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마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고구마.jpg|섬네일|320픽셀]]
== 개요 ==
고구마는 메꽃과의 쌍떡잎 뿌리 채소로, 온대에서는 일년생이지만 열대에서는 숙근성으로 분류하고 있다. 주로 전분이 많고 단 맛이 나는 혹줄기를 가진 재배용 작물이다. 꽃은 나팔꽃과 유사한 꽃이 핀다. 씨앗으로도 번식하나 영양 뿌리를 얻기 위해 경작할 때에는 씨앗으로 경작하지 않는다.
고구마는 메꽃과의 쌍떡잎 뿌리 채소로, 온대에서는 일년생이지만 열대에서는 숙근성으로 분류하고 있다. 주로 전분이 많고 단 맛이 나는 혹줄기를 가진 재배용 작물이다. 꽃은 나팔꽃과 유사한 꽃이 핀다. 씨앗으로도 번식하나 영양 뿌리를 얻기 위해 경작할 때에는 씨앗으로 경작하지 않는다.


== 형태 ==
== 형태 ==
=== 뿌리 ===
=== 뿌리 ===
고구마에서 먹는 부분에 해당되는 게 뿌리 부분인데, 가는뿌리, 굳은뿌리, 덩이뿌리로 구분되어 있다. 고구마는 뿌리에 영양분이 축적되어 둥그렇게 크기가 커지며 이런 종류의 뿌리를 덩이뿌리라고 부른다. 습한 땅이나 질소질이 많은 토양에서는 가는뿌리와 굳은뿌리가 많고 칼리질 비료가 많은 토양에서는 덩이뿌리가 많다.
고구마에서 먹는 부분에 해당되는 게 뿌리 부분인데, 가는뿌리, 굳은뿌리, 덩이뿌리로 구분되어 있다. 고구마는 뿌리에 영양분이 축적되어 둥그렇게 크기가 커지며 이런 종류의 뿌리를 덩이뿌리라고 부른다. 습한 땅이나 질소질이 많은 토양에서는 가는뿌리와 굳은뿌리가 많고 칼리질 비료가 많은 토양에서는 덩이뿌리가 많다.  


생육 초기에는 뿌리가 땅 밑의 비교적 얕은 부분에서 옆으로 퍼지지만 점차 깊이 자라 땅 속 1m 이상의 깊이까지 도달한다.
생육 초기에는 뿌리가 땅 밑의 비교적 얕은 부분에서 옆으로 퍼지지만 점차 깊이 자라 땅 속 1m 이상의 깊이까지 도달한다.
19번째 줄: 19번째 줄:


== 기원 ==
== 기원 ==
고구마의 원산지는 중앙아메리카에 위치한 멕시코 유카탄반도 지역과 남아메리카 베네수엘라의 오리노코 강 하구 지역 사이로 알려지고 있다. 이 지역에서 적어도 [[2000년]] 이상 인간에 의해 이용되었으며 현재 재배되고 있는 재배종이 해당 지역에서 야생되고 있다.<ref>Ibid., p.23</ref>
고구마의 원산지는 중앙아메리카에 위치한 멕시코 유카탄반도 지역과 남아메리카 베네수엘라의 오리노코 강 하구 지역 사이로 알려지고 있다. 이 지역에서 적어도 2000년 이상 인간에 의해 이용되었으며 현재 재배되고 있는 재배종이 해당 지역에서 야생되고 있다.<ref>Ibid., p.23</ref>


남아메리카에서는 [[페루]]의 고구마 잔존물이 기원전 8,000년부터 있었던 것으로 본다.
남아메리카에서는 [[페루]]의 고구마 잔존물이 기원전 8,000년부터 있었던 것으로 본다.
25번째 줄: 25번째 줄:
== 전파 ==
== 전파 ==
=== 남태평양 ===
=== 남태평양 ===
남태평양에서는 유럽인들이 [[아메리카]] 대륙이 진출하기 이전부터 고구마를 식량으로 재배해왔다고 한다. 어떻게 전파 되었는지 여러 가지 설들이 있지만 페루 항해인들이 뗏목을 타고 남태평양의 여러 섬들로 전파시킨 것이 유력하다고 보고 있다.
남태평양에서는 유럽인들이 [[아메리카]] 대륙이 진출하기 이전부터 고구마를 식량으로 재배해왔다고 한다. 어떻게 전파 되었는지 여러가지 설들이 있지만 페루 항해인들이 뗏목을 타고 남태평양의 여러 섬들로 전파시킨 것이 유력하다고 보고 있다.


