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철도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고속철도(高速鐵道)
{{+1|고속철도}}<br />高速鐵道<br />High-speed rail<br />Grande vitesse ferroviaire<br />Hochgeschwindigkeitsverkehr
:{{영어|High-speed rail}}
:{{프랑스어|Grande vitesse ferroviaire}}
:{{독일어|Hochgeschwindigkeitsverkehr}}


== 개요 ==
== 개요 ==
기존의 철도 차량보다 더 빠른 철도 차량, 또 그에 대응할 수 있는 시설들을 지칭한다. 고속철도에 대한 정의는 각 국가별로 다소 다른데,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정의로는 국제 철도연맹에 의한 정의로, 개량된 선로에서 200 km/h 이상, 새로 건설된 선로에서 250 km/h 이상을 내도록 설계된 차량과 시설을 통칭한다.<ref>http://www.uic.org/highspeed</ref> 단, 이 정의가 생기기 이전에 지어진 노선들에 대해서는 관행적으로 고속철도라고 인정하는 편이다. 가령 신칸센 0계라든지 죠에츠 신칸센<ref>물론 한때 275 km/h 운전이 이루어졌을 땐 정식 고속철도였으나, 현재는 240 km/h로 억제된 편이라 문제가 될 수는 있다.</ref> 같은 경우는 이 정의를 만족시키지는 못하지만, 과거부터 쭉 고속철도로 인정받아 왔기에 별도로 분리해보지는 않는 편.
기존의 철도 차량보다 더 빠른 철도 차량, 또 그에 대응할 수 있는 시설들을 지칭한다. 고속철도에 대한 정의는 각 국가별로 다소 다른데,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정의로는 국제 철도연맹에 의한 정의로, 개량된 선로에서 200 km/h 이상, 새로 건설된 선로에서 250 km/h 이상을 내도록 설계된 차량과 시설을 통칭한다.<ref>http://www.uic.org/highspeed</ref> 단, 이 정의가 생기기 이전에 지어진 노선들에 대해서는 관행적으로 고속철도라고 인정하는 편이다. 가령 신칸센 0계라든지 죠에츠 신칸센<ref>물론 한때 275 km/h 운전이 이루어졌을 땐 정식 고속철도였으나, 현재는 240 km/h로 억제된 편이라 문제가 될 수는 있다.</ref> 같은 경우는 이 정의를 만족시키지는 못하지만, 과거부터 쭉 고속철도로 인정받아 왔기에 별도로 분리해보지는 않는 편.


고속철도에 대한 국내에서의 법적 정의는 "열차가 주요 구간을 시속 200 킬로미터 이상으로 주행하는 철도로서 국토교통부장관이 그 노선을 지정·고시하는 철도"이다.<ref>「철도의 건설 및 철도시설 유지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제2항</ref> 따라서 200 km/h 이상으로 달릴 수 있는 구간을 포함한 노선으로서 국가가 별도로 지정한 노선이 고속철도가 되며, 이 구간 중에 일반철도와 비슷한 속도로 다니는 구간(도심지 구간)이 포함되어 있어도 해당 구간은 고속철도로 간주한다.
고속철도에 대한 국내에서의 법적 정의는 "열차가 주요 구간을 시속 200 킬로미터 이상으로 주행하는 철도로서 국토교통부장관이 그 노선을 지정·고시하는 철도"이다.<ref>철도건설법 제2조</ref> 따라서 200 km/h 이상으로 달릴 수 있는 구간을 포함한 노선으로서 국가가 별도로 지정한 노선이 고속철도가 되며, 이 구간 중에 일반철도와 비슷한 속도로 다니는 구간(도심지 구간)이 포함되어 있어도 해당 구간은 고속철도로 간주하게 된다.
 
「철도사업법 시행규칙」에서는 요금의 차등을 두기 위해, 300 km/h 이상인 '고속철도' 노선과 200km/h 이상 300km/h 미만인 '준고속철도' 노선으로 세분화되어 있다.


== 역사 ==
== 역사 ==
27번째 줄: 22번째 줄:
*도입노선 : 런던-안드-노스이스턴(LNR)
*도입노선 : 런던-안드-노스이스턴(LNR)
*동력방식 : 증기(!!!)
*동력방식 : 증기(!!!)
*기록속력 : 202.8km/h [[1938년]] [[7월 3일]] 그란삼-피타보로 구간
*기록속력 : 202.8km/h {{날짜/출력|1938-7-3}} 그란삼-피타보로 구간
*제원 : 차륜경 2,032mm, 3실린더 470×660mm, 보일러압력 17.6kg/cm³, 화상면적3.83m², 길이 21,652mm 동륜추출력 1,650PS
*제원 : 차륜경 2,032mm, 3실린더 470×660mm, 보일러압력 17.6kg/cm³, 화상면적3.83m², 길이 21,652mm 동륜추출력 1,650PS
*현재상태 : 요크 철도박물관 정태보존
*현재상태 : 요크 철도박물관 정태보존
121번째 줄: 116번째 줄:
=== 일본식 ===
=== 일본식 ===
[[일본]] 및 [[타이완]]에서 채용 중인 방식으로, 일본의 [[신칸센]]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다. 다른 고속철도와 달리 독특한 요소가 많은 편.
[[일본]] 및 [[타이완]]에서 채용 중인 방식으로, 일본의 [[신칸센]]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다. 다른 고속철도와 달리 독특한 요소가 많은 편.
* 동력분산식: 최초부터 각 차량에 동력이 배분된 동력분산식 방식을 사용하였다.
* 동력분산식: 최초부터 각 차량에 동력이 배분된 동력분산식 방식을 사용하였다.
* 완전분리형: 기존 철도 노선과 호환이 되지 않는 형태로 완전하게 분리된 체계를 사용한다. 기존선 활용이 아주 불가능한 건 아니지만, 불리한 요소가 상당한 편이다.
* 완전분리형: 기존 철도 노선과 호환이 되지 않는 형태로 완전하게 분리된 체계를 사용한다. 기존선 활용이 아주 불가능한 건 아니지만, 불리한 요소가 상당한 편이다.


