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카드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파일:교통카드.jpg|thumb]]
[[파일:교통카드.jpg|thumb]]


'''교통카드'''(交通-)은 [[대중교통]]의 전자적 [[운임]] 지불 수단이다.
[[대중교통]]의 운임 지불 수단 중 하나.


== 역사 ==
== 역사 ==
8번째 줄: 8번째 줄:


수도권과 부산권의 사용을 기반으로 전국에 빠른 속도로 교통카드가 보급되었으며, 2000년대 중반부터 지역간 교통카드 시스템의 호환이 거의 정착되어 교통카드 한장으로 거의 모든 지역의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수도권과 부산권의 사용을 기반으로 전국에 빠른 속도로 교통카드가 보급되었으며, 2000년대 중반부터 지역간 교통카드 시스템의 호환이 거의 정착되어 교통카드 한장으로 거의 모든 지역의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해외에선 이미 ISO 14443-4기반의 EMV Contactless를 응용하여 후불교통을 제공하고 있으나 한국에선 아직도 MIFARE Classic 기반의 payOn 후불교통카드만 제공되고있어 국적을 취득하지 않는 외국인의 경우 대중교통 이용에 어려움을 겪고있다.


=== 전국호환 교통카드 ===
=== 전국호환 교통카드 ===
교통카드 사용 지역이 점점 많아지면서, 각 지역간 호환 사용이 큰 이슈로 대두되기 시작했다. 정부도 손을 놓고 있었던 것은 아니라서, 선불형 교통카드의 전국호환을 위해 [[한국 산업 규격]] 제정이나 법령 정비 등으로 각 사업자간 자율적인 호환을 유도하였다. 그러나 시장 논리는 정부의 생각대로 호락호락하지 않아서 한꿈이카드·센스패스·김해그린카드·대경교통카드 등 난공불락의 지역이 꽤 많았다.
교통카드 사용 지역이 점점 많아지면서, 각 지역간 호환 사용이 큰 이슈로 대두되기 시작했다. 정부도 손을 놓고 있었던 것은 아니라서, 선불형 교통카드의 전국호환을 위해 [[한국 산업 규격]] 제정이나 법령 정비 등으로 각 사업자간 자율적인 호환을 유도하였다. 그러나 시장 논리는 정부의 생각대로 호락호락하지 않아서 한꿈이카드·센스패스·김해그린카드·대경교통카드 등 난공불락의 지역이 꽤 많았다.  


