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시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마을 정보
{{마을 정보
| 마을이름 = 공주
|이름      = 공주시
| 원어이름 =
|그림1=[[파일:Korea-Gongju-Gongsanseong-01.jpg|300px]]
| 그림 = [[파일:Korea-Gongju-Gongsanseong-01.jpg|300px]]
|시기      =  
| 그림설명 =  
|휘장      =  
| 깃발 = Flag_of_Gongju.svg
|시기이름  = 휘장
| 깃발설명 =  
|휘장이름  = 브랜드
| 휘장 =  
|면적      = 864.29
| 휘장설명 =  
|세대      = 50,512
| 지도 = South Chungcheong-Gongju.svg
|세대_조사연도 = <small>2020년5월말</small>
| 지도설명 =  
|인구    = 105,611
| 표어 =  
|인구_조사연도 = <small>2020년5월말</small>
| 노래 =  
|하위 행정구역3 명칭=
| 종류 = [[시 (행정구역)|시]]
|하위 행정구역3=1
| 나라 =  
|하위 행정구역4 명칭=
| 소속지역 =  
|하위 행정구역4=9
| 수도 =  
|하위 행정구역1 명칭=행정동
| 단체장직책 = 시장
|하위 행정구역1=6
| 단체장 = [[최원철]] ([[국민의힘]])
|하위 행정구역2 명칭=법정동
| 입법부 =  
|하위 행정구역2=27
| 국회의원 = [[정진석 (정치인)|정진석]] ([[국민의힘]]) <small>(공주·부여·청양)</small>
|지도자 직함=시장
| 행정구역 = 6 행정동, 27 법정동, 1 읍, 9 면
|지도자=[[김정섭]]([[더불어민주당]])
| 인구 = 105,611
|지도자2 직함=국회의원
| 인구밀도 =  
|지도자2=[[정진석 (정치인)|정진석]]([[국민의힘]])<small>(공주시·부여군·청양군)</small>
| 인구 연도 =
|관청명=공주시청
| 면적 = 864.29
|관청소재지=공주시 봉황로 1 (봉황동 319)
| 설립일 =  
|홈페이지  = [http://www.gongju.go.kr 공주시청]
| 해체일 =  
|상징1 종류=시목
| 시간대 =  
|상징1=[[느티나무]]
| ISO =  
|상징2 종류=시화
| 마스코트 =  
|상징2=[[개나리]]
| 상징 = [[느티나무]] (나무)<br />[[개나리]] (꽃)<br />[[까치]] (새)<br />[[곰]] (동물)
|상징3 종류=시조
| 웹사이트 = [http://www.gongju.go.kr 공주시청]
|상징3=[[까치]]
| 비고 =
|상징동물  = [[곰]]
}}
}}
'''공주시'''(公州市, Gongju City)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중앙부에 있는 [[시 (행정구역)|시]]이다.
'''공주시'''(公州市, Gongju City)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중앙부에 있는 [[시 (행정구역)|시]]이다.