=== 유럽 ===
=== 유럽 ===
33번째 줄: 33번째 줄:
스페인 탐험가들에 의해 필리핀 마닐라와 몰루카 제도로 전파되었고 포르투갈 사람에 의해 말레이 군도에 전달되었으며 필리핀 루손섬으로부터 중국 푸젠으로 전파되었다.
스페인 탐험가들에 의해 필리핀 마닐라와 몰루카 제도로 전파되었고 포르투갈 사람에 의해 말레이 군도에 전달되었으며 필리핀 루손섬으로부터 중국 푸젠으로 전파되었다.


[[1605년]]경에는 중국 푸젠에서 류큐와 대만으로 전파, 류큐에서부터 일본 본토로 전파되었으며 [[1723년]]에 대마도에 고구마가 전해졌다고 알려져 있다.<ref>Ibid., pp.23-24</ref>
1605년경에는 중국 푸젠에서 류큐와 대만으로 전파, 류큐에서부터 일본 본토로 전파되었으며 1723년에 대마도에 고구마가 전해졌다고 알려져 있다.<ref>Ibid., pp.23-24</ref>


=== 한국 ===
=== 한국 ===
우리나라 사람 가운데 최초로 고구마를 본 사람은 [[1719년]] 통신사로서 [[일본]]에 파견된 신유한이다. 그가 길가에 위치한 주점에서 고구마를 구워서 파는 것을 본 것이 고구마에 대한 최초의 기록이다.<ref>노성환, 「조선통신사와 고구마의 전래」, 『동북아문화연구』, 제23집,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0, p.539</ref>
우리나라 사람 가운데 최초로 고구마를 본 사람은 1719년 통신사로서 [[일본]]에 파견된 신유한이다. 그가 길가에 위치한 주점에서 고구마를 구워서 파는 것을 본 것이 고구마에 대한 최초의 기록이다.<ref>노성환, 「조선통신사와 고구마의 전래」, 『동북아문화연구』, 제23집,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0, p.539</ref>


본격적인 고구마 전래는 이광려에 의해 시도되었다. 그는 고구마의 이점을 알고 조선에 도입되기를 간절히 원하여 두 차례가량 연행사를 수행하는 역관을 통해 직접 종자를 얻으려했지만 실패했고 [[1762년]], 연행사로 북경에 가는 서지수에게 부탁하여 고구마 종자를 얻는데 성공하였지만, 가지고 오는동안 관리를 잘못하여 종자가 죽어버리고 만다.<ref>Ibid., pp.539-541</ref> 이후, 이광려는 [[1764년]] 강계헌에게 부탁하여 일본을 거쳐 온 고구마 종자를 구한 다음 재배에 성공하였지만 보관을 제대로 하지 못하여 다음해에 종자로 쓰지 못하게 되었다.<ref>염정섭, 「조선 후기 고구마의 도입과 재배법의 정리과정」, 『한국사연구 134』, 한국사연구회, 2006, pp.116-117</ref>
본격적인 고구마 전래는 이광려에 의해 시도되었다. 그는 고구마의 이점을 알고 조선에 도입되기를 간절히 원하여 두 차례가량 연행사를 수행하는 역관을 통해 직접 종자를 얻으려했지만 실패했고 1762년, 연행사로 북경에 가는 서지수에게 부탁하여 고구마 종자를 얻는데 성공하였지만, 가지고 오는동안 관리를 잘못하여 종자가 죽어버리고 만다.<ref>Ibid., pp.539-541</ref> 이후, 이광려는 1764년 강계헌에게 부탁하여 일본을 거쳐 온 고구마 종자를 구한 다음 재배에 성공하였지만 보관을 제대로 하지 못하여 다음해에 종자로 쓰지 못하게 되었다.<ref>염정섭, 「조선 후기 고구마의 도입과 재배법의 정리과정」, 『한국사연구 134』, 한국사연구회, 2006, pp.116-117</ref>


