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 평화상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노벨 평화상'''은 [[노벨상]] 중에서 [[평화|세계 평]]화에 기여한 사람이나 단체에게 수여하는는 상이다.
==개요==
[[노벨상]] 중에서 세계 평화에 기여한 사람이나 단체가 받을 수 있는 상. 다른 상은 공동수상은 인정하더라도 단체에게는 주지 않는데 비해서 이 상의 경우는 개인이 아닌 단체에게도 수상이 가능하다. 어찌보면 세계 평화를 간절히 원했던 [[노벨]]의 소망에 가장 어울리는 상이라 할 수 있다.


노벨상의 다른 부문은 공동수상은 인정하더라도 단체에게는 주지 않는데 비해서 이 상의 경우는 개인이 아닌 단체에게도 수상이 가능하다. 어찌 보면 세계 평화를 간절히 원했던 [[알프레드 노벨]]의 소망에 가장 어울리는 상이라 할 수 있다.
노벨상의 다른 분야들은 [[스웨덴]]에서 시상하지만 평화상만큼은 [[노르웨이]]에서 시상한다. 노벨상에서 가장 중요한 상으로 인정받지만 동시에 매번 수상때마다 정치적 논란에 휩쓸리기도 한다. 명백한 학문적 성과를 토대로 시상하는 다른 분야에 비해 아무래도 주관적인 여지가 크기 때문이다.<del>문학상도 충분히 주관적 수상인데...</del>
 
노벨상의 다른 분야들은 [[스웨덴]]에서 시상하지만 평화상만큼은 [[노르웨이]]에서 시상한다. 노벨상에서 가장 중요한 상으로 인정받지만 동시에 매번 수상때마다 정치적 논란에 휩쓸리기도 한다. 명백한 학문적 성과를 토대로 시상하는 다른 분야에 비해 아무래도 주관적인 여지가 크기 때문이다.<del>문학상도 충분히 주관적 수상인데….</del>


==역대 수상자==
==역대 수상자==
10번째 줄: 9번째 줄:
! 수상연도 !! 성명 !! 국적 !! 인정업적
! 수상연도 !! 성명 !! 국적 !! 인정업적
|-
|-
| 1901 || [[장 앙리 뒤낭]] <br /> [[프레데리크 파시]] || [[스위스]] <br /> [[프랑스]] || [[국제 적십자 위원회]]의 설립 <br /> [[국제 평화 연맹]]의 설립
| 1906 || [[시어도어 루즈벨트]] || [[미국]] || <del>조선을 팔아먹고</del> [[러일전쟁]] 직후 러일 양국을 중재하여 포츠머스 강화조약을 성립
|-
| 1906 || [[시어도어 루즈벨트]] || [[미국]] || <del>[[일제강점기|조선을 팔아먹고]]</del> [[러일전쟁]] 직후 러일 양국을 중재하여 포츠머스 강화조약을 성립
|-
| 1919 || [[우드로 윌슨]] || [[미국]] || [[제1차 세계 대전]] 후 [[국제연맹]]의 창설에 기여<del>정작 미국은 국제연맹에 불참했다는 건 함정</del>
|-
|-
| 1922 || [[프리드쇼프 난센]] || [[노르웨이]] || 난민들을 위한 여권인 [[난센 여권]]의 발행으로 난민 보호에 기여
| 1919 || [[우드로 윌슨]] || [[미국]] || [[제1차 세계 대전]] 후 [[국제연맹]]의 창설에 기여<del>정작 미국은 국제연맹에 불참했다는건 함정</del>
