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동구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마을 정보
{{+1|강동구 / 江東區}}
|마을이름  = 강동
|원어이름  =
|그림      =
|그림설명  =
|깃발      =
|깃발설명  =
|휘장      =
|휘장설명  =
|지도      =
|지도설명  =
|표어      =
|노래      =
|종류      =
|나라      =
|소속지역  =
|수도      =
|단체장직책 = 구청장
|단체장    = 이수희 ([[국민의힘]])
|입법부    =
|국회의원  = [[진선미]] ([[더불어민주당]])<br />[[이해식]] ([[더불어민주당]])
|행정구역  = 18 행정동, 9 법정동
|인구      = 447,881
|인구밀도  =
|인구 연도  =
|면적      = 24.59
|설립일    =
|해체일    =
|시간대    =
|ISO        =
|마스코트  =
|상징      = [[잣나무]] (나무)<br />[[매화]] (꽃)<br />[[종달새]] (새)
|웹사이트  = [http://www.gd.go.kr/ 강동구청]
|비고      =
}}


강동구(江東區)
== 개요 ==
 
강동구는 [[서울특별시]] 동부에 위치하고 있는 [[자치구]]이다. 동으로는 [[하남시]], 북으로는 한강을 사이에 두고 구리시와 접하고있으며 남으로는 송파구, 서로는 한강을 사이에 두고 광진구와 마주보고있다. 인구는 2015년 3월 현재 472,377명이다.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부에 있는 [[구(행정구역)|자치구]]. 동쪽으로는 [[경기도]] [[하남시]], 남쪽으로는 서울특별시 [[송파구]], 서쪽으로는 한강을 마주보고 서울특별시 [[광진구]]에, 북쪽으로는 한강을 마주보고 경기도 [[구리시]]에 접하고 있다. 서울특별시 최동단 지역으로, 구 명칭 강동도 강(한강)의 동쪽에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 지리 ==
일자산과 성산봉 같은 몇몇 구릉지를 제외하면 대부분이 평지로 이루어져 있다. 그래서 아파트나 단독주택 등이 들어설 수 있는 주거지로 적합한 장소였고, [[일제강점기]]인 1936년 10월에 완공된 [[광진교]]<ref>[http://culture.gangdong.go.kr/site/contents/culture/2015/html00/html04/index4.html 광진교], 강동문화포털</ref>를 통해 서울 도심지역으로 갈 수 있어서 천호역 일대를 주변으로 사람이 몰려 살기 시작하였다.


== 역사 ==
== 역사 ==
신석기 시대부터 농사를 짓거나 물고기를 잡기 위해 신석기인들이 이 곳으로 오면서 터를 잡았다. 암사동에 있는 선사유적지가 당시 신석기인들이 살았던 흔적을 전해주고 있다. 이후 [[백제]]시대에도 위례성 도읍지로 기능했다.
선사시대~청동기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곳이다. 조선시대에 구천면이라는 지명이 생겼다. 1963년 서울 대확장 당시 서울 성동구로 편입되었으며 1975년 [[성동구]]의 한강 이남지역이 [[강남구]]로 떨어져나간다. 1979년 탄천 동부 지역이 강동구라는 이름으로 분리되었고, 잠실지역의 인구 증가로 1988년 풍납동을 포함한 구 광주군 중대면 지역을 [[송파구]]로 분리시킨 뒤 현재에 이른다.  
 
이후 고려 성종 2년(938년)에 광주목에 편입되었으며, 조선 선조 10년(1577년)에 광주부, 1895년에 광주군으로 개편하였다. 당시 신천동, 잠실동을 제외한 강동지역은 경기도 광주군 구천면<ref>그래서인지 [[명성교회]] 앞을 거쳐 천호구사거리로 가는 길 이름을 구천면로로 명명하였다고 한다.</ref>과 중대면에 속하였었다.<ref name="gangdong">[http://www.gangdong.go.kr/site/contents/ko/html05/html00/html04/index2.html?t=1480546323444 강동구 연혁 일람표], 강동구청 홈페이지</ref>
 
[[1963년]] 서울 대확장 당시 서울 성동구에 편입되었다. 이 때의 성동구는 면적이 [[강동구]], [[송파구]], [[강남구]], [[광진구]], [[성동구]] 이 5개 구를 한꺼번에 차지할 정도로 방대했다. 참고로 [[서초구]] 서부는 서울 대확장 이후로 원래는 [[영등포구]]에 속했으나 1975년에 성동구로 편입되었었다. 현재 강동구에 해당하는 지역의 행정사무는 '''성동구청 천호출장소'''라는 곳에서 처리하였고, 이 성동구청 천호출장소가 현재의 강동구청이 된다. 이후 [[1975년]] [[성동구]]의 한강 이남지역이 [[강남구]]로 떨어져나갔고, [[1979년]] 탄천 동부 지역이 강동구라는 이름으로 분리되었다.
 
