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국립대학교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gnu logo.gif|경상대학교 시절 로고|섬네일]]
[[파일:gnu_logo.gif|오른쪽]]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이름
! 이름
! 경상국립대학교(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경상대학교(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 위치
| 위치
| 경상남도 진주시 진주대로 501 (가좌캠퍼스)<br />경상남도 진주시 동진로 33 (칠암캠퍼스 본부)<br />경상남도 진주시 진주대로816번길 15 (칠암캠퍼스 의과/간호대학)<br />경상남도 통영시 통영해안로 2-13 (통영캠퍼스)<br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차룡로48번길 54 (창원산학캠퍼스)<br />경상남도 진주시 내동면 내동로139번길 8 (내동캠퍼스)
| 경상남도 진주시 진주대로 501(가좌 캠퍼스)<br />경상남도 진주시 강남로 79(칠암 캠퍼스)<br />경상남도 통영시 인평동 445(통영 캠퍼스)
|-
|-
| 구분
| 구분
15번째 줄: 15번째 줄:
|-
|-
| 면적(km²)
| 면적(km²)
| 1,350(가좌캠퍼스)<br />109(칠암캠퍼스, 2020년 기준)<br />150(통영캠퍼스)
| 1,350(가좌 캠퍼스)<br />109(칠암 캠퍼스)<br />150(통영 캠퍼스)
|-
|-
| 교목
| 교목
21번째 줄: 21번째 줄:
|-
|-
| 관련 사이트
| 관련 사이트
| [https://gnu.ac.kr/ 공식 홈페이지]<br />[https://gnu.everytime.kr/ 경상대 에브리타임]
| [http://gnu.ac.kr/ 공식 홈페이지]<br />[http://gsnu.info 경상대 커뮤니티]
|-
|-
|}
|}
33번째 줄: 33번째 줄:


== 개요 ==
== 개요 ==
[[경상남도]]에 위치한 지방거점 국립대학교이다. 1948년에 도립 진주농과대학으로 개교한 후, 1953년엔 4년제 대학으로 승격. 1968년에 도립에서 국립으로 설립주체가 바뀌었다.
[[경상남도]] [[진주시]]에 위치한 지방거점 국립대학교이다. 다만 통영 캠퍼스의 경우 진주 외부, 통영시에 있다. 1948년에 도립 진주농과대학으로 개교한 후, 1953년엔 4년제 대학으로 승격. 1968년에 도립에서 국립으로 설립주체가 바뀌었다.


경상국립대학교를 상징하는 것과 다름없는 구호는 다름 아닌 '''개척'''인데, 교훈부터 대놓고 개척자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기숙사 식당 앞에 있는 탑형 구조물의 이름조차 개척탑이요 교지의 이름마저 개척자이다. 심지어 기숙사 영어 캠퍼스에선 PIONEER라는 제목의 잡지를 배부한다. 이외에도 학교의 홍보자료를 살펴보면, 개척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경상대학교를 상징하는 것과 다름없는 구호는 다름 아닌 '''개척'''인데, 교훈부터 대놓고 개척자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기숙사 식당 앞에 있는 탑형 구조물의 이름조차 개척탑이요 교지의 이름마저 개척자이다. 심지어 기숙사 영어 캠퍼스에선 PIONEER라는 제목의 잡지를 배부한다. 이외에도 학교의 홍보자료를 살펴보면, 개척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캠퍼스 ==
== 캠퍼스 ==
본캠퍼스인 가좌캠퍼스, 그리고 경상국립대학교 병원이 있는 칠암캠퍼스와 해양대가  있는 통영캠퍼스까지 총 3개의 캠퍼스가 따로 있다. 이 중 가좌캠퍼스와 칠암캠퍼스는 도보로 1시간 정도 거리를 두고,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 자리를 잡은 반면 통영캠퍼스는 아예 진주시 밖, 통영시에 있다.
본캠퍼스인 가좌 캠퍼스, 그리고 경상대학교 병원이 있는 칠암 캠퍼스와 해양대가  있는 통영 캠퍼스까지 총 3개의 캠퍼스가 따로 있다. 이 중 가좌 캠퍼스와 칠암 캠퍼스는 도보로 1시간 정도 거리를 두고,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 자리를 잡은 반면 통영 캠퍼스는 아예 진주시 밖, 통영시에 있다.


