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의 집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49번째 줄: 149번째 줄:
|  
|  
|401  
|401  
| 세로 모양으로 블록을 덮는 장애물이다. 블라인드에 가려진 블록은 플레이어가 사용하거나 모양을 확인할 수 없으며, 주변의 블록을 없애거나 아이템을 활성화시킬 때 한 칸씩 말려서 올라간다. 블라인드가 올라갈 때마다 아래에 가려진 블록이 드러난다.
| 세로 모양으로 블록을 덮는 장애물이다. 주변의 블록을 없애거나 아이템을 활성화시킬 때 한 칸씩 말린다. 블라인드가 올라갈 때마다 아래에 덮인 블록이 드러나게 된다.
|-
|-
|21
|21
167번째 줄: 167번째 줄:
|  
|  
|676  
|676  
| 거미줄에 걸린 블록은 플레이어가 움직일 수 없으나 아래의 블록이 없어질 때는 거미줄을 통과한다. 무지개 공이나 폭탄/로켓. 종이비행기 등으로 없앨 수 있다.
| 거미줄에 걸린 블록은 플레이어가 움직일 수 없으나 아래의 블록이 없어질 때는 거미줄을 통과한다. 무지개공이나 폭탄/로켓.종이비행기 등으로 없앨 수 있다.
|-
|-
|24
|24
173번째 줄: 173번째 줄:
|
|
|776  
|776  
| 퍼즐이 그려진 블록으로 블록과 색깔이 맞는 블록을 매칭 시키거나 아이템을 이용해서 없애면 스테이지 상에 퍼즐 조각을 채운다. 퍼즐 조각이 모두 채워지면 퍼즐 아래에 있는 블록이 드러난다.  
| 퍼즐이 그려진 블록으로 블록과 색깔이 맞는 블록을 매칭시키거나 아이템을 이용해서 없애면 스테이지 상에 퍼즐 조각을 채운다. 퍼즐조각이 모두 채워지면 퍼즐 아래에 있는 블록이 드러난다.  
|-
|-
|25
|25
179번째 줄: 179번째 줄:
|  
|  
|856
|856
| 카펫이 말려있는 롤이다. 주변 블록을 없애거나 아이템을 이용해서 활성화 시키면 카펫이 펼쳐진다. 펼쳐지고 있는 카펫은 아이템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 카펫이 말려있는 롤이다. 주변 블록을 없애거나 아이템을 이용해서 활성화시키면 카펫이 펼쳐진다. 펼쳐지고 있는 카펫은 아이템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
|-
|26
|26
191번째 줄: 191번째 줄:
|  
|  
|1206
|1206
| 내구도가 있는 장애물로 여러 칸을 차지한다. 연결된 리본 매듭 중 단 한 칸의 매듭이라도 풀면 매듭 진 리본 전체가 풀린다.  
| 내구도가 있는 장애물로 여러 칸을 차지한다. 연결된 리본 매듭 중 단 한 칸의 매듭이라도 풀면 매듭진 리본 전체가 풀린다.  
|-
|-
|28
|28
197번째 줄: 197번째 줄:
|  
|  
|1281
|1281
| 타일이 깔린 상태에서는 타일 위의 블록을 매칭으로 제거해서는 없앨 수는 없으나 아이템을 이용해서 도자기 코팅을 제거하면 아래의 부스러기들은 아이템이나 위의 블록을 매칭해서 제거할 수 있다. 참고로 도자기 타일 아래에는 카페트가 깔리지 않는다.  
| 주변의 블록을 매칭해서 없앨 수는 없으나 우선 아이템을 이용해서 도자기 코팅을 제거하면 아래의 부스러기들은 아이템이나 주변 블록 매칭으로 제거할 수 있다. 참고로 도자기 타일 아래에는 카페트가 깔리지 않는다.  
