 항암 치료를 수행 중이라고 밝혔으며, 지속적인 유전자 검사 결과에서 양성과 음성이 번갈아 나타나고 있다고 전했다.(10.12~14 양성, 10.20~21 음성, 10.22~27 양성, 10.29~30 음성, 10.31~11.2 양성, 11.4~6 음성, 11.7 양성, 11.8 음성, 11.9~13 양성)<ref>[http://mers.go.kr/mers/html/jsp/Menu_C/list_C1.jsp?menuIds=&fid=21&q_type=&q_value=&cid=66274&pageNum= 메르스 80번 환자에 대한 치료 및 격리 관련에 대한 보도설명자료],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 2015.11.16 ([https://web.archive.org/web/20151125101845/http://mers.go.kr/mers/html/jsp/Menu_C/list_C1.jsp?menuIds=&fid=21&q_type=&q_value=&cid=66274&pageNum= 아카이브])</ref>
1,001번째 줄: 1,051번째 줄:


==== [[11월 19일]] ====
==== [[11월 19일]] ====
'''전염병 위기경보 단계:''' 주의 (Yellow)<br />'''확진:''' 186명, '''사망:''' 37명, '''완치:''' 145명
{{질병상황판
 
|날짜=2015.11.19.
|사망=37
|확진=186
|의심=
|격리=
|완치=145
|위기경보=주의
|사망주석=
|확진주석=
|격리주석=
}}
* 정부는 국무총리 주재 국가정책조정회의에서 국가방역체계 개편방안 후속조치 이행상황을 점검하고 향후 계획들을 논의하였다.
* 정부는 국무총리 주재 국가정책조정회의에서 국가방역체계 개편방안 후속조치 이행상황을 점검하고 향후 계획들을 논의하였다.
** 보건복지부는 역학조사관 채용 공고를 낼 계획이라고 전했다.<ref name=AfterMERS>[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2&cid=1018477&iid=49090998&oid=003&aid=0006880908&ptype=021 역학조사관·음압병실 확충 등 메르스 후속대책 강화한다], 뉴시스, 2015.11.19</ref>
** 보건복지부는 역학조사관 채용 공고를 낼 계획이라고 전했다.<ref name=AfterMERS>[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2&cid=1018477&iid=49090998&oid=003&aid=0006880908&ptype=021 역학조사관·음압병실 확충 등 메르스 후속대책 강화한다], 뉴시스, 2015.11.19</ref>
1,023번째 줄: 1,083번째 줄:
{{-}}
{{-}}
==== [[11월 25일]] ====
==== [[11월 25일]] ====
'''전염병 위기경보 단계:''' 주의 (Yellow)<br />'''확진:''' 186명, '''사망:''' 38명, '''완치:''' 145명
{{질병상황판
 
|날짜=2015.11.25.
|사망=38
|확진=186
|의심=
|격리=
|완치=145
|위기경보=주의
|사망주석=
|확진주석=
|격리주석=
}}
*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는 80번 확진자가 악성림프종 치료 중 경과가 악화되어 11월 25일 오전 3시에 사망하였다고 밝혔다. 해당 환자는 6월 7일 확진된 이후 116일간 격리치료를 받았고 10월 3일 잠시 퇴원하였다가 10월 11일, 재입원한 상태에서 유전자 검사상 음성과 양성이 반복되는 상태로 격리치료 중에 있었다.<ref>[http://mers.go.kr/mers/html/jsp/Menu_C/list_C1.jsp?menuIds=&fid=21&q_type=&q_value=&cid=66330&pageNum= 메르스 80번째 확진자 사망],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 2015.11.25 ([https://web.archive.org/web/20151125101435/http://mers.go.kr/mers/html/jsp/Menu_C/list_C1.jsp?menuIds=&fid=21&q_type=&q_value=&cid=66330&pageNum= 아카이브])</ref>
*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는 80번 확진자가 악성림프종 치료 중 경과가 악화되어 11월 25일 오전 3시에 사망하였다고 밝혔다. 해당 환자는 6월 7일 확진된 이후 116일간 격리치료를 받았고 10월 3일 잠시 퇴원하였다가 10월 11일, 재입원한 상태에서 유전자 검사상 음성과 양성이 반복되는 상태로 격리치료 중에 있었다.<ref>[http://mers.go.kr/mers/html/jsp/Menu_C/list_C1.jsp?menuIds=&fid=21&q_type=&q_value=&cid=66330&pageNum= 메르스 80번째 확진자 사망],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 2015.11.25 ([https://web.archive.org/web/20151125101435/http://mers.go.kr/mers/html/jsp/Menu_C/list_C1.jsp?menuIds=&fid=21&q_type=&q_value=&cid=66330&pageNum= 아카이브])</ref>
{{-}}
{{-}}


