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 게임 노 라이프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4번째 줄: 4번째 줄:
|배경색      =  
|배경색      =  
|글자색      =  
|글자색      =  
|그림        = [[파일:노 게임 노 라이프 단행본.jpg|200px]]
|그림        = [[파일:노 게임 노 라이프 단행본.jpg]]
|그림설명    = 한국어판 제1권 표지
|그림설명    = 표지
|지은이      = [[카미야 유우]]
|지은이      = 카미야 유우
|그린이      = 카미야 유우
|그린이      = 카미야 유우
|장르        = 판타지, 두뇌 배틀
|장르        = 판타지, 두뇌 배틀
|나라         = {{나라|일본}}
|국가         = {{국기|일본}}
|언어        = [[일본어]]
|언어        = [[일본어]]
|출판사      = [[KADOKAWA]] (MF 문고 J)
|발행일      =
|출판사      = KADOKAWA (MF 문고 J)
|ISBN        =
|연재처      =  
|연재처      =  
|연재기간    =  
|연재기간    =  
|권수        = 본편 12권+외전 1권
|옮긴이      = 김완
|번역발행일  =
|번역출판사  = 영상출판미디어 (노블엔진)
|번역ISBN    =
|번역연채처  =
|번역연재기간 =
|권수        = 본편 10권+외전 1권
|화수        =  
|화수        =  
|시리즈      =  
|시리즈      =  
|이전작품    =
|다음작품    =  
|다음작품    =  
|옮긴이      = 김완
|팬픽원작    =  
|번역출판사  = [[영상출판미디어]] ([[노블엔진]])
|웹사이트    =  
|번역연채처  =
|번역연재기간 =  
|비고        =  
|비고        =  
}}
}}
《'''노 게임 노 라이프'''》(ノーゲーム・ノーライフ, ''No Game No Life'')는 [[일본]]의 [[카미야 유우]]가 지은 [[라이트 노벨]]로, [[미디어 팩토리]](현 [[KADOKAWA]])의 [[MF 문고 J]] 레이블로 출간되었다. 약칭은 '''NGNL'''. [[대한민국]]에서는 '''노겜노라'''라고도 한다. 특이하게도 삽화 또한 카미야 유우가 맡고 있어서, 한 명이 일러스트와 글 모두 담당한 것으로 화제가 되었다.
《'''노 게임 노 라이프'''》(ノーゲーム・ノーライフ)는 [[일본]]의 [[카미야 유우]]가 지은 [[라이트 노벨]]로, [[미디어 팩토리]](현 [[KADOKAWA]])의 [[MF 문고 J]] 레이블로 출간되었다. 약칭은 '''NGNL'''. [[대한민국]]에서는 '''노겜노라'''라고도 한다. 특이하게도 삽화 또한 카미야 유우가 맡고 있어서, 한 명이 일러스트와 글 모두 담당한 것으로 화제가 되었다.


지구인이 판타지 세계로 날아간다는, 2010년대부터 일본에서 유행을 타기 시작한 이세계 판타지지만 무력이 아니라 규칙이 있는 게임의 승패로 주도권을 가른다는 요소가 이색적인 작품이다.
지구인이 판타지 세계로 날아간다는, 2010년대부터 일본에서 유행을 타기 시작한 이세계 판타지지만 무력이 아니라 규칙이 있는 게임의 승패로 주도권을 가른다는 요소가 이색적인 작품이다.
35번째 줄: 42번째 줄:
{{안내문|성우 표기는 애니메이션 기준입니다.}}
{{안내문|성우 표기는 애니메이션 기준입니다.}}
;소라 ({{루비|空|そら}})
;소라 ({{루비|空|そら}})
:{{배지|성우}} [[마츠오카 요시츠구]]
:{{팻말|성우}} [[마츠오카 요시츠구]]
:두 주인공 중 한 명. 여동생 시로와 함께 전설적인 게이머 『{{루비| |공백}}』을 이룬다.
:두 주인공 중 한 명. 여동생 시로와 함께 전설적인 게이머 『{{루비| |공백}}』을 이룬다.


;시로 ({{루비|白|しろ}})
;시로 ({{루비|白|しろ}})
:{{배지|성우}} [[카야노 아이]]
:{{팻말|성우}} [[카야노 아이]]
:두 주인공 중 한 명. 오빠 소라와 함께 전설적인 게이머 『{{루비| |공백}}』을 이룬다.
:두 주인공 중 한 명. 오빠 소라와 함께 전설적인 게이머 『{{루비| |공백}}』을 이룬다.


