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임리스 ~당신이 기억해야 할 단 한 가지~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게임 정보
Nameless ~The one thing you must recall~ [http://nl.cheritz.com/ 홈페이지] [http://blog.naver.com/cheritz 블로그]
|게임이름 = 네임리스 ~당신이 기억해야 할 단 한 가지~
 
|원어이름 =
{{YouTube|rm-FD1E0Hgg}}
|배경색  =
|글자색  =
|그림    =
|그림설명 =
|배급사  = [[스팀 (플랫폼)|스팀]]<ref>체리츠 자체 서버도 있었으나 스팀으로 통합됨.</ref>
|개발사  = [[체리츠]]
|제작    = 이수진
|작가    =
|미술    =
|작곡가  = 양수혁
|장르    = 여성향 비주얼 노벨
|출시일  = [[2013년#11월|2013년 11월]]
|종료일  =
|플랫폼  = [[윈도우즈]]
|모드    = 싱글 플레이
|언어    = [[한국어]]
|엔진    =
|시리즈  =
|이전작  =
|후속작  =
|웹사이트 =
|비고    =
}}
* [http://nl.cheritz.com/ 전용 홈페이지]
* [http://www.grac.or.kr/Statistics/GameStatistics.aspx?gameTitle=%EB%84%A4%EC%9E%84%EB%A6%AC%EC%8A%A4 게관위 등급]
== 소개 ==
== 소개 ==
[[2013년#11월|2013년 11월]] 발매한 [[체리츠]]의 두 번째 작품. 장르는 비주얼 노벨. 풀보이스. 15세 이용가.
체리츠의 두번째 작품. 2013년 11월 발매. 장르는 비주얼 노벨. 풀보이스. 15세 이용가. [https://www.youtube.com/watch?v=eRowa2MVRiU PV 동영상]
=== 시놉시스 ===
=== 스토리 ===
크로비 아카데미 1학년에 재학중인 에리.
주인공 에리는 크로비 아카데미 1학년에 재학중인 겉으로 보기에는 평범한 소녀. 외국에서 연구를 하고 있는 부모님 때문에 할아버지의 죽음 후, 할아버지의 집에 혼자 남겨졌다. 그녀는 혼자가 된 후부터 친구에게도 밝히지 못할 구체관절인형 취미에 더 빠지기 시작하고..
 
해외에서 연구를 하고 계신 부모님 때문에 어릴 적부터 할아버지 집에 맡겨졌다. 장난감을 좋아하던 그녀는 크로비돌의 인형에 신비한 매력을 느껴 구체관절인형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몇 년 전, 할아버지의 갑작스런 죽음으로 할아버지 집에 혼자 남겨진 에리. 구체관절인형에 더 빠지기 시작하고, 어느새 그녀의 취미는 삶의 소중한 일부가 되어버렸다. 그러던 어느날, 그녀는 꿈에서 바람에 깃털이 날리는 것을 보게 된다.
 
눈을 떴을 때, 사람이 된 구체관절인형과 마주하게 되고 곧 그들은 그녀와 같은 아카데미에 다니게 된다.
=== 특징 ===
=== 특징 ===
[[2013년]]. 체리츠, 크로비돌, ACO. 3사 콜라보레이션인 네임리스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게임이 가장 늦게 나왔기에 드라마 CD, 테마 카페, 웹라디오 등이 먼저 진행되었다. 규모도, 홍보도 활발했기에 당시 엄청난 기대를 받았다. 성우들의 적극적인 협력 덕분이기도. 말 그대로 겜덕, 인형덕, 성덕 모두가 모여 위 아더 월드인 상황이라 할 수 있었다.
2013년. 체리츠, 크로비돌, ACO. 3사 콜라보레이션인 네임리스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게임이 가장 늦게 나왔기에 드라마 CD, 테마 카페, 웹라디오 등이 먼저 진행되었다. 규모도, 홍보도 활발했기에 당시 엄청난 기대를 받았다. 성우들의 적극적인 협력 덕분이기도. 말 그대로 겜덕, 인형덕, 성덕 모두가 모여 위 아더 월드인 상황이라 할 수 있었다.


