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기공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2번째 줄: 22번째 줄:


===== DHP9P =====
===== DHP9P =====
DHP9P 모델은 double stack 방식의 탄알집을 사용한다. 타 DHP 시리즈(DHP9U 제외) 권총은 9 mm 기준 10발, .45 ACP 기준 8발의 장탄수를 갖고 있으나, 해당 권총은 각각 17발, 10발이라는 점이 특징이다.
DHP9P 모델은 double stack 방식의 탄알집을 사용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 DSP 시리즈 ====
==== DSP 시리즈 ====
글락 권총의 모방형 모델이다.
글락 권총의 모방형 모델이다.
===== DSP9A =====
DSP9A는 알루미늄(Aluminum) 프레임을 사용하는 모델이다.


=== 기관단총 ===
=== 기관단총 ===
70번째 줄: 67번째 줄:
RAPID 시리즈
RAPID 시리즈


= 문제점 및 사건사고 =
== 문제점 ==
== 군사기밀 무단수집 사건 ==
=== 품질관리 문제 ===
[[다산기공]]이 방위사업청으로부터 특수작전용 기관단총 사업을 수주하는 과정에서 군사기밀을 빼낸 혐의로 관련자인 예비역 육군 중령이 기소, 구속되는 사건이 발생했다.<ref>[https://view.asiae.co.kr/article/2021100708213644805 군기밀 유출 예비역 4년 실형… 특수전 기관단총 사업 무산 위기], 아시아경제, [[2021년]] [[10월 7일]]</ref> 예비역 중령 송씨는 특수작전용 기관단총 사업 수주를 위해 군에서 업무상 취득한 군사기밀을 전역 후 다산기공에 임원으로 재취업하는 과정에서 군사기밀을 제공함으로서 다산기공으로부터 금품과 취업알선을 제공받은 혐의가 적용되었다.
{{빈 문단}}


다산기공은 2015년부터 차기 경기관총 사업, 신형 7.62 mm 기관총 사업, 12.7 mm 저격소총, 개인전투체계(워리어 플랫폼) 등과 관련된 군사기밀을 지속적으로 수집했다. 이후 2020년에 다산기공의 군사기밀 수집 활동이 안보지원사령부에게 적발됐다.<ref>[https://news.sbs.co.kr/amp/news.amp?news_id=N1006926364 김태훈, <nowiki>“[취재파일] 6년간 총기류 기밀 무더기 탈취…단 6개월 제재가 전부”</nowiki> ''SBS뉴스'', 2022년 10월 10일, https://news.sbs.co.kr/amp/news.amp?news_id=N1006926364]</ref>
= 사건사고 =
== 다산기공 기밀 유출 사건 ==
[[다산기공]]이 방위사업청으로부터 특수작전용 기관단총 사업을 수주하는 과정에서 군사기밀을 빼낸 혐의로 관련자인 예비역 육군 중령이 기소되어 구속되는 사건이 발생했다.<ref>[https://view.asiae.co.kr/article/2021100708213644805 군기밀 유출 예비역 4년 실형… 특수전 기관단총 사업 무산 위기], 아시아경제, [[2021년]] [[10월 7일]]</ref> 예비역 중령 송씨는 특수작전용 기관단총 사업 수주를 위해 군에서 업무상 취득한 군사기밀을 전역 후 다산기공에 임원으로 재취업하는 과정에서 기밀제공 댓가로 다산기공으로부터 금품과 취업알선을 제공받은 혐의가 적용되었다.


이 사건의 여파로 다산기공은 향후 12개월간 방위산업 관련 입찰이 제한되었고, 개발중이던 특수작전용 기관단총([[DSAR-15P]]) 사업 역시 암초를 만나게 되었다. 최악의 경우 사업 자체가 취소되는 상황도 발생할 수 있다.
이 사건의 여파로 다산기공은 향후 12개월간 방위산업 관련 입찰이 제한되었고, 개발중이던 특수작전용 기관단총([[DSAR-15P]]) 사업 역시 암초를 만나게 되었다. 최악의 경우 사업 자체가 취소되는 상황도 발생할 수 있다.
== 미흡한 품질관리 ==
== 특수작전용 기관단총 도입 사업 방해 ==
군은 특수작전용 기관단총을 1형과 2형으로 도입하려 했다. 1형은 체계개발로, 방사청과 업체가 함께 총기를 개발하는 사업이다. 2형은 1700정 가량을 도입하는 사업이다. 2형 사업은 원래 해외 업체에서 구매하는 사업으로, 미국의 델타포스, 폴란드의 JW GROM 등의 특수전 부대에서 사용하는 소총인 HK416을 유력한 후보로 검토했다. 하지만 다산기공은 HK416과 비슷한 성능의 소총을 더 싼 값에 만들 수 있다면서 군에 민원을 넣었고, 국외도입 사업이 국내도입 사업으로 바뀌었다. 이 과정에서 사업이 크게 지연됐다는 문제점도 발생했다. 세계의 특수전 부대에서 쓰고 있고, 여러 전쟁과 전투에서 검증된 우수한 외국제 소총을 국군이 대량 도입할 수 있었던 천재일우의 기회를 다산기공이 걷어찼다. <ref>[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6/28/2020062800887.html <nowiki>유용원, “[밀톡] 빈라덴 잡은 그총보다 세다, 특전사 44년만에 새 기관단총”</nowiki> ''조선일보'', 2020년 6월 28일,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6/28/2020062800887.html]</ref><br />


== 다산기공의 나무위키 문서 훼손 ==
== 다산기공의 나무위키 문서 훼손 ==
[[파일:Dasan1.png]]<br />
[[파일:Dasan1.png]]<br/>


[[나무위키]] 다산기공 문서의 편집 기록. r302부터 r304까지 문서 훼손이 이뤄졌다.
[[나무위키]] 다산기공 문서의 편집 기록. r302부터 r304까지 문서 훼손이 이뤄졌다.


[[파일:Dasan5.png]]<br />
[[파일:Dasan5.png]]<br/>


위 IP 210.126.72.68을 Whois.kr에 검색해 본 결과 다산기공의 IP로 확인됐다.
위 IP 210.126.72.68을 Whois.kr에 검색해 본 결과 다산기공의 IP로 확인됐다.
100번째 줄: 94번째 줄:
}}
}}


다산기공은 자신의 치부를 가리기 위해 해당 문서에 있는 '사건사고 및 논란'과 하위 문단을 통째로 삭제했다. 현재 해당 IP는 차단됐으며, 그 날 이후 지금까지 다산기공의 공식적인 반응은 없다.
다산기공은 자신의 치부를 가리기 위해서 해당 문서에 있는 '사건사고 및 논란'과 하위 문단을 통째로 삭제했다. 현재 해당 IP는 차단됐으며, 아직까지 다산기공의 반응은 없다.


{{각주}}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기업]]
[[분류:대한민국의 기업]]
[[분류:총기제조사]]
[[분류:총기제조사]]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