|-
|-
| 1925 || [[오스틴 체임벌린]]<ref>[[뮌헨 협정]]때 [[체코슬로바키아]]를 팔아먹고 거짓된 평화를 얻어온 [[네빌 체임벌린]]의 형이다. 한국에서는 네빌 체임벌린이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 것으로 잘못 알려져 있다.</ref> <br /> [[찰스 G.도스]] || [[영국]] <br /> [[미국]] || 부전조약이라 불리는 [[로카르노 조약]] 체결에 기여 <br /> 도스안을 마련, 재정위기에 처한 독일의 배상금 문제를 일부 해결하여 중부유럽의 안정에 기여
| 1935 || [[카를 폰 오시에츠키]]<ref>[[제국의사당 방화 사건]]으로 게슈타포에 체포되어 계속 수용소에 구금된 상태였다. 불행히 살아생전에 상을 수여받지 못하고 1938년 사망. 정치적 이유로 상을 수상하지 못한 최초의 사례이다.</ref> || [[독일]] || 독일 내 반전평화운동의 적극적 추진과 독일 재군비 폭로
|-
| 1926 || [[아리스티드 브리앙]] <br /> [[구스타프 슈트레제만]] || [[프랑스]] <br /> [[독일]] || 전년도의 체임벌린과 동일하게 로카르노 조약 체결에 기여
|-
| 1935 || [[카를 폰 오시에츠키]]<ref>[[제국의사당 방화]]게슈타포에 체포되어 계속 수용소에 구금된 상태였다. 불행히 살아생전에 상을 수여받지 못하고 [[1938년]] 사망. 정치적 이유로 상을 수상하지 못한 최초의 사례이다.</ref> || [[독일]] || 독일 내 반전평화운동의 적극적 추진과 독일 재군비 폭로
|-
|-
| 1948 || 수상자 없음 || - || 비폭력불복종 운동의 [[마하트마 간디]] 수상이 유력했으나 간디가 암살당하면서 수상자 선정을 하지 않음
| 1948 || 수상자 없음 || - || 비폭력불복종 운동의 [[마하트마 간디]] 수상이 유력했으나 간디가 암살당하면서 수상자 선정을 하지 않음
|-
| 1951 || [[레옹 주노]] || [[프랑스]] || [[국제노동기구]](ILO)의 창설
|-
| 1952 || [[알베르트 슈바이처]] || [[프랑스]] || 아프리카에서의 오랜 의료봉사활동과 이를 통한 인류에의 헌신
|-
| 1953 || [[조지 마셜]] || [[미국]] || [[마셜 플랜]]을 통한 [[제2차 세계 대전]] 전후 유럽 재건과 부흥<del>[[이오시프 스탈린|스탈린]] 피꺼솟</del>
|-
|-
| 1961 || [[다그 함마르셸드]] || [[스웨덴]] || [[국제연합]] 사무총장으로서 세계 분쟁지역에서 분쟁해소와 평화에 노력. 수상 결정 후 콩고 분쟁 중재차 현지로 향하다 비행기 사고로 추락사하여 수상하지는 못함.
| 1961 || [[다그 함마르셸드]] || [[스웨덴]] || [[국제연합]] 사무총장으로서 세계 분쟁지역에서 분쟁해소와 평화에 노력. 수상 결정 후 콩고 분쟁 중재차 현지로 향하다 비행기 사고로 추락사하여 수상하지는 못함.