특히 신칸센 시스템은 단일 노선 대용량 수송에 특화된 형태로, 일본이나 타이완 같이 인구밀도가 높고 축선 형태로 인구 구조가 형성된 나라에는 유리한 편이다. 그러나 시스템 활용성이 떨어지는 것과 차량 경량화 문제로 인한 안전 문제<ref>완전분리형에 동력분산식이다보니 동력을 높이고 중량을 줄일 수밖에 없어 상대적으로 차체 강도가 낮은 편이다.</ref> 등은 개선해야 할 과제로 꼽히고 있다.
특히 신칸센 시스템은 단일 노선 대용량 수송에 특화된 형태로, 일본이나 타이완 같이 인구밀도가 높고 축선 형태로 인구 구조가 형성된 나라에는 유리한 편이다. 그러나 시스템 활용성이 떨어지는 것과 차량 경량화 문제로 인한 안전 문제<ref>완전분리형에 동력분산식이다보니 동력을 높이고 중량을 줄일 수 밖에 없어 상대적으로 차체 강도가 낮은 편이다.</ref> 등은 개선해야 할 과제로 꼽히고 있다.


=== 유럽식 ===
=== 유럽식 ===
136번째 줄: 132번째 줄:


== 운용 국가 ==
== 운용 국가 ==
* {{나라|프랑스}} - [[TGV]]: 신칸센에 자극을 받았으나, 신칸센과는 완전히 다른 기존선 혼합 운용이 자유로운 시스템.
* {{국기나라|프랑스}} - [[TGV]]: 신칸센에 자극을 받았으나, 신칸센과는 완전히 다른 기존선 혼합 운용이 자유로운 시스템.
* {{나라|영국}} - [[유로스타]]
* {{국기나라|영국}} - [[유로스타]]
* {{나라|벨기에}} - 유로스타, [[탈리스]]
* {{국기나라|벨기에}} - 유로스타, [[탈리스]]
* {{나라|네덜란드}} - 탈리스
* {{국기나라|네덜란드}} - 탈리스
* {{나라|스페인}} - [[AVE]]
* {{국기나라|스페인}} - [[AVE]]
* {{나라|이탈리아}} - 프레체, 이탈로
* {{국기나라|이탈리아}} - 프레체, 이탈로
* {{나라|독일}} - [[인터시티익스프레스|ICE]]
* {{국기나라|독일}} - [[인터시티익스프레스|ICE]]
* {{나라|오스트리아}} - Railjet
* {{국기나라|오스트리아}} - Railjet
* {{나라|핀란드}} - 펜돌리노, 알레그로
* {{국기나라|핀란드}} - 펜돌리노, 알레그로
* {{나라|러시아}} - 삽산
* {{국기나라|러시아}} - 삽산
* {{나라|일본}} - [[신칸센]]: 1964년 운행을 시작한 세계 최초의 상업용 고속철도 시스템.
* {{국기나라|일본}} - [[신칸센]]: 1964년 운행을 시작한 세계 최초의 상업용 고속철도 시스템.
* {{나라|대한민국}} - [[KTX]], [[SRT]]
* {{국기나라|대한민국}} - [[KTX]]: TGV 시스템을 도입하였고, 현재 차량 국산화가 진행 중인 사례.
* {{나라|대만}} - [[대만고속철도]]: 2007년 영업을 시작한, 차량 규격으로의 신칸센을 거의 온전히 들여온 사례.
* {{국기나라|대만}} - [[대만고속철도]]: 2007년 영업을 시작한, 차량 규격으로의 신칸센을 거의 온전히 들여온 사례.
* {{나라|중국}} - 중국철로고속: 현재 전 세계 고속철도 연장 1위. 세계 고속철도 차량 종류는 다 구비해놓은 듯한 느낌.
* {{국기나라|중국}} - 중국철로고속: 현재 전 세계 고속철도 연장 1위. 세계 고속철도 차량 종류는 다 구비해놓은 듯한 느낌.


{{주석}}
{{주석}}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