동쪽으로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서쪽으로 [[예산군]], [[청양군]], 남쪽으로 [[논산시]], [[계룡시]], [[부여군]], 북쪽으로 [[아산시]], [[천안시]]와 접한다. 시청은 [[봉황동]]에 있고, 행정구역은 1읍 9면 6동이다. [[삼국시대]]에는 [[웅진]](熊津)으로 불렸으며, [[475년]]부터 [[538년]]까지 [[백제]]의 수도였다. 공주의 [[공산성]]과 [[송산리 고분군]] 등 [[백제역사유적지구]]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매년 10월 [[부여군]]와 합동으로 [[백제문화제]]를 개최한다. [[조선]]시대에는 [[충청도]] [[감영]]이 있었고, 1932년까지 [[충청남도청]] [[도청소재지|소재지]]였다.
동쪽으로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서쪽으로 [[예산군]], [[청양군]], 남쪽으로 [[논산시]], [[계룡시]], [[부여군]], 북쪽으로 [[아산시]], [[천안시]]와 접한다. 시의 중앙으로 [[금강]]이 흐른다. [[삼국시대]]에는 [[웅진]](熊津)으로 불렸으며, [[475년]]부터 [[538년]]까지 [[백제]]의 수도였다. 공주의 [[공산성]]과 [[송산리 고분군]] 등 [[백제역사유적지구]]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매년 10월 [[부여군]]와 합동으로 [[백제문화제]]를 개최한다. [[조선]]시대에는 [[충청도]] [[감영]]이 있었고, 1932년까지 [[충청남도청]] [[도청소재지|소재지]]였다. 명소로는 [[공산성]], [[무령왕릉]], [[계룡산 국립공원]]이 있으며, 교육기관으로는 [[공주대학교]], [[공주교육대학교]] 등 [[국립 대학교]]가 있다. 시청은 봉황동에 있고, 행정구역은 1읍 9면 6동이다.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치료감호소가 있는 곳이다.
 
시의 중앙으로 [[금강]]이 흐른다. 명소로는 [[공산성]], [[무령왕릉]], [[계룡산 국립공원]], 금강의 나루터였던 [[곰나루]]가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공주대학교]], [[공주교육대학교]] 등 [[국립대학교]]가 있다.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치료감호소]]가 있는 곳이다.


== 역사 ==
== 역사 ==
49번째 줄: 45번째 줄:
조선 전기에는 충주, 청주, 홍주와 함께 충청도 4대 목 중 하나가 되었다. [[임진왜란]] 때 [[공산성]]에 명나라 군의 지휘부가 있었고, 임진왜란 이후에 공주의 군사적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충주에 있던 충청감영이 공주에 이전됨으로써 충청도의 중심지가 되었다. [[1624년]]에는 [[조선 인조|인조]]가 [[이괄의 난]]으로 일시 몽진하였다. 이괄의 군이 [[개성]]으로 진격하자 [[조선 인조|인조]]는 서울을 버리고 공주로 피란을 왔다.
조선 전기에는 충주, 청주, 홍주와 함께 충청도 4대 목 중 하나가 되었다. [[임진왜란]] 때 [[공산성]]에 명나라 군의 지휘부가 있었고, 임진왜란 이후에 공주의 군사적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충주에 있던 충청감영이 공주에 이전됨으로써 충청도의 중심지가 되었다. [[1624년]]에는 [[조선 인조|인조]]가 [[이괄의 난]]으로 일시 몽진하였다. 이괄의 군이 [[개성]]으로 진격하자 [[조선 인조|인조]]는 서울을 버리고 공주로 피란을 왔다.