그래서 한국의 고구마 전래는 일본을 통해 이루어졌는데 [[1763년]] 일본에 통신사로 다녀온 조엄(趙曮)이 대마도(對馬島)에서 고구마 종자를 구한 다음, 부산진에 보내어 당시 부산진 참사 이응혁에게 보관하게 한 다음 [[1764년]] 봄, 절영도 조도 맞은 편 야산에 재배하게 했다.<ref>노성환, op.cit., p.542</ref>
그래서 한국의 고구마 전래는 일본을 통해 이루어졌는데 1763년 일본에 통신사로 다녀온 조엄(趙曮)이 대마도(對馬島)에서 고구마 종자를 구한 다음, 부산진에 보내어 당시 부산진 참사 이응혁에게 보관하게 한 다음 1764년 봄, 절영도 조도 맞은 편 야산에 재배하게 했다.<ref>노성환, op.cit., p.542</ref>


한편, [[1764년]] 동래부사로 부임한 강필리는 [[1765년]] 고구마 종자를 구하고 또한 종식방(種植方)<ref>種植 : 종식, 씨를 뿌리고 식물을 심는 일 - 네이버 한자사전</ref>을 구하여 『감저보(甘藷譜)』라는 책자를 발간하였다. 강필리는 고구마 종자를 구하여 탐라(耽羅, 현 제주도)를 비롯한 인근 군현에까지 재배 방법과 함께 나누어 주어 남해안 연안 지역에 고구마 재배를 보급하는데 큰 공헌을 하였고, 비변사에까지 보냈다. [[1766년]] 동래부사에서 물러나서는 고구마 종자를 확보하여 한성(漢城, 현 서울)에 실어 보내고 동래에서도 종자를 남겨 심게 하였다.<ref>염정섭, op.cit.,pp.117-118</ref> [[1813년]] 김장순과 선종한, 이 두사람이 고구마 보급에 노력을 쏟아 감저신보란 책을 썼으며 [[1834년]] 서유구가 전라관찰사로 있을 때 종저보를 지어 호남지방에 고구마 심기를 권장하였다.<ref>농촌진흥청, op.cit.,p.24</ref>
한편, 1764년 동래부사로 부임한 강필리는 1765년 고구마 종자를 구하고 또한 종식방(種植方)<ref>種植 : 종식, 씨를 뿌리고 식물을 심는 일 - 네이버 한자사전</ref>을 구하여 『감저보(甘藷譜)』라는 책자를 발간하였다. 강필리는 고구마 종자를 구하여 탐라(耽羅, 현 제주도)를 비롯한 인근 군현에까지 재배 방법과 함께 나누어 주어 남해안 연안 지역에 고구마 재배를 보급하는데 큰 공헌을 하였고, 비변사에까지 보냈다. 1766년 동래부사에서 물러나서는 고구마 종자를 확보하여 한성(漢城, 현 서울)에 실어 보내고 동래에서도 종자를 남겨 심게 하였다.<ref>염정섭, op.cit.,pp.117-118</ref> 1813년 김장순과 선종한, 이 두사람이 고구마 보급에 노력을 쏟아 감저신보란 책을 썼으며 1834년 서유구가 전라관찰사로 있을 때 종저보를 지어 호남지방에 고구마 심기를 권장하였다.<ref>농촌진흥청, op.cit.,p.24</ref>


== 어원 ==
== 어원 ==
52번째 줄: 52번째 줄:


== 특성 ==
== 특성 ==
=== 장점 ===
고구마는 재배적지가 광범위하여 척박한 토양에서도 상당한 양의 수확을 얻을 수 있으며 재해에 비교적 강하다. 또한, 생육기간의 조절이 쉬우며 단위면적당 생산량이 많은 작물이다. 하지만, 기계화가 어려워 생력화가 어렵고<ref>Ibid., pp.41-42</ref> 수분함량이 많아 장기간 저장이 어렵다는 결점이 존재한다.<ref>Ibid., p.45</ref>
물이 잘 빠지는 척박한 토양에서도 잘 자라며, 덩굴과 잎이 지면을 완전히 가리고나면 잡초 문제가 없고, 단위면적당 생산량이 높다. 또한 줄기도 식용 가능하다.
=== 단점 ===
손상에 약해서 조금만 껍질이 긁혀도 썩어들어가기에 흙 속에서 캐내는 수확이 까다롭다. 또한 조금만 추워져도 속까지 썩어버린다. 더구나 고구마는 썩어도 겉으로는 썩은 티가 안나기 때문에 굉장히 골치아프다. 수확한 것도 추우면 썩어버리기 때문에 냉장보관이 안되고, 보관시에도 보온이 필요하다.
또한 수확량은 보장되어도 맛은 보장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얼마나 빛깔좋고 큼직하게 여물었느냐와 별개로 상품마다 당도의 편차가 굉장히 큰데, 당도가 낮은 것은 익혔을 때 정말로 맛이 없다. 크고 아름답게 컸다고 장땡이 아니라는 것.


== 재배 ==
== 재배 ==
=== 재배 환경 ===
=== 재배 환경 ===
고구마의 생육온도 범위는 15~38°C인데 30~35°C에서 가장 왕성하게 자란다. 덩이뿌리 부분은 지온이 20~30°C 정도가 적절하다. 뿌리가 내리는 데에는 15°C 이상의 온도가 필요하나 30°C 이상에서는 뿌리의 수가 줄어들고 발근일수도 급격히 길어진다.<ref>농촌진흥청, 『고구마 재배』, 2006, p.100</ref>
고구마의 생육온도 범위는 15~38°C인데 30~35°C에서 가장 왕성하게 자란다. 덩이뿌리 부분은 지온이 20~30°C 정도가 적절하다. 뿌리가 내리는 데에는 15°C 이상의 온도가 필요하나 30°C 이상에서는 뿌리의 수가 줄어들고 발근일 수도 급격히 길어진다.<ref>농촌진흥청, 『고구마 재배』, 2006, p.100</ref>
<br />일조의 경우, 일조가 부족하면 지상부에서 생산된 물질이 덩이뿌리로 옮겨가지 않고 지상부에 이용되어 줄기와 잎은 많아지나 고구마의 수확이 감소된다.<ref>Ibid., p.101</ref>
<br>일조의 경우, 일조가 부족하면 지상부에서 생산된 물질이 덩이뿌리로 옮겨가지 않고 지상부에 이용되어 줄기와 잎은 많아지나 고구마의 수확이 감소된다.<ref>Ibid., p.101</ref>
<br />고구마는 건조에 비교적 강하지만 생육기간 중 강우량이 적으면 줄기가 웃자라고 덩이뿌리의 크기가 감소하여 고구마의 수확량이 감소하고 수확기 때 강우량이 많으면 고구마의 품질이 저하되고 저장력이 약해진다.<ref>Ibid., p.102</ref>
<br>고구마는 건조에 비교적 강하지만 생육기간 중 강우량이 많으면 줄기가 웃자라고 덩이뿌리의 크기가 감소하여 고구마의 수확량이 감소하고 수확기 때 강우량이 많으면 고구마의 품질이 저하되고 저장력이 약해진다.<ref>Ibid., p.102</ref>


