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천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다문천'''(多聞天)은 [[불교]]에서 섬기는 [[천부]]의 [[부처]] 가운데 하나다. 달리 '''비사문천'''(毘沙門天)이라고도 부른다. [[대한민국]]에서는 대체로 다문천 쪽으로 부르며, [[일본]]에서는 독존상으로 안치되어있는 경우 비사문천으로, 사천왕 중 일존으로서 안치되어있는 경우 다문천으로 부르는 것이 통례다.
'''다문천'''(多聞天)은 [[불교]]에서 섬기는 [[천부]]의 [[부처]] 가운데 하나다. 달리 '''비사문천'''(毘沙門天)이라고도 부른다. [[대한민국]]에서는 대체로 다문천 쪽으로 부르며, [[일본]]에서는 독존상으로 안치되어있는 경우 비사문천으로, 사천왕 중 일존으로서 안치되어있는 경우 다문천으로 부르는 것이 통례다.


다문천은 [[지국천]], [[증장천]], [[광목천]]과 함께 [[사천왕]]의 일존으로서 꼽히는 [[무신]](武神)이며, 사천왕 중에서도 가장 그 위상이 높아 [[중앙아시아]], [[중국]], 일본 등지에서 독존으로서 신앙의 대상이 되어있기도 하다. 비사문천이라는 한자명은 [[산스크리트어]] 이름인 바이슈라바나(वैश्रवण, Vaiśravaṇa)를 음역한 것으로서, 그 의미는 「바이슈라바스 신의 아들」이 된다. 그러나 동시에 「잘 듣는 자」라는 의미로도 해석이 가능하여 이를 [[의역]]한 한역명이 곧 다문천이다.
다문천은 [[지국천]], [[증장천]], [[광목천]]과 함께 [[사천왕]]의 일존으로서 꼽히는 [[무신]](武神)이며, 사천왕 중에서도 가장 그 위상이 높아 [[중앙 아시아]], [[중국]], 일본 등지에서 독존으로서 신앙의 대상이 되어있기도 하다. 비사문천이라는 한자명은 [[산스크리트어]] 이름인 바이슈라바나(वैश्रवण, Vaiśravaṇa)를 음역한 것으로서, 그 의미는 「바이슈라바스 신의 아들」이 된다. 그러나 동시에 「잘 듣는 자」라는 의미로도 해석이 가능하여 이를 [[의역]]한 한역명이 곧 다문천이다.


== 개요 ==
== 개요 ==
23번째 줄: 23번째 줄:
북방의 수호신 다문천은 북쪽의 이민족들에게 잦은 공격을 받아왔던 옛 중국에서 깊은 숭배를 받게 되며, '''[[탁탑천왕]]'''이라는 이름으로 민간 신앙에 받아들여져 [[도교]]의 신으로도 취급되었다. 세월과 함께 [[당나라]] [[당태종|태종]] 때 북방의 이민족을 정벌한 명장 [[이정]]이 신격화되면서 이 탁탑천왕과 동일시되고, 《[[봉신연의]]》, 《[[서유기]]》 등 고전 소설에서 찾아볼 수 있는 익숙한 모습인 탁탑이천왕에 이르게 된다. 탁탑천왕 이정이 다문천과 동일시되면서 인도의 야차왕이었을 시절 때부터 다문천의 아들이었던 나타태자 또한 이정의 되바라진 셋째 아들로 변모를 이루게 된다.
북방의 수호신 다문천은 북쪽의 이민족들에게 잦은 공격을 받아왔던 옛 중국에서 깊은 숭배를 받게 되며, '''[[탁탑천왕]]'''이라는 이름으로 민간 신앙에 받아들여져 [[도교]]의 신으로도 취급되었다. 세월과 함께 [[당나라]] [[당태종|태종]] 때 북방의 이민족을 정벌한 명장 [[이정]]이 신격화되면서 이 탁탑천왕과 동일시되고, 《[[봉신연의]]》, 《[[서유기]]》 등 고전 소설에서 찾아볼 수 있는 익숙한 모습인 탁탑이천왕에 이르게 된다. 탁탑천왕 이정이 다문천과 동일시되면서 인도의 야차왕이었을 시절 때부터 다문천의 아들이었던 나타태자 또한 이정의 되바라진 셋째 아들로 변모를 이루게 된다.