37번째 줄: 22번째 줄:
|-
|-
| 1965 || [[유니셰프]] || - || 전 세계 아동에 대한 처우개선
| 1965 || [[유니셰프]] || - || 전 세계 아동에 대한 처우개선
|-
| 1968 || [[르네 카생]] || [[프랑스]] || UN 인권선언을 기초함
|-
|-
| 1971 || [[빌리 브란트]] || [[독일]] || 서독의 총리로서 동유럽에 대한 사과와 화해에 기반한 동방정책을 실현
| 1971 || [[빌리 브란트]] || [[독일]] || 서독의 총리로서 동유럽에 대한 사과와 화해에 기반한 동방정책을 실현
|-
| 1973 || [[헨리 키신저]] <br /> <del>[[레득토]]</del><ref>수상을 거부했다.</ref> || [[미국]] <br /> [[베트남]] || 파리 협정으로 오랜 [[베트남 전쟁]]을 끝내고 동남아시아에 평화를 가져왔다.<del>북베트남 : 속았지롱?</del><ref>[[1975년]] 북베트남은 파리 협정을 파기하고 남베트남을 침공, 무력통일을 이룩한다. 레득토의 수상 거부는 이를 예고한 것이었다.</ref>
|-
| 1978 || [[안와르 사다트]] <br /> [[메나헴 베긴]] || [[이집트]] <br /> [[이스라엘]] || 캠프 데이비드 협정을 통해 이집트와 이스라엘의 오랜 적대관계를 종식시킴<ref>사다트는 이후 무슬림형제단에 의해 암살당하지만 이집트의 대 이스라엘 정책 기조는 유지되었다.</ref>
|-
|-
| 1979 || [[마더 테레사]] || [[인도]] || 인도 빈민에 대한 끊임없는 봉사
| 1979 || [[마더 테레사]] || [[인도]] || 인도 빈민에 대한 끊임없는 봉사
|-
|-
| 1983 || [[레흐 바웬사]] || [[폴란드]] || 폴란드 자유노조운동을 이끌며 폴란드 민주화에 기여
| 1989 || [[달라이 라마]] || [[티베트]] 망명정부 || 티베트 독립 운동과 비폭력항쟁의 유지
|-
| 1984 || [[데즈먼드 투투]]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아파르트헤이트]]에 대한 적극적 항거
|-
| 1989 || [[14대 달라이 라마]] || [[티베트]] 망명정부 || 티베트 독립 운동과 비폭력항쟁의 유지
|-
|-
| 1990 || [[미하일 고르바초프]] || [[소련]] || [[냉전]] 종식과 소련 민주화<del>소련을 말아먹은 혁혁한 공로</del>
| 1990 || [[미하일 고르바초프]] || [[소련]] || [[냉전]] 종식과 소련 민주화<del>소련을 말아먹은 혁혁한 공로</del>
|-
|-
| 1991 || [[아웅산 수지]] || [[미얀마]] || 미얀마의 민주화 및 인권에 대한 기여<ref>수상 당시 가택연금 상태였기에 남편(영국인)이 대리 수상했다. 가택연금이 해제된 후 21년 만에 노르웨이를 방문하여 노벨상 수상 연설을 한다.</ref>
| 1991 || [[아웅산 수지]] || [[미얀마]] || 미얀마의 민주화 및 인권에 대한 기여<ref>수상 당시 가택연금 상태였기에 남편(영국인)이 대리 수상했다. 가택연금이 해제된 후 21년만에 노르웨이를 방문하여 노벨상 수상 연설을 한다.</ref>
|-
| 1993 || [[넬슨 만델라]] <br /> [[프레데릭 빌렘 데 클레르크]]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수십여 년 동안 계속된 최악의 인종차별정책 아파르트헤이트를 종식시키고 평화적인 민주화 확립에 기여
|-
