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산디지털단지역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55번째 줄: 55번째 줄:
[[수도권 전철 1호선|수도권 전철]]의 개통과 함께 생긴 역으로, '''가리봉역'''으로 개업했다. 현재의 구조는 2면 2선에 가운데 2선의 본선 통과선이 있는 형태로,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잘 생각해보면, 최초 개통 당시부터 1980년 복복선화 완공까지 경부선 계통은 복선을 사용하고 있었단 점과 걸리는데, 중간에 선로전환 등의 과정을 거치며 현재의 구조로 변경된 것이다. 다른 역들의 경우 원래 구조를 유지하면서 대부분 외선 신설에 그쳤으나, 가리봉역이 이렇게 된 이유는 잘 알려져있지 않다. 구로역 구내가 끝난 지점에서 멀지 않은 지점이라 이렇게 바뀌었을 가능성도 있으나, 언론 보도 등에서는 난공사였다는 이야기 등만 나와있는 수준.
[[수도권 전철 1호선|수도권 전철]]의 개통과 함께 생긴 역으로, '''가리봉역'''으로 개업했다. 현재의 구조는 2면 2선에 가운데 2선의 본선 통과선이 있는 형태로,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잘 생각해보면, 최초 개통 당시부터 1980년 복복선화 완공까지 경부선 계통은 복선을 사용하고 있었단 점과 걸리는데, 중간에 선로전환 등의 과정을 거치며 현재의 구조로 변경된 것이다. 다른 역들의 경우 원래 구조를 유지하면서 대부분 외선 신설에 그쳤으나, 가리봉역이 이렇게 된 이유는 잘 알려져있지 않다. 구로역 구내가 끝난 지점에서 멀지 않은 지점이라 이렇게 바뀌었을 가능성도 있으나, 언론 보도 등에서는 난공사였다는 이야기 등만 나와있는 수준.


승강장은 방향별 복복선의 외선 상대식 역으로, 중간쯤에 선상역사가 있고, 남쪽 끝단에 7호선과의 환승 통로가 있는 형태다. 환승객과 함께 7호선 역사의 이용객이 꽤 되고, 신도림, 구로 모두 승강장 끝단의 여객 수요 부담이 많이 걸리는지라 경부선 하행 열차가 이 역을 통과할 때 쯤이면 으레 천안 방면 끝쪽 칸은 매우 혼잡하게 되곤 한다.
승강장은 방향별 복복선의 외선 상대식 역으로, 중간쯤에 선상역사가 있고, 남쪽 끝단에 7호선과의 환승 통로가 있는 형태다. 환승객과 함께 7호선 역사의 이용객이 꽤 되고, 신도림, 구로 모두 승강장 끝단의 여객 수요 부담이 많이 걸리는지라 경부선 하행 열차가 이 역을 통과할 때 쯤이면 으레 천안 방면 끝쪽 칸은 매우 혼잡한 상태를 유지한다.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구조=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2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