이런 난맥상 중에 2013년 12월 23일, [[부산광역시]]의 교통카드 사업자인 하나로카드·마이비·이비카드 3개 회사가 국토해양부의 전국호환 교통카드 규격인 「원카드 올패스」 사양의 서비스를 개시하였다.<ref>[http://www.molit.go.kr/USR/NEWS/m_71/dtl.jsp?lcmspage=1&id=95073294 드디어 전국호환 교통카드 출시! 부산에서 개통, 전국 확산!], 국토교통부, 2013년 12월 23일. 2016년 2월 23일 확인.</ref> 기존 KS 표준에 없던 SAM 규격을 새로 제정하면서, 이전보다 호환 절차를 간단하게 하였다. 그리고 교통카드의 수용 범위도 넓혀서, 기존 시내교통수단에 불과한 수용 범위를 [[고속버스]]·[[시외버스]], [[고속도로]], [[한국철도공사|철도]]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ref>[http://www.molit.go.kr/USR/NEWS/m_71/dtl.jsp?lcmspage=1&id=95074119 전국 대중교통과 철도·고속도로를 교통카드 1장으로 이용], 국토교통부, 2014년 6월 16일. 2016년 2월 23일 확인</ref>
이런 난맥상 중에 2013년 12월 23일, [[부산광역시]]의 교통카드 사업자인 하나로카드·마이비·이비카드 3개 회사가 국토해양부의 전국호환 교통카드 규격인 「원카드 올패스」 사양의 서비스를 개시하였다.<ref>[http://www.molit.go.kr/USR/NEWS/m_71/dtl.jsp?lcmspage=1&id=95073294 드디어 전국호환 교통카드 출시! 부산에서 개통, 전국 확산!], 국토교통부, 2013년 12월 23일. 2016년 2월 23일 확인.</ref> 기존 KS 표준에 없던 SAM 규격을 새로 제정하면서, 이전보다 호환 절차를 간단하게 하였다. 그리고 교통카드의 수용 범위도 넓혀서, 기존 시내교통수단에 불과한 수용 범위를 [[고속버스]]·[[시외버스]], [[고속도로]], [[한국철도공사|철도]]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ref>[http://www.molit.go.kr/USR/NEWS/m_71/dtl.jsp?lcmspage=1&id=95074119 전국 대중교통과 철도·고속도로를 교통카드 1장으로 이용], 국토교통부, 2014년 6월 16일. 2016년 2월 23일 확인</ref>
21번째 줄: 18번째 줄:
== 종류 ==
== 종류 ==
=== 선불 교통카드 ===
=== 선불 교통카드 ===
카드에 돈을 미리 충전해두고, 충전 잔액 안에서 자유롭게 사용하는 선불 지급수단이다. 한국에서는 [[한국 산업 규격]]에 선불IC카드에 대한 표준이 마련되어 있고 국토교통부 주도로 전국호환 교통카드(One Card All Pass) 규격을 마련해서 지역간 호환 사용을 장려하고 있다. 아래 카드는 모두 전국호환 교통카드로 발급된다.
카드에 돈을 미리 충전해두고, 충전 잔액 안에서 자유롭게 사용하는 선불 지급수단이다. 한국에서는 [[한국 산업 규격]]에 선불IC카드에 대한 표준이 마련되어 있고 국토교통부 주도로 전국호환 교통카드(One Card All Pass) 규격을 마련해서 지역간 호환 사용을 장려하고 있다. 아래 카드는 모두 전국호환 교통카드로 발급된다.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auto;"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auto;"
! 명칭 || 발급사 || 서비스 개시 || 하이패스 전자카드 || 비고
! 명칭 || 발급사 || 서비스 개시 || 하이패스 전자카드 || 비고
|-
|-
| [[T-money]] || [[티머니 (기업)|티머니]] || [[2004년]] [[7월 1일]] || 없음 ||  
| [[T-money]] || [[한국스마트카드]] || {{날짜|2004-07-01}} || 없음 ||  
|-
|-
| [[레일플러스]] || [[한국철도공사]] || [[2014년]] [[10월 25일]] || 없음 ||  
| [[레일플러스]] || [[한국철도공사]] || {{날짜|2014-10-25}} || 없음 ||  
|-
|-
| [[원패스]] || DGB유페이 ||  || 없음 ||  
| [[원패스]] || DGB유페이 ||  || 없음 ||  
|-
|-
| [[캐시비]] || 이비카드 || [[2010년#12월|2010년 12월]] || 별도 발매 || 前 eB카드
| [[캐시비]] || 이비카드 || {{날짜|2010-12}} || 별도 발매 || 前 eB카드
|-
|-
| [[한페이]] || 한페이시스 || || 별도 발매 ||  
| [[한페이]] || 한페이시스 || || 별도 발매 ||  
|}
|}
수용 가능 지역은 티머니가 가장 넓고(교통카드 실시지역 어디서나 가능)<ref>교통카드 미실시지역은 경상북도 군위군·봉화군·영양군·청송군, 전라남도 진도군이 있다.</ref> 캐시비가 그 뒤를 따르며, 원패스와 한페이는 그럭저럭 사용할 수 있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청소년증]]에는 T-money·한페이를 제외한 나머지 권종을 선택하여 탑재할 수 있다.
수용 가능 지역은 티머니가 가장 넓고(교통카드 실시지역 어디서나 가능) 캐시비가 그 뒤를 따르며, 원패스와 한페이는 그럭저럭 사용할 수 있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청소년증]]에는 T-money·한페이를 제외한 나머지 권종을 선택하여 탑재할 수 있다.
 
