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산당 선언/번역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서문의 출처 [[위키문헌:번역:공산당 선언/1872년 독일어판 서문]], [[퍼블릭 도메인]]
서문의 출처 [[위키문헌:번역:공산당 선언/1872년 독일어판 서문]], 퍼블릭 도메인
본문의 출처 [[위키문헌:번역:공산당_선언]], 퍼블릭 도메인


본문의 출처 [[위키문헌:번역:공산당_선언]], [[퍼블릭 도메인]]
== 서문 ==
 
== 1872년 서문 ==
당시 상황에서는 비밀 조직일 수밖에 없었던 국제 노동자 단체인 공산주의자 동맹<sup>(1)</sup>은 1847년 11월 런던에서 열린 대회에서, 앞으로 공포할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상세한 당 강령을 작성할 것을 아래 서명자들에게 맡겼다. 이렇게 하여 『선언』이 생겨나게 되었고<sup>(2)</sup>, 그 원고는 2월 혁명<sup>(3)</sup>이 일어나기 몇 주일 전에 인쇄하려고 런던으로 보내졌다. 처음에 독일어로 출판된 『선언』은 독일·영국·미국에서 출판되었는데, 독일어로만 적어도 12종의 서로 다른 판으로 거듭 출판되었다. 영어로는 1850년 런던에서 헬렌 맥팔레인(Helen Macfarlane) 양이 번역하여 『붉은 공화주의자』 <sup>(4)</sup>에 처음 발표되었으며 1871년에는 미국에서 적어도 3종의 서로 다른 번역본들이 출판되었다. 프랑스 어로는 1848년 6월 봉기<sup>[1]</sup> 직전에 파리에서 처음 출판되었고, 최근 뉴욕의 『사회주의자』(Le Socialiste)에 다시 실렸다. 현재 또 다른 번역본이 준비되고 있다. 폴란드 어로는 최초의 독일어판이 나온 지 얼마 안 되어 런던에서 출판되었다. 러시아 어로는 1860년대에 제네바에서 출판되었다. 던마크 어로 된 번역본 또한 최초의 판이 나온 뒤 곧 출간되었다.
당시 상황에서는 비밀 조직일 수밖에 없었던 국제 노동자 단체인 공산주의자 동맹<sup>(1)</sup>은 1847년 11월 런던에서 열린 대회에서, 앞으로 공포할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상세한 당 강령을 작성할 것을 아래 서명자들에게 맡겼다. 이렇게 하여 『선언』이 생겨나게 되었고<sup>(2)</sup>, 그 원고는 2월 혁명<sup>(3)</sup>이 일어나기 몇 주일 전에 인쇄하려고 런던으로 보내졌다. 처음에 독일어로 출판된 『선언』은 독일·영국·미국에서 출판되었는데, 독일어로만 적어도 12종의 서로 다른 판으로 거듭 출판되었다. 영어로는 1850년 런던에서 헬렌 맥팔레인(Helen Macfarlane) 양이 번역하여 『붉은 공화주의자』 <sup>(4)</sup>에 처음 발표되었으며 1871년에는 미국에서 적어도 3종의 서로 다른 번역본들이 출판되었다. 프랑스 어로는 1848년 6월 봉기<sup>[1]</sup> 직전에 파리에서 처음 출판되었고, 최근 뉴욕의 『사회주의자』(Le Socialiste)에 다시 실렸다. 현재 또 다른 번역본이 준비되고 있다. 폴란드 어로는 최초의 독일어판이 나온 지 얼마 안 되어 런던에서 출판되었다. 러시아 어로는 1860년대에 제네바에서 출판되었다. 던마크 어로 된 번역본 또한 최초의 판이 나온 뒤 곧 출간되었다.