=== 행정구역 변천사 ===
* [[1979년]] [[10월 1일]] : 대통령령 제9630호에 따라 서울특별시 천호출장소가 강동구로 승격되었다. 구 승격 당시 행정동은 18동이었으며, 인구는 444,265명이었다.<ref name="gangdong"></ref>
* [[1980년]] [[7월 1일]] : 18개동에서 24개동으로 증설하였다.<ref name="gangdong"></ref>
* [[1983년]] [[12월 1일]] : 24개동에서 28개동으로 증설하였다.<ref name="gangdong"></ref>
* [[1985년]] [[9월 1일]] : 조례 제2015호에 따라 하일, 명일, 풍납, 둔촌, 송파, 방이동이 분동되어 28개동에서 35개동으로 늘어났다.<ref name="gangdong"></ref>
* [[1988년]] [[1월 1일]] : 구의 남쪽 지역을 [[송파구]]로 분구하였다.<ref name="gangdong"></ref>
* [[1988년]] [[7월 1일]] : 강동구 조례 제59호에 따라 명일동, 고덕동, 성내동이 분동되어 17개동에서 20개동으로 늘어났다.<ref name="gangdong"></ref>
* [[1991년]] [[8월 6일]] : 강동구 조례 제163호에 따라 암사1, 암사3동에서 암사4동으로 분동되었다.<ref name="gangdong"></ref>
* [[2000년]] [[1월 1일]] : 강동구 조례 제483호에 따라 하일동에서 강일동으로 동명칭이 바뀌었다.<ref name="gangdong"></ref>
* [[2008년]] [[7월 7일]] : 강동구 조례 제763호에 따라 천호2동, 천호4동이 천호2동으로, 암사1동, 암사4동이 암사1동으로, 길1동, 길2동이 길동으로 통합되었다.<ref name="gangdong"></ref>
 
== 지역 특징 ==
천호동은 강동구의 상업 중심지라고 볼 수 있는 지역이다. 일단 [[서울 지하철 5호선]]과 [[서울 지하철 8호선]]이 만나는 [[환승역]]인 [[천호역]]이 자리잡고 있고, 천호역 인근에 현대백화점 천호점이나 이마트 천호점 같은 쇼핑시설도 들어서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2016년 현재 강동구의 거의 대부분 지역이 서울 지하철 5호선을 거쳐 천호역으로 갈 수 있도록 교통편이 갖춰저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인접한 하남시가 강동구 생활권으로 분류될 정도로 하남시와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하남시도 1990년대부터 본격적인 도시개발이 이루어져 문화시설이 매우 빈약해 뭔가 본격적인 놀 거리를 찾으려면 서울로 나와야 하는 현실적인 이유도 있다. BRT 버스를 타고 20분 정도 걸리는 곳에 영화관도 백화점도 있겠다, 크게 놀 곳이 있으니 붐비지 않을 수가 없다는 것이다.  또한 강동구의 동쪽 경계인 강일동-고덕동이 강일지구로서 개발되고 있고, 도로 하나만 건너면 바로 한창 개발중인 미사강변도시라 두 지역이 서서히 연담화되고 있고,  여기에 [[서울 지하철 5호선]] 연장구간인 [[하남선]]이 들어오기 때문에 천호역 주변 상권은 더 붐빌 것으로 예상된다.(...)
 