=== 가좌캠퍼스 ===
=== 가좌 캠퍼스 ===
인문대를 시작으로 사범대, 경영대, 공대, 농대 등의 대다수 학과들이 모여 있는 본캠퍼스. 예전에는 칠암캠퍼스에 모두 모여있었으나 가좌캠퍼스로 대부분의 단과대가 이전하였다. 때문에 진주시 내에서 경대라 칭하면 바로 경상대 가좌캠퍼스를 일컫는 것이라 봐도 된다. 정문에는 경상국립대학교의 트레이드마크라 할 만한 거대한 건축물이 있는데, 흡사 알파벳 M을 본뜬 듯한 모양새에 경대 학생들을 비롯한 진주시민들은 이를 '''맥도날드'''라고 통칭한다. 다만 이 교문은 학교 홈페이지의 소개에 따르면 높은 곳으로 지향하려는 의지를 형상화 한 것이라고.
인문대를 시작으로 사범대, 경영대, 공대, 농대 등의 대다수 학과들이 모여 있는 본캠퍼스. 예전에는 칠암캠퍼스에 모두 모여있었으나 가좌 캠퍼스로 대부분의 단과대가 이전하였다. 때문에 진주시 내에서 경대라 칭하면 바로 경상대 가좌 캠퍼스를 일컫는 것이라 봐도 된다. 정문에는 경상대학교의 트레이드마크라 할 만한 거대한 건축물이 있는데, 흡사 알파벳 M을 본뜬 듯한 모양새에 경대 학생들을 비롯한 진주시민들은 이를 '''맥도날드'''라고 통칭한다. 다만 이 교문은 학교 홈페이지의 소개에 따르면 높은 곳으로 지향하려는 의지를 형상화 한 것이라고.


대다수의 학과들이 몰려 있어, 이 바닥의 본좌인 영남대나 서울대만큼은 아니더라도 캠퍼스의 부지가 상당히 넓은 편이다. 평수만 대략 56만평 정도... 더군다나 거진 허허벌판 수준인 가좌동 일대의 지리와 맞물려 캠퍼스 내에서 자전거를 애용하는 학생들이 상당히 많다. {{ㅊ|멋모르고 한여름에 걸어다니다 쓰러질 뻔...}}
대다수의 학과들이 몰려 있어, 이 바닥의 본좌인 영남대나 서울대만큼은 아니더라도 캠퍼스의 부지가 상당히 넓은 편이다. 평수만 대략 56만평 정도... 더군다나 거진 허허벌판 수준인 가좌동 일대의 지리와 맞물려 캠퍼스 내에서 자전거를 애용하는 학생들이 상당히 많다. {{ㅊ|멋모르고 한여름에 걸어다니다 쓰러질 뻔...}}
135번째 줄: 135번째 줄:
*** 약학과
*** 약학과