154번째 줄: 153번째 줄:
(20) 매뉴팩처(Manufaktur)  중세의 동업 조합적 수공업에서 근대의 자본주의적 기계 공업으로 이행하던 과도기에 번성했던 생산 조직 형태로 흔히 공장제 수공업이라고 번역된다. 매뉴팩처 제도 밑에서는 개개의 수공업자들이 한 장소에 모여서 공장주의 감독을 받으면서 임금 노동자로 생산 활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자본가와 노동자의 구분이 명확하게 되었지만, 아직 기계가 등장하지 않았기 때문에 여전히 손과 도구로 작업하는 수공업이 이루어졌다.
(20) 매뉴팩처(Manufaktur)  중세의 동업 조합적 수공업에서 근대의 자본주의적 기계 공업으로 이행하던 과도기에 번성했던 생산 조직 형태로 흔히 공장제 수공업이라고 번역된다. 매뉴팩처 제도 밑에서는 개개의 수공업자들이 한 장소에 모여서 공장주의 감독을 받으면서 임금 노동자로 생산 활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자본가와 노동자의 구분이 명확하게 되었지만, 아직 기계가 등장하지 않았기 때문에 여전히 손과 도구로 작업하는 수공업이 이루어졌다.


== 제2장 프롤레타리아와 공산주의자 ==
공산주의자들은 프롤레타리아 전체와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가?
공산주의자들은 프롤레타리아 전체와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가?


195번째 줄: 193번째 줄:
이처럼 자본은 개인적 힘이 아니라 사회적 힘이다.  
이처럼 자본은 개인적 힘이 아니라 사회적 힘이다.  


따라서 만약 자본이 공동체의 소유, 즉 사회 구성원 전체의 소유로 바뀐다고 하더라도 개인적 소유가 사회적 소유로 바뀌는 것은 아니다. 바뀌는 것은 오직 소유의 사회적 성격뿐이다. 즉 소유의 사회적 성격은 그 계급성을 잃을 뿐이다.
따라서 만약 자본이 공동체의 소유, 즉 사회 성원 전체의 소유로 바뀐다고 하더라도 개인적 소유가 사회적 소유로 바뀌는 것은 아니다. 바뀌는 것은 오직 소유의 사회적 성격뿐이다. 즉 소유의 사회적 성격은 그 계급성을 잃을 뿐이다.  


임금 노동으로 넘어가자.  
임금 노동으로 넘어가자.  
201번째 줄: 199번째 줄:
임금 노동의 평균 가격은 최저 임금, 다시 말하면 노동자가 노동자로서 생활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생활 수단의 총액이다. 따라서 임금 노동자가 자기 활동의 결과로 얻는 것은 고작 자신의 생명을 재생산할 만큼에 지나지 않는다. 우리는 결코 생명의 재생산에 직접 필요한 노동 생산물의 이러한 개인적 점유, 즉 다른 사람의 노동에 대한 지배권을 가져다 줄 만한 순이익을 전혀 남기지 않는 점유를 폐지하려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다만 노동자로 하여금 자본의 증식을 위해서 생존하게 만들며 지배 계급의 이익이 요구하는 한에서만 생존하게 만드는 점유의 비참한 성격을 철폐하려는 것이다.  
임금 노동의 평균 가격은 최저 임금, 다시 말하면 노동자가 노동자로서 생활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생활 수단의 총액이다. 따라서 임금 노동자가 자기 활동의 결과로 얻는 것은 고작 자신의 생명을 재생산할 만큼에 지나지 않는다. 우리는 결코 생명의 재생산에 직접 필요한 노동 생산물의 이러한 개인적 점유, 즉 다른 사람의 노동에 대한 지배권을 가져다 줄 만한 순이익을 전혀 남기지 않는 점유를 폐지하려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다만 노동자로 하여금 자본의 증식을 위해서 생존하게 만들며 지배 계급의 이익이 요구하는 한에서만 생존하게 만드는 점유의 비참한 성격을 철폐하려는 것이다.  


부르주아 사회에서는 살아있는 노동이 축적된 노동을 늘리는 수단 일 뿐이고, 공산주의 사회에서는 축적된 노동이 노동자의 생활을 폭넓게 하고 풍요롭게 하며 장려하는 수단일 뿐이다.  
부르주아 사회에서는 살아 있는 노동이 축적된 노동을 늘리는 수단 일 뿐이고, 공산주의 사회에서는 축적된 노동이 노동자의 생활을 폭넓게 하고 풍요롭게 하며 장려하는 수단일 뿐이다.  