이와 같던 공주가 중소도시로 축소된 요인으로는 수운의 쇠퇴와 [[경부선]]의 미경유, 도청 이전을 이야기할 수 있다. [[조선시대]] 때 바닷길을 활용한 수송은 해안 지역이 중심적이었고, 육로를 활용한 수송은 대량의 물자를 수송하기에 불리했기에 내륙 지역에서는 강을 활용한 수운이 발달했다.<ref>그 덕분에 [[서울특별시]] 염창동은 바닷가가 아님에도 소금 창고라는 뜻의 이름이 붙을 수 있었으며 가흥창이 있던 [[충주시]] 가흥리와 나루터가 있던 목계 등도 지금과는 달리 상당히 발전한 동네였고, [[논산시]] 강경읍은 내륙임에도 젓갈이 유명한 동네일 수 있었다.</ref> 공주 역시 금강이 통과하는 지역인지라 금강 수운이 경제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고 있었다. 그러나 [[일제시대]] 때 강을 활용한 수송은 쇠퇴하기 시작했고 엎친데 덮친 격으로 각종 [[교량|다리]]들이 건설되면서 금강을 활용한 수송은 축소되었다. 더군다나 [[경부선]] [[철도]]는 공주가 아닌 대전을 거치면서 [[호서]] 지역의 교통 중심지는 공주가 아닌 대전이 되어버렸고, 도청 역시 [[대전광역시|대전]]으로 이전하며 이는 공주 지역의 쇠퇴를 유발했다.
이와 같던 공주가 중소도시로 축소된 요인으로는 수운의 쇠퇴와 [[경부선]]의 미경유, 도청 이전을 이야기할 수 있다. [[조선시대]] 때 바닷길을 활용한 수송은 해안 지역이 중심적이었고, 육로를 활용한 수송은 대량의 물자를 수송하기에 불리했기에 내륙 지역에서는 강을 활용한 수운이 발달했다.<ref>그 덕분에 [[서울특별시]] 염창동은 바닷가가 아님에도 소금 창고라는 뜻의 이름이 붙을 수 있었으며 가흥창이 있던 [[충주시]] 가흥리와 나루터가 있던 목계 등도 지금과는 달리 상당히 발전한 동네였고, [[논산시]] 강경읍은 내륙임에도 젖갈이 유명한 동네일 수 있었다.</ref> 공주 역시 금강이 통과하는 지역인지라 금강 수운이 경제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고 있었다. 그러나 [[일제시대]] 때 강을 활용한 수송은 쇠퇴하기 시작했고 엎친데 덮친 격으로 각종 [[교량|다리]]들이 건설되면서 금강을 활용한 수송은 축소 되었다. 더군다나 [[경부선]] [[철도]]는 공주가 아닌 대전을 거치면서 [[호서]] 지역의 교통 중심지는 공주가 아닌 대전이 되어버렸고, 도청 역시 [[대전광역시|대전]]으로 이전하며 이는 공주 지역의 쇠퇴를 유발했다.
 
=== 약력 ===
* [[1602년]]부터 [[1895년]]까지 [[충청도]] [[감영]] 소재지로서 [[충청도]]의 중심지였다.
* [[1602년]]부터 [[1895년]]까지 [[충청도]] [[감영]] 소재지로서 [[충청도]]의 중심지였다.
* [[1894년]] [[전봉준]]의 [[동학 농민 운동|동학군]]은 공주 [[우금치]]에서 일본군과 [[우금치 전투|대전투]]를 치렀으나 패하여 동학혁명은 실패하였다.
* [[1894년]] [[전봉준]]의 [[동학 농민 운동|동학군]]은 공주 [[우금치]]에서 일본군과 [[우금치 전투|대전투]]를 치렀으나 패하여 동학혁명은 실패하였다.
60번째 줄: 54번째 줄:
* [[1995년]] 1월 1일 공주시와 공주군 일원을 통합하여 도농복합형태의 공주시가 설치되었다. (11면 8동)
* [[1995년]] 1월 1일 공주시와 공주군 일원을 통합하여 도농복합형태의 공주시가 설치되었다. (11면 8동)
* [[1995년]] [[3월 2일]] 유구면이 유구읍으로 승격하였다. (1읍 10면 8동)
* [[1995년]] [[3월 2일]] 유구면이 유구읍으로 승격하였다. (1읍 10면 8동)
* [[2012년]] [[7월 1일]] [[장기면 (공주)|장기면]] 전역과 [[의당면]], [[반포면]] 일부가 [[세종특별자치시]]에 편입되었다.
* [[2012년]] [[7월 1일]] [[장기면 (공주시)|장기면]] 전역과 [[의당면]], [[반포면]] 일부가 [[세종특별자치시]]에 편입되었다.
 
