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골드라인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수도권 전철 목록}}
{{수도권 전철 목록}}
{{철도 노선 정보
{{철도 노선 정보
|이름    = 김포골드라인
|노선명 = 김포 도시철도
|원어이름 =  
|노선명2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김포}}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김포}}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     =  
|그림크기 =  
|그림크기 =  
|그림설명 =  
|그림설명 =  
|그림alt  =  
|그림2 =  
|나라    = {{나라|대한민국}}
|그림크기2 =
|종류     = [[도시철도]], [[경전철]], [[운행계통]]([[수도권 전철]])
|그림설명2 =
|번호    =  
|종류 = [[도시철도]] ([[경전철]]) / [[운행 계통]]
|구간    = [[양촌역|양촌]] ~ [[김포공항역|김포공항]]
|나라 = {{국기|대한민국}}
|영업거리 = 23.6 km
|체계 = [[수도권 전철]]
|역수    = 10개
|상태 = 운영중
|소유자  = [[김포시]]
|노선 =  
|운영자  = [[김포골드라인운영]]
|기점 = [[양촌역]]
|개통일  = [[2019년]] [[9월 28일]]
|종점 = [[김포공항역]]
|폐지일  =
|역수 = 10
|경유노선 =  
|차량기지 = [[김포한강차량사업소]]
|차량기지 = [[김포한강차량사업소]]
|궤간     = 1,435 mm ([[표준궤]])
|이용자 =
|선로     = 2
|개통일 = [[2019년]] [[9월 28일]]
|전기    = [[직류]] 750 V, [[제3궤조]]
|소유자 = [[김포시]]
|신호     = [[RF-CBTC]]
|운영자 = [[김포골드라인운영]]
|비고    =  
|영업거리 = 23.67 km
|시설연장 =
|궤간 = 1,435 mm ([[표준궤]])
|선로 = 복선
|전철화 = DC 750V
|신호 = [[CBTC|RF-CBTC]]
|영업최고속도 =
|설계최고속도 =  
}}
}}


== 개요 ==
[[경기도]] [[김포시]]의 경전철. 김포시 재정으로 추진되었으며 운영은 [[서울교통공사]](당시 서울도시철도공사)에서 만든 자회사에 위탁했다.
[[경기도]] [[김포시]]의 경전철. 김포시 재정으로 추진되었으며 운영은 [[서울교통공사]](당시 서울도시철도공사)에서 만든 자회사에 위탁했다.