==== [[11월 26일]] ====
==== [[11월 26일]] ====
'''전염병 위기경보 단계:''' 주의 (Yellow)<br />'''확진:''' 186명, '''사망:''' 38명, '''완치:''' 145명
{{질병상황판
 
|날짜=2015.11.26.
|사망=38
|확진=186
|의심=
|격리=
|완치=145
|위기경보=주의
|사망주석=
|확진주석=
|격리주석=
}}
* 수원지검 평택지청은 메르스 사태와 관련하여 공재광 평택시장과 문형표 전 보건복지부 장관에 대한 고발에 대해 '의식적으로 방임했거나 포기했다고 볼 수 없어 직무유기죄가 성립되지 않는다'라는 이유로 각하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001&aid=0008013711 메르스 사태 평택시장 직무유기 고발사건 각하], 연합뉴스, 2015.11.27</ref>
* 수원지검 평택지청은 메르스 사태와 관련하여 공재광 평택시장과 문형표 전 보건복지부 장관에 대한 고발에 대해 '의식적으로 방임했거나 포기했다고 볼 수 없어 직무유기죄가 성립되지 않는다'라는 이유로 각하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001&aid=0008013711 메르스 사태 평택시장 직무유기 고발사건 각하], 연합뉴스, 2015.11.27</ref>
{{-}}
{{-}}


==== [[11월 27일]] ====
==== [[11월 27일]] ====
'''전염병 위기경보 단계:''' 주의 (Yellow)<br />'''확진:''' 186명, '''사망:''' 38명, '''완치:''' 145명
{{질병상황판
 
|날짜=2015.11.27.
|사망=38
|확진=186
|의심=
|격리=
|완치=145
|위기경보=주의
|사망주석=
|확진주석=
|격리주석=
}}
* [[김포시]]는 메르스 백서를 발간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001&aid=0008016393 김포시 감염병 철저 대응…메르스 백서 발간], 연합뉴스, 2015.11.27</ref>
* [[김포시]]는 메르스 백서를 발간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001&aid=0008016393 김포시 감염병 철저 대응…메르스 백서 발간], 연합뉴스, 2015.11.27</ref>
{{-}}
{{-}}


==== [[11월 29일]] ====
==== [[11월 29일]] ====
'''전염병 위기경보 단계:''' 주의 (Yellow)<br />'''확진:''' 186명, '''사망:''' 38명, '''완치:''' 145명
{{질병상황판
 
|날짜=2015.11.29.
|사망=38
|확진=186
|의심=
|격리=
|완치=145
|위기경보=주의
|사망주석=
|확진주석=
|격리주석=
}}
* 경기도는 메르스 확산 방지를 위해 폐쇄된 건물의 소상공인 임차인들에게 2016년 초 영업 손실을 보상해 줄 예정으로, 관련 조례 시행규칙 제정안을 입법예고했다고 밝혔다.<ref>[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2&cid=1018477&iid=49096280&oid=001&aid=0008018404&ptype=021 경기도 메르스 폐쇄건물 소상공인 내년초 손실 보상], 연합뉴스, 2015.11.29</ref>
* 경기도는 메르스 확산 방지를 위해 폐쇄된 건물의 소상공인 임차인들에게 2016년 초 영업 손실을 보상해 줄 예정으로, 관련 조례 시행규칙 제정안을 입법예고했다고 밝혔다.<ref>[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2&cid=1018477&iid=49096280&oid=001&aid=0008018404&ptype=021 경기도 메르스 폐쇄건물 소상공인 내년초 손실 보상], 연합뉴스, 2015.11.29</ref>
* 메르스 사태를 계기로 [[한국]], [[중국]], [[일본]] 간 검역당국 협의체 구성이 논의되었다.<ref>[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2&cid=1018477&iid=49096397&oid=421&aid=0001760319&ptype=021 국경없는 메르스..한·중·일 “검역당국 협의체 구성”], 뉴스1, 2015.11.29</ref>
* 메르스 사태를 계기로 [[한국]], [[중국]], [[일본]] 간 검역당국 협의체 구성이 논의되었다.<ref>[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2&cid=1018477&iid=49096397&oid=421&aid=0001760319&ptype=021 국경없는 메르스..한·중·일 “검역당국 협의체 구성”], 뉴스1, 2015.11.29</ref>
1,049번째 줄: 1,149번째 줄:
=== [[12월]] ===
=== [[12월]] ===
====[[12월 1일]]====
====[[12월 1일]]====
'''전염병 위기경보 단계:''' 관심 (Blue)<br />'''확진:''' 186명, '''사망:''' 38명, '''완치:''' 145명
{{질병상황판
 
