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의 이름은.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5번째 줄: 15번째 줄:
|해설        =  
|해설        =  
|장르        = [[애니메이션]], [[판타지]], [[SF]], [[바디체인지]], [[멜로]], [[로맨스]]
|장르        = [[애니메이션]], [[판타지]], [[SF]], [[바디체인지]], [[멜로]], [[로맨스]]
|나라        = {{나라|일본}}
|나라        = [[일본]]
|언어        = [[일본어]]
|언어        = [[일본어]]
|연작제목    =  
|연작제목    =  
|개봉일      = [[2016년]] [[8월 26일]]
|개봉일      = 2016년 8월 26일
|방영일      =  
|방영일      =  
|방영시각    =  
|방영시각    =  
95번째 줄: 95번째 줄:
; 후지이 츠카사 (藤井司)
; 후지이 츠카사 (藤井司)
:{{배지|성우}} [[시미자키 노부나가]] / [[장민혁]](구더빙) → [[황창영]](재더빙) / 벤 프론스키
:{{배지|성우}} [[시미자키 노부나가]] / [[장민혁]](구더빙) → [[황창영]](재더빙) / 벤 프론스키
 
타키의 고교 친구. 쿨하게 보이지만 의외로 싹싹한 성격의 소유자. 타키와 마찬가지로 건축에 흥미가 있다.
; 타카기 신타 (高木伸太)
:{{배지|성우}} [[이시카와 카이토]] / [[사성웅]](구더빙) → [[홍후백]](재더빙) / 레이 체이스
 
; 오쿠데라 미키 (奥寺美紀)
:{{배지|성우}} [[나가사와 마사미]] / [[김도영]](구더빙) → [[정유정]](재더빙) / 로라 포스트


=== 특별출연 ===
=== 특별출연 ===
; 유키 선생님 (ユキちゃん先生)
; 유키 선생님 (ユキちゃん先生)
:{{배지|성우}} [[하나자와 카나]] / [[조경아]](구더빙) → [[정혜원]](재더빙) / 케이티 본
:{{배지|성우}} [[하나자와 카나]] / [[조경아]](구더빙) → [[정혜원]](재더빙) / 케이티 본
전작 언어의 정원 여주인공. 이토모리 고교의 고전문학 교사로 특별출연.
전작 언어의 정원에 여주인공. 이토모리 고교의 고전문학 교사로 특별출연.


=== 한국판 성우 캐스팅 논란 ===
=== 한국판 성우 캐스팅 논란 ===
한국어 더빙판의 캐스팅이 발표된 이후 전문성우가 아닌 연예인들을 사용하였으며, 한국어 더빙판 연출 PD 또한 더빙 연출가가 아닌 영화 감독인 김성호인 것을 두고 논쟁이 일었다.<ref>다만 더빙 연출 PD를 따로 고용하긴 했으나 누군지는 밝혀지지 않았다.</ref> 2017년 7월 5일 더빙판 예고편이 공개되었는데 이에 "자연스러운 연기는 온데간데 없고 캐릭터와 배우의 목소리가 따로 논다"는 혹평이 달리기도 했다. 영화 커뮤니티 익스트림무비의 김종철 편집장은 "'어차피 연예인 목소리 들으러 관람할 거고 돈만 벌면 된다'는 마인드를 가진 미디어캐슬이 수입한 영화는 절대 극장에서 안 볼 것"이라고 지적했다. 뚜껑을 열자 사태는 더 심각했다. 지창욱은 타키를 목소리 탓에 30대로 둔갑시켰고<ref>사실 이런 말도 웃긴게 목소리톤을 유지를 못한 부분이 소수 보였다.</ref><ref>오죽하면 군필 아니냐는 의견도 많았다.</ref>, 김소현은 국어책 읽기, 로봇같다는<s>미츠하로이드</s>평가가 지배적이었다.  
한국어 더빙판의 캐스팅이 발표된 이후 전문성우가 아닌 연예인들을 사용하였으며, 한국어 더빙판 연출 PD 또한 더빙 연출가가 아닌 영화 감독인 김성호인 것을 두고 논쟁이 일었다.<ref>다만 더빙 연출 PD를 따로 고용하긴 했으나 누군지는 밝혀지지 않았다.</ref> 2017년 7월 5일 더빙판 예고편이 공개되었는데 이에 "자연스러운 연기는 온데간데 없고 캐릭터와 배우의 목소리가 따로 논다"는 혹평이 달리기도 했다. 영화 커뮤니티 익스트림무비의 김종철 편집장은 "'어차피 연예인 목소리 들으러 관람할 거고 돈만 벌면 된다'는 마인드를 가진 미디어캐슬이 수입한 영화는 절대 극장에서 안 볼 것"이라고 지적했다. 뚜껑을 열자 사태는 더 심각했다. 지창욱은 타키를 목소리 탓에 30대로 둔갑시켰고<ref>오죽하면 군필 아니냐는 의견도 많았다.</ref>, 김소현은 국어책 읽기, 로봇같다는<s>미츠하로이드</s>평가가 지배적이었다.  