== 역사 ==
== 역사 ==
2010년 당시 김포시에서 "도비·국비 지원을 받지 않겠다"는 확약서를 제출하여 예타 면제를 시도했기에<ref>[http://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46447 경기도의회 건교위 김포도시철도공사현장방문], 국제뉴스, 2015.10.18.</ref> LH 한강신도시 교통분담금 1조 2천억원에 시비 3천억원으로만 지어진 최초의 "수익자 부담 도시철도"가 되었다.
2010년 당시 김포시에서 "도비·국비 지원을 받지 않겠다"는 확약서를 제출하여 예타 면제를 시도했기에<ref>[http://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46447 경기도의회 건교위 김포도시철도공사현장방문], 국제뉴스, 2015.10.18.</ref> LH 한강신도시 교통분담금 1조 2천억원에 시비 3천억원으로만 지어진 최초의 "수익자 부담 도시철도"가 되었다.
* 2003년 1월 10일: "수도권 북부지역 광역교통개선대책" 수립(9호선 연장·총연장 21.3 km)
* 2003년 1월 10일: "수도권 북부지역 광역교통개선대책" 수립(9호선 연장·총연장 21.3km)
* 2009년 7월 10일: 기본계획 확정(경전철·총연장 25 km 10개역)<ref>[http://mbn.mk.co.kr/pages/news/newsView.php?news_seq_no=441631 '김포 도시철도', 2013년 개통], MBN, 2009.07.10.</ref>
* 2009년 7월 10일: 기본계획 확정(경전철·총연장 25km 10개역)<ref>[http://mbn.mk.co.kr/pages/news/newsView.php?news_seq_no=441631 '김포 도시철도', 2013년 개통], MBN, 2009.07.10.</ref>
* 2009년 11월 2일: 서울메트로·한국철도시설공단 사업관리(PM) 수주<ref>[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0912112784h 철도공단, 김포 도시철도건설 사업관리 업무 수주], 2009.12.11.</ref>
* 2009년 11월 2일: 서울메트로·한국철도시설공단 사업관리(PM) 수주<ref>[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0912112784h 철도공단, 김포 도시철도건설 사업관리 업무 수주], 2009.12.11.</ref>
* 2012년 3월 27일: 기본계획 변경(지하화·총연장 23.63 km 9개역)<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4410254 김포도시철도 전 구간 지하화 '추진'…국토부 최종 승인], 뉴시스, 2012.03.27.</ref>
* 2012년 3월 27일: 기본계획 변경(지하화·총연장 23.63km 9개역)<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4410254 김포도시철도 전 구간 지하화 '추진'…국토부 최종 승인], 뉴시스, 2012.03.27.</ref>
* 2013년 1월 12일: 민자유치 포기 및 재정사업 확정(LH 75%, 김포시 25% 부담)<ref>[http://www.inche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477436 김포도시철도 민자 포기 시, LH와 재정투입 추진], 인천일보, 2013.01.12.</ref>
* 2013년 1월 12일: 민자유치 포기 및 재정사업 확정(LH 75%, 김포시 25% 부담)<ref>[http://www.inche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477436 김포도시철도 민자 포기 시, LH와 재정투입 추진], 인천일보, 2013.01.12.</ref>
* 2014년 3월 26일: 착공(5개 공구)<ref>[http://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1238 철도시설공단, 한강신도시 김포도시철도 착공], 연합뉴스, 2014.03.25.</ref>
* 2014년 3월 26일: 착공(5개 공구)<ref>[http://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1238 철도시설공단, 한강신도시 김포도시철도 착공], 연합뉴스, 2014.03.25.</ref>
46번째 줄: 52번째 줄:
* 2019년 9월 28일: 개통
* 2019년 9월 28일: 개통


== 문제점 ==
== 운영 ==
===지옥철===
당초 9호선 연장이었던게 쪼그라들고 쪼그라들어 2량 1편성으로 개통한 탓에 상당히 혼잡하나 역사 플랫폼 유효장이 2량이라서 추가 투입 여력은 없다. 평시 시격은 6분으로 출발역인 김포공항역부터 다 못탄 상태로 출발하기 때문에 매우 혼잡하나 시격을 좁히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운영에 상당한 애로사항이 꽃필 것으로 보인다.
{{youtube|yw8uIJISVyE|||가운데|지옥철}}


당초 9호선 연장이었던게 쪼그라들고 쪼그라들어 2량 1편성으로 개통한 탓에 상당히 혼잡하나 역사 플랫폼 유효장이 2량이라서 추가 투입 여력은 없다. 평시 시격은 6분으로 출발역인 김포공항역부터 다 못탄 상태로 출발하기 때문에 매우 혼잡하나 시격을 좁히는 데 한계가 있어 출퇴근 시간에는 사람이 너무 많은 나머지 겨울철에 에어컨을 틀어달라는 민원이 꾸준히 걸린다. 한강신도시 계획상 수용인구는 약 16만명 수준인데 2량짜리 경전철로는 출퇴근시간 수요를 감당할 수 없는것은 당연한 이치. 증차를 하려해도 예산 문제로 쉽지도 않은 상태여서 그야말로 [[답이 없다]].
차량 흔들림·떨림(사행동)으로 인해 한차례 개통을 연기했으나, 끝내 잡지 못했는지 VOC에 관련된 민원<ref>[http://gimpogoldline.com/?pageid=1&page_id=556&mod=list&target=&keyword=%EB%96%A8%EB%A6%BC 고객의 소리 검색결과], 김포도시철도, 2019.11.16. 확인.</ref>이 종종 올라온다. 과도한 사행동은 승차감 저하, 여객 만족도 하락뿐만 아니라 탈선으로 이어질 수 있는 중대사안이나, 슬라브 도상의 특성상 수정이 어렵다. 차량기지는 자갈 도상을 쓴다. 가공전차선을 활용하는 여타 노선과 다르게 제3궤조 집전식을 적용하여 최고 운행속도가 느린 편이다.
 