<!--
== 식문화 ==
* [[김치피자탕수육]]
 
== 지리 ==
== 지리 ==
구도심은 [[중학동]], [[옥룡동]], [[웅진동]], [[금학동]]에 위치해있고 금강을 건너면 신도심이 [[신관동]]과 [[월성동]]에 위치한다. 신도심은 특이하게도 공주대학교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도로가 배치되어있다. 유구읍에도 작게 시가지가 존재한다.
-->
 
전체적으로 산이 넓게 펼쳐져 있고 또 많아서 굴곡이 많은 지형이 특징이다. 산이 많은 지형탓에 큰 도시로 성장하기 불리하다.
 
[[서산시]]처럼 면적이 꽤 큰 것도 특징이다.


== 행정구역 ==
== 행정구역 ==
공주시의 행정구역은 1읍, 9면, 6동, 245리, 131통, 1,928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864.29㎢로써 충청남도 15개 시,군 중 가장 넓다. 인구는 [[2020년]] 5월말 기준으로 50,512세대, 105,611명이다.
공주시의 행정구역은 1읍, 9면, 6동, 245리, 131통, 1,928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864.29㎢로써 충청남도 15개 시,군 중 가장 넓다. 인구는 [[2020년]] 5월말 기준으로 50,512세대, 105,611명이다.


[[파일:Gongju-map.png|대체글=|오른쪽|514x514픽셀]]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99%;" align=center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99%;" align="center"
!읍면동 !! 한자!!세대 !! 인구 !! 면적 !! 지도
!읍면동!!한자 !!세대!! 인구!!면적
|-
|-
| style="background: #f9f9c9;" |'''[[유구읍]]'''||維鳩邑||3,862||7,565||101.55
| style="background: #f9f9c9;" | '''[[유구읍]]'''||維鳩邑||3,862||7,565||101.55||rowspan=16|[[파일:Gongju-map.png|450px]]
|-
|-
| style="background: #f9f9c9;" |'''[[이인면]]'''|| 利仁面||1,709||3,363||62.95
| style="background: #f9f9c9;" | '''[[이인면]]'''||利仁面||1,709||3,363|| 62.95
|-
|-
| style="background: #f9f9c9;" |'''[[탄천면]]'''|| 灘川面||1,617||2,984||64.15
| style="background: #f9f9c9;" | '''[[탄천면]]'''||灘川面||1,617||2,984|| 64.15
|-
|-
| style="background: #f9f9c9;" |'''[[계룡면]]'''|| 鷄龍面||3,078||5,681||84.08
| style="background: #f9f9c9;" | '''[[계룡면]]'''||鷄龍面||3,078||5,681|| 84.08
|-
|-
| style="background: #f9f9c9;" |'''[[반포면]]'''|| 反浦面||2,114||4,278||78.04
| style="background: #f9f9c9;" | '''[[반포면]]'''||反浦面||2,114||4,278|| 78.04
|-
|-
| style="background: #f9f9c9;" |'''[[의당면]]'''|| 儀堂面||2,314||4,705||65.69
| style="background: #f9f9c9;" | '''[[의당면]]'''||儀堂面||2,314||4,705|| 65.69
|-
|-
| style="background: #f9f9c9;" |'''[[정안면]]'''|| 正安面||2,466||4,714||108.96
| style="background: #f9f9c9;" | '''[[정안면]]'''||正安面||2,466||4,714||108.96
|-
|-
| style="background: #f9f9c9;" |'''[[우성면]]'''|| 牛城面||2,710||5,325||79.54
| style="background: #f9f9c9;" | '''[[우성면]]'''||牛城面||2,710||5,325|| 79.54
|-
|-
| style="background: #f9f9c9;" |'''[[사곡면 (공주)|사곡면]]'''||寺谷面||1,512||2,984||80.13
| style="background: #f9f9c9;" | '''[[사곡면 (공주시)|사곡면]]'''||寺谷面||1,512||2,984|| 80.13
|-
|-
| style="background: #f9f9c9;" |'''[[신풍면]]'''|| 新豊面||1,551||3,264||80.47
| style="background: #f9f9c9;" | '''[[신풍면]]'''||新豊面||1,551||3,264||80.47
|-
|-
|'''[[중학동 (공주)|중학동]]'''||中學洞||2,512||4,731||1.46
|'''[[중학동 (공주시)|중학동]]'''||中學洞||2,512||4,731||1.46
|-
|-
|'''[[웅진동]]'''||熊津洞||3,931||8,296||6.61
|'''[[웅진동]]'''||熊津洞||3,931||8,296|| 6.61
|-
|-
|'''[[금학동]]'''||金鶴洞||2,452||5,470||29.99
|'''[[금학동]]'''||金鶴洞||2,452||5,470|| 29.99
|-
|-
|'''[[옥룡동]]'''||玉龍洞||4,113||8,084||20.41
|'''[[옥룡동]]'''||玉龍洞||4,113||8,084||20.41
112번째 줄: 98번째 줄:
|}
|}