|날짜=2015.12.1.
|사망=38
|확진=186
|의심=
|격리=
|완치=145
|위기경보=관심
|사망주석=
|확진주석=
|격리주석=
}}
* [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2&cid=1018477&iid=1137697&oid=003&aid=0006904238&ptype=052 위기경보가 주의 단계에서 관심단계로 하향 조정되었다.] 이어 보건복지부는 중동에서 여전히 메르스 환자가 발생하는 상황을 감안하여, 메르스 발생 감시나 검역에 대한 조치를 유지하고 메르스를 비롯한 신종감염병 방역 대책을 계속해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ref>[http://mers.go.kr/mers/html/jsp/Menu_C/list_C1.jsp?menuIds=&fid=21&q_type=&q_value=&cid=66394&pageNum= 메르스,“주의→관심”으로 위기단계 하향 조정],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 2015.12.01 ([https://web.archive.org/web/20151201093342/http://mers.go.kr/mers/html/jsp/Menu_C/list_C1.jsp?menuIds=&fid=21&q_type=&q_value=&cid=66394&pageNum= 아카이브]</ref>
* [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2&cid=1018477&iid=1137697&oid=003&aid=0006904238&ptype=052 위기경보가 주의 단계에서 관심단계로 하향 조정되었다.] 이어 보건복지부는 중동에서 여전히 메르스 환자가 발생하는 상황을 감안하여, 메르스 발생 감시나 검역에 대한 조치를 유지하고 메르스를 비롯한 신종감염병 방역 대책을 계속해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ref>[http://mers.go.kr/mers/html/jsp/Menu_C/list_C1.jsp?menuIds=&fid=21&q_type=&q_value=&cid=66394&pageNum= 메르스,“주의→관심”으로 위기단계 하향 조정],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 2015.12.01 ([https://web.archive.org/web/20151201093342/http://mers.go.kr/mers/html/jsp/Menu_C/list_C1.jsp?menuIds=&fid=21&q_type=&q_value=&cid=66394&pageNum= 아카이브]</ref>
* '보건복지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일부개정령안'이 통과되어, 2015년 말까지 정규직 역학조사관 30명을 새로 뽑아 중앙본부에 배치하고 전국 17개 시·도에 2명 이상의 역학조사관을 배치할 예정이다. 또한, [[인천국제공항]]에 검역관을 15명 증원 배치할 예정이다.<ref>[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2&cid=1018477&iid=49097478&oid=003&aid=0006903726&ptype=021 역학조사관·공항검역관 연내 대폭 확충], 뉴시스, 2015.12.01</ref>
* '보건복지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일부개정령안'이 통과되어, 2015년 말까지 정규직 역학조사관 30명을 새로 뽑아 중앙본부에 배치하고 전국 17개 시·도에 2명 이상의 역학조사관을 배치할 예정이다. 또한, [[인천국제공항]]에 검역관을 15명 증원 배치할 예정이다.<ref>[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2&cid=1018477&iid=49097478&oid=003&aid=0006903726&ptype=021 역학조사관·공항검역관 연내 대폭 확충], 뉴시스, 2015.12.01</ref>
1,056번째 줄: 1,166번째 줄:


==== [[12월 6일]] ====
==== [[12월 6일]] ====
'''전염병 위기경보 단계:''' 관심 (Blue)<br />'''확진:''' 186명, '''사망:''' 38명, '''완치:''' 146명
{{질병상황판
 
|날짜=2015.12.6.
|사망=38
|확진=186
|의심=
|격리=
|완치=146
|위기경보=관심
|사망주석=
|확진주석=
|격리주석=
}}
* [[7월 1일]] 최종 음성판정을 받았던 35번 환자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와 운동 재활 치료를 받고 12월 6일 오전 11시에 퇴원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003&aid=0006914244 35번째 메르스 환자 삼성서울병원 의사 오늘 퇴원], 뉴시스, 2015.12.06</ref>
* [[7월 1일]] 최종 음성판정을 받았던 35번 환자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와 운동 재활 치료를 받고 12월 6일 오전 11시에 퇴원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003&aid=0006914244 35번째 메르스 환자 삼성서울병원 의사 오늘 퇴원], 뉴시스, 2015.12.06</ref>
{{-}}
{{-}}


