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 초지진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건축물 정보
{{문화재
|건물이름 = 강화 초지진
|명칭 = 강화 초지진
|원어이름 =  
|한자 = 江華 草芝鎭
|그림     = [[파일:초지진.jpg|150px]]
|그림 =초지진.jpg
|그림설명 =  
|그림설명 =  
|종류    =  
|종목 = [[사적]] 제225호
|주소    =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초지리 624번지
|분류 = 유적건조물/정치국방/성/성곽시설
|소유    =  
|수량=
|착공일  =
|면적 = 4,242㎡
|개장일  =
|날짜 = 1971년 12월 29일
|철거일  =
|소재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초지리 624번지
|건축    =  
|시대 =조선시대
|설계    =
|소유 =
|건설    =
|관리 = [[강화군]]
|양식    =
|높이    =
|층수    =
|총면적  =
|대지면적 = 4,242 m<sup>2</sup>
|웹사이트 =
|비고    =
|하위 틀  =
{{문화재 정보/삽입용
|종목    = [[사적]] 제225호
|지정일  = 1971년 12월 29일
|해제일  =
}}
}}
}}
==개요==
==개요==
[[대한민국]]의 [[한강]] 하구와 연결되는 강화해협(염하) 방어를 위한 요새시설로 [[조선왕조실록]]》이나 《[[승정원일기]]》의 관련 기록을 보면 조선 [[조선 효종|효종]] 6년인 1655년에 설치된 것으로 추정된다. 강화 해안경계 부대인 [[강화 12진보]]{{ㅈ|[[강화 5진 7보]]}} 중 남동쪽 끝에 자리하고 있는 진지로 본래는 [[경기도]] [[안산시|안산]] [[초지동|초지량]]에 자리하고 있던 수군 만호를 강화도로 옮겨온 것으로 [[병인양요]], [[신미양요]], [[운요호 사건]] 당시 전투가 벌어졌던 곳이기도 하다.
한강 하구와 연결되는 강화해협(염하) 방어를 위한 요새시설로 [[조선왕조실록]]이나 [[승정원일기]]관련 기록을 보면 조선 [[효종]] 6년인 1655년에 설치된 것으로 추정된다. 강화 해안경계 부대인 12진보{{ㅈ|5진 7보}} 중 서남쪽 끝에 자리하고 있는 진지로 본래는 [[경기도]] [[안산시|안산]] [[초지동|초지량]]에 자리하고 있던 수군 만호를 강화도로 옮겨온 것으로 [[병인양요]], [[신미양요]], [[운요호 사건]] 당시 전투가 벌어졌던 곳이기도 하다.


당시 초지진 관할에는 초지돈대, [[장자평돈대]], [[섬암돈대]]의 3개 돈대와 진남포대의 1개 포대, 3척의 군선이 배속되어 있었으나 [[강화도조약]] 이후 진이 방치되었고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초지진 자체가 허물어지게 되었고 이후 복원된 초지돈대만 남게 되었다.
당시 초지진 관할에는 초지돈대, 장자평돈대, 섬암돈대의 3개 돈대와 진남포대의 1개 포대, 3척의 군선이 배속되어 있었으나 [[강화도조약]] 이후 진이 방치되었고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초지진 자체가 허물어지게 되었고 이후 복원된 초지돈대만 남게 되었다.


==초지돈대==
==초지돈대==
1973년 복원되어 현재 남아있는 초지진의 유일한 시설물이다. [[초지대교]] 북쪽 반달형의 성곽을 둘러친 돈대로 내부에는 누각과 내부에 대포([[홍이포]]) 1문이 전시되어 있다. 돈대의 성 둘레는 약 100m남짓 되는 규모로 성벽에는 화포를 쏠 수 있는 포좌 3개와 성벽 위에 설치된 여장(성가퀴)에 난 총안구 100여 개가 설치되어 있다. 입장료는 700원으로 강화도 내 다른 군진시설 입장료와 동일하나 초지진 자체의 시설이 다른 유료 관람 유적에 비해 상당히 작은 편인지라 다른 진이나 보를 구경하고 난 다음에 초지진에 들르면 뭔가 손해 보는 기분이 들 수도 있다.
1973년 복원되어 현재 남아있는 초지진의 유일한 시설물이다. [[초지대교]] 북쪽 반달형의 성곽을 둘러친 돈대로 내부에는 누각과 내부에 대포(홍이포) 1문이 전시되어 있다. 돈대의 성 둘레는 약 100m남짓 되는 규모로 성벽에는 화포를 쏠 수 있는 포좌 3개와 성벽 위에 설치된 여장(성가퀴)에 난 총안구 100여개가 설치되어 있다. 입장료는 700원으로 강화도 내 다른 군진시설 입장료와 동일하나 초지진 자체의 시설이 다른 유료 관람 유적에 비해 상당히 작은 편인지라 다른 진이나 보를 구경하고 난 다음에 초지진에 들르면 뭔가 손해보는 기분이 들 수도 있다.


{{각주}}
{{주석}}
[[분류:사적]]
[[분류:사적]]
[[분류:강화군]]
[[분류:진성]]
{{리브레 맵스 마커|37.63252690710871|126.53229832649231|13|초지진}}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