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전화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전화]]
[[분류:통신 시설]]
[[파일:공중전화 부스.jpg|thumb]]
[[파일:공중전화 부스.jpg|thumb]]
'''공중전화'''(公衆電話)는 길거리나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되어 공용으로 사용되는 [[전화]]를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국가 통신 부처나 통신기간사업자가 도맡아 설치하나, 개인이나 기타사업자가 직접 설치한 사설 공중전화도 있다.
'''공중전화'''(公衆電話)는 길거리나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되어 공용으로 사용되는 [[전화]]를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국가 통신 부처나 통신기간사업자가 도맡아 설치하나, 개인이나 기타사업자가 직접 설치한 사설 공중전화도 있다.
19번째 줄: 21번째 줄:


대한민국 공중전화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제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중전화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제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 [[동전]] [[파일:공중전화 낙전.jpg|thumb|낙전 배려 [https://twitter.com/nova0412 /status/1164033517363187713 출처]]]
* [[동전]] [[파일:공중전화 낙전.jpg|thumb|낙전 배려 [https://twitter.com/nova0412_/status/1164033517363187713 출처]]]
*: 대다수 공중전화의 요금 지불 수단. 100원 미만 거스름돈은 반환하지 않으며 미반환 금액은 낙전(落錢)으로 유지사업 수익 중 일부다.  100원 미만 잔여금액이 있을 경우 잔돈을 채워 100원을 맞추고 수화기를 내려놓으면 100원이 반환된다. 이를 역이용하면 잔액이 애매할 때 수화기를 후크에 내려놓지 않고 가면 뒷사람이 재발신 버튼을 누르고 남은 잔액을 활용할 수 있다.
*: 대다수 공중전화의 요금 지불 수단. 100원 미만 거스름돈은 반환하지 않으며 미반환 금액은 낙전(落錢)으로 유지사업 수익 중 일부다.  100원 미만 잔여금액이 있을 경우 잔돈을 채워 100원을 맞추고 수화기를 내려놓으면 100원이 반환된다. 이를 역이용하면 잔액이 애매할 때 수화기를 후크에 내려놓지 않고 가면 뒷사람이 재발신 버튼을 누르고 남은 잔액을 활용할 수 있다.
* [[공중전화카드]] [[파일:공중전화카드.png|섬네일]]
* [[공중전화카드]] [[파일:공중전화카드.png|섬네일]]
34번째 줄: 36번째 줄:


== 전화기 ==
== 전화기 ==
[[파일:인천 국제공항 - panoramio - 우한길(HK Woo) (1).jpg|thumb|인천공항 인터넷단말기(사용중지)]]
[[File:인천_국제공항_-_panoramio_-_우한길(HK_Woo)_(1).jpg|thumb|인천공항 인터넷단말기(사용중지)]]
초기의 공중전화는 [[우체국]] 등에 유인으로 관리하는 전화만 있었다. 교환기의 등장과 함께 다이얼식 전화기가 생겼고, 익숙한 무인부스 형태의 공중전화가 보급되었다. 공중전화카드도 생겨 불필요하게 잔돈을 챙겨다닐 필요도 없어졌다. 21세기에 들어서는 시대의 요구에 따라 인터넷 단말기와 섞어보기도 하고, SMS 수발신 기능을 탑재해보기도 하는 등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공중전화 자체의 필요성이 줄어들어 신형 단말은 찾아보기 어렵고 대부분 기존 단말에 [[교통카드]] 인식부를 추가 장착하는 선에서 그치고 있다.
초기의 공중전화는 [[우체국]] 등에 유인으로 관리하는 전화만 있었다. 교환기의 등장과 함께 다이얼식 전화기가 생겼고, 익숙한 무인부스 형태의 공중전화가 보급되었다. 공중전화카드도 생겨 불필요하게 잔돈을 챙겨다닐 필요도 없어졌다. 21세기에 들어서는 시대의 요구에 따라 인터넷 단말기와 섞어보기도 하고, SMS 수발신 기능을 탑재해보기도 하는 등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공중전화 자체의 필요성이 줄어들어 신형 단말은 찾아보기 어렵고 대부분 기존 단말에 [[교통카드]] 인식부를 추가 장착하는 선에서 그치고 있다.


70번째 줄: 72번째 줄:


==기타==
==기타==
[[파일:Public Telephone Booths and Barracks Building Entrance in ROKA 102nd Replacement Battalion.jpg|thumb|구 102보충대의 전화부스 집합]]
[[file:Public_Telephone_Booths_and_Barracks_Building_Entrance_in_ROKA_102nd_Replacement_Battalion.jpg|thumb|구 102보충대의 전화부스 집합]]
* 군대, 병원 등 집단수용시설에서는 공중전화가 지금도 애용되고 있다. 휴대폰이 반입금지되는 경우도 있고, 휴대폰이 없을 때 유용하다.
* 군대, 병원 등 집단수용시설에서는 공중전화가 지금도 애용되고 있다. 휴대폰이 반입금지되는 경우도 있고, 휴대폰이 없을 때 유용하다.
* 익명성
* 익명성
82번째 줄: 84번째 줄:
* [http://www.ktlinkus.co.kr/ KT링커스]
* [http://www.ktlinkus.co.kr/ KT링커스]
{{각주}}
{{각주}}
[[분류:전화]]
[[분류:통신 시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