|-
|-
|29
|29
203번째 줄: 203번째 줄:
|  
|  
|1356
|1356
| 알람 시계의 턴 수가 0이 되면 남은 턴수와는 무관하게 게임에서 진다. 일반 블록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거할 수 있다. 폭탄이 얼어 있거나 체인에 고정된 식으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어서 게임의 난도를 올릴 수 있다.
| 알람 시계의 턴 수가 0이 되면 남은 턴수와는 무관하게 게임에서 진다. 일반 블록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거할 수 있다. 골때리게도 얼어있거나 체인에 엮여있거나 하는 식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난이도롤 높일 수도 있다.
|-
|30
| 반지와 반지함
|
|1606
| 주변 블록을 터트리거나 아이템을 이용해서 건드리면 반지함이 열린다. 반지함이 열린 상태에서 다시 주변 블록을 터트리거나 아이템을 이용해서 터치하면 반지를 얻을 수 있다. 반지함은 이동이 가능하며 남은 반지함은 주변 블록을 제거하는 식으로 제거할 수 있다.
|-
| 31
| 플라즈마 구
|
|1706
| 인접한 블록을 터트리거나 아이템으로 건드리면 활성화되기 시작한다. 세 번 건드릴 때 무지개공처럼 블록들 중 한 개를 제거한다.
|-
| 32
| 기름 피처
|
| 1806
| 인접한 블록을 터트리면 기름 피쳐 마개가 열리고, 다시 한 번 터트리면 피쳐가 깨지면서 기름이 흘러나온다. 이게 있는 레벨은 피처를 모두 깨트린 뒤 기름을 모두 제거하는 것이 목표가 된다.
|-
| 33
| 과포장된 고양이 간식
|
| 1906
| 인접한 블록을 터트리면 포장이 하나씩 벗겨진다. 2x2 크기의 선물상자 포장을 벗기면 1x2 크기의 작은 포장이, 다시 인근 블록을 터트려서 벗겨내면 1x1 크기의 내구도 2의 포장이 나타난다. 제거하는 데는 어렵지 않으나 상당히 내구도가 높은데다가 마지막 포장만 남은 상태에서도 인근 블록과 교환되지 않는 점이 난이도를 높인다.
|-
| 34
| 부술 수 없는 벽
|
| 2006
| 위의 벽 장애물처럼 블록 사이의 교환을 방해하고 매칭에 영향을 주지 않는 장애물이지만 로켓이나 폭탄 같은 아이템으로 부술 수 없다.
|-
| 35
| 토스트기
|
| 2156
| 인접 블록이 제거되거나 아이템으로 건드릴 때마다 2개의 토스트를 배출한다. 연쇄적으로 인접 블록이 터지면 횟수 1회 소모해도 터질 때마다 2개씩 배출하지만 그만큼 배출해야 할 토스트 숫자도 이동 횟수에 비해 높게 잡혀있는 점이 어려운 점이다. 연쇄 반응으로 토스트기를 자극하면 자극한 횟수 만큼 토스트를 배출하는 점을 이용하는 것이 포인트이다.
|-
| 36
| 쿠키 스택
|
| 2306
| 쿠키 3개가 쌓여 있고 인접 블록을 터트리거나 아이템으로 건드릴 때에 내구도가 줄어든다. 내구도가 다 떨어지면 쿠키 3개를 필드에 뿌린다. 쿠키와 마찬가지로 로켓이 닿을 때 로켓을 파괴한다. 쿠키와는 달리 블록과 위치를 교환할 수 없다.
|-
| 37
| 비누
|
| 2456
| 주변의 블록을 터트리거나 아이템을 이용해서 건드리면 일직선으로 움직이면서 비누거품을 생성하고 사라진다. 이 때 일반 블록을 덮어버리고, 종이비행기/로켓/폭탄/무지개공 같은 아이템을 건드리면 아이템을 활성화시키면서 사라진다. 최대 내구도는 3이고, 블록과 위치를 바꿀 수 있다.
