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고속선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5번째 줄: 35번째 줄:
1977년 3월 7일 [[한국개발연구원]]이 1976년 6월부터 계획한 경부 고속전철을 수도권 인구 재배치계획과 함께 박정희 대통령에게 보고<ref>[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703080020920101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7-03-08&officeId=00020&pageNo=1&printNo=17054&publishType=00020 朴大統領(박대통령)에 計劃(계획)을報告(보고) 京釜(경부)「新幹線電鐵(신간선전철)」建設(건설)검토]</ref>하여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되었다. 곧바로 철도청에서 계획을 부인하는 단신<ref>[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7031100239101008&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7-03-11&officeId=00023&pageNo=1&printNo=17208&publishType=00010 京釜(경부)「超高速電鐵(초고속전철)」 鐵道廳(철도청)서 부인], 조선일보</ref>이 나오긴 했지만 이후 보도<ref>[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8020400239107010&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8-02-04&officeId=00023&pageNo=7&printNo=17486&publishType=00010 京釜新線(경부신선) (高速(고속) 電鐵(전철)) 내년着手(착수)], 조선일보</ref><ref>[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9020700239107005&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9-02-07&officeId=00023&pageNo=7&printNo=17793&publishType=00010 直線化(직선화)로 서울-釜山(부산) 3시간에 走破(주파) 工費(공비) 1兆(조)원‥‥日(일)-유럽서 借款(차관)제의도], 조선일보</ref>를 고려하면 사실이 아니었거나 장기 계획이어서 부인했을 가능성이 있다.
1977년 3월 7일 [[한국개발연구원]]이 1976년 6월부터 계획한 경부 고속전철을 수도권 인구 재배치계획과 함께 박정희 대통령에게 보고<ref>[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703080020920101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7-03-08&officeId=00020&pageNo=1&printNo=17054&publishType=00020 朴大統領(박대통령)에 計劃(계획)을報告(보고) 京釜(경부)「新幹線電鐵(신간선전철)」建設(건설)검토]</ref>하여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되었다. 곧바로 철도청에서 계획을 부인하는 단신<ref>[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7031100239101008&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7-03-11&officeId=00023&pageNo=1&printNo=17208&publishType=00010 京釜(경부)「超高速電鐵(초고속전철)」 鐵道廳(철도청)서 부인], 조선일보</ref>이 나오긴 했지만 이후 보도<ref>[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8020400239107010&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8-02-04&officeId=00023&pageNo=7&printNo=17486&publishType=00010 京釜新線(경부신선) (高速(고속) 電鐵(전철)) 내년着手(착수)], 조선일보</ref><ref>[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9020700239107005&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9-02-07&officeId=00023&pageNo=7&printNo=17793&publishType=00010 直線化(직선화)로 서울-釜山(부산) 3시간에 走破(주파) 工費(공비) 1兆(조)원‥‥日(일)-유럽서 借款(차관)제의도], 조선일보</ref>를 고려하면 사실이 아니었거나 장기 계획이어서 부인했을 가능성이 있다.