;스테파니 도라 (ステファニー・ドーラ)
;스테파니 도라 (ステファニー・ドーラ)
:{{배지|성우}} [[히카사 요코]]
:{{팻말|성우}} [[히카사 요코]]


;지브릴 (ジブリール)
;지브릴 (ジブリール)
:{{배지|성우}} [[타무라 유카리]]
:{{팻말|성우}} [[타무라 유카리]]


;하츠세 이즈나 (初瀬 いづな)
;하츠세 이즈나 (初瀬 いづな)
:{{배지|성우}} [[사와시로 미유키]]
:{{팻말|성우}} [[사와시로 미유키]]


;테토 (テト)
;테토 (テト)
:{{배지|성우}} [[쿠기미야 리에]]
:{{팻말|성우}} [[쿠기미야 리에]]
:활달한 소년과 같은 모습을 한 디스보드의 유일신. 소라와 시로를 디스보드로 불러들인 장본인이다.
:활달한 소년과 같은 모습을 한 디스보드의 유일신. 소라와 시로를 디스보드로 불러들인 장본인이다.


60번째 줄: 67번째 줄:


;십조맹약
;십조맹약
:유일신이 된 테토가 무력분쟁을 막기 위해 전 세계에 선포한 '''세상의 법칙'''. 아래와 같다.
:유일신이 된 테토가 무력분쟁을 막기 위해 전 세계에 선포한 '''세상의 법칙'''. 이하와 같다.
:# 이 세계의 모든 살상, 전쟁, 약탈을 금지한다.<br />
:# 이 세계의 모든 살상, 전쟁, 약탈을 금지한다.<br />
:# 다툼은 모두 게임의 승패로 해결한다.<br />
:# 다툼은 모두 게임의 승패로 해결한다.<br />
72번째 줄: 79번째 줄:
:# '''"모두 사이좋게 플레이하세요."'''
:# '''"모두 사이좋게 플레이하세요."'''


;익시드 (16종족)
;[[노 게임 노 라이프/종족|익시드]] (16종족)
:십조맹약에 종속되어 있는 16개의 종족으로, 십조맹약을 만들 당시 지성을 가지고 의사소통을 할 수 있던 종족들이다. 십조맹약은 익시드 사이에서만 작용하며,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동물(가축)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
:각 종족에겐 '''종족의 말'''이라는, 각 종족의 모든 권리를 좌우할 수 있는 체스 말이 하나씩 있다. 전권 대리인은 종족의 말을 걸고 게임을 할 수 있으며, 종족의 말을 걸고 패배할 경우 '''익시드에서 박탈당한다.''' 즉, 더 이상 십조맹약의 권리를 얻지 못하고 가축(!)과 동급이 되는 것<ref>다만, 이는 8권에서의 '가축'에 대한 내용을 바탕으로 유추해보면, 반대로 십조맹약의 제약을 받지 않고 다른 종족을 공격하여 위해를 가할 수도 있게 된다는 것이기도 하다.</ref> 때문에 작품 시작 시점까지 익시드 역사상 종족의 말을 걸고 게임이 이루어진 경우는 단 한번도 없었다. {{ㅊ|하지만 공백이 2권에서 걸었다.}} 종의 피스를 모두 모으는 게 테토에 대한 도전권이라고 한다. 각 종족이 체스말에 대응되는 건 리쿠가 생전에 대전을 체스에 비유하던 것에서 따온 것으로, 이마니티는 '''가장 중요하지만 가장 약하니''' 킹, 플뤼겔은 '''강하지만 변화가 없어서''' 퀸, 워비스트는 '''적진 깊숙히 들어가 근접전에 들어가면 무엇보다 강력한''' 폰, 엘프는 룩, 드워프는 비숍 등 각각 나름대로의 의미가 있다.
:# 제1위 - 올드 데우스
:# 제1위 - 올드 데우스
:# 제2위 - 판타즈마
:# 제2위 - 판타즈마
111번째 줄: 120번째 줄:


=== 만화 ===
=== 만화 ===
{{간이 정보
<gallery mode="packed" heights="200">
|이미지 = No Game No Life manga v01 jp.png
No Game No Life manga v01 jp.png|『노 게임 노 라이프』 1권 표지
|이름 = 노 게임 노 라이프
No Game No Life, desu! v01 jp.png|『노 게임 노 라이프, 예요!』 1권 표지
|만화 = 카미야 유우, 히이라기 마시로
</gallery>
|설명 = 원작자 카미야 유우와 아내 히이라기 마시로가 맡은 만화판으로, [[월간 코믹 얼라이브]] 2013년 3월부터 연재를 시작했다.
 