KS 표준안 이전에는 꽤 다양한 사업자들이 다음과 같은 교통카드를 발행하였다. 대부분 [[MIFARE]]의 솔루션을 이용했지만 호환 사용은 거의 되지 않았다.


KS 표준안 이전에는 꽤 다양한 사업자들이 다음과 같은 교통카드를 발행하였다. 대부분 [[MIFARE]]의 솔루션을 이용했지만 호환 사용은 거의 되지 않았다.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auto;"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auto;"
! 명칭 || 발급사 || 서비스 개시 || 발매 상태 || 통용 상태 || 후속 || 비고
! 명칭 || 발급사 || 서비스 개시 || 발매 상태 || 통용 상태 || 후속 || 비고
|-
|-
| 김해그린카드 || 글로벌캐쉬 || 2002년 1월 || style="background: red; color: white;" | 중단 || style="background: red; color: white;" | 중단 ([[2017년#5월|2017년 5월]]) || 캐시비 ||  
| 김해그린카드 || 글로벌캐쉬 || 2002년 1월 || style="background: red; color: white;" | 중단 || style="background: red; color: white;" | 중단 ({{날짜|2017-05}}) || 캐시비 ||  
|-
|-
| 대경교통카드 || [[DGB유페이|카드넷]] || 2001년 3월 || style="background: red; color: white;" | 중단 || style="background: lime; color: black;" | 통용중 || 원패스 ||
| 대경교통카드 || [[DGB유페이|카드넷]] || 2001년 3월 || style="background: red; color: white;" | 중단 || style="background: lime; color: black;" | 통용중 || 원패스 ||
57번째 줄: 52번째 줄:
| 하나로카드 || 부산버스조합 || 1998년 2월 || style="background: red; color: white;" | 중단 || style="background: yellow; color: black;" | 교통 한정 || 캐시비 ||
| 하나로카드 || 부산버스조합 || 1998년 2월 || style="background: red; color: white;" | 중단 || style="background: yellow; color: black;" | 교통 한정 || 캐시비 ||
|-
|-
| 한꿈이카드 || 비자캐시코리아 || 2003년 || style="background: red; color: white;" | 중단 || style="background: red; color: white;" | 중단 ([[2018년#6월|2018년 6월]]) || 티머니 ||
| 한꿈이카드 || 비자캐시코리아 || 2003년 || style="background: red; color: white;" | 중단 || style="background: red; color: white;" | 중단 ({{날짜|2018-06}}) || 티머니 ||
|-
|-
| A-CASH || 에이캐시 || [[2001년#12월|2001년 12월]] || style="background: red; color: white;" | 중단 || style="background: red; color: white;" | 중단 ([[2006년]]) || 캐시비 ||
| A-CASH || 에이캐시 || {{날짜|2001-12}} || style="background: red; color: white;" | 중단 || style="background: red; color: white;" | 중단 ({{날짜|2006}}) || 캐시비 ||
|}
|}


=== 후불 교통카드 ===
=== 후불 교통카드 ===
[[신용카드]]·[[체크카드]]와 겸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특정 기간 동안 사용한 총액을 결제일에 결산하는 방식이다. 원래 신용한도가 주어지지 않는 [[체크카드]]도 후불교통카드 사용에는 소액의 한도를 부여한다. 사용 금액은 합산하여 미리 정한 영업일에 인출한다. 통상 월 1회, 월초에 인출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국민카드|국민체크카드]]는 월 2회 인출하고 [[부산은행|부은비씨체크카드]]는 월 3회 인출한다.
[[신용카드]]·[[체크카드]]와 겸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특정 기간 동안 사용한 총액을 결제일에 결산하는 방식이다. 원래 신용한도가 주어지지 않는 [[체크카드]]도 후불교통카드 사용에는 소액의 한도를 부여한다. 사용 금액은 합산하여 미리 정한 영업일에 인출한다. 통상 월 1회, 월초에 인출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국민카드|국민체크카드]]는 월 2회 인출하고 [[부산은행|부은비씨체크카드]]는 월 3회 인출한다.  