연예인 더빙<ref>혹은 비성우 더빙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성우 역시 법적으로 연예인 및 방송인이며 유튜버 같은 일반인이나 성우지망생들도 더빙에 참여하는 경우가 소수 있었기 때문에 이쪽이 훨씬 맞는 표현.</ref>이 반드시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며 호평이 이어진 사례들도 있지만, 미디어캐슬은 성우 오디션을 개최하겠다고 해놓고 다짜고짜 배우들을 캐스팅했으며 하필 배우들 각각 스케줄로 인해 바빴고 그 때문에 캐릭터를 연구할 시간이 부족했을 가능성을 생각해볼 수 있다. 그로 인해 이 사단이 났던 것. 실제로 성우와 배우를 겹업하거나 성우에서 배우로 전향한<ref>정반대의 사례도 소수 있다.</ref> 사람들은 배우 연기와 성우 연기간의 차이점을 잘 알것이다. 결국 구더빙판은 2만명 언저리로 개폭망했다.
연예인 더빙<ref>혹은 비성우 더빙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성우 역시 법적으로 연예인 및 방송인이며 유튜버 같은 일반인이나 성우지망생들도 더빙에 참여하는 경우가 소수 있었기 때문에 이쪽이 훨씬 맞는 표현.</ref>이 반드시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며 호평이 이어진 사례들도 있지만, 미디어캐슬은 성우 오디션을 개최하겠다고 해놓고 다짜고짜 배우들을 캐스팅했으며 하필 배우들 각각 스케줄로 인해 바빴고 그 때문에 캐릭터를 연구할 시간이 부족했을 가능성을 생각해볼 수 있다. 그로 인해 이 사단이 났던 것. 실제로 성우와 배우를 겹업하거나 성우에서 배우로 전향한<ref>정반대의 사례도 소수 있다.</ref> 사람들은 배우 연기와 성우 연기간의 차이점을 잘 알것이다. 결국 구더빙판은 2만명 언저리로 개폭망했다.
175번째 줄: 170번째 줄:
* 특전 굿즈의 배포는 매우 미미한 편이다. 유료 상영회 때 배포한 포스터와 1월 15일 배포한 클리어 파일이 전부. 영화관 별로 특전이 다르기 때문에 이에 대한 불만이 다소 있다.
* 특전 굿즈의 배포는 매우 미미한 편이다. 유료 상영회 때 배포한 포스터와 1월 15일 배포한 클리어 파일이 전부. 영화관 별로 특전이 다르기 때문에 이에 대한 불만이 다소 있다.
* 각종 애니메이션 극장판을 상영하면서 요령을 터득한 [[메가박스]]가 공격적으로 마케팅을 하고 있다. 엽서 10장 세트 4종 중 1종과 노트 4종 중 1종, 에코백, 포스터, 팝콘 大, 콜라 R로 구성된 "너의 이름은. 콤보"(22,000원)를 판매했는 데 거의 모든 지점에서 개봉 첫날 매진을 달성했다. 후속 조치로 엽서 세트 4종, 노트 4종, 팝콘 大, 콜라 R로 구성된 "포텐터져 콤보"(18,000원)를 1만개 한정으로 출시하였다.
* 각종 애니메이션 극장판을 상영하면서 요령을 터득한 [[메가박스]]가 공격적으로 마케팅을 하고 있다. 엽서 10장 세트 4종 중 1종과 노트 4종 중 1종, 에코백, 포스터, 팝콘 大, 콜라 R로 구성된 "너의 이름은. 콤보"(22,000원)를 판매했는 데 거의 모든 지점에서 개봉 첫날 매진을 달성했다. 후속 조치로 엽서 세트 4종, 노트 4종, 팝콘 大, 콜라 R로 구성된 "포텐터져 콤보"(18,000원)를 1만개 한정으로 출시하였다.
* CGV는 경쟁사의 배급작인 본작 대신 계열사 작품인 [[마스터 (영화)|마스터]]에 집중했으나, 박스오피스에서 밀리자 백기를 들고 1주차 상영관을 다시 조정했다. 또한 아트하우스를 통해 신카이 마코토 기획전([[초속 5센티미터]] - [[언어의 정원]] - 너의 이름은.)을 상영했다.
* CGV는 경쟁사의 배급작인 본작 대신 계열사 작품인 [[마스터 (영화)|마스터]]에 집중했으나, 박스오피스에서 밀리자 백기를 들고 1주차 상영관을 다시 조정했다. 또한 아트하우스를 통해 신카이 마코토 기획전([[초속 5센티미터]] - [[인어의 정원]] - 너의 이름은.)을 상영했다.
* RADWIMPS가 1월 17일 ~ 1월 18일 내한하여 관객과의 대화 시간을 가졌다.
* RADWIMPS가 1월 17일 ~ 1월 18일 내한하여 관객과의 대화 시간을 가졌다.