《봉신연의》에서는 탁탑천왕 이정 말고도 다문천의 다른 화신이 한 명 더 등장하는데, 바로 마가사장(魔家四将) 중 셋째인 마예해(馬禮海)다. 마예해는 봉신되면서 다문천왕(多'''文'''天王)으로 봉해진다.<ref>다문천의 "문(聞)"이 《봉신연의》에서 굳이 "문(文)"으로 바뀐 까닭은, 또 다른 다문천의 화신인 탁탑천왕 이정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장치인 듯하다.</ref>
《봉신연의》에서는 탁탑천왕 이정 말고도 다문천의 다른 화신이 한 명 더 등장하는데, 바로 마가사장(魔家四将) 중 셋째인 마예해(馬禮海)다. 마예해는 봉신되면서 다문천왕(多'''文'''天王)으로 봉해진다.<ref>본래 다문천의 "문(聞)"이 《봉신연의》에서 굳이 "문(文)"바뀐 까닭은, 또 다른 다문천의 화신인 탁탑천왕 이정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장치인 듯하다.</ref>


== 형상 ==
== 형상 ==
불상과 탱화에서 표현되는 다문천의 모습은 갖가지지만 오른손에 보탑을 들고 왼손에 [[삼차극]]을 든 무장의 형상이 보편적이다. 보탑은 재물의 신으로서 성격을, 삼차극은 무신으로서의 성격을 나타낸다.
불상과 탱화에서 표현되는 다문천의 모습은 갖가지지만 오른손에 보탑을 들고 왼손에 [[삼차극]]을 든 무장의 형상이 보편적이다. 보탑은 재물의 신으로서 성격을, 삼차극은 무신으로서의 성격을 나타낸다.


중국의 민간 신앙에서 다문천은 녹색의 낯빛에 한손에 [[우산]]을, 한손에 다문천의 수하 동물인 [[쥐]]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그려진다. 대한민국의 사천왕상에서 다문천의 지물이 [[비파]]가 되어있는 경우도 보이지만 이것은 [[조선]] 시대 이후의 것<ref>《[[봉신연의]]》에서 다문천왕으로 봉해지는 마예해가 사용하는 [[보패]]가 비파인 것을 보면, 비사문천의 지물이 비파인 것도 꽤 오래된 전통으로 짐작된다.</ref>으로, 그 이전에 지어진 사천왕상은 역시 무신의 성격이 강해 삼차극 또는 [[창]]을 들고 있다. 한편 [[티베트 불교]]에서 다문천은 재보신으로서의 성격이 특히 강해서 그 지물이 보탑과 더불어 [[보석]]을 비롯한 재물을 토해내는 보서(寶鼠, [[몽구스]])가 되어있는 예가 대부분이다.
중국의 민간 신앙에서 다문천은 녹색의 낯빛에 한손에 [[우산]]을, 한손에 다문천의 수하 동물인 [[쥐]]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그려진다. 대한민국의 사천왕상에서 다문천의 지물이 [[비파]]가 되어있는 경우도 보이지만 이것은 [[조선]] 시대 이후의 것<ref>《[[봉신연의]]》에서 다문천왕으로 봉해지는 마예해가 사용하는 [[보패]]가 [[비파]]인 것을 보면, 비사문천의 지물이 비파인 것도 꽤 오래된 전통으로 보인다.</ref>으로, 그 이전에 지어진 사천왕상은 역시 무신의 성격이 강해 삼차극 또는 [[창]]을 들고 있다. 한편 [[티베트 불교]]에서 다문천은 재보신으로서의 성격이 특히 강해서 그 지물이 보탑과 더불어 [[보석]]을 비롯한 재물을 토해내는 보서(寶鼠, [[몽구스]])가 되어있는 예가 대부분이다.


사천왕상에서 북방다문천왕의 낯빛은 [[검은색]]으로 칠해지는 경우가 잦은데, 이는 검은색이 북방을 상징하는 빛깔이기 때문이다.
사천왕상에서 북방다문천왕의 낯빛은 [[검정색]]으로 칠해지는 경우가 잦은데, 이는 검정색이 북방을 상징하는 빛깔이기 때문이다.