성내동은 만화 [[달려라 하니]]의 주인공인 '하니'가 살았던 배경이 되는 곳이기도 하다. 실제로 2008년에 이해식 당시 강동구청장으로부터 주민등록증까지 받았으며<ref>[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8/06/16/2008061601659.htm 하니 "주민등록증 받았어요"], 조선일보, 2008.06.16</ref> 2010년에는 성내동에 '성내하니공원'이라는 근린공원을 조성하였다. 이 곳에는 단순한 공원을 넘어서 달려라 하니에 나오는 캐릭터들의 조형물들이 전시되어 사람들에게 이목을 집중시킬 수 있는 요소들이 들어선 것이 특징이다.<ref>[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0011207491826892 성내동에 만화 '달려라 하니' 테마 '하니공원' 탄생], 아경e, 2010.01.12</ref>
 
상일동은 1980년대에 주공아파트들이 들어서면서 주거지역으로 개발된 곳이었다. 하지만, 2009년에 1단지가 고덕아이파크로 재건축된 것을 시작으로, 고덕주공아파트 단지 중에 가장 큰 규모를 자랑했던 2단지와 3단지 역시 2016년에 재건축에 들어가는 등<ref>[https://www.google.co.kr/webhp?sourceid=chrome-instant&ion=1&espv=2&ie=UTF-8#q=%EA%B3%A0%EB%8D%95%EC%95%84%EC%9D%B4%ED%8C%8C%ED%81%AC+%EC%9E%AC%EA%B1%B4%EC%B6%95&tbm=nws ‘청약 대박’ 고덕지구, 막차 타볼까-단기차익은 금물…실수요 땐 가격 매력적], 매일경제, 2016.11.14</ref> 순차적으로 재건축이 이루어지고 있다. 참고로, 고덕주공 3단지 재건축 현장에서는 [[2016년 경주 지진]] 이후 대규모 지진으로 인한 피해에 대비하기 위해 27년과 89년에 남한산성 인근에서 강진이 발생했다는 역사 기록을 토대로 역대 최대규모의 지진대비훈련이 이루어지기도 했다.<ref>[http://www.ytn.co.kr/_ln/0103_201610191602403610 "서울에서 강진"...역대 최대 지진대비훈련], YTN, 2016.10.19</ref><ref>[http://www.ytn.co.kr/_ln/0115_201610192200281051 지진에 폭발, 화재까지...국내 최대 지진훈련], YTN, 2016.10.19</ref>
 
== 관광명소 ==
* [[암사동 선사유적지]]
 
== 정치 ==
=== 역대 구청장 ===
== 교육 ==
== 사건·사고 ==
== 하위 행정구역 ==
== 철도역 ==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5}} [[서울 지하철 5호선|5호선]]
*: [[천호역]], [[강동역]], [[길동역]], [[굽은다리역]], [[명일역]], [[고덕역]], [[상일동역]], [[강일역]], [[둔촌동역]]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8}} [[서울 지하철 8호선|8호선]]
*: [[암사역]], [[천호역]], [[강동구청역]]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9}}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
*: [[둔촌오륜역]], [[중앙보훈병원역]]
 
== 출신 인물 ==
 
== 같이 보기 ==
* [[하남시]](인접도시)


{{각주}}
== 주변 지역과의 관계 ==
동쪽에 있는 [[하남시]]가 강동구 생활권으로 분류될 정도로 하남시와 매우 가까운 편이다. 명일동 학원가와 천호, 암사일대에서 하남에서 온 주민들을 굉장히 많이 볼 수 있다. 이는 하남시의 문화시설이 매우 빈약해 놀려면 서울로 나와야하는데, BRT 버스를 타고 20분 정도 걸리는 곳에 영화관도 백화점도 있겠다, 크게 놀 곳이 있으니 붐비지 않을 수가 없다는 것이다. 2009년 하남-성남-광주 통합이 거론되었을때 하남 주민들은 크게 동감하지 않았는데, 광주 시내로 나가려면 대중교통으로 40분 이상 걸리고 성남은 1시간이 넘게 걸려 그 지역들과의 동질감을 크게 못 느꼈기 때문이다.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는 차라리 생활권이 같은 강동구와 통합하자는 의견이 많이 나왔지만 공론화되지는 않았다. 하지만 강동구의 동쪽 경계인 강일동-고덕동이 강일지구로서 개발되고 있고, 도로 하나만 건너면 바로 한창 개발중인 미사강변도시라 도심이 서서히 연담화되고 있는 상황. 여기에 [[서울 지하철 5호선]]까지 직접 들어오니... 하남시는 확실하게 강동 생활권으로 묶이는 모습.


{{서울특별시의 기초자치단체}}
== 참고항목 ==
[[분류:서울특별시의 행정구역]]
{{틀: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
[[분류:강동구|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