| 1994 || [[야세르 아라파트]] <br /> [[이츠하크 라빈]] <br /> [[시몬 페레스]] || [[팔레스타인]] <br /> [[이스라엘]] <br /> [[이스라엘]] ||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오랜 분쟁을 종식시키기로 합의, 중동에 항구적 평화를 정착시킬 계기를 마련하였다.<ref>불행히도 팔레스타인에선 강경파 [[하마스]]가 득세하기 시작했고, 이스라엘에선 노벨상을 수상한 라빈을 반역자라 규탄, 이듬해인 [[1995년]] 극우파에 의해 암살당했다. 중동의 평화는 현재까지도 요원하다.</ref>
|-
| 1996 || [[카를루스 벨루]] <br /> [[주제 라모스 오르타]] || [[동티모르]] || 동티모르 분쟁 및 독립운동에 있어 폭력수단을 배제한 평화적 해결 방안을 모색
|-
| 1996 || 조디 윌리엄스 <br /> 지뢰금지국제운동 || [[미국]] <br /> || 대인지뢰의 사용금지 및 현재 매설된 지뢰의 제거작업
|-
| 1999 || [[국경없는 의사회]] || - || 세계 각지에서의 인도주의적 의료봉사활동
|-
|-
| 2000 || [[김대중]] || [[대한민국]] || 한국 민주화와 한반도 평화에 기여<ref>한국인의 첫 노벨상 수상</ref>
| 2000 || [[김대중]] || [[대한민국]] || 한국 민주화와 한반도 평화에 기여<ref>한국인의 첫 노벨상 수상</ref>
|-
| 2001 || [[코피 아난]] <br /> [[국제연합]] || [[가나]] <br /> - || 평화로운 세상을 위한 조직적 공헌 <del>UN 조공</del>
|-
|-
| 2002 || [[지미 카터]] || [[미국]] || 세계 평화와 전 인류의 보편적 인권을 향한 끝없는 봉사<del>[[김일성]]을 비롯한 수많은 독재자들을 제거</del>
| 2002 || [[지미 카터]] || [[미국]] || 세계 평화와 전 인류의 보편적 인권을 향한 끝없는 봉사<del>[[김일성]]을 비롯한 수많은 독재자들을 제거</del>
|-
|-
| 2003 || [[시린 에바디]] || [[이란]] || [[이란 이슬람 혁명]] 이후 이란의 여성 인권 개선을 위한 투쟁<ref>[[2009년]] 이란 정부는 그녀의 노벨상 메달을 압수(!)해가는 용자짓을 저질렀다 국제사회의 규탄 속에 반환했다.</ref>
| 2009 || [[버락 오바마]] || [[미국]] || 국제 외교와 인류의 협력 강화에 기여<ref>정치적으로 상당히 논란이 되는 수상이었다. 2009년은 오바마 취임 첫 해였고, 딱히 뚜렷한 평화에의 기여는 없었다. 이라크, 아프간 철군이 논의되었지만 평화적 목적이 아닌 순전히 미국 내부적 상황이었고, 핵무기 감축을 논의하긴 했지만 2009년 기준으로 아직 합의가 된 사항은 아니었다. 때문에 이 수상을 '''앞으로의 활동에 대한 기대'''만을 보고 준 상으로 보고 비판하는 경우가 있다. 우스개소리로 '''[[조지 W.부시]]'''와 공화당 정권을 끝냈기에 수여한 거 아니냐고도.<del>이게 사실같은데?</del></ref>
|-
|-
| 2006 || [[무함마드 유누스]] <br /> [[그라민 은행]] || [[방글라데시]] || 빈곤층의 경제적 자립력 확보와 이를 통한 빈곤 퇴치에 기여<ref>무함마드 유누스는 그라민 은행의 설립자로, 빈곤층에게 소액, 저리의 신용대출을 해주어 최소한의 생활력과 경제적 자립능력을 양생하는데 주력하였다. 일방적인 원조가 아닌, 저리긴 하지만 명백한 대출을 통해 경제구조적 측면에서 빈곤퇴치에 노력했다. 이 수상을 통해 노벨위원회는 빈곤(가난)의 퇴치도 세계평화의 범주라는 사실을 천명하며 평화의 해석 범위를 크게 넓혔다.</ref>