===승차감 불만===
차량 흔들림·떨림(사행동)으로 인해 한차례 개통을 연기했으나, 끝내 잡지 못했는지 VOC에 관련된 민원<ref>[http://gimpogoldline.com/?pageid=1&page_id=556&mod=list&target=&keyword=%EB%96%A8%EB%A6%BC 고객의 소리 검색결과], 김포도시철도, 2019.11.16. 확인.</ref>이 종종 올라온다. 과도한 사행동은 승차감 저하, 여객 만족도 하락뿐만 아니라 탈선으로 이어질 수 있는 중대사안이나, 슬라브 도상의 특성상 수정이 어렵다. 차량기지는 자갈 도상을 쓴다. 가공전차선을 활용하는 여타 노선과 다르게 [[제3궤조]] 집전식을 적용하여 최고 운행속도가 느린 편이다. 김포공항과 고촌역 사이 거리는 5.9 km로 도시철도 치고는 역간거리가 굉장히 긴 편인데, 여기에 최고속도가 느린 차량으로 인해 전체적인 소요시간이 상당히 늘어나게 되었다.
 
===돌방상황 대처 미흡===
{{유튜브|oc4pLEgbawM|||가운데|터널에 멈춰선 차량}}
 
김포도시철도에 운행하는 전동차는 무인운전을 전제로 도입되었다. [[신분당선]]과 유사한 형태로 객차 내에 안전요원 겸 돌발상황 대처를 목적으로 직원이 첨승하도록 되어있으나, 코로나 사태로 인해 안전요원 탑승이 감소되었기 때문에 얘기치못한 사고나 고장 등 돌발상황 발생 시 제대로 된 대응이 어렵다는 지적이 많다. 도시철도 역사에도 안전요원 겸 역무원이 소수 배치되긴 하지만 워낙 숫자가 적다보니 승객으로 가득찬 경전철이 운행도중 사고나 고장이 발생할 경우 적절한 대처에 한계가 드러날 수밖에 없다.


== 운행차량 ==
== 운행차량 ==
65번째 줄: 62번째 줄:


== 역 목록 ==
== 역 목록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 번호
! km
! km
! 정거장
! 역 번호
! 연계 노선
! colspan="2" | 역명
! 소재지
! 접속 노선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김포}}; color: white;" | G100
| style="text-align: right;" | 0.0
| style="text-align: right;" | 0.0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김포}}; color: white;" | G100
| [[양촌역|양촌]]
| [[양촌역|양촌]]
| style="text-align: left;" |
| 陽村
| rowspan="9" | [[경기도]]<br />[[김포시]]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김포}}; color: white;" | G101
| style="text-align: right;" | 1.4
| style="text-align: right;" | 1.4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김포}}; color: white;" | G101
| [[구래역|구래]]
| [[구래역|구래]]
| style="text-align: left;" |  
| 九來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김포}}; color: white;" | G102
| style="text-align: right;" | 3.0
| style="text-align: right;" | 3.0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김포}}; color: white;" | G102
| [[마산역 (김포)|마산]]
| [[마산역 (김포)|마산]]
| style="text-align: left;" |  
| 麻山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김포}}; color: white;" | G103
| style="text-align: right;" | 5.6
| style="text-align: right;" | 5.6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김포}}; color: white;" | G103
| [[장기역|장기]]
| [[장기역|장기]]
| style="text-align: left;" |  
| 場基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김포}}; color: white;" | G104
| style="text-align: right;" | 7.3
| style="text-align: right;" | 7.3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김포}}; color: white;" | G104
| [[운양역|운양]]
| [[운양역|운양]]
| style="text-align: left;" |  
| 雲陽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김포}}; color: white;" | G105
| style="text-align: right;" | 10.7
| style="text-align: right;" | 10.7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김포}}; color: white;" | G105
| [[걸포북변역|걸포북변]]
| [[걸포북변역|걸포북변]]
| style="text-align: left;" |  
| 傑浦北邊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김포}}; color: white;" | G106
| style="text-align: right;" | 12.5
| style="text-align: right;" | 12.5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김포}}; color: white;" | G106
| [[사우역|사우(김포시청)]]
| [[사우역|사우(김포시청)]]
| style="text-align: left;" |  
| 沙隅(金浦市廳)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김포}}; color: white;" | G107
| style="text-align: right;" | 14.1
| style="text-align: right;" | 14.1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김포}}; color: white;" | G107
| [[풍무역|풍무]]
| [[풍무역|풍무]]
| style="text-align: left;" |  
| 豊舞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김포}}; color: white;" | G108
| style="text-align: right;" | 17.7
| style="text-align: right;" | 17.7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김포}}; color: white;" | G108
| [[고촌역 (김포)|고촌]]
| [[고촌역 (김포)|고촌]]
| style="text-align: left;" |  
| 高村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김포}}; color: white;" | G109
| style="text-align: right;" | 23.6
| style="text-align: right;" | 23.6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김포}}; color: white;" | G109
| [[김포공항역|김포공항]]
| [[김포공항역|김포공항]]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5}} [[서울 지하철 5호선|5호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9}}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공항}} [[인천국제공항선|공항철도]],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서해}} [[서해선]]
| 金浦空港
| [[서울특별시]]<br />[[서울 강서구|강서구]]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5}} [[서울 지하철 5호선|5호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9}}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공항}} [[인천국제공항철도|공항철도]]
|-
|-
|}
|}