<!--
== 교육 기관 ==
== 주요 기관 ==
==== 대학교 ====
-->
* [[공주교육대학교]]
 
* [[공주대학교]]
==교육 기관==
====대학교====
*[[공주교육대학교]]
*[[공주대학교]]


====고등학교====
==== 고등학교 ====
*[[공주금성여자고등학교]]
* [[공주금성여자고등학교]]
*[[공주여자고등학교]]
* [[공주여자고등학교]]
*[[영명고등학교]]
* [[영명고등학교]]
*[[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
* [[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
*[[공주고등학교]]
* [[공주고등학교]]
*[[충남과학고등학교]]
* [[충남과학고등학교]]
*[[공주마이스터고등학교]]
* [[공주마이스터고등학교]]
*[[공주정보고등학교]]
* [[공주정보고등학교]]
*[[한일고등학교]]
* [[한일고등학교]]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ref>한일고등학교와 함께 공주시 명문고 양대 산맥으로 자리잡고 있는 학교로 전국단위로 학생들을 받으며 고입 내신이 상당히 높다</ref>
*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ref>한일고등학교와 함께 공주시 명문고 양대 산맥으로 자리잡고 있는 학교로 전국단위로 학생들을 받으며 고입 내신이 상당히 높다</ref>


====중학교====
==== 중학교 ====
*[[공주북중학교]]
* [[공주북중학교]]
*[[봉황중학교]]
* [[봉황중학교]]
*[[공주중학교]]
* [[공주중학교]]
*[[공주여자중학교]]
* [[공주여자중학교]]
*[[유구중학교]]
* [[유구중학교]]
*[[탄천중학교]]
* [[탄천중학교]]
*[[정안중학교]]
* [[정안중학교]]
*[[우성중학교]]
* [[우성중학교]]
*[[반포중학교]]
* [[반포중학교]]
*[[사곡중학교]]
* [[사곡중학교]]
*[[이인중학교]]
* [[이인중학교]]
*[[공주영명중학교]]
* [[공주영명중학교]]
*[[경천중학교]]
* [[경천중학교]]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중학교]]
*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중학교]]


====초등학교====
==== 초등학교 ====
*[[공주교육대학교 부설초등학교]]
* [[공주교육대학교 부설초등학교]]
*[[봉황초등학교]]
* [[봉황초등학교]]
*[[교동초등학교]]
* [[교동초등학교]]
*[[중동초등학교]]
* [[중동초등학교]]
*[[신관초등학교]]
* [[신관초등학교]]
*[[신월초등학교]]
* [[신월초등학교]]
*[[효포초등학교]]
* [[효포초등학교]]
*[[우성초등학교]]
* [[우성초등학교]]
*[[의당초등학교]]
* [[의당초등학교]]
*[[경천초등학교]]
* [[경천초등학교]]
*[[탄천초등학교]]
* [[탄천초등학교]]
*[[이인초등학교]]
* [[이인초등학교]]
*[[주봉초등학교]]
* [[주봉초등학교]]
*[[마곡초등학교]]
* [[마곡초등학교]]
*[[학봉초등학교]]
* [[학봉초등학교]]
*[[호계초등학교]]
* [[호계초등학교]]
*[[정안초등학교]]
* [[정안초등학교]]
*[[반포초등학교]]
* [[반포초등학교]]


