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센터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9번째 줄: 19번째 줄:


이로 인해 동네 변두리에서도 여러 곳 볼 수 있던 오락실이 지금은 번화가나 놀이공원, [[영화관]], [[버스 터미널]] 등의 부대 시설 등지에 가야 볼 수 있을 정도가 되었고 대형 체인이 아니면 운영이 어렵게 되었다.
이로 인해 동네 변두리에서도 여러 곳 볼 수 있던 오락실이 지금은 번화가나 놀이공원, [[영화관]], [[버스 터미널]] 등의 부대 시설 등지에 가야 볼 수 있을 정도가 되었고 대형 체인이 아니면 운영이 어렵게 되었다.
다만 [[BEMANI 시리즈]]를 비롯한 일본산 리듬게임들의 국내정발과 2012년도부터 시작된 스퀘어픽셀즈 제작진들의 노력으로 과거의 모습을 벗어던진 [[EZ2AC 시리즈]],
DJMAX 테크니카 시리즈&세이빈 사운드 스타이후 오랜만에 IC 카드를 통한 기록저장과 곡해금 요소를 도입한 프라임1 이후의 [[펌프 잇업 시리즈]],
VR 기기를 착용하고 플레이하는 [[비트 세이버]],그외 양대 레이싱 게임들인 [[이니셜D 시리즈]],[[완간 미드나이트 시리즈]]의 정발등
일반인들과 매니아층을 전부 잡은 게임들이 출시되며 번화가나 큰길과 맞닿은 골목등에서 오락실이 하나둘씩 생겨나서 제2 중흥기를 맞게 되었지만
[[코로나19]]의 전지구적 대유행으로 인하여 점점 위축되어가는 분위기이다.


==기타==
==기타==
*한국에는 기기에 동전을 올려놓고 다음 차례를 기다리는 소위 '대기코인'이라는 룰이 있었다. 지금은 게임 카드를 대기용으로 올려놓는 경우도 있다.
*한국에는 기기에 동전을 올려놓고 다음 차례를 기다리는 소위 '대기코인'이라는 룰이 있었다. 지금은 게임 카드를 대기용으로 올려놓는 경우도 있다.
*199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한국에서 게임센터 또한 [[당구장]] 만큼이나 건전한 장소가 아니었다. [[불량배]]들이 자기보다 만만하다 싶거나 학급이 낮은 애들에게 금품을 갈취하고 시비를 걸거나 [[대전 액션 게임]]을 하다가 시비가 붙어 싸움이 벌어지고 담배를 꼬나물고 다녀서 안을 너구리굴로 만드는 경우도 많았다. 이런 문제 때문에 중·고등학교에는 학생들이 오락실에 가지 못하도록 지도하고 학생부 선생들이 방과 후에 오락실에 드나드는 학생이 없는지 감시하러 다니기도 했었다. 시험 기간이나 [[방학]]에도 오락실에 가는지 감시하러 다녔었는데 잔머리 굴리는 애들은 걸리지 않으려고 일부러 먼 곳에 원정을 나가서 게임을 즐겼다. 학교가 서로 가까운 곳들은 오락실에 드나드는 학생들의 정보를 공유했다고 한다. 이러한 인식은 오락실이 번화가 등지로 옮겨가고 체감형 게임기와, 경품 게임 등이 등장해서 누구나 즐길 수 있다는 인식이 심어지면서 개선되었다. 지금은 감시체계가 발달했으니 금품 갈취나 행패를 부렸다간 따뜻한 [[콩밥]]이 반겨줄 것이다.
