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나믹 레인지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다이나믹 레인지'''(Dynamic range)는 [[소리]]나 [[빛]]처럼 변경 가능한 신호의 최소값과 최대값의 비율을 뜻한다. 약칭은 '''DR''' 및 '''DNR'''. 측정 장비의 기준에 따라 [[데시벨]](dB) 등의 로그 단위로 표현된다. [[모니터]]로 따지면 명암비이며, [[음악]]으로 따지면 소리의 크기이다.
'''다이나믹 레인지'''(Dynamic range)는 [[소리]]나 [[빛]]처럼 변경 가능한 신호의 최소값과 최대값의 비율을 뜻한다. 약칭은 '''DR''' 및 '''DNR'''. 측정 장비의 기준에 따라 [[데시벨]](dB) 등의 로그 단위로 표현된다. [[모니터]]로 따지면 명암비이며, [[음악]]으로 따지면 소리의 크기이다.


자연 상태에서 측정 장비로 측정되는 다이나믹 레인지는 센서의 한계에 따라 다르지만, 이미 [[인간]]의 감각기관은 한참 넘어서 있다. DSLR이나 음향기기는 각종 필터 등을 거쳐서 그 범위를 보정한 결과물을 인간에게 넘겨준다.
자연 상태에서 측정 장비로 측정되는 다이나믹 레인지는 센서의 한계에 따라 다르지만, 이미 [[인간]]의 감각기관은 한참 넘어서 있다. DSLR이나 음향기기는 각종 필터 등을 거쳐서 그 범위를 보정한 결과물을 인간에게 넘겨준다.  


센서의 다이나믹 레인지가 인간의 감각기관을 한참 넘어서는 이유는 센서의 다이나믹 레인지는 고정되어 있지만 인간의 감각기관은 그렇지 않다는 것에서 기인한다. [[눈]]이나 [[귀]] 같은 인간의 감각기관은 매우 예민하지만 항상 최저값과 최고값을 모두 받아들이지 못하는데, 예를 들면 어두운 곳에서 갑자기 밝은 곳으로 나올 경우 눈부심이 발생하다가 서서히 적응되면 아무렇지도 않게 볼 수 있고 낮에는 주위의 소음 때문에 작아서 안 들리던 소리가 고요한 밤에는 크게 들리는 것처럼 인간의 감각은 주위 상황에 따라 같은 값이라도 상대적으로 다르게 인식한다. 그 때문에 모니터, 사진, 음악 등이 인간의 감각기관을 모두 충족시키는 건 불가능하다. 대부분의 출력장비는 다이나믹 레인지를 압축하거나 HDR 등의 기술로 인간의 감각기관에 맞게 보정을 거친다.
센서의 다이나믹 레인지가 인간의 감각기관을 한참 넘어서는 이유는 센서의 다이나믹 레인지는 고정되어 있지만 인간의 감각기관은 그렇지 않다는 것에서 기인한다. [[눈]]이나 [[귀]] 같은 인간의 감각기관은 매우 예민하지만 항상 최저값과 최고값을 모두 받아들이지 못하는데, 예를 들면 어두운 곳에서 갑자기 밝은 곳으로 나올 경우 눈부심이 발생하다가 서서히 적응되면 아무렇지도 않게 볼 수 있고 낮에는 주위의 소음 때문에 작아서 안 들리던 소리가 고요한 밤에는 크게 들리는 것처럼 인간의 감각은 주위 상황에 따라 같은 값이라도 상대적으로 다르게 인식한다. 그 때문에 모니터, 사진, 음악 등이 인간의 감각기관을 모두 충족시키는 건 불가능하다. 대부분의 출력장비는 다이나믹 레인지를 압축하거나 HDR 등의 기술로 인간의 감각기관에 맞게 보정을 거친다.
13번째 줄: 13번째 줄:


===디지탈 음향에서의 다이나믹 레인지===
===디지탈 음향에서의 다이나믹 레인지===
디지탈 장비의 다이나믹 레인지는 ADC/DAC칩의 비트 심도(bit depth)에 따라 정해진다. 비트 심도가 깊어질수록 다이나믹 레인지가 증가하며 얕을수록 낮아지는데, 최고값은 모든 비트가 1로 바뀌는 값(0dB)이며 최고값을 기준으로 음수로 표현이 된다. 16비트 정수를 기준으로 정확히 96.33 dB의 다이나믹 레인지를 가진다. 시중에는 다양한 장비와 매체가 나와있으나 여러 가지 요인으로 정수 24비트이상의 비트 심도는 의미를 가지지 않는데, 아날로그 기준 120dB 이상의 소리는 인간의 청감 특성상 소음과 다르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ADC단계에서 입력이 제한된다.  실제 고해상도 음악작업이라도 물론 아주 순간적으로 넘을 수는 있지만 엔간해선 120dB을 절대로 넘지 않게 만든다. 시장에 24비트 보다 더 깊은 비트 심도의 장비가 나오는 이유는 오로지 더 넓은 신호 대 잡음비-즉 다이나믹 레인지의 확보와 THD(토탈 하모닉 디스토션-고조파 왜곡)을 줄이기 위해 만들어진다. 시중에 판매되는 고가의 32비트 DAC라도 신호 대 잡음비가 130dB를 약간 넘는 수준이라 24비트의 이론상 한계인 144.49dB에 미치지 못한다.
디지탈 장비의 다이나믹 레인지는 ADC/DAC칩의 비트 심도(bit depth)에 따라 정해진다. 비트 심도가 깊어질수록 다이나믹 레인지가 증가하며 얕을수록 낮아지는데, 최고값은 모든 비트가 1로 바뀌는 값(0dB)이며 최고값을 기준으로 음수로 표현이 된다. 16비트 정수를 기준으로 정확히 96.33 dB의 다이나믹 레인지를 가진다. 시중에는 다양한 장비와 매체가 나와있으나 여러가지 요인으로 정수 24비트이상의 비트 심도는 의미를 가지지 않는데, 아날로그 기준 120dB 이상의 소리는 인간의 청감 특성상 소음과 다르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ADC단계에서 입력이 제한된다.  실제 고해상도 음악작업이라도 물론 아주 순간적으로 넘을 수는 있지만 엔간해선 120dB을 절대로 넘지 않게 만든다. 시장에 24비트 보다 더 깊은 비트 심도의 장비가 나오는 이유는 오로지 더 넓은 신호 대 잡음비-즉 다이나믹 레인지의 확보와 THD(토탈 하모닉 디스토션-고조파 왜곡)을 줄이기 위해 만들어진다. 시중에 판매되는 고가의 32비트 DAC라도 신호 대 잡음비가 130dB를 약간 넘는 수준이라 24비트의 이론상 한계인 144.49dB에 미치지 못한다.
 
90년대의 [[DAW]]는 트랙의 믹싱작업시 오디오신호가 실제 장비의 DAC에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각 장비의 스펙이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나쁜 장비를 쓰면  트랙이 많아질 수록 각 트랙의 비트심도가 낮아지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21세기에 들어와서는 DAC와는 별개로 CPU의 파워만으로 24비트 32비트 64비트 실수연산을 활용하기 때문에. 하드웨어의 스펙이 예전만큼의 영향력을 발휘하지 않는다. 지금에 와서는 DAC가 24비트라도 CPU연산만으로 64비트 실수 오디오 파일을 만들 수 있게 되었다.


{{각주}}
{{각주}}
[[분류:음향학]]
[[분류:음향]]
[[분류:영상]]
[[분류:영상]]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