장르가 비주얼 노벨이라 선택지만 잘 고르면 된다. 가끔 나오는 OX 퀴즈나 같은 그림 맞추기 같은 미니 게임은 보너스인 일기장을 얻는 요소일 뿐이고, 스킵도 된다. 또한 전작 덴더라이언에 비해 좀 더 무국적화에 가까워졌다. 주인공 이름도 바꿀 수 있고, 전작처럼 특정 지명이나 분위기가 나오지 않는다. 수위도 더 높아졌는데 주인공 나이는 더 어려졌다(...) 배드 엔딩 역시 충격과 공포가 더 강해졌다.
장르가 비주얼 노벨이라 선택지만 잘 고르면 된다. 가끔 나오는 OX 퀴즈나 같은 그림 맞추기 같은 미니 게임은 보너스인 일기장을 얻는 요소일 뿐이고, 스킵도 된다. 또한 전작 덴더라이언에 비해 좀 더 무국적화에 가까워졌다. 주인공 이름도 바꿀 수 있고, 전작처럼 특정 지명이나 분위기가 나오지 않는다. 수위도 더 높아졌는데 주인공 나이는 더 어려졌다(...) 배드 엔딩 역시 충격과 공포가 더 강해졌다.
=== 비판 ===
=== 비판 ===
{{스포일러}}
{{스포일러}}
{{숨기기|오른쪽에 (펼치기)/(접기)버튼이 있습니다.|
{{ㅊ|혼돈 파괴 망가! 이런 일이 일어날 것 같은 조짐을 느꼈지. 위 아더 월드. 극과 극은 통한다.}}
{{ㅊ|혼돈 파괴 망가! 이런 일이 일어날 것 같은 조짐을 느꼈지. 위 아더 월드. 극과 극은 통한다.}}


시작은 일본어 번역체였다. 애초에 타이틀부터 ~단 한 가지~가 아니라, 원래는 ~단 한 가지의 것~이었다. 이후 피드백을 받아 제목이 수정되었다. 하지만 이건 시작에 불과했다. 학교 대신 학원, 아카데미. 열려 있는 옥상, 급식이 없는 학교 등... 한때 흔하던 인소, 일본 오토게st 설정과 스토리 라인. 체험판에서 가장 유명했던 '닭가슴살 유리'는 전대미문급 컬처쇼크를 일으키기도 했다. 맞춤법 오류에 어색한 말투, 문어체 대사도 당연히 있었다. {{ㅊ|이랬단 말이야~ 저랬단 말이야~ 말이야~ 말이야~}} 게다가 홍보가 너무 성우 마케팅에 치우쳐서 반감을 샀다. 또한 크로비돌 인형을 모티브로 해서 그런지 자연스러운 묘사라기보단 PPL 같다는 느낌을 받은 것도 대다수.
시작은 일본어 번역체였다. 애초에 타이틀부터 ~단 한가지~가 아니라, 원래는 ~단 한 가지의 것~이었다. 이후 피드백을 받아 제목이 수정되었다. 하지만 이건 시작에 불과했다. 학교 대신 학원, 아카데미. 열려 있는 옥상, 급식이 없는 학교 등... 한 때 흔하던 인소, 일본 오토게st 설정과 스토리 라인. 체험판에서 가장 유명했던 '닭가슴살 유리'는 전대미문급 컬쳐쇼크를 일으키기도 했다. 맞춤법 오류에 어색한 말투, 문어체 대사도 당연히 있었다. {{ㅊ|이랬단 말이야~ 저랬단 말이야~ 말이야~ 말이야~}} 게다가 홍보가 너무 성우 마케팅에 치우쳐서 반감을 샀다. 또한 크로비돌 인형을 모티브로 해서 그런지 자연스러운 묘사라기보단 PPL 같다는 느낌을 받은 것도 대다수.