후불 교통카드는 국내 모든 신용카드사에서 발급한다. 단, 카드사마다 후불 교통카드 기능이 탑재되는 카드 자재가 구분되어 있고, 사용가능 지역도 다르기 때문에 발급 전에 알아봐둬야 한다. 대부분 만 20세 이상부터 발급할 수 있고, 따라서 노인·장애인·유공자의 무임 운송을 제외하면 별도의 할인 코드는 입력되지 않는다.
후불 교통카드는 국내 모든 신용카드사에서 발급한다. 단, 카드사마다 후불 교통카드 기능이 탑재되는 카드 자재가 구분되어 있고, 사용가능 지역도 다르기 때문에 발급 전에 알아봐둬야 한다. 대부분 만 20세 이상부터 발급할 수 있고, 따라서 노인·장애인·유공자의 무임 운송을 제외하면 별도의 할인 코드는 입력되지 않는다.  


신용카드의 비접촉식 결제 방식과 구분되어, Visa Wave나 PayPass 탑재 카드라도 따로 안내하지 않는 한 후불 교통카드로는 사용할 수 없다. 다만 PayOn 탑재 카드는 대체로 후불 교통카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신용카드의 비접촉식 결제 방식과 구분되어, Visa Wave나 PayPass 탑재 카드라도 따로 안내하지 않는 한 후불 교통카드로는 사용할 수 없다. 다만 PayOn 탑재 카드는 대체로 후불 교통카드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한편, 후불교통카드는 [[승인|무승인]] 거래가 가능한 흔한 자재기 때문에 무승인이 필요한 곳에 후불교통카드를 갖다대면 거의 해결된다. 우선 대중교통 자체가 무승인을 요구하는 대표적인 업종이고, 거기에 [[고속도로]] 통행료 결제, 자판기 등이 해당한다.
한편, 후불교통카드는 [[승인|무승인]] 거래가 가능한 몇안 되는 흔한 자재기 때문에 무승인이 필요한 곳에 후불교통카드를 갖다대면 거의 해결된다. 우선 대중교통 자체가 무승인을 요구하는 대표적인 업종이고, 거기에 [[고속도로]] 통행료 결제, 자판기 등이 해당한다.


=== 모바일 교통카드 ===
=== 모바일 교통카드 ===
모든 통신사에서 모바일 교통카드 기능을 활성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HCE를 이용하는 [[레일플러스]], [[원패스]]를 제외한 [[티머니]](티머니페이 제외), [[캐시비]], [[한페이]]는 금융 USIM 장착시 기본적으로 선불 교통카드와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교통카드 운영사에서 제공하는 앱을 설치하면 후불 교통카드로 전환하거나 자동 충전 등의 편의 기능도 쓸 수 있다.
전국호환 교통카드는 모든 통신사에서 모바일 교통카드 기능을 활성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HCE를 이용하는 [[레일플러스]]를 제외하면 기본적으로 선불 교통카드와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교통카드 관리사에서 제공하는 앱을 설치하면 후불 교통카드로 전환하거나 자동 충전 등의 편의 기능도 쓸 수 있다.


선·후불 모두 이용가능 하다.
선·후불 모두 이용가능 하나, 후불로 사용할 경우 일반적으로 말하는 "후불교통카드"일 필요는 없고 신용한도가 살아있는 신용카드나 하이브리드 카드면 가능하다. 3~5만원을 가승인 한후 매일 정산시간마다 당일 사용량을 다시 채워두는 방식이다.
* 선불은 일반 교통카드처럼 잔액을 충전하는 방식이다. 판매점이나 충전소에서 충전하면 수수료가 들지 않으나, 앱 내에서 신용카드, 계좌이체 등으로 충전하면 2~10%의 수수료가 붙는다. 티머니는 1회 2.1%, 월 3천원까지 수수료를 면제해준다.
* 후불로 사용할 경우 일반적으로 말하는 "후불교통카드"일 필요는 없고 신용한도가 살아있는 신용카드나 하이브리드 카드면 가능하다. 3~5만원을 가승인 한후 매일 정산시간마다 당일 사용량을 다시 채워두는 방식이다. 충전수수료가 없고, 카드사 대중교통 할인 이벤트와 연계 가능하다.


