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단일팀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남북 단일팀'''은 남한(대한민국)과 북한(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합쳐 만든 국가대표팀이다. 남북 단일팀은 독일의 동·서 대표팀을 벤치마킹 한 것이며, 1964년 도쿄 올림픽 이래로<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2120600209208005&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2-12-06&officeId=00020&pageNo=8&printNo=12647&publishType=00020 스포츠 南北韓單一팀推進포기], 동아일보, 1962.12.06.</ref> 국제 스포츠 대회의 평화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행사로써 꾸준히 시도되고 있다.
'''남북 단일팀'''은 남한(대한민국)과 북한(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합쳐 만든 국가대표팀이다. 남북 단일팀은 독일의 동·서 대표팀을 벤치마킹 한 것이며, 1964년 도쿄 올림픽 이래로<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2120600209208005&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2-12-06&officeId=00020&pageNo=8&printNo=12647&publishType=00020 스포츠 南北韓單一팀推進포기], 동아일보, 1962.12.06.</ref> 국제 스포츠 대회의 평화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행사로써 꾸준히 시도되고 있다.


스포츠 대회에서 두 국가를 하나로 취급하는 것 자체가 상당히 이례적인 케이스이다. 개폐회식 동시입장만 해도 대회위원회와 준비위원회의 협조를 얻어야 한다. 선수를 아주 섞어서 단일팀을 꾸리려면 해당 종목의 국제 연맹으로부터 인정을 받아야 하며<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9022300099201016&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9-02-23&officeId=00009&pageNo=1&printNo=3989&publishType=00020 北傀單一팀 제의 国際卓球联 거부], 매일경제, 1979.02.23.</ref>, 엔트리 우대 문제로 경쟁국들의 볼멘 소리도 쉽게 나온다. 내부적으로도 선수들 간의 알력이나 연습 시간 부족 등의 문제가 불거진다.
스포츠 대회에서 두 국가를 하나로 취급하는 것 자체가 상당히 이례적인 케이스이다. 단일팀을 꾸리고자 하는 종목의 국제 연맹으로부터 인정을 받아야 하며<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9022300099201016&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9-02-23&officeId=00009&pageNo=1&printNo=3989&publishType=00020 北傀單一팀 제의 国際卓球联 거부], 매일경제, 1979.02.23.</ref>, 엔트리 우대 문제로 경쟁국들의 볼멘 소리도 쉽게 나온다. 내부적으로도 선수들 간의 알력이나 연습 시간 부족 등의 문제가 불거진다. 물론 단일팀을 꾸리려면 북한을 달래는 게 가장 큰 문제지만.


남북한 사이에도 지루한 의논이 연속된다. 단일팀의 명칭은 1991년 큰틀을 잡아놓은 것에서 크게 변하지 않지만, 선수는 어떻게 선발할 것인지, 합동 연습은 언제 어디서 할 것인지, 누가 비용을 부담할 것인지 같은 허들을 국제 대회 접수 마감 전까지 연속으로 넘어야 한다. 보통 남한이 제의하면 북한이 묵묵부답으로 있다가 시간을 놓쳐 무산되는 게 태반이다.
남북 단일팀 성립시 국기는 하늘색 한반도기를 사용하며, 국명은 “코리아(KOREA)”, 국가(國歌)는 《아리랑》을 사용한다. 이는 1991년 실무회의에서 정해진 방침이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1021300209202006&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91-02-13&officeId=00020&pageNo=2&printNo=21387&publishType=00020 南北 탁구·축구 단일팀 합의서], 동아일보, 1991.02.13.</ref> 약어는 때에 따라 다르나 KOR<small>(영어)</small>·COR<small>(불어)</small>을 사용한다.
 