그래도 본편부터 심각했던 요소가 줄어들어서 나쁘지 않은 반응이었다. 그런데 엔딩이 문제였다! 닫힌 엔딩인데 앞서 공략한 다섯 캐릭터가 모두 마지막에 등장하는 히든 캐릭터 하나를 위해 이용당했다. 사실 각자의 루트에서 해피 엔딩을 맞이해도 주인공은 실종되는 엔딩이었다. 다섯 공략캐 모두 예외가 없다. 이런 와중에 마지막 스토리에 진입하면 각자의 루트에서 존재하던 주인공과 공략 캐릭터가 히든 캐릭터가 존재하는 세계에서 하나로 합쳐진다. 즉 여왕벌 엔딩. 결국 주인공은 모든 공략캐와 연애를 한 것도, 안 한 것도 아닌 상태가 되었다고 보면 된다. {{ㅊ|차라리 주인공이 다시 기억상실이거나 아예 백지화된 새로운 세계 같았으면 괜찮았을 듯.}}
그래도 본편부터 심각했던 요소가 줄어들어서 나쁘지 않은 반응이었다. 그런데 엔딩이 문제였다! 닫힌 엔딩인데 앞서 공략한 다섯 캐릭터가 모두 마지막에 등장하는 히든 캐릭터 하나를 위해 이용당했다. 사실 각자의 루트에서 해피 엔딩을 맞이해도 주인공은 실종되는 엔딩이었다. 다섯 공략캐 모두 예외가 없다. 이런 와중에 마지막 스토리에 진입하면 각자의 루트에서 존재하던 주인공과 공략 캐릭터가 히든 캐릭터가 존재하는 세계에서 하나로 합쳐진다. 즉 여왕벌 엔딩. 결국 주인공은 모든 공략캐와 연애를 한 것도, 안 한 것도 아닌 상태가 되었다고 보면 된다. {{ㅊ|차라리 주인공이 다시 기억상실이거나 아예 백지화된 새로운 세계 같았으면 괜찮았을 듯.}}
51번째 줄: 20번째 줄:
게임 외적으로도 사건 사고가 상당히 많았는데. 요약하자면 크로비돌측은 인형 경품 논란과 테마 카페 스탬프 이벤트 진행 미숙. 더불어 무료 공개된 웹라디오를 체리츠 상의 없이 무단으로 경품화 한 것 등의 문제가 있었고, ACO측은 과잉 성우 마케팅으로 생긴 부작용을 일으켰음에도 책임이 없다는 점. 사실 이쪽은 네임리스 게임 개발에는 관련이 없다. 관련 상품은 해당하지만. 그러면서도 챙길 건(더미헤드, 캐릭터송) 다 챙겼다. 그런데 웹라디오 관련 저작권 분쟁 관련으로 3사간 소통 부재가 수면 위로 올라와 혼란을 일으켰다. {{ㅊ|어째 체리츠가 최대 피해자 같다. 지못미.}} 이 문제가 제대로 해결되었는지는 불분명.
게임 외적으로도 사건 사고가 상당히 많았는데. 요약하자면 크로비돌측은 인형 경품 논란과 테마 카페 스탬프 이벤트 진행 미숙. 더불어 무료 공개된 웹라디오를 체리츠 상의 없이 무단으로 경품화 한 것 등의 문제가 있었고, ACO측은 과잉 성우 마케팅으로 생긴 부작용을 일으켰음에도 책임이 없다는 점. 사실 이쪽은 네임리스 게임 개발에는 관련이 없다. 관련 상품은 해당하지만. 그러면서도 챙길 건(더미헤드, 캐릭터송) 다 챙겼다. 그런데 웹라디오 관련 저작권 분쟁 관련으로 3사간 소통 부재가 수면 위로 올라와 혼란을 일으켰다. {{ㅊ|어째 체리츠가 최대 피해자 같다. 지못미.}} 이 문제가 제대로 해결되었는지는 불분명.