|-
| 38
| 옥수수와 통조림
|
| 2606
| 주변의 블록을 터트리거나 아이템을 이용해서 건드리면 옥수수 통조림 뚜껑을 열 수 있고, 뚜껑이 열린 상태에서 다시 한 번 주변 블록을 터트리거나 아이템으로 건드리면 옥수수가 배출된다. 그러나 뚜껑이 열린 상태에서 주변 블록이 터지지 않으면 뚜껑이 닫히기에 옥수수를 꺼내기 위해서는 한 턴을 소모해서 뚜껑을 열어야 한다. 연쇄반응으로 블록이 터질 경우 옥수수 통조림을 여러 번 자극할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하는 것이 포인트. 한 통조림에 옥수수는 3개가 들어있다.
|-
| 39
| 풀린 실뭉치
|
| 2756
| 실뭉치 주변의 블록을 터트리거나 아이템을 이용해서 건드리면 실뭉치가 활성화되면서 실뭉치가 연결된 바구니 속으로 들어간다. 실뭉치는 움직일 때 블록을 없앤다.
|-
| 40
| 전화기
|
| 2906
| 전화기가 울릴 때 주변 블록을 없애거나 아이템을 이용해서 건드리면 전화기가 제거된다. 매 턴마다 울리는 전화기는 바뀐다. 한 칸만 차지하지만 움직일 수 없다.
|-
| 41
| 화분과 꽃
|
| 3056
| 주변 블록을 제거하거나 아이템을 이용해서 건드리면 화분에 있는 새싹이 꽃으로 피어난다. 같은 색깔의 화분을 모두 꽃으로 피울 때 필드에서 제거된다.
|-
| 42
| 화분과 꽃
|
| 3056
| 주변 블록을 제거하거나 아이템을 이용해서 건드리면 화분에 있는 새싹이 꽃으로 피어난다. 같은 색깔의 화분을 모두 꽃으로 피울 때 필드에서 제거된다.
|-
| 43
| 마법모자
|
| 3236
| 2*2 사이즈의 장애물이다. 마법모자에 특정한 아이템과 수집해야 할 개수가 있으며, 스왑이나 아이템을 이용해서 제거할 때마다 숫자가 줄어든다. 숫자가 모두 소진하면 마법모자가 폭발하면서 필드 상의 모든 블록을 제거한다.
|-
| 44
| 물양동이
|
| 3416
| 물양동이 주변에 블록 아래에 젖은 물이 있다. 물에 젖은 필드는 젖은 위치에 있는 블록을 제거하면 물을 제거할 수 있다. 물양동이 주변에 있는 물을 모두 제거한 뒤에 양동이 주변의 블록을 건드리거나 아이템으로 건드리면 물양동이를 수집할 수 있다. 
|-
| 45
| 색연필
|
| 3596
| 블록에 4개지의 다른 색상의 색연필이 있다. 색연필과 같은 색의 인접한 블록을 제거하면 통 안에 색연필이 제거되며, 아이템을 색연필 통을 건드리게 해서 임의의 색연필을 제거할 수도 있다. 안에 있는 색연필들이 모두 제거되면 필드 상에서 사라진다. 수집 가능한 요소 중 하나이다.
|-
| 46
| 진공청소기
|
| 3776
| 로봇 진공청소기 위에 블록과 숫자가 있으며, 필드 상에서 진공청소기 위에 지정된 블록을 제거하면 진공청소기가 다음 목표장소에 도달한다. 마지막 목표 장소에 도달될 때 사라지면서 필드에서 수집된다.