| 2010 || [[류사오보]] || [[중국]] || 중국의 인권 신장을 위한 투쟁과 기여<ref>중국인의 첫 노벨상 수상. 중국계가 수상한 적은 있으나 중국 국적을 포기한 이후의 수상이어서 중국 국적자로는 류사오보가 처음이다. 중국에서는 류사오보를 애써 무시하고 2012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모옌을 첫 노벨상 수상자로 치켜세우고 있다.</ref><ref>중국이 류사오보를 가택연금하고 그 가족, 친지, 친구들의 출석도 불허하여 류사오보의 사진을 의자에 올려놓는 공석 시상이 이루어졌다. 이후 중국과 노르웨이 양국간의 관계가 크게 악화되었다.</ref>
|-
| 2007 || [[앨 고어]] <br /> [[IPCC]]<ref>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ref> || [[미국]] <br /> - || 범지구적 기후변화에 따른 환경재앙을 경고하고 대책 마련을 촉구
|-
| 2008 || 마르티 아티사리 || [[핀란드]] || 내전중이던 [[인도네시아]] 정부군과 [[아체]] 반군을 중재, 내전 종식과 평화협정을 이끌어냄
|-
| 2009 || [[버락 오바마]] || [[미국]] || 국제 외교와 인류의 협력 강화에 기여<ref>정치적으로 상당히 논란이 되는 수상이었다. [[2009년]]은 오바마 취임 첫 해였고, 딱히 뚜렷한 평화에의 기여는 없었다. 이라크, 아프간 철군이 논의되었지만 평화적 목적이 아닌 순전히 미국 내부적 상황이었고, 핵무기 감축을 논의하긴 했지만 [[2009년]] 기준으로 아직 합의가 된 사항은 아니었다. 때문에 이 수상을 '''앞으로의 활동에 대한 기대'''만을 보고 준 상으로 보고 비판하는 경우가 있다. 우스개소리로 '''[[조지 W.부시]]'''와 공화당 정권을 끝냈기에 수여한 거 아니냐고도.<del>이게 사실같은데?</del></ref>
|-
| 2010 || [[류사오보]] || [[중국]] || 중국의 인권 신장을 위한 투쟁과 기여<ref>중국인의 첫 노벨상 수상. 중국계가 수상한 적은 있으나 중국 국적을 포기한 이후의 수상이어서 중국 국적자로는 류사오보가 처음이다. 중국에서는 류사오보를 애써 무시하고 [[2012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모옌을 첫 노벨상 수상자로 치켜세우고 있다.</ref><ref>중국이 류사오보를 가택연금하고 그 가족, 친지, 친구들의 출석도 불허하여 류사오보의 사진을 의자에 올려놓는 공석 시상이 이루어졌다. 이후 중국과 노르웨이 양국간의 관계가 크게 악화되었다.</ref>
|-
|-
| 2012 || [[유럽연합]] || - || [[제2차 세계 대전]] 후 유럽의 화합과 번영에 기여<ref>오바마보다 더한 정치적 논란에 시달린 수상이었다. 당시 유럽 일부 국가들의 경제적 위기로 분열위기가 EU 회의론이 나오고 있어 이를 무마하려는 수상이라는 것</ref>
| 2012 || [[유럽연합]] || - || [[제2차 세계 대전]] 후 유럽의 화합과 번영에 기여<ref>오바마보다 더한 정치적 논란에 시달린 수상이었다. 당시 유럽 일부 국가들의 경제적 위기로 분열위기가 EU 회의론이 나오고 있어 이를 무마하려는 수상이라는 것</ref>
|-
| 2014 || 카일라쉬 사티아르티 <br /> [[말랄라 유사프자이]]<ref>약 16세의 나이로 역대 최연소 노벨상 수상자이며 파키스탄 최초의 수상자</ref> || [[인도]] <br /> [[파키스탄]] || 아동 인권신장과 교육기회 부여<ref>[[2009년]], [[2012년]]을 능가하는 논란이 있던 수상이다. 아동 인권 및 교육기회 제공이라는 취지에는 다들 공감하지만 말랄라의 경우, 그녀가 탈레반에 의해 피습되어 생긴 유명세를 이용하려는 수단으로 상을 준 것 아니냐는 것이다.</ref>
|-
| 2015 || [[튀니지 국민4자대화기구]] || [[튀니지]] ||
|}
|}
{{각주}}
[[분류:노벨상]]
[[분류:평화상]]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