어쩌다 보니 미래기술을 선도할 처지에 놓여있는 데, 카드 실물과 달리 다른 기술과 접목성이 높기 때문에 온라인 결제에 이용하거나 카드를 찍지 않고도 통과할 수 있는 게이트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블루투스 비콘 시스템과 연계하여 카드를 단말기에 찍지 않고 통과하는 기술이 연구되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32&aid=0002876639&sid1=001&lfrom=twitter “전철역서 교통카드 안 찍고 바로 탄다”…코레일 11월 시범 적용], 경향신문, 2018.06.19.</ref>
어쩌다 보니 미래기술을 선도할 처지에 놓여있는 데, 카드 실물과 달리 다른 기술과 접목성이 높기 때문에 온라인 결제에 이용하거나 카드를 찍지 않고도 통과할 수 있는 게이트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코레일은 2018년 11월부터 모바일 레일플러스 어플과 블루투스로 연동되는 스피드 게이트를 구로역에 시범운영할 예정이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32&aid=0002876639&sid1=001&lfrom=twitter “전철역서 교통카드 안 찍고 바로 탄다”…코레일 11월 시범 적용], 경향신문, 2018.06.19.</ref>
* NFC SE(NFC Secure Element)  
* NFC SE(NFC Secure Element)  
*: 휴대전화 회로와 격리된 공간([[USIM]] 등)에 교통카드 정보를 입력하고, NFC와 교통카드가 직접 통신하는 방법. 기존 개찰 시스템과 호환이 쉽고, 보안이 좋으며 스마트폰 상태에 관계없이 작동한다(폰이 꺼져도 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특정한 조건(금융USIM, 응용모드 등)을 맞춰줘야 작동하는 것이 단점이다. 단말기 생산업체와 교통카드 정산업체 입장에서도 USIM 공급자인 통신사와 협의가 필요해서 번거롭다. 티머니, 캐시비 등 대부분의 교통카드는 이쪽을 지원한다.
*: 휴대전화 회로와 격리된 공간([[USIM]] 등)에 교통카드 정보를 입력하고, NFC와 교통카드가 직접 통신하는 방법. 기존 개찰 시스템과 호환이 쉽고, 보안이 좋으며 스마트폰 상태에 관계없이 작동한다(폰이 꺼져도 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특정한 조건(금융USIM, 응용모드 등)을 맞춰줘야 작동하는 것이 단점이다. 단말기 생산업체와 교통카드 정산업체 입장에서도 USIM 공급자인 통신사와 협의가 필요해서 번거롭다. 티머니, 캐시비 등 대부분의 교통카드는 이쪽을 지원한다.
* HCE(Host Card Emulation)  
* HCE(Host Card Emulation)  
*: 휴대전화 앱에 교통카드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NFC와 통신하는 방법. 앱만 돌고 있으면 되므로 NFC가 되는 어떤 단말이든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앱이 활성화 되어야 교통카드 인식이 가능하며 기존 개찰 시스템과 호환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레일플러스]]가 이것을 채택했지만 코레일 게이트에서도 인식이 잘 안 된다는 불만이 속출하고 있다. 일본 [[스이카]]는 애플 페이 탑재 과정에서 교통카드가 항시 메모리에 상주하는 “익스프레스 카드”기능을 채택하여 앱이 켜져 있어야만 인식이 되는 단점을 해결했다.
*: 휴대전화 앱에 교통카드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NFC와 통신하는 방법. 앱만 돌고 있으면 되므로 NFC가 되는 어떤 단말이든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앱이 활성화 되어야 교통카드 인식이 가능하며 기존 개찰 시스템과 호환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레일플러스]]가 이것을 채택했지만 코레일 게이트에서도 인식이 잘 안된다는 불만이 속출하고 있다. 일본 [[스이카]]는 애플 페이 탑재 과정에서 교통카드가 항시 메모리에 상주하는 “익스프레스 카드”기능을 채택하여 앱이 켜져 있어야만 인식이 되는 단점을 해결했다.