{{ㅊ|버틸 수가 없다! 야메로 모 야메룽다!}}}}
{{ㅊ|버틸 수가 없다! 야메로 모 야메룽다! }}
=== 등장인물 ===
=== 등장인물 ===
{{숨기기|오른쪽에 (펼치기)/(접기)버튼이 있습니다.|
==== 주인공 ====
* 에리
* 에리
이름 변경 가능. 지극히 평범한 고등학생. 성우는 없다.
주인공. 이름 변경 가능. 지극히 평범한 고등학생. 성우는 없다.
==== 공략 캐릭터 ====
==== 공략 캐릭터 ====
* 란스 (Lance)
* 란스 (Lance)
68번째 줄: 35번째 줄:
* 레드 (Red)
* 레드 (Red)
주인공이 이벤트로 받은 인형. 인간이 된 모습은 붉은 머리 소년. [[성우]]는 [[박성태]].
주인공이 이벤트로 받은 인형. 인간이 된 모습은 붉은 머리 소년. [[성우]]는 [[박성태]].
==== 기타 ====
==== 기타 ====
* 유진
* 유진
78번째 줄: 46번째 줄:
카페 반쥴 점장. 고양이가 잘 따르는 모양. 성우는 정성훈.
카페 반쥴 점장. 고양이가 잘 따르는 모양. 성우는 정성훈.
* 시온
* 시온
카페 반쥴 직원. 하프를 좋아한다. 고양이 같은 인상을 가진 듯. 성우는 최승훈.
카페 반쥴 직원. 하프를 좋아한다. 고양이 같은 인상을 가진듯. 성우는 최승훈.
* ???
* ???
네임리스. 히든 캐릭터. 성우는 전태열.
네임리스. 히든 캐릭터. 성우는 전태열.
* 마술쟁이
* 마술쟁이
덴더라이언에서도 등장했던 그 마술쟁이 맞다. 성우는 이규창.}}
덴더라이언에서도 등장했던 그 마술쟁이 맞다. 성우는 이규창.
=== OST ===
[[분류:게임]]
* '''불꽃심장 (Hanabi Shinjou)'''
{{숨기기|오른쪽에 (펼치기)/(접기)버튼이 있습니다.|
* If i Could ~Nameless Opening Theme (4:46)
* 아침의 인사 (School Life) (2:06)
* Cute Memory (3:45)
* café BANJUL (3:51)
* Friendship (3:42)
* 아팠던 날들 (Sad Days) (3:08)
* 미소만 남기고... (Leaving Smile Behind...) (3:44)
* Snare (3:00)
* Crucify Myself (3:43)
* 어루만지며... (Comporting you...) (4:03)
* 풋사랑 (First Love) (3:47)
* 따뜻함을 안고 (Warmth) (4:14)
* 어린추억 (Young Days) (3:47)
* 고백 (Propose) (3:38)
 
* Memory (3:07)
* Lance Theme (4:10)
* Yeonho Theme (4:03)
* Yuri Theme (3:54)
* Tei Theme (3:49)
* Red Theme (4:05)
* Soi Theme (3:53)
* Shinbi Theme (4:08)
* Yujin Theme (4:15)
* Zion Theme (3:51)
* Hobin Theme (4:01)
* What's Your Name? ~Nameless Ending Theme (4:01)}}
=== 영상 ===
* PV
{{YouTube|eRowa2MVRiU}}
* OP
{{YouTube|rm-FD1E0Hgg}}
* 실황 - 체험판 (풍월량)
{{YouTube|NIa7L5JlRxM}}
=== 제작진 ===
{{숨기기|오른쪽에 (펼치기)/(접기)버튼이 있습니다.|
* Sujin Ri - DIRETOR
* Minsu Ock - DEVELOPER
* Marcos Arroyo - DEVELOPER
* Bruce Wayne - PROJECT MANAGER & GRAPHIC DESIGNER
* Yunjeon Yun - GRAPHIC ASSISTANT
* Honglian Kim - TRANSLATOR
* Sohyeon Jeon - ASSITANT
* Lakei - MOVIE
* Sujeong Kim - GRAPHIC ASSISTANT
* Heetae Lee - SOUND DIRECTOR & ASSITANT
* Nara Yun - SCENARIO PROOFREADER
* Seongjae Choi - TRANSLATOR
* Tonni & Pepper - CATS}}
{{각주}}
[[분류:오토메 게임]]
[[분류:노벨 게임]]
[[분류:스팀 게임]]
[[분류:체리츠]]
[[분류:2013년 비디오 게임]]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