188번째 줄: 183번째 줄:
* 영미권에서 "페미니즘 영화"로 인식되고 있다. 스테레오타입화된 [[젠더룰|남캐와 여캐의 역할]]이 바뀌었음에도 사회가 그것을 박해하기는 커녕 오히려 그것을 또 하나의 매력으로 받아들여졌다는 식이다.<ref>실제로 기존 대부분의 남녀의 몸이 뒤바뀐 영화나 만화 등 보면 젠더 룰에서 벗어난 행동들을 굉장히 우스꽝스러운 하나의 차별적 [[유머]]로서 소비되는 경우가 많았으나 이 영화에서 그러한 태도는 [[정치적 올바름|거의 보이지 않았다.]]</ref>
* 영미권에서 "페미니즘 영화"로 인식되고 있다. 스테레오타입화된 [[젠더룰|남캐와 여캐의 역할]]이 바뀌었음에도 사회가 그것을 박해하기는 커녕 오히려 그것을 또 하나의 매력으로 받아들여졌다는 식이다.<ref>실제로 기존 대부분의 남녀의 몸이 뒤바뀐 영화나 만화 등 보면 젠더 룰에서 벗어난 행동들을 굉장히 우스꽝스러운 하나의 차별적 [[유머]]로서 소비되는 경우가 많았으나 이 영화에서 그러한 태도는 [[정치적 올바름|거의 보이지 않았다.]]</ref>
* 해당 영화에 영제는 "Your Name."인데 "Your Name Is."가 훨씬 더 자연스러운 번역이다.
* 해당 영화에 영제는 "Your Name."인데 "Your Name Is."가 훨씬 더 자연스러운 번역이다.
* 타키의 아버지와 텟시의 아버지가 단역으로 출연했다.
* 타키의 아버지가 단역으로 출연한다.
* 한국어 구더빙판에서 미츠하 역을 맡은 김소현의 인터뷰가 올라왔다.


== 관련 사이트 ==
== 관련 사이트 ==
205번째 줄: 199번째 줄:
[[분류:SF 만화]]
[[분류:SF 만화]]
[[분류:연애 만화]]
[[분류:연애 만화]]
[[분류:애니메이션 원작 만화]]
[[분류:월간 코믹 얼라이브]]
[[분류:월간 코믹 얼라이브]]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