=== 전자화폐 ===
=== 전자화폐 ===
94번째 줄: 87번째 줄:
== 세계의 교통카드 ==
== 세계의 교통카드 ==
=== 일본 ===
=== 일본 ===
[[파일:Suica.jpg|thumb]]
{{youtube|wjNFuBsuz3I|||center|경이로운 처리속도의 Felica 실황}}


별도의 교통카드 사업자 2곳이 거의 모든 지역을 장악하고 있는 한국과 달리, 일본은 철도 운송 사업자가 독자적으로 뽑거나 사업자간 연합으로 제작하여 주류 교통카드 종류만 12가지 정도 된다. 마그네틱 계열을 제외하면 다행히도 기반 기술은 [[소니]]의 Felica(RF 카드 한정)로 일원화되어 있으며, 경이로운 처리 속도로 잘 알려져 있다.
별도의 교통카드 사업자 2곳이 거의 모든 지역을 장악하고 있는 한국과 달리, 일본은 철도 운송 사업자가 독자적으로 뽑거나 사업자간 연합으로 제작하여 주류 교통카드 종류만 12가지 정도 된다. 마그네틱 계열을 제외하면 다행히도 기반 기술은 [[소니]]의 Felica(RF 카드 한정)로 일원화되어 있으며, 경이로운 처리 속도로 잘 알려져 있다.
126번째 줄: 119번째 줄:


=== 미국 ===
=== 미국 ===
미국은 21세기 들어서야 비접촉식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운임 정산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다. 교통카드가 도입되는 경우, 통근 권역별로 시스템이 통일되거나 전면적으로 호환되는 경우가 많다. 2016년 현재 [[로스앤젤레스]], [[애틀랜타]], [[보스턴]], [[시카고]], [[마이애미|마이애미데이드]], [[워싱턴 DC]] 등의 지역에서 교통카드 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대체로 충전 보너스나 파크 앤 라이드 주차료 할인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의외로 미국 제일의 광역권인 [[뉴욕]]에서는 여태껏 마그네틱 방식의 [[Metrocard]]를 사용하고 있다. {{ㅊ|옆동네 PATH는 RF 교통카드 쓰는 건 차치하고}}
미국은 21세기 들어서야 비접촉식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운임 정산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다. 교통카드가 도입되는 경우, 통근 권역별로 시스템이 통일되거나 전면적으로 호환되는 경우가 많다. 2016년 현재 [[로스앤젤레스]], [[애틀랜타]], [[보스턴]], [[시카고]], [[마이애미|마이애미데이드]], [[워싱턴 DC]] 등의 지역에서 교통카드 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대체로 충전 보너스나 파크 앤 라이드 주차료 할인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의외로 미국 제일의 광역권인 [[뉴욕]]에서는 여태껏 마그네틱 방식의 [[Metrocard]]를 사용하고 있다. {{ㅊ|옆동네 PATH는 RF 교통카드 쓰는 건 차치하고}}  


== 이야깃거리 ==
== 이야깃거리 ==
* 교통카드를 포함해 RF회로가 심어져 있는 [[스마트카드]](이어뮤 등)를 휴대폰 케이스에 끼워다닐 때는 [[무선충전]]시 충전기와 휴대폰 사이에 카드가 끼면 안 된다. 충전기의 자기장으로 인해 RF회로에 전기가 흘러 IC칩이 망가지고, 발열로 인해 화재가 날 수 있다.
* 교통카드를 포함해 RF회로가 심어져 있는 [[스마트카드]](이어뮤 등)를 휴대폰 케이스에 끼워다닐 때는 [[무선충전]]시 충전기와 휴대폰 사이에 카드가 끼면 안 된다. 충전기의 자기장으로 인해 RF회로에 전기가 흘러 IC칩이 망가지고, 발열로 인해 화재가 날 수 있다.
{{각주}}
{{각주}}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