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카드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파일:교통카드.jpg|thumb]]
[[파일:교통카드.jpg|thumb]]


'''교통카드'''(交通-)은 [[대중교통]]의 전자적 [[운임]] 지불 수단이다.
[[대중교통]]의 운임 지불 수단 중 하나.


== 역사 ==
== 역사 ==
8번째 줄: 8번째 줄:


수도권과 부산권의 사용을 기반으로 전국에 빠른 속도로 교통카드가 보급되었으며, 2000년대 중반부터 지역간 교통카드 시스템의 호환이 거의 정착되어 교통카드 한장으로 거의 모든 지역의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수도권과 부산권의 사용을 기반으로 전국에 빠른 속도로 교통카드가 보급되었으며, 2000년대 중반부터 지역간 교통카드 시스템의 호환이 거의 정착되어 교통카드 한장으로 거의 모든 지역의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해외에선 이미 ISO 14443-4기반의 EMV Contactless를 응용하여 후불교통을 제공하고 있으나 한국에선 아직도 MIFARE Classic 기반의 payOn 후불교통카드만 제공되고있어 국적을 취득하지 않는 외국인의 경우 대중교통 이용에 어려움을 겪고있다.


=== 전국호환 교통카드 ===
=== 전국호환 교통카드 ===
36번째 줄: 33번째 줄:
| [[한페이]] || 한페이시스 || || 별도 발매 ||  
| [[한페이]] || 한페이시스 || || 별도 발매 ||  
|}
|}
수용 가능 지역은 티머니가 가장 넓고(교통카드 실시지역 어디서나 가능)<ref>교통카드 미실시지역은 경상북도 군위군·봉화군·영양군·청송군, 전라남도 진도군이 있다.</ref> 캐시비가 그 뒤를 따르며, 원패스와 한페이는 그럭저럭 사용할 수 있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청소년증]]에는 T-money·한페이를 제외한 나머지 권종을 선택하여 탑재할 수 있다.
수용 가능 지역은 티머니가 가장 넓고(교통카드 실시지역 어디서나 가능) 캐시비가 그 뒤를 따르며, 원패스와 한페이는 그럭저럭 사용할 수 있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청소년증]]에는 T-money·한페이를 제외한 나머지 권종을 선택하여 탑재할 수 있다.


KS 표준안 이전에는 꽤 다양한 사업자들이 다음과 같은 교통카드를 발행하였다. 대부분 [[MIFARE]]의 솔루션을 이용했지만 호환 사용은 거의 되지 않았다.
KS 표준안 이전에는 꽤 다양한 사업자들이 다음과 같은 교통카드를 발행하였다. 대부분 [[MIFARE]]의 솔루션을 이용했지만 호환 사용은 거의 되지 않았다.
75번째 줄: 72번째 줄:


선·후불 모두 이용가능 하다.
선·후불 모두 이용가능 하다.
* 선불은 일반 교통카드처럼 잔액을 충전하는 방식이다. 판매점이나 충전소에서 충전하면 수수료가 들지 않으나, 앱 내에서 신용카드, 계좌이체 등으로 충전하면 2~10%수수료가 붙는다. 티머니는 1회 2.1%, 월 3천원까지 수수료를 면제해준다.
* 선불은 일반 교통카드처럼 잔액을 충전하는 방식이다. 판매점이나 충전소에서 충전하면 수수료가 들지 않으나, 앱 내에서 신용카드, 계좌이체 등으로 충전하면 10% 이내의 수수료가 붙는다. 티머니는 1회 2.1%, 월 3천원까지 수수료를 면제해준다.
* 후불로 사용할 경우 일반적으로 말하는 "후불교통카드"일 필요는 없고 신용한도가 살아있는 신용카드나 하이브리드 카드면 가능하다. 3~5만원을 가승인 한후 매일 정산시간마다 당일 사용량을 다시 채워두는 방식이다. 충전수수료가 없고, 카드사 대중교통 할인 이벤트와 연계 가능하다.
* 후불로 사용할 경우 일반적으로 말하는 "후불교통카드"일 필요는 없고 신용한도가 살아있는 신용카드나 하이브리드 카드면 가능하다. 3~5만원을 가승인 한후 매일 정산시간마다 당일 사용량을 다시 채워두는 방식이다.  