이처럼 부르주아 사회에서는 과거가 현재를 지배하나. 공산주의 사회에서는 현재가 과거를 지배한다. 부르주아 사회에서는 자본이 독자성과 개성을 갖고 있는 반면에, 활동하는 개인은 독자성과 개성을 잃고 있다.  
이처럼 부르주아 사회에서는 과거가 현재를 지배하나. 공산주의 사회에서는 현재가 과거를 지배한다. 부르주아 사회에서는 자본이 독자성과 개성을 갖고 있는 반면에, 활동하는 개인은 독자성과 개성을 잃고 있다.  
211번째 줄: 209번째 줄:
그러나 매매가 없어지면 매매의 자유도 없어진다. 매매의 자유에 관한 이야기는, 자유에 관한 우리 부르주아지의 다른 모든 호언 장담과 마찬가지로 대개 자유롭지 못하던 매매나 중세의 예속된 상인들에게는 뜻있는 것이지만 공산주의자가 주장하는 매매의 페지, 부르주아적 생산 관계와 부르주아지 자체의 폐지에 대해서는 아무런 의의도 갖지 못한다.  
그러나 매매가 없어지면 매매의 자유도 없어진다. 매매의 자유에 관한 이야기는, 자유에 관한 우리 부르주아지의 다른 모든 호언 장담과 마찬가지로 대개 자유롭지 못하던 매매나 중세의 예속된 상인들에게는 뜻있는 것이지만 공산주의자가 주장하는 매매의 페지, 부르주아적 생산 관계와 부르주아지 자체의 폐지에 대해서는 아무런 의의도 갖지 못한다.  


당신들은 우리가 사적 소유를 폐지하려 한다고 해서 놀라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당신들의 사회에서 사회 성원의 90%에게는 이미 사적 소유가 폐지되어 있다. 소수에게 사적 소유가 존재하는 것은 오직 이들 90%에게는 사적 소유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당신들은, 우리가 사회 구성원 대다수의 무소유를 필수 조건으로 하는 소유를 폐지하려 한다고 우리를 비난하는 셈이다.  
당신들은 우리가 사적 소유를 폐지하려 한다고 해서 놀라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당신들의 사회에서 사회 성원의 90% 에게는 이미 사적 소유가 폐지되어 있다. 소수에게 사적 소유가 존재하는 것은 오직 이들 90% 에게는 사적 소유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당신들은, 우리가 사회 성원 대다수의 무소유를 필수 조건으로 하는 소유를 폐지하려 한다고 우리를 비난하는 셈이다.  


한마디로 당신들은, 우리가 당신들의 소유를 폐지하려 한다고 우리를 비난하는 것이다. 그렇다. 우리는 실제로 그렇게 하려고 한다.  
한마디로 당신들은, 우리가 당신들의 소유를 폐지하려 한다고 우리를 비난하는 것이다. 그렇다. 우리는 실제로 그렇게 하려고 한다.  
231번째 줄: 229번째 줄:
그러나 자유니 교육이니 법이니 뭐니 하는 당신들의 부르주아적 관념을 바탕으로 부르주아적 소유를 폐지하는 데 대해 왈가왈부하려거든 더 이상 우리와 논쟁할 생각을 말라. 당신들의 사상 자체가 부르주아적 생산 관계, 부르주아적 소유 관계의 산물이니까. 그것은 당신들의 법률이 당신네 계급의 의지, 즉 그 내용은 당신네 계급의 물질적인 생활 조건 속에서 주어지면서도 (객관적인--역자) 법칙으로까지 높여진 의지에 지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다.  
그러나 자유니 교육이니 법이니 뭐니 하는 당신들의 부르주아적 관념을 바탕으로 부르주아적 소유를 폐지하는 데 대해 왈가왈부하려거든 더 이상 우리와 논쟁할 생각을 말라. 당신들의 사상 자체가 부르주아적 생산 관계, 부르주아적 소유 관계의 산물이니까. 그것은 당신들의 법률이 당신네 계급의 의지, 즉 그 내용은 당신네 계급의 물질적인 생활 조건 속에서 주어지면서도 (객관적인--역자) 법칙으로까지 높여진 의지에 지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다.  


