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 노트FE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83번째 줄: 83번째 줄:
가장 오래된 폭발 신고는 [[2016년]] [[8월 24일]] [http://www.ppomppu.co.kr/zboard/view.php?id=phone&no=3225308 뽐뿌에 올라온 글]로, 9월 3일 현재 전세계적으로 총 35건의 폭발 사례가 알려졌으며, 리콜 실시 전후로는 수백 건으로 늘어났다. 최초에는 삼성전자의 것이 아닌 충전기로 충전할 때에 일어나는 일로 한정지어졌으나, 이후 삼성전자 정품 충전기를 이용하거나 단순 사용 중에도 폭발하는 일이 일어났다. 이에 삼성전자는 물량 출하를 중단한 뒤 구미공장에 임원진들을 집결하여 전수조사를 벌였고,<ref>[http://www.moneys.news/news/mwView.php?no=2016083121058047331 고동진 사장 등 임원진 구미 집결… '갤노트7 폭발' 원인규명 착수] - 뉴스S, [[2016년]] [[8월 31일]]</ref> 삼성SDI가 생산한 배터리 박막의 문제로 잠정 결론지었다.<ref>[http://news.joins.com/article/20539508 중국서 조립한 삼성SDI 배터리 분리막 결함 가능성] - 중앙일보, [[2016년]] [[9월 2일]]</ref>  
가장 오래된 폭발 신고는 [[2016년]] [[8월 24일]] [http://www.ppomppu.co.kr/zboard/view.php?id=phone&no=3225308 뽐뿌에 올라온 글]로, 9월 3일 현재 전세계적으로 총 35건의 폭발 사례가 알려졌으며, 리콜 실시 전후로는 수백 건으로 늘어났다. 최초에는 삼성전자의 것이 아닌 충전기로 충전할 때에 일어나는 일로 한정지어졌으나, 이후 삼성전자 정품 충전기를 이용하거나 단순 사용 중에도 폭발하는 일이 일어났다. 이에 삼성전자는 물량 출하를 중단한 뒤 구미공장에 임원진들을 집결하여 전수조사를 벌였고,<ref>[http://www.moneys.news/news/mwView.php?no=2016083121058047331 고동진 사장 등 임원진 구미 집결… '갤노트7 폭발' 원인규명 착수] - 뉴스S, [[2016년]] [[8월 31일]]</ref> 삼성SDI가 생산한 배터리 박막의 문제로 잠정 결론지었다.<ref>[http://news.joins.com/article/20539508 중국서 조립한 삼성SDI 배터리 분리막 결함 가능성] - 중앙일보, [[2016년]] [[9월 2일]]</ref>  


결국 삼성전자는 노트7의 판매를 중단함과 동시에 글로벌 리콜을 통해 구입시기에 상관 없이 교체하기로 결정했고,<ref>고동진, [https://news.samsung.com/kr/%EA%B0%A4%EB%9F%AD%EC%8B%9C-%EB%85%B8%ED%8A%B87-%EA%B4%80%EB%A0%A8-%EB%B0%9C%ED%91%9C%EB%AC%B8 갤럭시 노트7 관련 발표문] - 삼성전자, [[2016년]] [[9월 2일]]</ref> 삼성전자의 다른 제품으로의 보상판매와 환불 기간 연장 방침도 시사했다.<ref>[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60902175812 삼성, 갤노트7 전량 교환·환불 '통큰 조치'] - 지디넷코리아, 2016년 9월 3일 확인</ref> 소모되는 비용과 시간이 엄청나다보니 일각에서는 이건희 전 회장 시절의 화형식처럼 이재용 회장에게도 회수한 불량품 처리에 대해 결단을 내리길 은근히 부추기는 모양새이다.
결국 삼성전자는 노트7의 판매를 중단함과 동시에 글로벌 리콜을 통해 구입시기에 상관 없이 교체하기로 결정했고,<ref>고동진, [https://news.samsung.com/kr/%EA%B0%A4%EB%9F%AD%EC%8B%9C-%EB%85%B8%ED%8A%B87-%EA%B4%80%EB%A0%A8-%EB%B0%9C%ED%91%9C%EB%AC%B8 갤럭시 노트7 관련 발표문] - 삼성전자, [[2016년]] [[9월 2일]]</ref> 삼성전자의 다른 제품으로의 보상판매와 환불 기간 연장 방침도 시사했다.<ref>[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60902175812 삼성, 갤노트7 전량 교환·환불 '통큰 조치'] - 지디넷코리아, 2016년 9월 3일 확인</ref> 소모되는 비용과 시간이 엄청나다보니 일각에서는 <del>故 </del>이건희 전 회장 시절의 화형식처럼 이재용 회장에게도 회수한 불량품 처리에 대해 결단을 내리길 은근히 부추기는 모양새이다.