남북 단일팀 성립시 국기는 하늘색 한반도기를 사용하며, 국명은 “코리아(KOREA)”, 국가(國歌)는 《아리랑》을 사용한다. 이는 1991년 실무회의에서 정해진 방침이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1021300209202006&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91-02-13&officeId=00020&pageNo=2&printNo=21387&publishType=00020 南北 탁구·축구 단일팀 합의서], 동아일보, 1991.02.13.</ref> 약어는 때에 따라 다르나 KOR<small>(영어)</small>·COR<small>(불어)</small>을 사용한다. 공동기수 2명은 남북에서 1명씩 선정하되 성별을 번갈아가며 선정한다.
== 역사 ==
== 역사 ==
* 제41회 세계탁구선수권대회 (1991년, 일본)
* 제41회 세계탁구선수권대회 (1991년, 일본)
*: 처음으로 남북 단일팀이 결성된 대회이다. 여자단체전에서 8연패에 빛나는 중국 선수단을 꺾고 금메달을 성취해 본격적인 스포츠 교류의 물꼬를 텄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104300020920200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91-04-30&officeId=00020&pageNo=2&printNo=21459&publishType=00020 코리아탁구,세계를 제패하다], 동아일보, 1991.04.30.</ref> 재일동포연합인 민주 계열의 민단과 공산 계열의 조총련도 이 때만큼은 사상에 상관없이 한 목소리로 응원했다. 영화 《코리아》가 이것을 소재로 한 것이다.
*: 처음으로 남북 단일팀이 결성된 대회이다. 여자단체전에서 8연패에 빛나는 중국 선수단을 꺾고 금메달을 성취해 본격적인 스포츠 교류의 물꼬를 텄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104300020920200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91-04-30&officeId=00020&pageNo=2&printNo=21459&publishType=00020 코리아탁구,세계를 제패하다], 동아일보, 1991.04.30.</ref> 재일동포연합인 민주 계열의 민단과 공산 계열의 조총련도 이 때만큼은 사상에 상관없이 한 목소리로 응원했다. 영화 《코리아》가 이것을 소재로 한 것이다.
* 제6회 세계청소년축구선수권대회 (1991년, 포르투갈)
* 제6회 세계청소년축구선수권대회 (1991년, 포르투갈)
*: 탁구대회와 동시기에 논의된 대회로, 선수 엔트리는 남북한에 각각 9명씩 배정됐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1022700289101006&editNo=4&printCount=1&publishDate=1991-02-27&officeId=00028&pageNo=1&printNo=860&publishType=00010 남북청소년축구 단일팀 평가전 5월4일 서울 8일 평양서], 한겨레, 1999.02.27.</ref> 주변의 우려와 달리 16강에서 아르헨티나를 꺾고 8강에 진출하는 이변을 보여줬으나 8강에서 브라질에게 4강 진출을 저지당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106240020921900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91-06-24&officeId=00020&pageNo=19&printNo=21512&publishType=00020 코리아 1대5쓴잔 4강 좌절], 동아일보, 1991.06.24.</ref>
*: 탁구대회와 동시기에 논의된 대회로, 선수 엔트리는 남북한에 각각 9명씩 배정됐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1022700289101006&editNo=4&printCount=1&publishDate=1991-02-27&officeId=00028&pageNo=1&printNo=860&publishType=00010 남북청소년축구 단일팀 평가전 5월4일 서울 8일 평양서], 한겨레, 1999.02.27.</ref> 주변의 우려와 달리 16강에서 아르헨티나를 꺾고 8강에 진출하는 이변을 보여줬으나 8강에서 브라질에게 4강 진출을 저지당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106240020921900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91-06-24&officeId=00020&pageNo=19&printNo=21512&publishType=00020 코리아 1대5쓴잔 4강 좌절], 동아일보, 1991.06.24.</ref>


* [[2000 시드니 올림픽]]
* 2000년 하계 올림픽
*: 호주 시드니에서 열린 2000년 하계 올림픽에서 올림픽 최초로 남북이 동시 입장했다. 통례대로 선수단은 아리랑 연주와 함께 한반도기를 들고 입장했다.<ref>[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001&aid=0000025643 -올림픽- 남북한, 사상최초 동시입장(종합)], 연합뉴스, 2000.09.13.</ref>
*: 시드니에서 열린 [[2000년 하계 올림픽]]에서 올림픽 최초로 남북한 선수단 동시 입장이 진행되었다. 선수단은 아리랑 연주와 함께 한반도기를 들고 입장하였다.<ref>[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001&aid=0000025643 -올림픽- 남북한, 사상최초 동시입장(종합)], 연합뉴스, 2000.09.13.</ref>
 
* [[2002년 부산 하계 아시안 게임]]
*: 남한(부산)에서 열린 국제 대회에서 처음으로 남북이 동시 입장했다.<ref>[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001&aid=0000228590 부산AG, 남북 동시 입장 전격 합의], 연합뉴스, 2002.08.28.</ref>
 
* [[2003년 아오모리 동계 아시안 게임]]
*: 일본 아오모리에서 열린 2003년 동계 아시안 게임에서 남북이 동시 입장했다.<ref>[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001&aid=0000313465 -동계아시안게임- 남북한 개폐회식 동시 입장(종합)], 연합뉴스, 2003.01.31.</ref>
 
* [[2003년 대구 하계 유니버시아드 대회]]
*: 대구에서 열린 2003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대회에서 남북이 동시 입장했다.<ref>[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049&aid=0000001061 남북 공동입장 '또다시 하나된 코리아'], MBC, 2003.08.21.</ref>
 
* [[2004 아테네 올림픽]]
*: 그리스 아테네에서 열린 2004년 하계 올림픽에서 남북이 동시 입장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5&oid=055&aid=0000026553 아테네 올림픽 내일 개막...남북한 공동 입장], SBS, 2004.08.13.</ref>
 
* [[2005년 마카오 동아시아 경기대회]]
*: 중국 마카오에서 열린 2005년 동아시아 경기대회에서 남북이 동시 입장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1122096 남북한, 동아시아대회 개폐회식 동시 입장], 연합뉴스, 2005.10.13.</ref>
 
*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
*: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열린 2006년 동계 올림픽에서 남북이 동시 입장했다. 이때의 국명은 “COREA”.<ref>[http://foto.sportschosun.com/news/ntype2_o.htm?ut=1&name=/news/sports/200602/20060211/62k10004.htm 한국-북한 동시 입장], 스포츠조선, 2006.02.10.</ref>