당신들은 편견에 사로잡혀 당신들의 생산 관계와 소유 관계가 생산 발전 과정에서 나타나는 일시적이며 역사적인 것이 아니라 자연과 이성의 영원한 법칙인 것처럼 바꿔놓고 있는데, 이런 점에서 당신들은 이미 멸망해 버린 과거의 모든 지배 계급들과 마찬가지다. 고대적 소유나 봉건적 소유에 대해서는 당신들 스스로가 명백히 알고 있는 사실을 당신들 자신의 부르주아적 소유가 문제되면 더 이상은 모르겠다고 잡아떼는 것이다.  
당신들은 편견에 사로잡혀 당신들의생산 관계와 소유 관계가 생산 발전 과정에서 나타나는 일시적이며 역사적인 것이 아니라 자연과 이성의 영원한 법칙인 것처럼 바꿔 놓고 있는데, 이런 점에서 당신들은 이미 멸망해 버린 과거의 모든 지배 계급들과 마찬가지다. 고대적 소유나 봉건적 소유에 대해서는 당신들 스스로가 명백히 알고 있는 사실을 당신들 자신의 부르주아적 소유가 문제되면 더 이상은 모르겠다고 잡아떼는 것이다.  


가족의 폐지라니! 공산주의자들의 이 비열한 의도에 대해서는 가장 극단적인 급진주의자들까지도 격분하고 있다.
가족의 폐지라니! 공산주의자들의 이 비열한 의도에 대해서는 가장 극단적인 급진주의자들까지도 격분하고 있다.
243번째 줄: 241번째 줄:
그러나 당신들은 우리가 가정 교육을 사회 교육으로 바꿔 인간의 가장 고귀한 관계를 파괴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당신들은 우리가 가정 교육을 사회 교육으로 바꿔 인간의 가장 고귀한 관계를 파괴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면 당신들의 교육은 사회에 의해 규정되지 않는다는 말인가? 과연 당신들의 교육은 그것을 둘러싼 사회적 관계들에 의해 규정되지 않으며, 학교와 사회의 직접·간접적인 간섭 등에 의해 규정되지 않는다는 말인가? 공산주의자들은 교육에 대한 사회의 개입을 고안해 내지 않는다. 다만 그 개입의 성격을 바꿔 교육을 지배 계급의 영향에서 벗어나게 할 따름이다.  
그러면 당신들의 교육은 사회에 의해 규정되지 않는다는 말인가? 과연 당신들의 교육은 그것을 둘러싼 사회적 관계들에 의해 규정되지 않으며, 학교와 사회의 직접·간접적인 간섭 등에 의해 규정되지 않는다는 말인가?공산주의자들은 교육에 대한 사회의 개입을 고안해 내지 않는다. 다만 그 개입의 성격을 바꿔 교육을 지배 계급의 영향에서 벗어나게 할 따름이다.  


가정, 교육, 그리고 부모와 자녀 사이의 화목한 관계라는 부르주아들의 입에 발린 이야기는 프롤레타리아트의 모든 가족적 유대가 대공업에 의해 갈갈이 찢길수록, 그리하여 아동들이 단순한 판매품이나 노동 도구로 전락할수록 더욱 더 혐오감을 불러일으키게 된다.  
가정, 교육, 그리고 부모와 자녀 사이의 화목한 관계라는 부르주아들의 입에 발린 이야기는 프롤레타리아트의 모든 가족적 유대가 대공업에 의해 갈갈이 찢길수록, 그리하여 아동들이 단순한 판매품이나 노동 도구로 전락할수록 더욱더 혐오감을 불러일으키게 된다.  


그런데 당신들 공산주의자들은 부인 고유제를 도입하려 하지는 않는가 하고 부르주아지 전체가 입을 모아 외친다.  
그런데 당신들 공산주의자들은 부인 고유제를 도입하려 하지는 않는가 하고 부르주아지 전체가 입을 모아 외친다.  