어쩌다 보니 미래기술을 선도할 처지에 놓여있는 데, 카드 실물과 달리 다른 기술과 접목성이 높기 때문에 온라인 결제에 이용하거나 카드를 찍지 않고도 통과할 수 있는 게이트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블루투스 비콘 시스템과 연계하여 카드를 단말기에 찍지 않고 통과하는 기술이 연구되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32&aid=0002876639&sid1=001&lfrom=twitter “전철역서 교통카드 안 찍고 바로 탄다”…코레일 11월 시범 적용], 경향신문, 2018.06.19.</ref>
어쩌다 보니 미래기술을 선도할 처지에 놓여있는 데, 카드 실물과 달리 다른 기술과 접목성이 높기 때문에 온라인 결제에 이용하거나 카드를 찍지 않고도 통과할 수 있는 게이트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코레일은 2018년 11월부터 모바일 레일플러스 어플과 블루투스로 연동되는 스피드 게이트를 구로역에 시범운영할 예정이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32&aid=0002876639&sid1=001&lfrom=twitter “전철역서 교통카드 안 찍고 바로 탄다”…코레일 11월 시범 적용], 경향신문, 2018.06.19.</ref>
* NFC SE(NFC Secure Element)  
* NFC SE(NFC Secure Element)  
*: 휴대전화 회로와 격리된 공간([[USIM]] 등)에 교통카드 정보를 입력하고, NFC와 교통카드가 직접 통신하는 방법. 기존 개찰 시스템과 호환이 쉽고, 보안이 좋으며 스마트폰 상태에 관계없이 작동한다(폰이 꺼져도 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특정한 조건(금융USIM, 응용모드 등)을 맞춰줘야 작동하는 것이 단점이다. 단말기 생산업체와 교통카드 정산업체 입장에서도 USIM 공급자인 통신사와 협의가 필요해서 번거롭다. 티머니, 캐시비 등 대부분의 교통카드는 이쪽을 지원한다.
*: 휴대전화 회로와 격리된 공간([[USIM]] 등)에 교통카드 정보를 입력하고, NFC와 교통카드가 직접 통신하는 방법. 기존 개찰 시스템과 호환이 쉽고, 보안이 좋으며 스마트폰 상태에 관계없이 작동한다(폰이 꺼져도 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특정한 조건(금융USIM, 응용모드 등)을 맞춰줘야 작동하는 것이 단점이다. 단말기 생산업체와 교통카드 정산업체 입장에서도 USIM 공급자인 통신사와 협의가 필요해서 번거롭다. 티머니, 캐시비 등 대부분의 교통카드는 이쪽을 지원한다.
129번째 줄: 126번째 줄:


== 이야깃거리 ==
== 이야깃거리 ==
* 교통카드를 포함해 RF회로가 심어져 있는 [[스마트카드]](이어뮤 등)를 휴대폰 케이스에 끼워다닐 때는 [[무선충전]]충전기와 휴대폰 사이에 카드가 끼면 안 된다. 충전기의 자기장으로 인해 RF회로에 전기가 흘러 IC칩이 망가지고, 발열로 인해 화재가 날 수 있다.
* 교통카드를 포함해 RF회로가 심어져 있는 [[스마트카드]](이어뮤 등)를 휴대폰 케이스에 끼워다닐 때는 [[무선충전시]] 충전기와 휴대폰 사이에 카드가 끼면 안 된다. 충전기의 자기장으로 인해 RF회로에 전기가 흘러 IC칩이 망가지고, 발열로 인해 화재가 날 수 있다.
{{각주}}
{{각주}}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