* [[2006년 도하 하계 아시안 게임]]
* 2003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대회 (대구)
*: 카타르 도하에서 열린 2006년 하계 아시안 게임에서 남북이 동시 입장했다. 한반도기에 독도를 포함하자고 결정한 때가 이 시기.<ref>[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022&aid=0000194738 아시안게임 南北 손 잡고 입장], 세계일보, 2006.11.22.</ref>
*: 개막식에서 남북한 선수단이 동시 입장했다.<ref>[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049&aid=0000001061 남북 공동입장 '또다시 하나된 코리아'], MBC, 2003.08.21.</ref>


* [[2007년  창춘 동계 아시안 게임]]
* 2004년 하계 올림픽
*: 중국 창춘에서 열린 2007년 동계 아시안 게임에서 남북이 동시 입장했다. 이때부터 한반도기에 [[독도]]가 포함된다.<ref>[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001&aid=0001531917 동계AG 공동입장 남북한 기수는 오재은-리금성], 연합뉴스, 2007.01.27.</ref>
*: 아테네에서 열린 [[2004년 하계 올림픽]]에서 남북한 선수단 동시 입장이 진행되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5&oid=055&aid=0000026553 아테네 올림픽 내일 개막...남북한 공동 입장], SBS, 2004.08.13.</ref>


* [[2018 평창 동계올림픽]]
* 2018년 동계 올림픽
*: 평창에서 열린 2018년 동계 올림픽에서 선수단 개막식 동시 입장, 여자 아이스하키 단일팀이 결정되었다. 이는 올림픽 흥행을 위한 IOC의 제안으로 유력 하키선수가 포진한 NHL이 올림픽에 불참하면서 아이스하키연맹도 볼거리 만들기에 동의했다.<ref>[http://news.donga.com/3/all/20180122/88292458/1 IOC “北선수 5명 고정 출전” 파격 제안… 부정적 여론 부담된 南 “3명으로 하자”], 동아일보, 2018.01.22.</ref> 사실 남북 단일팀은 2011년부터 추진되어왔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79&aid=0002267023&sid1=001 정치권, 평창 동계올림픽 남북 단일팀 추진 합의], 노컷뉴스 CBS 임진수 기자</ref>
*: 평창에서 열린 [[2018년 동계 올림픽]]에서 선수단 개막식 동시 입장, 여자 아이스하키 단일팀이 결정되었다. 이는 올림픽 흥행을 위한 IOC의 제안으로 유력 하키선수가 포진한 NHL이 올림픽에 불참하면서 아이스하키연맹도 볼거리 만들기에 동의했다.<ref>[http://news.donga.com/3/all/20180122/88292458/1 IOC “北선수 5명 고정 출전” 파격 제안… 부정적 여론 부담된 南 “3명으로 하자”], 동아일보, 2018.01.22.</ref> 사실 남북 단일 여자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2011년부터 추진되어왔다.
** [http://news.joins.com/article/22289163 현정화 “빙판의 작은 통일 좋지만 선수가 먼저다”], 중앙일보 박린, 김지한 기자
** [http://news.joins.com/article/22289163 현정화 “빙판의 작은 통일 좋지만 선수가 먼저다”], 중앙일보 박린, 김지한 기자
** [http://imnews.imbc.com//replay/2018/nwdesk/article/4503463_22663.html 단일팀, 화해의 열쇠? '일회성' 논란 극복해야], MBC 김정호 기자: MBC의 기자가 남북 단일팀을 일회성이라고 인정했다.
** [http://imnews.imbc.com//replay/2018/nwdesk/article/4503463_22663.html 단일팀, 화해의 열쇠? '일회성' 논란 극복해야], MBC 김정호 기자: MBC의 기자가 남북 단일팀을 일회성이라고 인정했다.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03&aid=0008403549&sid1=001 "南선수들 정치 들러리, 北은 무임승차"…단일팀 뿔난 2030], 뉴시스 박영주 김지은 기자: 여기서 핵심은 "단일팀으로 인한 긍정적 변화 국민 설득해야"라고 남북 단일팀을 옹호하고 있다는 것이다.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03&aid=0008403549&sid1=001 "南선수들 정치 들러리, 北은 무임승차"…단일팀 뿔난 2030], 뉴시스 박영주 김지은 기자: 여기서 핵심은 "단일팀으로 인한 긍정적 변화 국민 설득해야"라고 남북 단일팀을 옹호하고 있다는 것이다.
* 2018 세계탁구선수권대회 (스웨덴)
*: 8강 대전이 예정되어 있었던 여자탁구 남북 개별팀이 국제연맹과 합의해 전격 단일팀으로 구성되었다. 이로 인해 8강은 부전승 처리되었으며, 4강에서 일본에 패하여 동메달로 마무리했다.<ref>[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8050421274528008 27년만에 단일팀 구성한 남북 탁구팀, 동메달 획득], 아시아경제, 2018.05.04.</ref>


== 외부 링크 ==
== 외부 링크 ==
51번째 줄: 30번째 줄:
{{각주}}
{{각주}}
[[분류:국가대표팀]]
[[분류:국가대표팀]]
[[분류:남북관계]]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