== 교통 ==
== 교통 ==
173번째 줄: 155번째 줄:


현재에도 충청남도의 교통의 중심지로서, [[1번 국도|국도 1호]], [[23번 국도|23호]], [[32번 국도|32호]], [[36번 국도|36호]], [[29번 국도|39호]], [[40번 국도|40호]], [[43번 국도|43호]] 등이 공주시와 충남 각 지역을 연결한다. 또한 [[논산천안고속도로]]를 통해 북으로는 수도권, 남으로는 호남 지역과도 쉽게 소통되며, [[2009년]] [[5월 28일]] 개통된 [[당진영덕고속도로]], [[서천공주고속도로]]를 통해 동서 방향의 교통이 더욱 좋아졌다. 또한 [[호남고속선]] 개통과 함께 KTX 전용 역인 [[공주역]]이 운영을 개시했다.
현재에도 충청남도의 교통의 중심지로서, [[1번 국도|국도 1호]], [[23번 국도|23호]], [[32번 국도|32호]], [[36번 국도|36호]], [[29번 국도|39호]], [[40번 국도|40호]], [[43번 국도|43호]] 등이 공주시와 충남 각 지역을 연결한다. 또한 [[논산천안고속도로]]를 통해 북으로는 수도권, 남으로는 호남 지역과도 쉽게 소통되며, [[2009년]] [[5월 28일]] 개통된 [[당진영덕고속도로]], [[서천공주고속도로]]를 통해 동서 방향의 교통이 더욱 좋아졌다. 또한 [[호남고속선]] 개통과 함께 KTX 전용 역인 [[공주역]]이 운영을 개시했다.
*고속버스:
* 고속버스:
1. [[공주종합버스터미널|공주]] > 서울(경부): 30~40분간격 / 금호고속
1. [[공주종합버스터미널|공주]] > 서울(경부) : 30~40분간격 / 금호고속


2. 공주 > 광주광역시(광천터미널): 1일6회 / 금호고속
2. 공주 > 광주광역시(광천터미널) : 1일6회 / 금호고속


3. 공주 > 함평: 1일2회, 광주경유 / 금호고속
3. 공주 > 함평 : 1일2회, 광주경유 / 금호고속


*시외버스: [[공주종합버스터미널]]에서 수도권 각 지역, [[대전광역시|대전]], [[충남]] 각 지역, [[충북]] [[청주시|청주]], [[강원도]] [[원주시]] 등으로 시외버스가 운행된다. 2013년 6월부터 [[인천국제공항]]행 시외버스가 개통, 운행 중이다.
* 시외버스: [[공주종합버스터미널]]에서 수도권 각 지역, [[대전광역시|대전]], [[충남]] 각 지역, [[충북]] [[청주시|청주]], [[강원도]] [[원주시]] 등으로 시외버스가 운행된다. 2013년 6월부터 [[인천국제공항]]행 시외버스가 개통, 운행 중이다.
*시내버스: 공주시 버스회사는 공주교통으로, 공주시 전역을 운행한다. [[세종특별자치시]]의 [[세종교통]]과 500번, 502번 버스를 공배하고 있다. [[공주시의 시내버스|공주시내버스]] 300번대 버스가 [[대전광역시]] [[유성구]]까지 운행하며 대전, 세종과 밀접한 생활권을 형성한다. 자세한 내용은 [[공주시 시내버스]]를 참고하도록 한다.
* 시내버스: 공주시 버스회사는 [[시민교통 (충남)|시민교통]]으로, 공주시 전역을 운행한다. [[세종특별자치시]]의 [[세종교통]]과 500번, 502번 버스를 공배하고 있다. [[공주시의 시내버스|공주시내버스]] 300번대 버스가 [[대전광역시]] [[유성구]]까지 운행하며 대전, 세종과 밀접한 생활권을 형성한다. 자세한 내용은 [[공주시의 시내버스]]를 참고하도록 한다.
*철도: 2015년에 [[호남고속선]] 개통과 함께 이인면 신영리에 KTX 전용 역인 [[공주역]]이 [[2015년]] [[4월 2일]]부터 여객 취급을 시행하면서 운영 중이다. 공주시와 [[논산시]]의 경계에 위치해있고 주변이 산이라 매우 불편하다. [[오송역]]으로 인해 역간 거리를 어느 정도는 길게 해주어야하는데 정치적인 이유로 애매한 위치에 만들게 되어서 영 좋지 않은 역이 되어버렸다.
* 철도: 2015년에 [[호남고속선]] 개통과 함께 이인면 신영리에 KTX 전용 역인 [[공주역]]이 [[2015년]] [[4월 2일]]부터 여객 취급을 시행하면서 운영 중이다.
 