==== [[12월 15일]] ====
==== [[12월 15일]] ====
'''전염병 위기경보 단계:''' 관심 (Blue)<br />'''확진:''' 186명, '''사망:''' 38명, '''완치:''' 146명
{{질병상황판
 
|날짜=2015.12.15.
|사망=38
|확진=186
|의심=
|격리=
|완치=146
|위기경보=관심
|사망주석=
|확진주석=
|격리주석=
}}
* 메르스 감염 늑장 신고로 해임 처분된 대구 남구청 공무원(52세, 154번 확진자)에 대해 대구지법 제2행정부는 늑장 신고로 인해 해임 처분한 것은 위법이라고 판결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001&aid=0008053828 메르스 감염 의심 늑장신고 공무원 해임은 '위법'], 연합뉴스, 2015.12.15</ref>
* 메르스 감염 늑장 신고로 해임 처분된 대구 남구청 공무원(52세, 154번 확진자)에 대해 대구지법 제2행정부는 늑장 신고로 인해 해임 처분한 것은 위법이라고 판결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001&aid=0008053828 메르스 감염 의심 늑장신고 공무원 해임은 '위법'], 연합뉴스, 2015.12.15</ref>
* 보건복지부는 메르스 관련 피해 의료기관에 대한 손실 보상금으로 1781억원을 확장했다고 밝혔다. 이 중 1160억원은 먼저 지급되었고, 나머지 621억원은 연내 지급될 예정이다. 보상 대상 의료기관은 총 233개로 삼성서울병원은 보상 대상에서 제외되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421&aid=0001787552 메르스 손실보상금 1781억원 지급..‘삼성서울병원’ 제외], 뉴스1, 2015.12.15</ref>
* 보건복지부는 메르스 관련 피해 의료기관에 대한 손실 보상금으로 1781억원을 확장했다고 밝혔다. 이 중 1160억원은 먼저 지급되었고, 나머지 621억원은 연내 지급될 예정이다. 보상 대상 의료기관은 총 233개로 삼성서울병원은 보상 대상에서 제외되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421&aid=0001787552 메르스 손실보상금 1781억원 지급..‘삼성서울병원’ 제외], 뉴스1, 2015.12.15</ref>
1,069번째 줄: 1,199번째 줄:


==== [[12월 22일]] ====
==== [[12월 22일]] ====
'''전염병 위기경보 단계:''' 관심 (Blue)<br />'''확진:''' 186명, '''사망:''' 38명, '''완치:''' 146명
{{질병상황판
 
|날짜=2015.12.22.
|사망=38
|확진=186
|의심=
|격리=
|완치=146
|위기경보=관심
|사망주석=
|확진주석=
|격리주석=
}}
* [[경기도]]는 메르스 백서를 도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421&aid=0001799484 경기도, 메르스 사태 전말과 대응과정 담은 백서 공개], 뉴스1, 2015.12.22</ref>
* [[경기도]]는 메르스 백서를 도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421&aid=0001799484 경기도, 메르스 사태 전말과 대응과정 담은 백서 공개], 뉴스1, 2015.12.22</ref>
{{-}}
{{-}}


==== [[12월 23일]] ====
==== [[12월 23일]] ====
'''전염병 위기경보 단계:''' 관심 (Blue)<br />'''확진:''' 186명, '''사망:''' 38명, '''완치:''' 146명
{{질병상황판
 
|날짜=2015.12.23.
|사망=38
|확진=186
|의심=
|격리=
|완치=146
|위기경보=관심
|사망주석=
|확진주석=
|격리주석=
}}
* 보건복지부는 세계보건기구 기준에 따라 12월 23일 24시에 메르스 종식 선언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신종감염병의 해외 유입의 가능성은 계속 있기 때문에 관련 방역대책은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ref>[http://mers.go.kr/mers/html/jsp/Menu_C/list_C1.jsp?menuIds=&fid=21&q_type=&q_value=&cid=66585&pageNum= 메르스, WHO 기준에 따른 상황 종료],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 2015.12.23 ([https://web.archive.org/save/http://mers.go.kr/mers/html/jsp/Menu_C/list_C1.jsp?menuIds=&fid=21&q_type=&q_value=&cid=66585&pageNum= 아카이브])</ref>
* 보건복지부는 세계보건기구 기준에 따라 12월 23일 24시에 메르스 종식 선언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신종감염병의 해외 유입의 가능성은 계속 있기 때문에 관련 방역대책은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ref>[http://mers.go.kr/mers/html/jsp/Menu_C/list_C1.jsp?menuIds=&fid=21&q_type=&q_value=&cid=66585&pageNum= 메르스, WHO 기준에 따른 상황 종료],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 2015.12.23 ([https://web.archive.org/save/http://mers.go.kr/mers/html/jsp/Menu_C/list_C1.jsp?menuIds=&fid=21&q_type=&q_value=&cid=66585&pageNum= 아카이브])</ref>
{{-}}
{{-}}
1,082번째 줄: 1,232번째 줄:
메르스 자체의 확진은 2016년 들어서 일어나지 않은 상황이지만 의심환자로 분류되는 경우는 매일 1~2차례씩 신고되고 있는 상황이다.
메르스 자체의 확진은 2016년 들어서 일어나지 않은 상황이지만 의심환자로 분류되는 경우는 매일 1~2차례씩 신고되고 있는 상황이다.
=== [[1월 8일]] ===
=== [[1월 8일]] ===
'''전염병 위기경보 단계:''' 관심 (Blue)<br />'''확진:''' 186명, '''사망:''' 38명, '''완치:''' 146명
{{질병상황판
 