*199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한국에서 게임센터 또한 [[당구장]] 만큼이나 건전한 장소가 아니었다. [[불량배]]들이 자기보다 만만하다 싶거나 학급이 낮은 애들에게 금품을 갈취하고 시비를 걸거나 [[대전 액션 게임]]을 하다가 시비가 붙어 싸움이 벌어지고 담배를 꼬나물고 다녀서 안을 너구리굴로 만드는 경우도 많았다. 이런 문제 때문에 중·고등학교에는 학생들이 오락실에 가지 못하도록 지도하고 학생부 선생들이 방과 후에 오락실에 드나드는 학생이 없는지 감시하러 다니기도 했었다. 시험 기간이나 [[방학]]에도 오락실에 가는지 감시하러 다녔었는데 잔머리 굴리는 애들은 걸리지 않으려고 일부러 먼 곳에 원정을 나가서 게임을 즐겼다. 학교가 서로 가까운 곳들은 오락실에 드나드는 학생들의 정보를 공유했다고 한다. 이러한 인식은 오락실이 번화가 등지로 옮겨가고 체감형 게임기와, 경품 게임 등이 등장해서 누구나 즐길 수 있다는 인식이 심어지면서 개선되었다. 지금은 감시체계가 발달했으니 금품 갈취나 행패를 부렸다간 따뜻한 [[콩밥]]이 반겨줄 것이다.
*감시체계가 미흡하고 기기에 방지 장치가 없던 시기에는 공짜로 즐겨보려고 온갖 부정행위가 횡행했다. 버튼식 라이터나 [[가스렌지]]의 스파크 부품을 금속 투입구에 넣고 버튼을 눌러서 크레딧을 인식시키거나, 10원 주화 테두리에 전기 테이프를 감아 100원 주화와 지름을 똑같이 만들어 100원으로 인식시키거나, 동전에 구멍을 뚫어 실을 감는다거나, 우산살을 구부려 투입구에 넣는 방법 등 다양했다. 주로 돈 없는 애들이 이런 일을 벌이는 경우가 많았으며 기기에 영 좋지 못한 영향을 끼치는데다가<ref>소위 '딱딱이'라고 불리던 버튼식 라이터는 전류가 기판에 영향을 주어 고장이 나고, 동전 이외의 이물질을 투입구에 넣는 짓거리는 투입구에 고장이 생길 가능성이 높다. 기판이 애들 과자값 수준이 아니니 하다가 걸리면 그 돈을 변상해 주어야 한다.</ref> 나쁜 짓이기 때문에 걸리면 영 좋지 못한 결말이 기다렸다.(...) 지금은 기기에 방지책<ref>동전 투입구는 S 자형 트랩으로 바뀌어서 한번 동전을 넣으면 입구 밖으로 빠지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고 동전에 의해 안쪽에 있는 레버가 눌려야만 크래딧이 인식되게 바뀌었다. 그러므로 동전 이외에 다른 것을 넣거나 하는건 불가능 하고  딱딱이를 써도 인식이 안 된다. </ref>과 [[폐쇄회로 텔레비전|감시 카메라]]가 있으므로 절대로 하지 말 것. 편의시설 부정이용죄로 잡혀간다. 참고로 이 법률은 1995년 시행되었다. 군대에서는 PRC-999K 무전기에 숏 안테나를 결합해서 동전 투입구에 대고 송수화기 버튼을 눌러서 쓰기도 했는데 들어온 액수에 비해 게임 플레이 시간이 액수와 맞지 않아서 걸렸다. 게임용 기판에 북키핑 기능이 있고 서비스모드를 통해서 확인이 가능한데 북키핑 기록과 액수가 안 맞으면 부정행위가 있었다는 얘기가 되기 때문이다.