|}
|}


=== 미니게임 ===
=== 미니게임 ===
한동안 Playrix측에서 이 게임을 광고할 때 오스틴이 곤란한 상황에 처할 때 적절한 선택지를 고르거나 핀을 적절하게 뽑아서 오스틴이 탈출할 수 있게 하는 식의 퍼즐이 있다는 식으로 묘사했지만, 실제로는 매치 3 퍼즐과 집 꾸미기 콘텐츠밖에 없었다. 이후 2020년에 광고 낚시라는 지적을 받고 나중에 추가한 콘텐츠이다. 20레벨 정도 진행할 때마다 1개 정도 나오며, 게임 광고에 묘사했듯이 핀을 뽑거나 적절한 선택지를 골라서 오스틴을 안전하게 이동시키면 성공한다. 실패해도 하트를 잃어버리는 등의 손해는 존재하지 않으며, 성공하면 50코인과 1개의 별을 준다. 미니게임이 활성화 될 때에는 일반 스테이지를 진행하지 못하며, 건너뛸 수는 있지만 실패할 때 하트 손실 없이 무제한으로 도전 가능하고, 3번 정도만 올바른 선택을 하면 통과할 정도로 난이도도 그렇게 어렵지 않기에 도전해서 보상을 챙기는 것이 좋다.
한동안 Playrix측에서 이 게임을 광고할 때 오스틴이 곤란한 상황에 처할 때 적절한 선택지를 고르거나 핀을 적절하게 뽑아서 오스틴이 탈출할 수 있게 하는 식의 퍼즐이 있다는 식으로 묘사했지만, 실제로는 매치 3 퍼즐과 집 꾸미기 콘텐츠밖에 없었다. 이후 2020년에 광고 낚시라는 지적을 받고 나중에 추가한 콘텐츠이다. 20레벨 정도 진행할 때마다 1개 정도 나오며, 게임 광고에 묘사했듯이 핀을 뽑거나 적절한 선택지를 골라서 오스틴을 안전하게 이동시키면 성공한다. 실패해도 하트를 잃어버리는 등의 손해는 존재하지 않으며, 성공하면 50코인과 1개의 별을 준다. 미니게임이 활성화 될 때에는 일반 스테이지를 진행하지 못하며, 건너뛸 수는 있지만 실패 페널티도 없이 무제한으로 도전 가능하고, 3번 정도만 올바른 선택을 하면 통과할 정도로 난이도도 그렇게 어렵지 않기에 도전해서 보상을 챙기는 것이 좋다.
 
2021년 7월 이후 미니게임이 나타나는 광고가 사라졌고 더 이상 미니게임이 등장하지 않는다.
 
2021년 9월 이후 다시 미니게임이 등장하고 있다.


=== 스토리 진행 ===
=== 스토리 진행 ===
스테이지를 진행하면서 모은 별을 소모하면서 엉망이 된 집을 수선하면 스토리가 진행된다. 스토리가 진행될 때는 일정한 양만큼 별을 소모하면 중간 보상으로 아이템이 하나 주어지며, 하루에 주어진 미션을 모두 수행하면 30분 무제한 하트 보상과 함께 아이템 하나를 추가로 보상을 준다. 하루의 미션을 모두 마치면 별을 소모해서 다음 날로 넘어갈 수 있다.
스테이지를 진행하면서 모은 별을 소모하면서 엉망이 된 집을 수선하면 스토리가 진행된다. 스토리가 진행될 때는 일정한 양만큼 별을 소모하면 중간 보상으로 아이템이 하나 주어지며, 하루에 주어진 미션을 모두 수행하면 30분 무제한 하트 보상과 함께 아이템 하나를 추가로 보상을 준다. 하루의 미션을 모두 마치면 별을 소모해서 다음 날로 넘어갈 수 있다.  
 
==== 에피소드 목록 ====
* 오스틴의 저택
* 호수 건너 별장


=== 은행 ===
=== 은행 ===
직접 현금을 지불하면서 아이템을 살 수 있는 탭이다. 비싼 상품이 대체로 가성비가 좋지만 게임플레이를 하다 보면 출석보상이 좋은 편이기에 하루에 수십 레벨씩 바짝 진행하려는 의도가 없으면 비싼 상품을 구매할 이유가 없다. 아주 어려운 레벨 몇 개는 아이템이나 추가횟수를 지불하지 않으면 진행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어서 아이템을 낭비하지 않는 것이 좋다.
