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국제공항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공항 정보
{{공항 정보
|공항이름 = 김포국제공항
| 공항명    = 김포국제공항
|원어이름 =  
| 한자명 = 金浦國際空港
|그림     = [[파일:RKSS Domestic.jpg|150px]]
| 현지어 = 김포국제공항
|그림설명 = 국내선 청사 전경
| 영어명 = Gimpo International Airport
|지도    =  
| 그림     = 280px-RKSS Domestic.jpg
|지도설명 =  
| 그림 사이즈 = 280
|IATA     = GMP
| 그림 설명    = 국내선 청사 전경
|ICAO     = RKSS
| 그림2      =  
|나라     = {{나라|대한민국}}
| 그림2 사이즈= 280
|이용지역 = [[수도권]]
| 그림2 설명    = 
|위치    = [[서울특별시]] [[서울 강서구|강서구]] [[하늘길]] 38 ([[방화동]]) (국제선)<br />[[서울특별시]] [[서울 강서구|강서구]] [[하늘길]] 112 ([[공항동]]) (국내선)
| IATA         = GMP
|종류    = 민간
| ICAO         = RKSS
|운영    = [[한국공항공사]]
| FAA          =
|항공사  = [[대한항공]]<br />[[아시아나항공]]<br />[[진에어]]<br />[[이스타항공]]<br />[[티웨이항공]]<br />[[제주항공]]<br />[[에어부산]]
| LID          =
|개항일  = [[1958년]]
| 공항종별        = 민간
|폐지일  =  
| 시간기준 =한국 표준시
|해발고도 = 18 m / 58 ft
| 운영시간 =  06:00 ~ 23:00
|웹사이트 = https://www.airport.co.kr/gimpo/index.do
| 소유기관        =
|활주로   =  
| 허브 = [[대한항공]]<br />[[아시아나항공]]<br />[[진에어]]<br />[[이스타항공]]<br />[[티웨이항공]]<br />[[제주항공]]<br />[[에어부산]]
{{공항 정보/시설
| 운영기관     = [[한국공항공사]]
|번호 = 14L/32R
| 지역  = [[서울특별시]]
|길이 = 3600×45 m
| 위치    = {{국기그림|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서구 (서울특별시)|강서구]] [[하늘길]] 38 ([[방화동]]) (국제선)<br />[[서울특별시]] [[강서구 (서울특별시)|강서구]] [[하늘길]] 112 ([[공항동]]) (국내선)
|표면 = 아스팔트
| 건립시기        = <!-- for military airports -->
}}
| 사용시기        = <!-- for military airports -->
{{공항 정보/시설
| 책임자    = <!-- for military airports -->
|번호 = 14R/32L
| 점유기관    = <!-- for military airports -->
  |길이 = 3200×60 m
| metric-elev  = yes
  |표면 = 아스팔트
| 해발-f  = 58
  }}
| 해발-m  = 18
|헬리패드 =  
| 좌표  = {{좌표도분초|37|33|29|N|126|47|26|E|type:airport}}
|비고    =  
| 웹사이트     = http://www.airport.co.kr/mbs/gimpo
<!-- 활주로 -->
| r1-방향    = 14L/32R
| r1-길이 = 3600
| r1-폭 = 45
| r1-ILS = YES
| r1-표면   = 아스팔트
| r2-방향    = 14R/32L
| r2-길이 = 3200
| r2-폭 = 60
| r2-ILS = YES
| r2-표면   = 아스팔트
<!--... r8-까지 작성 가능-->
<!-- 헬리포트 -->
| h1-번호   =  
| h1-길이 =
| h1-표면  =
<!--... h12- 까지 작성 가능-->
<!--통계 -->
| stat-연도  = 2014
| stat1-제목 = 여객수
| stat1-수치  = 21,566,946
| stat2-제목 = 항공기 이착륙 수
| stat2-수치  = 138,706 회
<!--  stat4- 까지 작성 가능-->
| footnotes    =  
}}
}}
'''김포국제공항'''(金浦國際空港)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서구]]에 위치한 [[공항]]이다.
'''김포국제공항'''(金浦國際空港)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서구]]에 위치한 [[공항]]이다.
38번째 줄: 63번째 줄:


==터미널==
==터미널==
[[파일:gmp infographic.png|300px|섬네일|오른쪽|김포국제공항의 구조]]
[[File:gmp_infographic.png|300px|섬네일|오른쪽|김포국제공항의 구조]]
김포국제공항의 터미널은 크게 국제선 터미널과 국내선 터미널로 양분되어있다. 두 터미널은 별도의 건물로 구성되며 환승시 지하통로 혹은 무료셔틀버스를 활용하여 이동할 수 있다.<reF>지하통로는 거리가 상당히 멀기 때문에 셔틀버스 이용이 권장된다.</ref>
김포국제공항의 터미널은 크게 국제선 터미널과 국내선 터미널로 양분되어있다. 두 터미널은 별도의 건물로 구성되며 환승시 지하통로 혹은 무료셔틀버스를 활용하여 이동할 수 있다.<reF>지하통로는 거리가 상당히 멀기 때문에 셔틀버스 이용이 권장된다.</ref>
===국제선 터미널===
===국제선 터미널===
구 국제선 제2청사로, 한중일 셔틀 국제선이 취항하고 있다.
구 국제선 제2청사로, 한중일 셔틀 국제선이 취항하고 있다.  


시설은 단촐한 편으로, 환전소와 통신사 데스크·편의점·푸드코트·항공사 라운지 정도.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라운지 외에 스카이라운지도 있지만 김포공항 스카이라운지는 정말 작고 사방이 뻥 트여 있어서 편히 쉬기엔 글렀다. 면세 구역에는 면세점도 있으며 면세점보다 면세품 인도장이 더 커 보인다(...)  
시설은 단촐한 편으로, 환전소와 통신사 데스크·편의점·푸드코트·항공사 라운지 정도.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라운지 외에 스카이라운지도 있지만 김포공항 스카이라운지는 정말 작고 사방이 뻥 트여 있어서 편히 쉬기엔 글렀다. 면세 구역에는 면세점도 있으며 면세점보다 면세품 인도장이 더 커 보인다(...)  
49번째 줄: 74번째 줄:
==운항노선==
==운항노선==
===국내선===
===국내선===
제주 노선은 자타공인 [[마을버스]] 노선으로, 짧게는 5분 간격으로 줄줄이 이륙하고 CS300부터 744까지 상상할 수 있는 모든 기체를 쏟아부어서 수요를 맞추는 경이로운 노선이다. 그 외에는 울산 노선이 KTX 총공세에도 불구하고 정거장이 언양에 짱박혀있는 관계로 시내 들어오는 시간이 걸려서 비행기 장사가 잘 되는 편.
제주 노선은 자타공인 [[마을버스]] 노선으로, 짧게는 5분 간격으로 줄줄이 이륙하고 CS300부터 744까지 상상할 수 있는 모든 기체를 쏟아부어서 수요를 맞추는 경이로운 노선이다. 그 외에는 울산 노선이 KTX 총공세에도 불구하고 정거장이 언양에 짱박혀있는 관계로 시내 들어오는 시간이 걸려서 비행기 장사가 잘 되는 편.  
 
{| class="wikitable sortable"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행선지  
! 행선지  
! 항공사  
! 항공사  
84번째 줄: 108번째 줄:
|-
|-
| [[울산공항|울산]] || [[에어부산]] || 1234567 || 3데일리  
| [[울산공항|울산]] || [[에어부산]] || 1234567 || 3데일리  
|-
| [[포항공항|포항]] || [[대한항공]] || 1234567 || 2데일리
|-
|-
| [[여수공항|여수]] || [[대한항공]] || 1234567 || 2데일리  
| [[여수공항|여수]] || [[대한항공]] || 1234567 || 2데일리  
91번째 줄: 117번째 줄:
| [[사천공항|사천]] || [[대한항공]] || 1234567 || 2데일리  
| [[사천공항|사천]] || [[대한항공]] || 1234567 || 2데일리  
|}
|}
===국제선===
===국제선===
항공 당국이 허가한 근거리 국제선만 운항한다. 서울 시내 접근성이 신공항에 비해 월등히 좋은 관계로 상용 고객과 돈 많은 여행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대신 도쿄 왕복 운임이 30만원 초중반부터 시작한다는 것은 알아두자(...) 하지만 그만한 가격을 낼만한 가치는 충분하다. 하네다 공항이 시내로의 접근성이 뛰어나고 나리타 공항은 여러모로 이용하기가 불편하기 때문이다. 인천공항은 하네다행이 있긴 하지만. 출발 시각대가 애매하고 노선수도 많지 않다.
항공 당국이 허가한 근거리 국제선만 운항한다. 서울 시내 접근성이 신공항에 비해 월등히 좋은 관계로 상용 고객과 돈 많은 여행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대신 도쿄 왕복 운임이 30만원 초중반부터 시작한다는 것은 알아두자(...) 하지만 그만한 가격을 낼만한 가치는 충분하다. 하네다 공항이 시내로의 접근성이 뛰어나고 나리타 공항은 여러모로 이용하기가 불편하기 때문이다. 인천공항은 하네다행이 있긴 하지만. 출발 시각대가가 애매하고 노선수도 많지 않다.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class="wikitable sortable"
! 행선지  
! 행선지  
! 항공사  
! 항공사  
141번째 줄: 166번째 줄:
==이용객==
==이용객==
==교통==
==교통==
서울특별시내에 위치한 공항답게 교통은 상당히 편리하다.
서울특별시내에 위치한 공항답게 교통은 상당히 편리하다.  
 