<!--
==출신 인물==
== 주요 기관 ==
-->
== 출신 인물 ==
{{참고|분류:공주시 출신}}
{{참고|분류:공주시 출신}}
==자매 도시==
== 자매 도시 ==
*{{나라|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관악구]]
* {{국기|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관악구]]
*{{나라|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 {{국기|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나라|대한민국}} [[경기도]] [[구리시]]
* {{국기|대한민국}} [[경기도]] [[구리시]]
*{{나라|대한민국}} [[경기도]] [[부천시]]
* {{국기|대한민국}} [[경기도]] [[부천시]]
*{{나라|대한민국}} [[인천광역시]] [[계양구]]
* {{국기|대한민국}} [[인천광역시]] [[계양구]]
*{{나라|대한민국}} [[경상북도]] [[안동시]]
* {{국기|대한민국}} [[경상북도]] [[안동시]]
*{{나라|일본}} [[구마모토현]] [[다마나군]] [[나고미정]] (체결 당시는 ''기쿠스이 정'')
* {{국기|일본}} [[구마모토현]] [[다마나군]] [[나고미정]] (체결 당시는 ''기쿠스이 정'')
*{{나라|일본}} [[야마구치현]] [[야마구치시]]
* {{국기|일본}} [[야마구치현]] [[야마구치시]]
*{{나라|일본}} [[시가현]] [[모리야마시]]
* {{국기|일본}} [[시가현]] [[모리야마시]]
*{{나라|미국}} [[앨라배마주]] [[캘훈군 (앨라배마)|캘훈군]](Calhoun County)
* {{국기|미국}} [[앨라배마주]] [[캘훈군 (앨라배마주)|캘훈군]](Calhoun County)
*{{나라|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성]] [[선양시]](심양시, 沈阳市)
* {{국기|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성]] [[선양시]](심양시, 沈阳市)
==바깥 고리==
== 바깥 고리 ==
*[http://www.gongju.go.kr/ 공주시청 (공식)]
* <small>'''(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small> [http://www.gongju.go.kr/ 공주시청 (공식)]
*[http://tour.gongju.go.kr/ 공주문화관광 (공식)]
* <small>'''(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small> [http://tour.gongju.go.kr/ 공주문화관광 (공식)]


{{각주}}
{{각주}}
{{충청남도의 기초자치단체}}
{{충청남도의 기초자치단체}}
[[분류:충청남도의 행정구역]]
[[분류:공주시| ]]
[[분류:공주시| ]]
{{퍼온문서|공주시||일부}}
{{퍼온문서|공주시||일부}}


{{리브레 맵스 마커|36.45361570618702|127.12035119533539|10|공주시}}
{{리브레 맵스 마커|36.45361570618702|127.12035119533539|10|공주시}}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