직접 현금을 지불하면서 아이템을 살 수 있는 탭이다.
 
=== 플레이 팁 ===
* 기본적으로 레벨 클리어 시에 50코인, 어려운 레벨은 100코인, 매우 어려운 레벨은 150코인, 그리고 한방 레벨은 300코인을 보상으로 준다. 그리고 플레이 시에 잔여 아이템 중 종이비행기와 로켓은 터지면서 1코인 추가, 폭탄은 터지면서 2코인 추가, 무지개공은 터지면서 '''5코인'''이 추가되며, 아이템이 모두 소모되면 잔여 횟수 1회당 하나씩 로켓, 비행기 혹은 폭탄 하나로 바뀌어서 터지면서 코인이 추가된다. 따라서 여유가 있으면 무지개공과 폭탄을 사용하지 않고 클리어하는 것이 코인 보상을 늘리는 데 도움이 된다.
* 스토리 진행 시 별을 소비하면서 진행하는 미션이 있는데 일정 수준만큼 미션을 초반에는 하루 중간 보상과 최종보상이 하나씩 있음며, 일정 수준 이상 진행하면 중간보상은 2개로 늘어난다. 중간 보상은 폭탄과 로켓, 종이비행기 더블, 무지개공 중 하나가 추가되며, 최종보상은 여기에 30분 무제한 하트가 더 추가된다. 사이드 스토리 전체 완료시엔 1시간 무제한 하트와 함께 새로운 프로필 사진도 추가된다. 따라서 별 수집을 하다가 플레이를 많이 할 수 있을 때 스토리를 진행해서 무제한 하트를 수집하는 것도 전략.
* 스토리 보상 후에 별을 소비해서 다음 날로 넘기면 잔여 하트가 완전히 찬다.


== 특수 아이템 ==
== 특수 아이템 ==
359번째 줄: 244번째 줄:
** 연 날리기 - 게임 시작 시에 무지개 공 등의 아이템을 생성한다. 처음에는 무지개 공이 생성되며, 연속 성공시에는 폭탄/무지개공이, 3회 연속 성공시에는 3회 보너스 이동이 추가로 생성된다. 실패 시에는 초반 아이템 보너스가 모두 사라진다. 연 날리기 이벤트 대회 때 클리어한 레벨 순위에 따라 추가 보상이 주어진다.
** 연 날리기 - 게임 시작 시에 무지개 공 등의 아이템을 생성한다. 처음에는 무지개 공이 생성되며, 연속 성공시에는 폭탄/무지개공이, 3회 연속 성공시에는 3회 보너스 이동이 추가로 생성된다. 실패 시에는 초반 아이템 보너스가 모두 사라진다. 연 날리기 이벤트 대회 때 클리어한 레벨 순위에 따라 추가 보상이 주어진다.
** 플린트 선장 - 게임 시작 시에 무지개 공 등의 아이템을 생성한다. 연 날리기 대회와 마찬가지로 레벨 연속 클리어 시에 아이템이 하나씩 늘어나지만 실패해도 초반 지급하는 아이템 하나만 줄어들 뿐 보상이 사라지지 않는다. 다만 대회 형식은 아니므로 추가 순위보상은 주어지지 않는다.
** 플린트 선장 - 게임 시작 시에 무지개 공 등의 아이템을 생성한다. 연 날리기 대회와 마찬가지로 레벨 연속 클리어 시에 아이템이 하나씩 늘어나지만 실패해도 초반 지급하는 아이템 하나만 줄어들 뿐 보상이 사라지지 않는다. 다만 대회 형식은 아니므로 추가 순위보상은 주어지지 않는다.