;노 게임 노 라이프 (ノーゲーム・ノーライフ)
:{{팻말|만화}} 카미야 유우, 히이라기 마시로
:원작자 카미야 유우와 아내 히이라기 마시로가 맡은 만화판으로, [[월간 코믹 얼라이브]] 2013년 3월부터 연재를 시작했다.
:단행본은 MF 코믹스 얼라이브 시리즈로 출간되었다.
:단행본은 MF 코믹스 얼라이브 시리즈로 출간되었다.
:# 2013년 11월 22일 발매, {{ISBN|978-4-04-066114-8}}
:# 2013년 11월 22일 발매, {{ISBN|978-4-04-066114-8}}
:# 2018년 2월 24일 발매, {{ISBN|978-4-04-069582-2}}
:# 2018년 2월 24일 발매, {{ISBN|978-4-04-069582-2}}
}}


{{간이 정보
;노 게임 노 라이프, 예요! (ノーゲーム・ノーライフ、です!)
|이미지 = No Game No Life, desu! v01 jp.png
:{{팻말|작화}} 유이자키 카즈야
|이름 = 노 게임 노 라이프, 예요! (ノーゲーム・ノーライフ、です!)
:하츠세 이즈나가 주역인 스핀오프 만화. 월간 코믹 얼라이브 2015년 7월호부터 2018년 1월호까지 연재되었다.
|작화 = 유이자키 카즈야
|설명 = 하츠세 이즈나가 주역인 스핀오프 만화. 월간 코믹 얼라이브 2015년 7월호부터 2018년 1월호까지 연재되었다.
:단행본은 MF 코믹스 얼라이브 시리즈로 출간되었다.
:단행본은 MF 코믹스 얼라이브 시리즈로 출간되었다.
:# 2016년 1월 23일 발매, {{ISBN|978-4-04-067878-8}}
:# 2016년 1월 23일 발매, {{ISBN|978-4-04-067878-8}}
131번째 줄: 140번째 줄:
:# 2017년 4월 22일 발매, {{ISBN|978-4-04-069165-7}}
:# 2017년 4월 22일 발매, {{ISBN|978-4-04-069165-7}}
:# 2018년 1월 23일 발매, {{ISBN|978-4-04-069535-8}}
:# 2018년 1월 23일 발매, {{ISBN|978-4-04-069535-8}}
}}


===애니메이션 ===
===애니메이션 ===
[[파일:No-Game-No-Life-anime-logo.svg|150px|섬네일|TV 시리즈 로고]]
{{본문|노 게임 노 라이프/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판의 제작은 [[매드하우스]]에서 담당했다.
《노 게임 노 라이프》의 [[애니메이션]][[매드하우스]]에서 제작을 맡았다.


;[[노 게임 노 라이프 (애니메이션)|노 게임 노 라이프]]
;[[노 게임 노 라이프/애니메이션#TV 애니메이션|노 게임 노 라이프]]
:{{배지|방영 기간}} 2014년 4월부터 6월
:{{팻말|방영 기간}} 2014년 4월부터 6월
:TV 시리즈. 전 12화 구성으로 방영했다.
:TV 시리즈. 전 12화 구성으로 방영했다.


;[[노 게임 노 라이프 제로]]
;[[노 게임 노 라이프/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영화|노 게임 노 라이프 제로]]
:{{배지|개봉일}} 2017년 7월 15일
:{{팻말|개봉일}} 2017년 7월 15일
:[[애니메이션 영화]].
:[[애니메이션 영화]].


== 비화 ==
== 기타 ==
* 일러스트에 관해 트레이싱 의혹이 있었으나 별다른 반응 없이 묻히고 말았다.
* 그림을 트레이싱했다는 의혹이 있었으나 별다른 반응 없이 묻히고 말았다.


== 관련 사이트 ==
== 관련 사이트 ==
160번째 줄: 168번째 줄:
[[분류:2013년 만화]]
[[분류:2013년 만화]]
[[분류:판타지 만화]]
[[분류:판타지 만화]]
[[분류:소설 원작 만화]]
[[분류:월간 코믹 얼라이브]]
[[분류:월간 코믹 얼라이브]]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