고속철도 설계를 위해 1981년 4월 일본에, 5월 프랑스에 실무시찰단을 파견했다는 이야기가 돌았고,<ref>[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1060300239102014&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1-06-03&officeId=00023&pageNo=2&printNo=18508&publishType=00010 高速(고속)철도日(일)-佛(불)택일], 조선일보</ref> 8월 일본에 요청한 60억 달러 차관에 서울~대전 고속전철이 포함<ref>[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1072500209201005&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1-07-25&officeId=00020&pageNo=1&printNo=18401&publishType=00020 日紙(일지)보도 한국對日借款(대일차관)60億(억)달러 요청], 동아일보</ref><ref>[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1090400329203007&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1-09-04&officeId=00032&pageNo=3&printNo=11056&publishType=00020 韓(한)·日(일) 무엇이 問題(문제)인가 (2) 「60億弗(억불)」의 當爲性(당위성) (2)], 경향신문</ref>되는 등 [[10·26 사건]]과 [[12·12 군사 반란]]을 거친 후에도 계획은 포기되지 않고 계속 이어졌다. 결국 1981년 10월 6일 [[제5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수송부문 실천계획이 확정되어 [[청와대]]에 보고되었고,<ref>[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1100900209210005&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1-10-09&officeId=00020&pageNo=10&printNo=18466&publishType=00020 5차계획 輸送部門(수송부문) 내용], 동아일보</ref> 최종적으로 제5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에 담겨 서울~대전 구간을 우선 1986년에 착공하기로 하였다. 이 당시 고려된 노선은 아래와 같다.<ref>[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1082300239106003&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1-08-23&officeId=00023&pageNo=6&printNo=18578&publishType=00010 서울~大田(대전) 1시간에 달린다 초고속 電鐵時代(전철시대)로], 조선일보</ref><ref>[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110220020921101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1-10-22&officeId=00020&pageNo=11&printNo=18477&publishType=00020 서울~大田(대전) 高速電鐵(고속전철)·서울地下鐵(지하철) 5,6號線(호선) 88올림픽前(전) 당겨 完工(완공)], 동아일보</ref>
고속철도 설계를 위해 1981년 4월 일본에, 5월 프랑스에 실무시찰단을 파견했다는 이야기가 돌았고,<ref>[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1060300239102014&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1-06-03&officeId=00023&pageNo=2&printNo=18508&publishType=00010 高速(고속)철도日(일)-佛(불)택일], 조선일보</ref> 8월 일본에 요청한 60억 달러 차관에 서울~대전 고속전철이 포함<ref>[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1072500209201005&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1-07-25&officeId=00020&pageNo=1&printNo=18401&publishType=00020 日紙(일지)보도 한국對日借款(대일차관)60億(억)달러 요청], 동아일보</ref><ref>[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1090400329203007&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1-09-04&officeId=00032&pageNo=3&printNo=11056&publishType=00020 韓(한)·日(일) 무엇이 問題(문제)인가 (2) 「60億弗(억불)」의 當爲性(당위성) (2)], 경향신문</ref>되는 등 [[10·26 사건]]과 [[12·12 군사 반란]]을 거친 후에도 계획은 포기되지 않고 계속 이어졌다. 결국 1981년 10월 6일 [[제5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수송부문 실천계획이 확정되어 청화대에 보고되었고,<ref>[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1100900209210005&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1-10-09&officeId=00020&pageNo=10&printNo=18466&publishType=00020 5차계획 輸送部門(수송부문) 내용], 동아일보</ref> 최종적으로 제5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에 담겨 서울~대전 구간을 우선 1986년에 착공하기로 하였다. 이 당시 고려된 노선은 아래와 같다.<ref>[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1082300239106003&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1-08-23&officeId=00023&pageNo=6&printNo=18578&publishType=00010 서울~大田(대전) 1시간에 달린다 초고속 電鐵時代(전철시대)로], 조선일보</ref><ref>[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110220020921101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1-10-22&officeId=00020&pageNo=11&printNo=18477&publishType=00020 서울~大田(대전) 高速電鐵(고속전철)·서울地下鐵(지하철) 5,6號線(호선) 88올림픽前(전) 당겨 完工(완공)], 동아일보</ref>
* '''계획선:''' 서울<ref>플랫폼을 3층에 마련, 과천까지 고가철도</ref> - 과천 - 수원 - 안성 - 진천 - 청주 - 대전 - 영동 - 김천 - 신왜관 - 대구 - 신청도 - 창녕 - 창원 - 마산 - 김해 - 부산, 410 km
* '''계획선:''' 서울<ref>플랫폼을 3층에 마련, 과천까지 고가철도</ref> - 과천 - 수원 - 안성 - 진천 - 청주 - 대전 - 영동 - 김천 - 신왜관 - 대구 - 신청도 - 창녕 - 창원 - 마산 - 김해 - 부산, 410 km
* '''서울~대전 비교선 1안:''' 서울 - 성남 - 용인 - 안성 - (이하 동일)
* '''서울~대전 비교선 1안:''' 서울 - 성남 - 용인 - 안성 - (이하 동일)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