=== 칠암캠퍼스 ===
=== 칠암 캠퍼스 ===
대학본부가 위치한 지역과 의과/간호대학이 위치한 지역으로 나뉜다. 후자의 경우, 캠퍼스 바로 옆에 남강이 흐르고, 가좌캠퍼스와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20분 이내로 오갈 수 있을만큼 가까이 있다. 아예 남강을 따라 산책을 한다는 기분으로 걸으면 1시간 이내로 끊을 수 있을 정도.
경상대학교 병원과 더불어 의대가 자리를 잡은 캠퍼스. 특이사항으로 캠퍼스 바로 옆에 남강이 흐른다. 가좌 캠퍼스와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20분 이내로 오갈 수 있을만큼 가까이 있다. 아예 남강을 따라 산책을 한다는 기분으로 걸으면 1시간 이내로 끊을 수 있을 정도.
* 캠퍼스 내 학과 목록
* 캠퍼스 내 학과 목록
** 의과대학<ref>2학년부터</ref>
** 의과대학<ref>2학년부터</ref>
*** 의예과
*** 의예과
** 간호대학
=== 통영 캠퍼스 ===
** 건설환경공과대학
위의 두 캠퍼스와는 달리, 아예 통영시에 있다. 의대만 있는 칠암 캠퍼스와 비슷하게, 통영 캠퍼스는 아예 해양대만 있다는 것이 특징. 대부분의 학과명에 '해양'이라는 접두어가 붙어있다. 해양도시인 통영인만큼 아예 해양관련 학과들을 이쪽 캠퍼스에 몰아넣어 특성화한 느낌을 준다. 캠퍼스 바로 앞에 바다가 펼쳐져 있으며 심지어 도서관이나 수업건물 안에서도 바다가 보인다. 아름다운 야경으로 유명한 통영대교는 걸어서 10분이면 도착할 수 있다. 재학생들이 시내로 나가려면 버스를 타고 10~15분정도 이동하면 된다. 학과수는 가좌캠의 1/7, 재학생 수는 1/10 정도이지만 인원이 적은 탓에 적은 시설로도 충분한 편의를 누릴 수 있다. 캠퍼스 크기는 가좌캠퍼스의 1/7정도 된다.1인당 캠퍼스 부지면적은 경상대 예하 캠퍼스 중에서 가장 넓다. 그러나 강의 수강 건을 비롯해 의예과 1학년 과정 문제로 서로 오갈 일이 있는 가좌, 칠암 캠퍼스와는 달리 통영 캠퍼스는 다소 먼 거리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캠퍼스간 왕래가 적다. 해양산업연구소, 해양생물교육센터, 수산가공관, 공학관, 각종 실습전용 배, 연구시설 및 장비시설들이 위치해있다.
** 융합기술공과대학
** 본부대학
 
=== 통영캠퍼스 ===
위의 두 캠퍼스와는 달리, 아예 통영시에 있다. 의대만 있는 칠암캠퍼스와 비슷하게, 통영캠퍼스는 아예 해양대만 있다는 것이 특징. 대부분의 학과명에 '해양'이라는 접두어가 붙어있다. 해양도시인 통영인만큼 아예 해양관련 학과들을 이쪽 캠퍼스에 몰아넣어 특성화한 느낌을 준다. 캠퍼스 바로 앞에 바다가 펼쳐져 있으며 심지어 도서관이나 수업건물 안에서도 바다가 보인다. 아름다운 야경으로 유명한 통영대교는 걸어서 10분이면 도착할 수 있다. 재학생들이 시내로 나가려면 버스를 타고 10~15분정도 이동하면 된다. 학과수는 가좌캠의 1/7, 재학생 수는 1/10 정도이지만 인원이 적은 탓에 적은 시설로도 충분한 편의를 누릴 수 있다. 캠퍼스 크기는 가좌캠퍼스의 1/7정도 된다.1인당 캠퍼스 부지면적은 경상대 예하 캠퍼스 중에서 가장 넓다. 그러나 강의 수강 건을 비롯해 의예과 1학년 과정 문제로 서로 오갈 일이 있는 가좌, 칠암캠퍼스와는 달리 통영캠퍼스는 다소 먼 거리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캠퍼스간 왕래가 적다. 해양산업연구소, 해양생물교육센터, 수산가공관, 공학관, 각종 실습전용 배, 연구시설 및 장비시설들이 위치해있다.
* 캠퍼스 내 학과 목록
* 캠퍼스 내 학과 목록
** 해양과학대학
** 해양과학대학
163번째 줄: 158번째 줄:


== [http://gsnu.info 경상대 커뮤니티] ==
== [http://gsnu.info 경상대 커뮤니티] ==
거진 정전 상태나 마찬가지인 [[디시인사이드]] 경상대 갤러리와는 달리, 그나마 활성화가 되어 있는 학생 커뮤니티. 초창기에는 학교에서 공식적으로 운영하는 것은 아니고, 재학생들이 자체적으로 관리를 하는 곳이었다. 본래는 사이트 전체 게시판이 재학생/교직원 내지는 졸업생 자격이 있는 회원들만 이용이 가능했으나, 2012년을 기점으로 비회원 익명 게시글 작성 및 댓글을 허용하였다. 덕분에 사이트 전반은 물론이요, 특히 자유 게시판은 각종 어그로꾼과 일베충을 비롯한 온갖 찌질이들과 더불어, 평범하게 자게를 이용하려는 재학생들이 옹기종기 모인 혼돈의 도가니 수준.
거진 정전 상태나 마찬가지인 [[디시인사이드]] 경상대 갤러리와는 달리, 그나마 활성화가 되어 있는 학생 커뮤니티. 학교에서 공식적으로 운영하는 것은 아니고, 재학생들이 자체적으로 관리를 하는 곳이다. 본래는 사이트 전체 게시판이 재학생/교직원 내지는 졸업생 자격이 있는 회원들만 이용이 가능했으나, 2012년을 기점으로 비회원 익명 게시글 작성 및 댓글을 허용하였다. 덕분에 사이트 전반은 물론이요, 특히 자유 게시판은 각종 어그로꾼과 일베충을 비롯한 온갖 찌질이들과 더불어, 평범하게 자게를 이용하려는 재학생들이 옹기종기 모인 혼돈의 도가니 수준.