부르주아들은 자신들의 아내를 단순한 생산 도구로 밖에 생산하지 않는다. 그래서 부르주아들은, 생산 도구를 함께 사용하려 한다는 말을 듣고서는 여성들도 똑같은 처지에 빠질 것이라고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부르주아들은 자신들의 아내를 단순한 생산 도구로밖에 생산하지 않는다. 그래서 부르주아들은, 생산 도구를 함께 사용하려 한다는 말을 듣고서는 여성들도 똑같은 처지에 빠질 것이라고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그들은 한갖 생산 도구에 지나지 않는 여성의 처지를 타파하는 것, 바로 그것이 문제라는 사실에 대해서는 전혀 생각조차 못하고 있다.  
그들은 한갖 생산 도구에 지나지 않는 여성의 처지를 타파하는 것, 바로 그것이 문제라는 사실에 대해서는 전혀 생각조차 못하고 있다.  
257번째 줄: 255번째 줄:
우리 부르주아들은 공식적인 매춘은 말할 것도 없거니와, 노동자들의 아내와 딸을 농락하는 것으로도 만족하지 않고 자신들의 아내를 서로 유혹하는 것을 주된 쾌락으로 삼고 있으니 말이다.  
우리 부르주아들은 공식적인 매춘은 말할 것도 없거니와, 노동자들의 아내와 딸을 농락하는 것으로도 만족하지 않고 자신들의 아내를 서로 유혹하는 것을 주된 쾌락으로 삼고 있으니 말이다.  


부르주아적 결혼은 사실상 부인 공유제다. 그들은 기껏해야 공산주의자들이 위선적이고 가려진 부인 공유제 대신에 공식적이고 공인된 부인 공유제를 도입하려 한다고 비난할 수 있을 뿐이다. 그러나 그건 그렇다치고 현재의 생산 관계가 소멸하면 그 생산 관계에서 비롯된 부인 공유제, 즉 공식·비공식적 매춘 또한 소멸할 것임은 너무도 분명한 일이다. 다음으로 공산주의자들은 조국과 국적을 없애 버리려 한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부르주아적 결혼은 사실상 부인 공유제다. 그들은 기껏해야 공산주의자들이 위선적이고 가려진 부인 공유제 대신에 공식적이고 공인된 부인 공유제를 도입하려 한다고 비난할 수 있을 뿐이다. 그러나 그건 그렇다치고 현재의 생산 관계가 소멸하면 그 생산 관계에서 비롯된 부인 공유제, 즉 공식·비공식적 매춘 또한 소멸할 것임은 너무도 분명한 일이다.   다음으로 공산주의자들은 조국과 국적을 없애 버리려 한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노동자들에게는 조국이 없다. 그들이 갖고 있지 않은 것을 그들에게서 빼앗을 수는 없다. 프롤레타리아트는 우선 정치적 지배권을 장악하여 민족적 계급(nationale Klasse)으로<sup>[13]</sup> 올라서야 하며 스스로 민족으로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비록 부르주아지가 생각하는 의미에서는 아닐지라도 스스로 또한 민족적이다.  
노동자들에게는 조국이 없다. 그들이 갖고 있지 않은 것을 그들에게서 빼앗을 수는 없다. 프롤레타리아트는 우선 정치적 지배권을 장악하여 민족적 계급(nationale Klasse)으로<sup>[13]</sup> 올라서야 하며 스스로 민족으로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비록 부르주아지가 생각하는 의미에서는 아닐지라도 스스로 또한 민족적이다.  
330번째 줄: 328번째 줄:
프랑스와 영국의 귀족들은 그 역사적 지위로 말미암아 현대 부르주아 사회를 반대하는 소책자를 써야 할 사명을 지니고 있었다.  
프랑스와 영국의 귀족들은 그 역사적 지위로 말미암아 현대 부르주아 사회를 반대하는 소책자를 써야 할 사명을 지니고 있었다.  