*감시체계가 미흡하고 기기에 방지 장치가 없던 시기에는 공짜로 즐겨보려고 온갖 부정행위가 횡행했다. 버튼식 라이터나 [[가스렌지]]의 스파크 부품을 금속 투입구에 넣고 버튼을 눌러서 크레딧을 인식시키거나, 10원 주화 테두리에 전기 테이프를 감아 100원 주화와 지름을 똑같이 만들어 100원으로 인식시키거나, 동전에 구멍을 뚫어 실을 감는다거나, 우산살을 구부려 투입구에 넣는 방법 등 다양했다. 주로 돈 없는 애들이 이런 일을 벌이는 경우가 많았으며 기기에 영 좋지 못한 영향을 끼치는데다가<ref>소위 '딱딱이'라고 불리던 버튼식 라이터는 전류가 기판에 영향을 주어 고장이 나고, 동전 이외의 이물질을 투입구에 넣는 짓거리는 투입구에 고장이 생길 가능성이 높다. 기판이 애들 과자값 수준이 아니니 하다가 걸리면 그 돈을 변상해 주어야 한다.</ref> 나쁜 짓이기 때문에 걸리면 영 좋지 못한 결말이 기다렸다.(...) 지금은 기기에 방지책<ref>동전 투입구는 S 자형 트랩으로 바뀌어서 한번 동전을 넣으면 입구 밖으로 빠지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고 동전에 의해 안쪽에 있는 레버가 눌려야만 크래딧이 인식되게 바뀌었다. 그러므로 동전 이외에 다른 것을 넣거나 하는건 불가능 하고  딱딱이를 써도 인식이 안 된다. </ref>과 [[폐쇄회로 텔레비전|감시 카메라]]가 있으므로 절대로 하지 말 것. 편의시설 부정이용죄로 잡혀간다. 참고로 이 법률은 1995년 시행되었다. 군대에서는 PRC-999K 무전기에 숏 안테나를 결합해서 동전 투입구에 대고 송수화기 버튼을 눌러서 쓰기도 했는데 들어온 액수에 비해 게임 플레이 시간이 액수와 맞지 않아서 걸렸다. 게임용 기판에 북키핑 기능이 있고 서비스모드를 통해서 확인이 가능한데 북키핑 기록과 액수가 안 맞으면 부정행위가 있었다는 얘기가 되기 때문이다.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인테리어에 신경을 쓰지 않는 곳이 많았다. 벽도 하얀 페인트로 칠해 놓기만 하거나 벽이 지저분하고 바닥도 칙칙해서 오락실 안이 보기 안 좋았다. 이 때문에 불량학생들이 모인다고 지적을 받기도 했다. 인테리어가 보기 좋은 곳으로 가려면 놀이공원에 가야 볼 수 있었는데, 대형 체인이 들어선 이후로는 인테리어가 깔끔해졌다.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인테리어에 신경을 쓰지 않는 곳이 많았다. 벽도 하얀 페인트로 칠해 놓기만 하거나 벽이 지저분하고 바닥도 칙칙해서 오락실 안이 보기 안 좋았다. 이 때문에 불량학생들이 모인다고 지적을 받기도 했다. 인테리어가 보기 좋은 곳으로 가려면 놀이공원에 가야 볼 수 있었는데, 대형 체인이 들어선 이후로는 인테리어가 깔끔해졌다.
*한국의 [[게이머]]들은 일본이 오락실 게임 산업이 발달해서 오락실에 관한 인식이 좋으리라 오해하지만, 일본 또한 게임센터에 관한 인식이 시궁창인 건 마찬가지다. 상단에 언급한 인테리어 문제도 한국과 똑같았다. 일본 변두리 지역에 남아있는 게임센터에 가면 1990년대 한국 분위기와 비슷하다. 일본 역시 대중문화 작품에서 싸움 장면이 나오거나 금품을 갈취하고 오락실에서 놀다가 같은 학급의 불량학생과 마주쳐서 봉변을 당하는 장면이 나온다.(다만 [[하이스코어 걸]]등 오락실 게임을 주제로 삼은 작품도 존재하니 케바케라고 볼수가 있다.)
 
*한국의 [[게이머]]들은 일본이 오락실 게임 산업이 발달해서 오락실에 관한 인식이 좋으리라 오해하지만, 일본 또한 게임센터에 관한 인식이 시궁창인 건 마찬가지다. 상단에 언급한 인테리어 문제도 한국과 똑같았다. 일본 변두리 지역에 남아있는 게임센터에 가면 1990년대 한국 분위기와 비슷하다. 일본 역시 대중문화 작품에서 싸움 장면이 나오거나 금품을 갈취하고 오락실에서 놀다가 같은 학급의 불량학생과 마주쳐서 봉변을 당하는 장면이 나온다.


{{각주}}
{{각주}}
[[분류:아케이드 게임|*]]
[[분류:아케이드 게임|*]]
[[분류:문화 시설]]
[[분류:문화 시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