리콜 일정을 발표한 9월 2일에서 리콜이 시작되는 9월 19일 사이에도 계속 폭발이 이어져, 호주 콴타스 항공의 자체적인 충전 금지 조치<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9/08/0200000000AKR20160908100800093.HTML 호주 콴타스항공, 갤럭시노트7 기내 충전 금지] - 연합뉴스, 2016년 9월 8일</ref>를 시작으로 미국 연방항공청이 공식적으로 사용 중단 및 수하물 거부를 권고<ref>[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9/09/2016090900738.html 美 연방항공청 "갤럭시노트7 기내 사용 금지"] - 조선일보, [[2016년]] [[9월 9일]]</ref>하자 유럽항공안전청, 일본 국토교통성, 인도 민간항공국 등에서도 사용 및 운송 자제를 권고하였고,<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9/10/0200000000AKR20160910033400009.HTML 미국 이어 유럽·일본 등도 갤노트7 기내사용 자제 권고] - 연합뉴스, [[2016년]] [[9월 10일]]</ref> 결국 삼성전자는 이러한 연쇄적 조치에 항복하여 리콜받지 않은 갤럭시 노트7 사용중지를 공식적으로 권고했다.<ref>[https://news.samsung.com/kr/%EA%B0%A4%EB%9F%AD%EC%8B%9C-%EB%85%B8%ED%8A%B87-%EC%82%AC%EC%9A%A9%EC%9E%90-%EC%97%AC%EB%9F%AC%EB%B6%84%EA%BB%98-%EC%95%8C%EB%A0%A4%EB%93%9C%EB%A6%BD%EB%8B%88%EB%8B%A4  갤럭시 노트7 사용자 여러분께 알려드립니다 ], 삼성전자 보도자료, [[2016년]] [[9월 10일]]</ref> 2016년 9월 16일에는 미국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CPSC)과 캐나다 공공보건위원회에서 자발적 리콜 내용을 알렸다.{{ㅈ|[http://www.cpsc.gov/en/Recalls/2016/Samsung-Recalls-Galaxy-Note7-Smartphones/  Samsung Recalls Galaxy Note7 Smartphones Due to Serious Fire and Burn Hazards], Consumer Product Safety Commission, 2016년 9월 16일}}
리콜 일정을 발표한 9월 2일에서 리콜이 시작되는 9월 19일 사이에도 계속 폭발이 이어져, 호주 콴타스 항공의 자체적인 충전 금지 조치<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9/08/0200000000AKR20160908100800093.HTML 호주 콴타스항공, 갤럭시노트7 기내 충전 금지] - 연합뉴스, 2016년 9월 8일</ref>를 시작으로 미국 연방항공청이 공식적으로 사용 중단 및 수하물 거부를 권고<ref>[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9/09/2016090900738.html 美 연방항공청 "갤럭시노트7 기내 사용 금지"] - 조선일보, [[2016년]] [[9월 9일]]</ref>하자 유럽항공안전청, 일본 국토교통성, 인도 민간항공국 등에서도 사용 및 운송 자제를 권고하였고,<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9/10/0200000000AKR20160910033400009.HTML 미국 이어 유럽·일본 등도 갤노트7 기내사용 자제 권고] - 연합뉴스, [[2016년]] [[9월 10일]]</ref> 결국 삼성전자는 이러한 연쇄적 조치에 항복하여 리콜받지 않은 갤럭시 노트7 사용중지를 공식적으로 권고했다.<ref>[https://news.samsung.com/kr/%EA%B0%A4%EB%9F%AD%EC%8B%9C-%EB%85%B8%ED%8A%B87-%EC%82%AC%EC%9A%A9%EC%9E%90-%EC%97%AC%EB%9F%AC%EB%B6%84%EA%BB%98-%EC%95%8C%EB%A0%A4%EB%93%9C%EB%A6%BD%EB%8B%88%EB%8B%A4  갤럭시 노트7 사용자 여러분께 알려드립니다 ], 삼성전자 보도자료, [[2016년]] [[9월 10일]]</ref> 2016년 9월 16일에는 미국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CPSC)과 캐나다 공공보건위원회에서 자발적 리콜 내용을 알렸다.{{ㅈ|[http://www.cpsc.gov/en/Recalls/2016/Samsung-Recalls-Galaxy-Note7-Smartphones/  Samsung Recalls Galaxy Note7 Smartphones Due to Serious Fire and Burn Hazards], Consumer Product Safety Commission, 2016년 9월 16일}}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