토양의 경우, 수분이 너무 많으면 고구마 뿌리의 생육이 재해되고, 수분이 너무 적으면 지상부 및 덩이뿌리의 무게가 같이 감소되며. 토양의 통기가 잘 될수록 고구마 뿌리의 수량이 증가한다. 또한, 토양의 산도에 대한 적응성이 큰 편이지만 알칼리성 토양보다는 산성토양에서의 수량이 많은 편이다.<ref>Ibid., pp.102-105</ref>
토양의 경우, 수분이 너무 많으면 고구마 뿌리의 생육이 재해되고, 수분이 너무 적으면 지상부 및 덩이뿌리의 무게가 같이 감소되며. 토양의 통기가 잘 될수록 고구마 뿌리의 수량이 증가한다. 또한, 토양의 산도에 대한 적응성이 큰 편이지만 알칼리성 토양보다는 산성토양에서의 수량이 많은 편이다.<ref>Ibid., pp.102-105</ref>
71번째 줄: 67번째 줄:
=== 아주심기 ===
=== 아주심기 ===


=== 수확 ===
== 수확 ==
==== 수확시기 ====
=== 수확시기 ===
고구마는 9℃ 이하의 낮은 온도를 접하면 저장성이나 싹 트는 힘이 낮아지므로 서리가 내리기 전까지 수확을 마무리 지어야한다. 보통기 재배를 기준으로 [[9월]] 하순부터 [[10월]] 상·중순까지 수확을 해야 한다.
고구마는 9℃ 이하의 낮은 온도를 접하면 저장성이나 싹 트는 힘이 낮아지므로 서리가 내리기 전까지 수확을 마무리 지어야한다. 보통기 재배를 기준으로 9월 하순부터 10월 상·중순까지 수확을 해야 한다.


사료용으로 이용할 경우, 줄기와 잎도 이용하기 때문에 늦게 거두면 낙엽이 되어 이용가치가 낮아지므로 다소 이르게 거둬들인다.
사료용으로 이용할 경우, 줄기와 잎도 이용하기 때문에 늦게 거두면 낙엽이 되어 이용가치가 낮아지므로 다소 이르게 거둬들인다.
79번째 줄: 75번째 줄:
씨고구마로 저장할 경우, 일찍 캐면 높은 온도에서 저장이 시작되어 저장력이 낮아지고 너무 늦으면 서리의 피해를 입어 저장성이 낮아지므로 9℃ 이하로 낮아지기 전에 수확하여 저장한다.
씨고구마로 저장할 경우, 일찍 캐면 높은 온도에서 저장이 시작되어 저장력이 낮아지고 너무 늦으면 서리의 피해를 입어 저장성이 낮아지므로 9℃ 이하로 낮아지기 전에 수확하여 저장한다.


비가 온 뒤에 바로 수확하거나 토양이 습할 때는 고구마의 수분함량에 높아서 저장고에 넣었을 때 저장고 내의 습도를 상승시켜 호흡작용을 방해 받아 유해물질이 생기고 생활력이 약해저 썩기 쉬우므로 고구마 수확은 맑은 날이 계속될 때 하는 것이 좋다.
비가 온 뒤에 바로 수확하거나 토양이 습할 때는 고구마의 수분함량에 높아서 저장고에 넣었을때 저장고 내의 습도를 상승시켜 호흡작용을 방해 받아 유해물질이 생기고 생활력이 약해저 썩기 쉬우므로 고구마 수확은 맑은 날이 계속될 때 하는 것이 좋다.


<ref>Ibid., pp.186-187</ref>
<ref>Ibid., pp.186-187</ref>


==== 수확방법 ====
=== 수확방법 ===
고구마를 캘 때, 상하지 않도록 해야 저장성이 향상되고 상품으로서의 가치도 높다. 덩굴은 낫으로 자르고 걷어낸 다음 괭이나 쇠스랑으로 캔다. 고구마를 수확은 양날 쟁기로 갈아엎은 다음 고구마를 줍거나 고구마 굴취기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ref>Ibid., pp.187-188</ref>
고구마를 캘 때, 상하지 않도록 해야 저장성이 향상되고 상품으로서의 가치도 높다. 덩굴은 낫으로 자르고 걷어낸 다음 괭이나 쇠스랑으로 캔다. 고구마를 수확은 양날 쟁기로 갈아엎은 다음 고구마를 줍거나 고구마 굴취기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ref>Ibid., pp.187-188</ref>


