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구미역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새 철도역 정보
{{새 철도역 정보
|이름    = 김천(구미)
|배경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
|원어이름 =
|글자색 = white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상단 =  
|글자색   = white
|역명 = KORAIL 김천(구미)역
|그림    = PYH2010112700410005301 P4.jpg
|그림 =  
|그림설명 =  
|역번호 =
|그림alt  =
|역코드 =
|주소    = 경상북도 김천시 혁신1로 51
|관할 = [[한국철도공사]] (KORAIL)
|번호    =  
|개업일 = {{날짜/출력|2010-11-1}}
|노선    = [[경부고속선]] <small>214.4 km</small>
|주소  = 경상북도 김천시 혁신1로 51
|관할     = [[한국철도공사]] 대구경북본부
|승강장 = 2면 4선
|개업일   = [[2010년]] [[11월 1일]]
|운임구역 =  
|폐지일  =
|이용객 =  
|코드    = 507
|노선 = [[경부고속선|경부고속본선]] <small>214.4 km</small>
|승강장   = 2면 4선
|관련역 =  
|관련역  =  
|참고    =  
|비고    =  
|하위 틀  =  
}}
}}


추풍령을 넘어 [[경상북도]] 초입에 위치한 [[김천시]]와 [[구미시]] 사이에 껴있는 역. KTX 선택정차역이다.
{{+1|김천(구미)역}}<br />金泉(龜尾)驛 / Gimcheon(Gumi) Station
 
== 개요 ==
추풍령을 넘어 [[경상북도]] 초입에 위치한 [[김천시]]와 [[구미시]] 사이에 껴있는 역. 수요가 저조해 많은 열차가 통과한다.


== 역 위치와 역명 ==
== 역 위치와 역명 ==
대부분의 도시에서 고속선 관통을 꺼려하고, 우회시키려 시도했던 것과 달리, [[경부고속선]]은 [[김천시]]내를 관통하고 있다. 이는 김천시가 역 신설을 받아내면서까지 얻어낸 것에 가까우며, 통과하는 부분에서 [[경부선]] 기존선에 가깝게 관통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때문에 최초의 계획은 [[김천역]] 혹은 기존선 접속 가능한 신김천역 신설의 형태로 가려했었다. 하지만 이 때, 건설교통부 내부에서 구미 출신의 고위 인사의 압력이 있었고, 분담금을 경제력이 김천보다 강한 구미에서 더 분담을 하는 형태로 명목을 세우고, 구미의 손을 들어주어 역이 결국 구미 방면으로 치우치게 되어 신설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김천시의 반발이 있었고, 김천시는 역명만이라도 유지하려 했으나, 구미시가 여기에 끼어들어 "김천시가 소도시이므로 대표성이 부족하며, 분담금 납입도 많았다"는 이유로, 구미의 병기를 요구한다. 결국 이 갈등은 국토부의 중재하에 '''김천(구미)'''라는 표기를 낳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일반적으로는 괄호를 제거한 '''김천구미'''라는 표기가 많이 이용된다.
정식 역명은 '''김천(구미)'''로 괄호가 들어간 병기역명 표기를 쓰고 있으나, 실제 용례에서는 괄호 표기가 번거롭기 때문에 대부분 '''김천구미''' 등으로 사용된다. 몇몇 철도 동호인들이 김천과 구미의 알력싸움에서 비롯된 잘못된 역명이라고 생각하고 있지만 이는 역 위치를 결정할 때부터 논란이 있던 부분이다.
 