** 종이비행기 대회 - 레벨 성공시 다음 레벨에서 일정 블록을 없앨 때마다 종이비행기를 생성하는 게이지가 추가된다. 처음 성공시 2개, 2연속 성공시 4개, 3연속 성공시 6개의 종이비행기를 생성하는 게이지가 추가된다. 단 레벨에 실패할 경우 종이비행기 보너스가 비활성화된다. 대회 형식으로 진행되어 경쟁자들과 종이비행기 모으기 10위 안에 들면 더 높은 리그로 승격하며, 25위 아래로 내려가면 강등된다.
** 종이비행기 대회 - 레벨 성공시 다음 레벨에서 일정 블록을 없앨 때마다 종이비행기를 생성하는 게이지가 추가된다. 처음 성공시 2개, 2연속 성공시 4개, 3연속 성공시 6개의 종이비행기를 생성하는 게이지가 추가된다. 단 레벨에 실패할 경우 종이비행기 보너스가 비활성화된다. 대회 형식으로


* 장기 이벤트 - 7일 이상 기간동안 벌어지는 이벤트로 레벨을 진행할 때마다 진행 게이지가 축적되며, 게이지가 찰 때 중간보상이 주어지는 이벤트이다.
* 장기 이벤트 - 30일 이상 기간동안 벌어지는 이벤트로 레벨을 진행할 때마다 진행 게이지가 축적되며, 게이지가 찰 때 중간보상이 주어지는 이벤트이다.
** 시즌 패스 - 대략 30일 정도로 진행되며 플레이를 할 때마다 플레이 게이지를 모을 수 있다. 플레이어 진행시 최초 보상으로 10분간 무제한 무지개 공이 주어진다. 게이지를 모을 때마다 최대 35단계까지의 보상이 주어진다. 시즌 패스 골드 티켓을 구매하면(안드로이드 버전 한국판 기준 5,900원) 프로필 화면에 금색 테두리가 추가되며, 하트 제한도 8개로 늘어나고, 단계 보상이 하나씩 더 추가된다. 시즌 패스 골드티켓은 대략 10단계만 획득해도 가성비가 가장 좋은 유료 상품인 점도 참고.
** 특정 블록 모으기 - 블록 중 한 종류가 수집 대상 모양으로 변형된다. 게임을 하면서 성공하면 게임 상에서 터트린 특정 블록을 모을 수 있고, 모은 블록을 지불해서 정원에 장식물을 설치한다. 총 4단계에 걸쳐 보상이 주어지며, 대략 30개 정도의 장식물이 첫 번째 집의 정원에 설치된다. 정원에 설치된 장식물은 다음 시즌에 보상으로 받은 다른 장식물로 대체될 때까지 유지된다.
** 사이드 스토리 - 플레이어를 하면서 사이드 스토리를 진행한다. 장식물이 붙어있는 블록을 플레이하면서 수집하면 게이지를 모을 수 있다. 이 게이지를 모아서 사이드 스토리 상의 공간에 장식물을 배치한다. 장식물을 어느 정도 모으면 1단계 보상이, 모두 모으면 2단계 보상이 주어진다.