이외에는 각종 스터디나 팀을 모집하는 학생들을 비롯해, 강의 관련 이야기를 나누고 각종 교재 같은 중고물품을 거래하려는 목적으로도 이용하는 사람들이 제법 많다.
이외에는 각종 스터디나 팀을 모집하는 학생들을 비롯해, 강의 관련 이야기를 나누고 각종 교재 같은 중고물품을 거래하려는 목적으로도 이용하는 사람들이 제법 많다.
현재는 경상국립대 에브리타임으로 연결된다.


== 기타 ==
== 기타 ==
* 인구 30만 남짓의 도시에 자리잡은 재학생만 2만 명인 학교 아니랄까봐, 아예 학교 정문을 중심으로 상권이 형성되다 못해 흔히들 말하는 '''시내''' 수준으로 인프라가 발전해 있다. 때문에 학교 인근의 식당이나 술집에 하루 일을 끝마친 넥타이 부대가 자리를 떡하니 잡고 있는 광경을 매우 자주 볼 수 있다. 오히려 [[진주시]]의 시내라 할 수 있는 곳의 상권은 구도심이 되어서 쇠락한 것에 가까운 수준.
* 인구 30만 남짓의 도시에 자리잡은 재학생만 2만 명인 학교 아니랄까봐, 아예 학교 정문을 중심으로 상권이 형성되다 못해 흔히들 말하는 '''시내''' 수준으로 인프라가 발전해 있다. 때문에 학교 인근의 식당이나 술집에 하루 일을 끝마친 넥타이 부대가 자리를 떡하니 잡고 있는 광경을 매우 자주 볼 수 있다. 오히려 [[진주시]]의 시내라 할 수 있는 곳의 상권은 구도심이 되어서 쇠락한 것에 가까운 수준.
* 경상대학교 시절, 간혹 [[경남대학교]]와 혼동을 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정확히 표현하자면 경남대를 국립대라고 생각하고, 경상대를 사립대인 걸로 착각하는 것이다. 이러한 인지도 문제로 긴 시간동안 수차례에 걸쳐 경남대와 학교의 이름을 걸고 다툼을 벌였지만 매번 털리기만 한다. 2013년엔 권순기 前 총장이 "경남이라는 단어가 들어간 이름으로 교명을 바꾸겠다."는 요지의 발언이 한 적도 있는데, 이후로도 교명 변화는 전혀 없이 총장마저 자리에서 내려오고 2016년을 맞이했다. 당연하지만 재학생들은 교명 관련 싸움에는 쥐뿔 만큼도 관심이 없는 모양.
* 경상남도에서 이름을 딴, 경상대학교라는 교명 탓인지 간혹 [[경남대학교]]와 혼동을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정확히 표현하자면 경남대를 국립대라고 생각하고, 경상대를 사립대인 걸로 착각하는 것이다. 이러한 인지도 문제로 긴 시간동안 수차례에 걸쳐 경남대와 학교의 이름을 걸고 다툼을 벌였지만 매번 털리기만 한다. 2013년엔 권순기 前 총장이 "경남이라는 단어가 들어간 이름으로 교명을 바꾸겠다."는 요지의 발언이 한 적도 있는데, 이후로도 교명 변화는 전혀 없이 총장마저 자리에서 내려오고 2016년을 맞이했다. 당연하지만 재학생들은 교명 관련 싸움에는 쥐뿔 만큼도 관심이 없는 모양.


{{각주}}
{{각주}}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