대부분의 도시에서 고속선 관통을 꺼려하고, 우회시키려 시도했던 것과 달리, [[경부고속선]]은 [[김천시]]내를 관통하고 있다. 이는 김천시가 역 신설을 받아내면서까지 얻어낸 것에 가까우며, 통과하는 부분에서 [[경부선]] 기존선에 가깝게 관통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때문에 최초의 계획은 [[김천역]] 혹은 기존선 접속 가능한 신김천역 신설의 형태로 가려했었다. 하지만 이 때, 건설교통부 내부에서 구미 출신의 고위 인사의 압력이 있었고, 분담금을 경제력이 김천보다 강한 구미에서 더 분담을 하는 형태로 명목을 세우고, 구미의 손을 들어주어 역이 결국 구미 방면으로 치우치게 되어 신설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김천시의 반발이 있었고, 김천시는 역명만이라도 유지하려 했으나, 구미시가 여기에 끼어들어 "김천시가 소도시이므로 대표성이 부족하며, 분담금 납입도 많았다"는 이유로, 구미의 병기를 요구한다. 결국 이 갈등은 국토부의 중재하에 '''김천(구미)'''라는 표기를 낳는 것으로 결정되었으며, 현재의 역명이 괄호를 쓴 병기가 된 이유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괄호가 귀찮으며, 기존 김천역이 있는 탓에 그냥 괄호를 빼고 '''김천구미'''라는 표기를 많이 선호하며, 때문에 이 문서에서도 대표 표제어를 '''김천구미역'''으로 정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배경에도 불구하고, 정작 구미시에서는 이용하기 어렵다는 측면이 있다. 김천의 경우는 거리상으로 그렇게 멀지는 않기도 하고, 소도시다보니 특별히 문제삼을 부분도 적어지지만, 구미시의 경우는 산을 끼고 있는데다가, 시계외 구간이 되기 때문이다. 때문에 분담금을 많이 납입하고도 정작 억울한 쪽은 구미라는 주장도 제기된다. <del>신김천에 세우고 KTX 셔틀열차라도 굴렸다면 더 나았지 않을까</del>


하지만 이러한 배경에도 불구하고, 정작 구미시에서는 이용하기 어렵다는 측면이 있다. 김천의 경우는 거리상으로 그렇게 멀지는 않기도 하고, 비교적 소도시다보니 특별히 문제삼을 부분도 적어지지만, 구미시의 경우는 산을 끼고 있는데다가, 시계외 구간이 되기 때문이다.
, 수요가 저조하기 때문에 아예 경부선을 이설하자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del>처음부터 기존선 옆에 세우면 되었을걸</del>


김천구미역의 존재 이유 중 또 다른 부분으로, [[경부고속선]] 2단계 구간 개통과 함께 기존선을 경유하던 운행체계를 대폭 손질하면서 2단계 개통 이전에 존재했었던 운행 계통 중 [[대전역]] 이남으로 기존 [[경부선]]을 경유하여 [[김천역]]과 [[구미역]]을 거쳐 [[동대구역]]까지 운행하던 계통이 폐지된 것에 대한 보상 측면도 존재한다. 현재에도 그 흔적은 남아있어, 김천역과 구미역의 플랫폼 규격은 KTX 정차를 위해 KTX 규격에 맞게 개량되어 있다.
김천구미역의 존재 이유 중 또 다른 부분으로, [[경부고속선]] 2단계 구간 개통과 함께 기존선을 경유하던 운행체계를 대폭 손질하면서 2단계 개통 이전에 존재했었던 운행 계통 중 [[대전역]] 이남으로 기존 [[경부선]]을 경유하여 [[김천역]]과 [[구미역]]을 거쳐 [[동대구역]]까지 운행하던 계통이 폐지된 것에 대한 보상 측면도 존재한다. 현재에도 그 흔적은 남아있어, 김천역과 구미역의 플랫폼 규격은 KTX 정차를 위해 KTX 규격에 맞게 개량되어 있다.


== 시설 ==
== 구조 ==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승강장 번호=1번|승강장 정보='''KTX · SRT''' [[부산역|부산]] · [[동대구역|동대구]]방면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경부고속선]] [[동대구역|동대구]] →
}}
{{철도승강장/선로|
}}
{{철도승강장/선로|
}}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경부고속선]] [[대전역|대전]]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승강장 번호=2번|승강장 정보='''KTX · SRT'''  [[서울역|서울]] · [[용산역|용산]]  ·[[수서역|수서]] 방면
}}
}}
 