== 여담 ==
== 여담 ==
* 본래 [[서울 지하철 9호선]]을 연장하려는 계획을 가진 노선이었지만, 최종적으로는 2량 1편성의 경전철로 완성되었다. 그 대신 9호선 연계를 강조할 목적으로 차량의 외부 도색이나 노선색상이 9호선과 큰 차이가 없다는 점이 포인트.
* 본래 [[서울 지하철 9호선]]을 연장하려는 계획을 가진 노선이었지만, 최종적으로는 2량 1편성의 경전철로 완성되었다. 애초에 9호선의 마지막역인 [[개화역]]은 두단식으로 건설되었고, 선형상 김포 연장은 현실성이 없는 수준이었다. 오히려 김포공항에서 직결하는 형태가 자연스러울 정도. 최종적으로 9호선 직결은 실패하였고, 9호선 연계를 강조할 목적으로 차량의 외부 도색이나 노선색상이 9호선과 큰 차이가 없다는 점이 포인트.  
* 수요가 증가할 경우를 대비하여 승강장의 유효장을 열차보다 길게 설정하면 차량증량을 고려할 수 있지만, 아예 플랫폼 자체를 2량에 맞춰서 건설하였기 때문에 시설물을 뜯어내지 않는 한 향후 수요가 증가하더라도 증결을 통한 수요대응은 불가능하다. 경전철의 특성을 활용하여 극한으로 차량간격을 조밀하게 배차하는 식으로 대응할 수 있겠지만, 애초에 4~6량 1편성이 수송하는 인원과 2량 1편성이 수송하는 인원 사이의 간극은 비교 불가능한 수준.
 
* 수요가 증가할 경우를 대비하여 운행하는 열차보다 역사 플랫폼의 유효장을 길게 설정하여 향우 증결운행을 고려하는 설계가 적용될 수 있지만, 김포 도시철도는 아예 플랫폼 자체를 2량에 맞춰서 건설하였기 때문에 향후 수요가 증가하여 가축수송이 일상화 되더라도 증결을 통한 수요대응은 불가능하다. 경전철의 특성을 활용하여 극한으로 차량간격을 조밀하게 배차하는 식으로 대응할 수 있겠지만, 애초에 4~6량 1편성이 수송하는 인원과 2량 1편성이 수송하는 인원 사이의 간극은 비교 불가능한 수준.
 
* 김포의 구시가지를 경유하긴 하지만 애초에 한강신도시 입주민들이 부담한 광역교통분담금이 80% 수준으로 투입된 노선이라는 점에서 향후 노선 연장이나 중간역 추가는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각주}}
{{각주}}
{{대한민국의 도시철도 노선}}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분류:김포 도시철도| ]]
{{대한민국의 여객열차 및 광역전철 노선}}
[[분류:김포시의 교통]]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