===도로===
===도로===
김포공항은 [[남부순환도로]]의 서쪽 끝부분에 자리잡고 있으며, [[행주대교]]를 통해 [[한강]] 이북의 [[고양시]] 등으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부천시]]와 [[김포시]]의 경계지역에 위치하여 서울 서부권으로 이동도 편리하다. 또한 행주대교 남단에서 [[올림픽대로]], 북단에서 [[강변북로]]와 [[자유로]]에 연결되며,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의 진출입로도 김포공항 인근에 위치한다.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접속의 경우 의정부 방면은 행주대교 북단에서 자유로를 잠시 경유하여 자유로 분기점을 통해 진입 가능하며, 판교 방향은 행주대교 진입 전 고촌 나들목을 거쳐 김포 나들목을 통해 고속도로 진입이 가능하다.
김포공항은 [[남부순환도로]]의 서쪽 끝부분에 자리잡고 있으며, [[행주대교]]를 통해 [[한강]] 이북의 [[고양시]] 등으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부천시]]와 [[김포시]]의 경계지역에 위치하여 서울 서부권으로 이동도 편리하다. 또한 행주대교 남단에서 [[올림픽대로]], 북단에서 [[강변북로]]와 [[자유로]]에 연결되며,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의 진출입로도 김포공항 인근에 위치한다. 김포시나 부천시를 경유하여 [[수도권외곽순환고속도로]] 접속도 가능하다.  
 
===버스===
===버스===
또한 강서권역 및 고양시, 김포시, 부천시의 시내버스 노선들은 대부분 김포공항을 종점으로 하거나 경유하도록 노선이 구성되어 있으며, 각 지방에서 운행하는 공항 리무진 버스들도 대부분 인천국제공항을 향하기 전 올림픽대로를 거쳐 김포공항에 경유하는 노선이 대부분이다. 즉 김포공항에서 지방으로 내려가는 경우, 인천공항에서 출발한 리무진버스를 활용하면 별도로 고속버스 환승을 거치지 않더라도 편리하게 지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강서권역 및 고양시, 김포시, 부천시의 시내버스 노선들은 대부분 김포공항을 종점으로 하거나 경유하도록 노선이 구성되어 있으며, 각 지방에서 운행하는 공항 리무진 버스들도 대부분 인천국제공항을 향하기 전 올림픽대로를 거쳐 김포공항에 경유하는 노선이 대부분이다. 즉 김포공항에서 지방으로 내려가는 경우, 인천공항에서 출발한 리무진버스를 활용하면 별도로 고속버스 환승을 거치지 않더라도 편리하게 지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151번째 줄: 174번째 줄:


===철도===
===철도===
{{참조|김포공항역}}
개항이후 꽤 오랜 시간동안 지하철이 들어오지 않아서 철도교통의 불모지로 남겨졌던 시절이 있었다. 그러다가 [[1996년]] [[서울 지하철 5호선]]이 개통하면서 김포공항에도 지하철이 들어오게 되었으며, 이후 [[2007년]]에는 [[인천국제공항철도]]가, [[2009년]]에는 [[서울 지하철 9호선]]이 개통하면서 현재는 3개 노선이 교차하는 환승역으로 탈바꿈하였다. 특히 9호선은 급행열차를 운영하기 때문에 김포공항에서 강남권으로 신속한 이동이 가능하여 인기가 높고, 공항철도는 2단계 구간인 [[서울역]]까지 완전개통한 이후로 인천광역시와 강북의 수요를 흡수하여 높은 운송실적을 보여주고 있다. [[2018]]년 연말을 목표로 김포도시철도 경전철까지 연결되면 4개 노선 환승으로 서울 서부지역의 교통요지로 자리잡게된다.
개항이후 꽤 오랜 시간동안 지하철이 들어오지 않아서 철도교통의 불모지로 남겨졌던 시절이 있었다. 그러다가 [[1996년]] [[서울 지하철 5호선]]이 개통하면서 김포공항에도 지하철이 들어오게 되었으며, 이후 [[2007년]]에는 [[인천국제공항철도]]가, [[2009년]]에는 [[서울 지하철 9호선]]이 개통하면서 3개 노선이 교차하는 환승역으로 탈바꿈하였다. 특히 9호선은 급행열차를 운영하기 때문에 김포공항에서 강남권으로 신속한 이동이 가능하여 인기가 높고, 공항철도는 2단계 구간인 [[서울역]]까지 완전개통한 이후로 인천광역시와 강북의 수요를 흡수하여 높은 운송실적을 보여주고 있다. [[2019년]]에는 김포 도시철도가 개통하였고, [[2023년]]에는 수도권 전철 서해선이 개통하면서 {{현재년}}기준 5개 노선이 교차하는 중요한 역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야깃거리==
==이야깃거리==
* 인천공항 개항 이후 국제선 기능이 대폭 축소되는 바람에 국제선 청사는 빈집이나 다름없게 되었는데, 이를 활용하여 스카이시티라는 브랜드로 대규모 의류 아울렛, CGV 김포공항, 결혼식장 및 대형 식당가 등 상업화를 시도하였다. 나름대로 입지를 다지면서 어느 정도 실적을 내던 김포공항 아울렛 등 상업시설은 [[2015년]]을 즈음하여 주변에 새로 건설된 롯데 아울렛 김포공항점이 개장하면서 점차적으로 수요를 빼앗겨 결국 폐장하고 말았다. 또한 국내선 청사를 활용하여 영업하던 [[이마트]] 김포공항점 역시 폐점하였다. 물론 이런 상업시설의 폐점은 롯데몰에 수요를 빼앗긴 탓도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국내선, 국제선의 이용객의 편의를 위하여 공항 터미널 본연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공항공사측의 계획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국내선이나 국제선 터미널 모두 늘어나는 수요를 감당하기 위하여 별도로 확장, 리모델링을 꾸준히 진행하였다.
* 인천공항 개항 이후 국제선 기능이 대폭 축소되는 바람에 국제선 청사는 빈집이나 다름없게 되었는데, 이를 활용하여 스카이시티라는 브랜드로 대규모 의류 아울렛, CGV 김포공항, 결혼식장 및 대형 식당가 등 상업화를 시도하였다. 나름대로 입지를 다지면서 어느정도 실적을 내던 김포공항 아울렛 등 상업시설은 [[2015년]]을 즈음하여 주변에 새로 건설된 롯데 아울렛 김포공항점이 개장하면서 점차적으로 수요를 빼앗겨 결국 폐장하고 말았다. 또한 국내선 청사를 활용하여 영업하던 [[이마트]] 김포공항점 역시 폐점하였다. 물론 이런 상업시설의 폐점은 롯데몰에 수요를 빼앗긴 탓도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국내선, 국제선의 이용객의 편의를 위하여 공항 터미널 본연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공항공사측의 계획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국내선이나 국제선 터미널 모두 늘어나는 수요를 감당하기 위하여 별도로 확장, 리모델링을 꾸준히 진행하였다.
 
* 24시간 운영되는 공항이 아니여서 공항에서 노숙이 불가능 하다. 운영종료 시간이 되면 출입이 통제되고 주변이 칠흑같이 어두워진다. 공항 주변에는 정말 아무것도 없다. 만약 공항을 이용하고자 지방에서 올라와서 머무를 일이 있다면 공항 주변보다는 송정역이나 공항시장역 주변에 있는 숙박업소나 PC방 등을 추천한다. 공항 인근에 호텔이 있긴 하지만 배낭여행객이 하루 머물기엔 비싸다.
* 24시간 운영되는 공항이 아니여서 공항에서 노숙이 불가능 하다. 운영종료 시간이 되면 출입이 통제되고 주변이 칠흑같이 어두워진다. 공항 주변에는 정말 아무것도 없다. 만약 공항을 이용하고자 지방에서 올라와서 머무를 일이 있다면 공항 주변보다는 송정역이나 공항시장역 주변에 있는 숙박업소나 PC방 등을 추천한다. 공항 인근에 호텔이 있긴 하지만 배낭여행객이 하루 머물기엔 비싸다.
* 이름과 실제가 다른 공항 중 하나로 실제 소재지는 경기도 김포시와 상관이 없다. 과거 김포군 양서면 이였다가 서울시 강서구로 편입되었다. 이름을 서울로 사용하려 해도 서울공항이 따로 있기 때문에 바꾸기도 뭣하다.


{{각주}}
{{각주}}
164번째 줄: 186번째 줄:
[[분류:1939년 설립]]
[[분류:1939년 설립]]
{{대한민국의 항공산업}}
{{대한민국의 항공산업}}
{{리브레 맵스 마커|37.563174842807406|126.7973395466405|9|김포국제공항}}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