1830년의 프랑스 7월 혁명과 영국의 선거법 개정 운동에서, 밉살맞은 벼락 부자들이 또 한 번 프랑스와 영국의 귀족들에게 패배를 안겨 주었다. 중대한 정치 투쟁에 관해서는 더 이상 두말할 여지조차 없게 되었다. 귀족들에게는 글을 통한 투쟁만이 남게 되었다. 그러나 문필 활동 분야에서도 왕정 복고 시대의 낡은 문구로는 이미 통하지 않게 되었다. 사람들의 공감을 얻으려고, 귀족들은 이제 자기 자신의 이해 관계를 고려해서가 아니라 오로지 착취받는 노동자 계급의 이익을 위해서 부르주아지를 고발하는 체할 수밖에 없었다. 그들은 자신들의 새로운 지배자를 비방하는 노래를 부르고 약간 불길한 예언을 이 지배자의 귀에 속삭여 분풀이를 했다.  
1830년의 프랑스 7월 혁명과 영국의 선거법 개정 운동에서, 밉살맞은 벼락 부자들이 또 한 번 프랑스와 영국의 귀족들에게 패배를 안겨 주었다. 중대한 정치 투쟁에 관해서는 더 이상 두말할 여지조차 없게 되었다. 귀족들에게는 글을 통한 투쟁만이 남게 되었다. 그러나 문필 활동 분야에서도 왕정 복고 시대 의 낡은 문구로는 이미 통하지 않게 되었다. 사람들의 공감을 얻으려고, 귀족들은 이제 자기 자신의 이해 관계를 고려해서가 아니라 오로지 착취받는 노동자 계급의 이익을 위해서 부르주아지를 고발하는 체할 수밖에 없었다. 그들은 자신들의 새로운 지배자를 비방하는 노래를 부르고 약간 불길한 예언을 이 지배자의 귀에 속삭여 분풀이를 했다.  


이렇게 해서 생겨난 봉건적 사회주의는 일부는 장송곡이요, 일부는 비방문이며, 일부는 과거의 메아리요, 일부는 미래에 대한 위협이다. 때로는 신랄하고 기지에 찬 독설적인 선고로 부르주아지의 간담을 서늘하게 한 일도 있었으나, 현대사의 진로를 이해할 만한 능력이 전혀 없었기 때문에 언제나 희극적인 인상을 남겼을 뿐이다.  
이렇게 해서 생겨난 봉건적 사회주의는 일부는 장송곡이요, 일부는 비방문이며, 일부는 과거의 메아리요, 일부는 미래에 대한 위협이다. 때로는 신랄하고 기지에 찬 독설적인 선고로 부르주아지의 간담을 서늘하게 한 일도 있었으나, 현대사의 진로를 이해할 만한 능력이 전혀 없었기 때문에 언제나 희극적인 인상을 남겼을 뿐이다.  
420번째 줄: 418번째 줄:
부르주아 사회주의란 한마디로, 부르주아는---노동자 계급의 이익을 위한---부르주아라는 주장으로 요약될 수 있다.
부르주아 사회주의란 한마디로, 부르주아는---노동자 계급의 이익을 위한---부르주아라는 주장으로 요약될 수 있다.


=== 비판·공상적 사회주의와 공산주의 ===
== 비판·공상적 사회주의와 공산주의 ==
우리가 여기서 논하려는 것은 근대의 모든 대혁명에서 프롤레타리아트의 요구를 표현한 문헌(바뵈프<sup>(23)</sup>의 저작 등등)이 아니다.  
우리가 여기서 논하려는 것은 근대의 모든 대혁명에서 프롤레타리아트의 요구를 표현한 문헌(바뵈프<sup>(23)</sup>의 저작 등등)이 아니다.  


449번째 줄: 447번째 줄:
영국의 오언주의자들은 차티스트들<sup>(27)</sup>을 반대하고, 프랑스의 푸리에주의자들은 개혁주의자들<sup>[22]</sup>을 반대한다.
영국의 오언주의자들은 차티스트들<sup>(27)</sup>을 반대하고, 프랑스의 푸리에주의자들은 개혁주의자들<sup>[22]</sup>을 반대한다.