=== 저장 ===
== 저장 ==
==== 저장용 고구마 ====
=== 저장용 고구마 ===
저장용 고구마는 저장병해에 강하고 저장 적온에서 싹이 잘 트지 않는 품종으로 정해야 하고 9℃ 이하의 냉온에 접했거나 서리를 맞은 고구마를 저장해서는 안 된다. 그 외에도 잘라지거나 상처를 입었거나 껍질이 많이 벗겨진 고구마도 저장을 하지 않는 것이 좋은데 병균침입이 쉽기 때문이다.<ref>Ibid., p.189</ref>
저장용 고구마는 저장병해에 강하고 저장 적온에서 싹이 잘 트지 않는 품종으로 정해야 하고 9℃ 이하의 냉온에 접했거나 서리를 맞은 고구마를 저장해서는 안된다. 그 외에도 잘라지거나 상처를 입었거나 껍질이 많이 벗겨진 고구마도 저장을 하지 않는 것이 좋은데 병균침입이 쉽기 때문이다.<ref>Ibid., p.189</ref>


==== 저장 환경 ====
=== 저장 환경 ===
저장 가능 온도는 10~17℃이지만 제일 적절한 온도는 12~15℃ 정도이다. 9℃이하에 오래두면 냉해를 입어 썩기 쉬워진다. 반대로 온도가 높아지면 싹이 트게 되어 상품가치가 크게 낮아진다. 대체로 0℃에서 24시간, -5℃에서 18시간, -15℃에서 3시간 정도 노출되면 냉동해를 입게 된다. 고구마의 어는 온도는 -1.3℃ 정도이다.
저장 가능 온도는 10~17℃이지만 제일 적절한 온도는 12~15℃ 정도이다. 9℃이하에 오래두면 냉해를 입어 썩기 쉬워진다. 반대로 온도가 높아지면 싹이 트게 되어 상품가치가 크게 낮아진다. 대체로 0℃에서 24시간, -5℃에서 18시간, -15℃에서 3시간 정도 노출되면 냉동해를 입게 된다. 고구마의 어는 온도는 -1.3℃ 정도이다.


97번째 줄: 93번째 줄:
<ref>Ibid., p.190</ref>
<ref>Ibid., p.190</ref>


==== 저장방법 ====
=== 저장방법 ===
* 굴저장 방법
* 굴저장 방법
* 가열식저장법
* 가열식저장법
110번째 줄: 106번째 줄: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대부분이 식용으로 소비되었으나, 최근에는 부식용이나 삶은 고구마, 튀김, 군고구마 등 간식으로 주로 이용된다. 녹말용으로 30% 정도 사용되고 엿·포도당·과자류·식용가공품·의약품·화장품 등 다방면으로 이용되고 있다. 또 알코올, 위스키, 소주 등의 원료로서도 적지 않게 소요된다. 특히 한국에서는 쌀이 소주를 빚는데 금지되었을 때에 고구마로 주정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소주]]가 화학주로 오해 받기도 하는데, 고구마로 에탄올을 만들기 때문에 고구마가 한국의 희석식 소주의 주원료이다. [[동물]]의 사료로도 이용이 되기도 한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대부분이 식용으로 소비되었으나, 최근에는 부식용이나 삶은 고구마, 튀김, 군고구마 등 간식으로 주로 이용된다. 녹말용으로 30% 정도 사용되고 엿·포도당·과자류·식용가공품·의약품·화장품 등 다방면으로 이용되고 있다. 또 알코올, 위스키, 소주 등의 원료로서도 적지 않게 소요된다. 특히 한국에서는 쌀이 소주를 빚는데 금지되었을 때에 고구마로 주정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소주]]가 화학주로 오해 받기도 하는데, 고구마로 에탄올을 만들기 때문에 고구마가 한국의 희석식 소주의 주원료이다. [[동물]]의 사료로도 이용이 되기도 한다.


== 레시피 ==
[[고구마/레시피]] 참고
{{각주}}
{{각주}}


[[분류:식품]][[분류:채소]]
[[분류:식품]][[분류:채소]]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