== 출석 아이템 ==
== 출석 아이템 ==
392번째 줄: 274번째 줄:
=== 광고 낚시 ===
=== 광고 낚시 ===
1억 다운로드를 돌파한 Playrix사의 주력 게임이지만 낚시 광고로 악명이 높은 게임이다. 전반적으로 King의 캔디 크러시 시리즈와 유사한 매치 3 퍼즐을 바탕으로 집을 복구하는 과정을 담고 있는 형식의 게임인데, 많은 모바일 광고에서는 곤란해진 주인공 오스틴을 플레이어의 선택으로 구출하거나 그 밖의 각종 유행하는 게임들을 패러디하는 광고가 많이 나온다. 당연히 인 게임에서는 전혀 나오지 않았던 장면이었기 때문에 비판을 받았고, 영국 표준광고 위원회(Advertising Standards Authority)에서 꿈의 집과 이전 작품인 꿈의 정원에 대해 광고금지 명령을 내린 적이 있었다.<ref>[https://www.bbc.com/news/technology-54509970 BBC, Homescapes and Gardenscapes ads banned as misleading, 2020년 10월 12일 기사]</ref>
1억 다운로드를 돌파한 Playrix사의 주력 게임이지만 낚시 광고로 악명이 높은 게임이다. 전반적으로 King의 캔디 크러시 시리즈와 유사한 매치 3 퍼즐을 바탕으로 집을 복구하는 과정을 담고 있는 형식의 게임인데, 많은 모바일 광고에서는 곤란해진 주인공 오스틴을 플레이어의 선택으로 구출하거나 그 밖의 각종 유행하는 게임들을 패러디하는 광고가 많이 나온다. 당연히 인 게임에서는 전혀 나오지 않았던 장면이었기 때문에 비판을 받았고, 영국 표준광고 위원회(Advertising Standards Authority)에서 꿈의 집과 이전 작품인 꿈의 정원에 대해 광고금지 명령을 내린 적이 있었다.<ref>[https://www.bbc.com/news/technology-54509970 BBC, Homescapes and Gardenscapes ads banned as misleading, 2020년 10월 12일 기사]</ref>
광고 낚시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 집이 난장판이다. 수돗물은 새고 있고 고양이가 아무데나 뒹굴고 있으며 가스레인지에서 불이 붙어 있는데, 일부러 잘못된 것만 골라 호되게 당한다. 그러고 나서 '실패' 라는 문구가 대문짝만하게 나온다.{{ㅈ|간혹 첫번째와 두번째까지는 잘 가다가 마지막에 이상한 거를 골라 실패하는 것도 있다.}}
* 주인공 오스틴이 난처한 상황에 처해 있다. 주로 뒤에서 누군가가 쫓아오는 형태인데 이때는 도구를 두 개 중 맞는 것 하나를 선택해 헤쳐나가야 한다. 시간제한이 있는 탈출 게임처럼 광고를 만들어놓았다.
* 오스틴이 무언가를 얻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퍼즐 게임인데, 바 같은 것을 빼야 하는데 아무렇게나 빼서 목표 달성에 실패한다.
놀랍게도 초창기에는 [https://www.youtube.com/watch?v=qXQSuGBMcFI 몹시 정상적인 광고를 내보냈었다!] 이것 말고도 오스틴의 부모님이 집을 팔았는데, 오스틴은 그 소리를 듣자마자 놀라며 바로 잠에서 깨 "집을 수리해야겠어요!"라고 하며 난장판인 집을 퍼즐로 통해 고친다는 내용의 '''고퀄리티 [[애니메이션]]''' 광고도 있었다. 돈과 유저 수에 눈이 멀어 이 모양이 된 듯 하다.
문제는 이러한 {{ㅊ|뭐가 나오든 죄다 틀리는 똥멍청이 행위를 담은}} 가짜 광고를 다른 게임들도 똑같이 따라하고 있다. 단순히 저퀄 게임뿐만이 아니라 여러 회사들이 공식적으로 이런 형식의 광고를 송출하고 있다. 심지어 '''[[앵그리버드]]'''를 만든 [[로비오]]까지 [https://www.youtube.com/watch?v=sUhvh0ARKWI 이런 형식의 광고를 송출한 적이 있었다.] 하도 그러다 보니까 아예 인터넷 밈으로서도 활약하게 된 적도 있었다.


최신 버전 기준으로는 광고에서 볼 수 있었던 선택해서 오스틴을 도와주는 게임이 미니게임 형태로 추가되었다. 실패 시에도 무제한으로 재도전 가능하며, 성공 시에 코인 보상을 얻을 수 있다.
최신 버전 기준으로는 광고에서 볼 수 있었던 선택해서 오스틴을 도와주는 게임이 미니게임 형태로 추가되었다. 실패 시에도 무제한으로 재도전 가능하며, 성공 시에 코인 보상을 얻을 수 있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