=== 저자의 주 ===
== 저자의 주 ==
<nowiki><1></nowiki> 1660~1689년의 영국의 왕정 복고 시대가 아니라 1814~1830년의 프랑스의 왕정 복고 시대를 가리킨다. [1888년 영어판에 붙인 엥겔스의 주--편집자]  
<nowiki><1></nowiki> 1660~1689년의 영국의 왕정 복고 시대가 아니라 1814~1830년의 프랑스의 왕정 복고 시대를 가리킨다. [1888년 영어판에 붙인 엥겔스의 주--편집자]  


461번째 줄: 459번째 줄:


'국내 이민지'(Home Kolonien)란 오언이 자신의 공산주의적 모범 사회에 붙인 이름이다. 팔랑스테르는 푸리에가 계획한 공공 궁전의 이름이다. 이카리아란 카베가 묘사한 공산주의 제도를 실시하는 유토피아적 환상의 나라를 가리킨다. [1890년 독일어판에 붙인 엥겔스의 주--편집자]  
'국내 이민지'(Home Kolonien)란 오언이 자신의 공산주의적 모범 사회에 붙인 이름이다. 팔랑스테르는 푸리에가 계획한 공공 궁전의 이름이다. 이카리아란 카베가 묘사한 공산주의 제도를 실시하는 유토피아적 환상의 나라를 가리킨다. [1890년 독일어판에 붙인 엥겔스의 주--편집자]  
=== 편집자의 주 ===
== 편집자의 주 ==
[16] 정통 왕당파(Legitimisten)  1830년에 타도된 부르봉 왕조의 추종자들로 세습적인 대토지 소유 귀족의 이해 관계를 대변했다. 이들은 금융 귀족과 대부르주아지의 지지를 받던 오를레앙 공의 왕정(7월 왕정)에 대항하여 싸웠는데, 이때 정통 왕당파의 일부는 종종 대중 선동에 호소하면서 부르주아지의 착취로부터 근로 대중을 보호하는 척했다.  
[16] 정통 왕당파(Legitimisten)  1830년에 타도된 부르봉 왕조의 추종자들로 세습적인 대토지 소유 귀족의 이해 관계를 대변했다. 이들은 금융 귀족과 대부르주아지의 지지를 받던 오를레앙 공의 왕정(7월 왕정)에 대항하여 싸웠는데, 이때 정통 왕당파의 일부는 종종 대중 선동에 호소하면서 부르주아지의 착취로부터 근로 대중을 보호하는 척했다.  


491번째 줄: 489번째 줄:
(27) 차티스트들(Chartisten)  영국에서 일어난 차티스트 운동의 지지자들. 이 운동은 노동자 계급이 주도한 세계 최초의 정치 운동으로 1836년부터 1848년까지 계속되었다. 이들은 노동자들의 정치 참여를 제한하는 선거법을 개정할 것을 요구했으며, 노동자들이 자신들의 생활 조건을 개선하고 사회적 지위를 높이려면 적극적으로 정치에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27) 차티스트들(Chartisten)  영국에서 일어난 차티스트 운동의 지지자들. 이 운동은 노동자 계급이 주도한 세계 최초의 정치 운동으로 1836년부터 1848년까지 계속되었다. 이들은 노동자들의 정치 참여를 제한하는 선거법을 개정할 것을 요구했으며, 노동자들이 자신들의 생활 조건을 개선하고 사회적 지위를 높이려면 적극적으로 정치에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제4장 각종 반정부당들에 대한 공산주의자의 태도 ==
이미 형성된 노동자당들에 대한 공산주의자들의 태도, 즉 영국의 차티스트들과 미국의 농업 개혁론자들에 대한 공산주의자들의 태도는 제2절에서 본 바대로 명백한 것이다.  
이미 형성된 노동자당들에 대한 공산주의자들의 태도, 즉 영국의 차티스트들과 미국의 농업 개혁론자들에 대한 공산주의자들의 태도는 제2절에서 본 바대로 명백한 것이다.  


515번째 줄: 512번째 줄:
    
    
만국의 프롤레타리아여, 단결하라!
만국의 프롤레타리아여, 단결하라!
===저자의 주 ===
<nowiki><1></nowiki> 당시 의회에서는 르드뤼 롤랑(Ledru Rollin), 문헌상으로는 루이 블랑(Louis Blanc), 일간 신문으로는 『개혁』(La Refome)지로 대표되던 당. 이 이름을 고안한 사람들에게 '사회 민주당'이라는 명칭은, 민주당이나 공화당 안에서 조금이라도 사회주의적 색체를 가진 분파를 뜻했다. [1888년 영어판에 붙인 엥겔스의 주--편집자]