경부고속선상의 역들중 상당히 심플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경부고속선 본선에서 상행, 하행 측선을 하나씩 뽑아서 양 옆으로 플랫폼을 세워놓은 형태로 단순한 열차 정차기능 외에는 아무런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 또한 역의 위치가 터널과 터널 사이에 존재하여 통과하는 열차를 탑승한 상태라면 이 역의 존재를 알아차리기도 어려운 수준이다.
경부고속선상의 역들중 상당히 심플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경부고속선 본선에서 상행, 하행 측선을 하나씩 뽑아서 양 옆으로 플랫폼을 세워놓은 형태로 단순한 열차 정차기능 외에는 아무런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 또한 역의 위치가 터널과 터널 사이에 존재하여 통과하는 열차를 탑승한 상태라면 이 역의 존재를 알아차리기도 어려운 수준이다.
== 주변 정보 ==
== 주변 정보 ==
바로 앞에 [[경북드림밸리]]가 지어지고 있어 혁신도시가 다 지어지면 이용객이 크게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대한민국 대부분의 혁신도시가 철도교통이 열악한 편에 비해, 김천혁신도시는 이 역을 기반으로 지어졌기 때문에 혁신도시 중 철도접근성이 최상위권에 든다.
바로 앞에 [[경북드림밸리]]가 지어지고 있어 혁신도시가 다 지어지면 이용객이 크게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김천시 시내버스와 구미시에서 출발하는 리무진 버스들이 들어온다. 참고로 구미시소속 리무진 버스는 모두 구미시를 기준으로 시간표가 짜여있다. 때문에 김천시에서 리무진버스타고 김천구미역으로 가면 [[KTX]]는 이미 가고 없다. 김천시에서 이 역으로 갈거면 그냥 김천 시내버스를 타자.
김천시 시내버스와 구미시에서 출발하는 리무진 버스들이 들어온다. 참고로 구미시소속 리무진 버스는 모두 구미시를 기준으로 시간표가 짜여있다. 때문에 김천시에서 리무진버스타고 김천구미역으로 가면 [[KTX]]는 이미 가고 없다. 김천시에서 이 역으로 갈거면 그냥 김천 시내버스를 타자.
== 경유 노선 ==
== 경유 노선 ==
{{경유 노선/열기}}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노선명=101 [[경부고속선]]|노선거리=214.4 km
|전방면=[[금천구청역|시흥분기점]] 방면|전역=[[대전역|대전]]|전거리=73.8 km
|당역='''김천(구미)'''
|후방면=[[부산역|부산]] 방면|후역=[[동대구역|동대구]]|후거리=53.1 km}}
{{경유 노선/닫기}}


== 경유 열차 ==
=== 경유 열차 ===
{{경유 열차 목록
* '''기준일자''' 2016년 12월 9일
|전체목록 =
{{경유 열차 목록/한국/열기}}
{{경유 열차 목록/종류
{{경유 열차 목록/한국/운행|[[한국철도공사{{!}}KORAIL]]<br />여객본부|5}}
|열차종류 = [[KTX]]
{{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한국고속철도{{!}}KTX]]|5}}
|세로수  = 5
{{경유 열차 목록/한국/100|표시=표시|계통칸=3}}
|노선    =
{{경유 열차 목록/한국/230}}
  {{경유 열차 목록/KTX 경부선}}
{{경유 열차 목록/한국/250}}
  {{경유 열차 목록/KTX 경부선 구포}}
{{경유 열차 목록/한국/400|표시=표시}}
  {{경유 열차 목록/KTX 경부선 수원}}
{{경유 열차 목록/한국/800|표시=표시}}
  {{경유 열차 목록/KTX 경전선}}
{{경유 열차 목록/한국/운행|[[주식회사 SR]]|1}}
  {{경유 열차 목록/KTX 동해선}}
{{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SRT (고속열차)|SRT]]|1}}
}}
{{경유 열차 목록/한국/300|표시=표시|지제=1|운행편수=1시간당 2~3회}}
{{경유 열차 목록/종류
{{경유 열차 목록/한국/닫기}}
|열차종류 = [[SRT]]
|세로수  = 3
|노선    =
  {{경유 열차 목록/SRT 경부선}}
  {{경유 열차 목록/SRT 경전선}}
  {{경유 열차 목록/SRT 동해선}}
}}
}}


{{각주}}
{{각주}}
[[분류:경부고속선]]
[[분류:경부고속선]]
[[분류:경상북도에 있는 철도시설]]
[[분류:경상북도의 철도역]]
{{리브레 맵스 마커|36.113471382052175|128.18109512329102|10|김천(구미)역}}
 
[[분류:관리역]]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