== 다문천에 얽힌 각종 전설 ==
== 다문천에 얽힌 각종 전설 ==
39번째 줄: 39번째 줄:
=== 일본 ===
=== 일본 ===
;[[쇼토쿠 태자]] (성덕태자)
;[[쇼토쿠 태자]] (성덕태자)
:일본 [[아스카 시대]]의 왕족. 모반을 일으킨 모노노베 일족을 토벌할 때, 인년(寅年), 인월(寅月), 인일(寅日), 인시(寅時)에 비사문천이 쇼토쿠 태자 앞에 나타나 두 비법을 하사했다는 전설이 있다.<ref>이 전설로 인해 일본에서는 비사문천과 [[호랑이]]가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믿어지게 되었다. 비사문천을 본존으로 모시는 시기산(信貴山)의 사찰, 쵸고손시지(朝護孫子寺) 절에 호랑이 인형이 다수 비치되어있는 건 이런 일화에서 연유한 것이다.</ref>
:일본 [[아스카 시대]]의 황족. 모반을 일으킨 모노노베 일족을 토벌할 때, 인년(寅年), 인월(寅月), 인일(寅日), 인시(寅時)에 비사문천이 쇼토쿠 태자 앞에 나타나 두 비법을 하사했다는 전설이 있다.<ref>이 전설로 인해 일본에서는 비사문천과 [[호랑이]]가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믿어지게 되었다. 비사문천을 본존으로 모시는 시기산(信貴山)의 사찰, 쵸고손시사(朝護孫子寺)호랑이 인형이 다수 비치되어있는 건 이런 일화에서 연유한 것이다.</ref>


;[[우에스기 겐신]]
;[[우에스기 겐신]]
:[[일본 전국시대]]의 무장. 각별한 비사문천 신앙을 품고 있어, 군기에도 비사문천의 비(毘) 자를 사용했다. 겐신이 비사문천 신앙을 가진 이유는 쇼토쿠 태자의 전설처럼 겐신이 인년 인월에 태어났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때문인지 겐신의 본래 이름도 호랑이가 들어간 '''카게토라'''(景虎)이다.
:[[일본 전국시대]]의 무장. 각별한 비사문천 신앙을 품고 있어, 군기에도 「毘」자를 사용했다. 겐신이 비사문천 신앙을 가진 이유는 쇼토쿠 태자의 전설처럼 겐신이 인년 인월에 태어났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 때문인지 겐신의 본래 이름도 호랑이가 들어간 "'카게토라"'(景虎)이다.


;[[쿠라마텐구]]
;[[쿠라마텐구]]
:[[미나모토노 요시츠네|우시와카마루]]에게 무예를 가르쳤다고 전해지는 [[텐구]]. 쿠라마데라(鞍馬寺) 절에서 본존으로 모시고 있는 비사문천의 밤의 모습이라고도 한다.
:[[미나모토노 요시츠네|우시와카마루]]에게 무예를 가르쳤다고 전해지는 [[텐구]]. 쿠라마데라(鞍馬寺)에서 본존으로 모시고 있는 비사문천의 밤의 모습이라고도 한다.


== 대중문화 속의 다문천 ==
== 대중문화 속의 다문천 ==
* [[게임]] [[여신전생 시리즈]]에서 비사문천은 고레벨 귀신족으로서 등장한다. 게임에 등장하는 사천왕 중에서 언제나 비사문천이 가장 레벨이 높으며, 지국천, 증장천, 광목천과 세트로 나오는 경우가 많다. 다른 사천왕들이 등장하지 않을 때에도 비사문천만이 단독으로 등장하기도 하며, 스토리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는 경우도 많다.
* [[게임]] [[여신전생]] 시리즈에서 비사문천은 고레벨 귀신족으로서 등장한다. 게임에 등장하는 사천왕 중에서 언제나 비사문천이 가장 레벨이 높으며, 지국천, 증장천, 광목천과 세트로 나오는 경우가 많다. 다른 사천왕들이 등장하지 않을 때에도 비사문천만이 단독으로 등장하기도 하며, 스토리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는 경우도 많다.
* [[만화]] 《[[고스트 스위퍼]]》에는  [[칠복신]] 관련 에피소드에서 비사문천 본인이 등장한다. [[미카미 레이코]]가 제시한 [[소룡공주]]의 누드 사진에 의해 회유 당한다.
* [[만화]] 《[[고스트 스위퍼]]》에는  [[칠복신]] 관련 에피소드에서 비사문천 본인이 등장한다. [[미카미 레이코]]가 제시한 [[소룡공주]]의 누드 사진에 의해 회유 당한다.
* 만화 《[[에어 기어]]》에서 [[오사카]] 지역의 스톰라이더 중 3인의 맹주를 의미하는 '트라이던트'는 비사문천의 삼차극에서 따온 것이다. 여기에 트라이던트 중 한 명인 벤케이의 별명은 '나니와의 비사문천'이다.
* 만화 《[[에어 기어]]》에서 [[오사카]] 지역의 스톰라이더 중 3인의 맹주를 의미하는 '트라이던트'는 비사문천의 삼차극에서 따온 것이다. 여기에 트라이던트 중 한 명인 벤케이의 별명은 '나니와의 비사문천'이다.
55번째 줄: 55번째 줄:


{{각주}}
{{각주}}
[[분류:천부]]
[[분류:부처]]
[[분류:군신]]
[[분류:군신]]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