당시 프랑스에서 사회 민주당으로 불리던 당은 정치상으로는 르드뤼 롤랑, 문헌상으로는 루이 블랑으로 대표되었다. 따라서 오늘날의 독일 사회 민주당과는 꽤 차이가 있다. [1890년 독일어판에 붙인 엥겔스의 주--편집자]
== 저자의 주 ==
===편집자의 주===
<nowiki><1></nowiki> 당시 의회에서는 르드뤼 롤랑(Ledru Rollin), 문헌상으로는 루이 블랑(Louis Blanc), 일간 신문으로는 『개혁』(La Refome)지로 대표되던 당. 이 이름을 고안한 사람들에게 '사회 민주당'이라는 명칭은, 민주당이나 공화당 안에서 조금이라도 사회주의적 색체를 가진 분파를 뜻했다. [1888년 영어판에 붙인 엥겔스의 주--편집자]  
[23] 크라코프 폭동  1846년 2월 폴란드의 각지에서 폴란드 인의 민족 해방을 목포로 하는 반란이 준비되었다. 반란의 주모자들은 대개 폴란드의 혁명적 민주주의자들이었다. 그러나 하층 귀족 일부가 배반하고 반란 지도자가 프로이센 경찰에 체포됨에 따라 전면적 봉기는 실패로 돌아가고 곳곳에서 분산적인 소요가 일어나는 것으로 그쳤다. 다만 1815년 이래 오스트리아, 러시아, 프로이센이 공동 관리하던 크라코프 공화국에서는 2월 22일 폭동이 성공한 뒤에 민족 정부가 세워졌으며 이 정부는 봉건적 부과조(賦課租)를 폐지한다고 선언했다. 동시에 갈리친(Galizien)에서 우크라이나 농부들의 봉기가 타올랐다. 그러나 오스트리아 정부는 하층 귀족과 농민 사이의 계급 대립과 민족 대립을 이용하여 때때로 하층 귀족 반란군과 폭동을 일으킨 농민들이 서로 충돌하게 만드는 데 성공했다. 크로카프 봉기는 1846년 3월 초에 진압되었으며, 그 뒤 오스트리아 정부는 갈리친의 농민 운동을 탄압했다. 1846년 11월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러시아는 크라코프를 오스트리아에 합병하는 조약을 체결했다.


{{각주}}
당시 프랑스에서 사회 민주당으로 불리던 당은 정치상으로는 르드뤼 롤랑, 문헌상으로는 루이 블랑으로 대표되었다. 따라서 오늘날의 독일 사회 민주당과는 꽤 차이가 있다. [1890년 독일어판에 붙인 엥겔스의 주--편집자]
== 편집자의 주 ==


[[분류:정치학]]
[23] 크라코프 폭동  1846년 2월 폴란드의 각지에서 폴란드 인의 민족 해방을 목포로 하는 반란이 준비되었다. 반란의 주모자들은 대개 폴란드의 혁명적 민주주의자들이었다. 그러나 하층 귀족 일부가 배반하고 반란 지도자가 프로이센 경찰에 체포됨에 따라 전면적 봉기는 실패로 돌아가고 곳곳에서 분산적인 소요가 일어나는 것으로 그쳤다. 다만 1815년 이래 오스트리아, 러시아, 프로이센이 공동 관리하던 크라코프 공화국에서는 2월 22일 폭동이 성공한 뒤에 민족 정부가 세워졌으며 이 정부는 봉건적 부과조(賦課租)를 폐지한다고 선언했다. 동시에 갈리친(Galizien)에서 우크라이나 농부들의 봉기가 타올랐다. 그러나 오스트리아 정부는 하층 귀족과 농민 사이의 계급 대립과 민족 대립을 이용하여 때때로 하층 귀족 반란군과 폭동을 일으킨 농민들이 서로 충돌하게 만드는 데 성공했다. 크로카프 봉기는 1846년 3월 초에 진압되었으며, 그 뒤 오스트리아 정부는 갈리친의 농민 운동을 탄압했다. 1846년 11월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러시아는 크라코프를 오스트리아에 합병하는 조약을 체결했다.
[[분류:세계기록유산]]
[[분류:마르크스주의]]
[[분류:공산주의]]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