|날짜=2016.1.8.
|사망=38
|확진=186
|의심=
|격리=
|완치=146
|위기경보=관심
|사망주석=
|확진주석=
|격리주석=
}}
* 질병관리본부는 환자 8명에게서 채취한 검체를 이용해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메르스 바이러스가 한국에 퍼지면서 변이가 일어났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질병관리본부는 (사우디아라비아에서의 메르스 바이러스와 비교할 때) '염기서열이 0.1%가 다른 것으로 염기서열이 8% 이상 차이나는 변종에 해당되지 않는다'라고 설명했으며 유전자 변이와 질병의 양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003&aid=0006973714 질병관리본부 "메르스 변이 발견됐지만 우려할 변종 아냐"], 뉴시스, 2016.10.08</ref> ([http://mers.go.kr/mers/html/jsp/Menu_C/list_C1.jsp?menuIds=&fid=21&q_type=&q_value=&cid=66756&pageNum=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의 보도])
* 질병관리본부는 환자 8명에게서 채취한 검체를 이용해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메르스 바이러스가 한국에 퍼지면서 변이가 일어났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질병관리본부는 (사우디아라비아에서의 메르스 바이러스와 비교할 때) '염기서열이 0.1%가 다른 것으로 염기서열이 8% 이상 차이나는 변종에 해당되지 않는다'라고 설명했으며 유전자 변이와 질병의 양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003&aid=0006973714 질병관리본부 "메르스 변이 발견됐지만 우려할 변종 아냐"], 뉴시스, 2016.10.08</ref> ([http://mers.go.kr/mers/html/jsp/Menu_C/list_C1.jsp?menuIds=&fid=21&q_type=&q_value=&cid=66756&pageNum=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의 보도])
{{-}}
{{-}}
1,089번째 줄: 1,249번째 줄:
=== [[2월 10일]] ===
=== [[2월 10일]] ===
<!--날짜가 바뀔 때마다 이 줄을 이동해주세요.--><span id="최신"></span><!--여기까지-->
<!--날짜가 바뀔 때마다 이 줄을 이동해주세요.--><span id="최신"></span><!--여기까지-->
'''전염병 위기경보 단계:''' 관심 (Blue)<br />'''확진:''' 186명, '''사망:''' 38명, '''완치:''' 147명<ref>[http://archive.is/itouf 2016년 2월 12일 9시 기준]</ref>
{{질병상황판
 
|날짜=2016.2.10.
|사망=38
|확진=186
|의심=
|격리=
|완치=147
|위기경보=관심
|사망주석=
|확진주석=
|격리주석=
|완치주석=<ref>[http://archive.is/itouf 2016년 2월 12일 9시 기준]</ref>
}}
* 메르스 음성 판정 이후 후유증 치료를 받고 있던 74번 확진자의 상태가 호전되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421&aid=0001881892 "9개월째 입원", 메르스 후유증 장기 환자 상태 호전…재활치료 중], 뉴스1, 2016.02.10</ref>
* 메르스 음성 판정 이후 후유증 치료를 받고 있던 74번 확진자의 상태가 호전되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421&aid=0001881892 "9개월째 입원", 메르스 후유증 장기 환자 상태 호전…재활치료 중], 뉴스1, 2016.02.10</ref>
{{-}}
{{-}}
1,104번째 줄: 1,275번째 줄:


== 확진자 현황 ==
== 확진자 현황 ==
{{참고|대한민국 메르스 사태/확진자 현황}}
{{참조|대한민국 메르스 사태/확진자 현황}}


== 바깥 고리 ==
== 바깥 고리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