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편집을 검사

편집 필터 둘러보기 (처음 | 최근 필터의 바뀜 | 과거의 편집 검토하기 | 편집 필터 기록)

This page allows you to examine the variables generated by the Abuse Filter for an individual change.

이 편집에 대해 생성된 변수

변수
사용자의 편집 수 (user_editcount)
27107
사용자 계정 이름 (user_name)
'Liebesfreud'
사용자 계정 만든 후 지난 시간 (user_age)
143691771
사용자 권한 그룹 (자동으로 부여된 권한 포함) (user_groups)
[ 0 => '*', 1 => 'user', 2 => 'autoconfirmed' ]
문서 ID (page_id)
1716
문서 이름공간 (page_namespace)
0
(이름공간을 뺀) 문서 제목 (page_title)
'김구'
전체 문서 제목 (page_prefixedtitle)
'김구'
동작 (action)
'edit'
편집 요약/이유 (summary)
''
이전 콘텐츠 모델 (old_content_model)
'wikitext'
새 콘텐츠 모델 (new_content_model)
'wikitext'
편집 전 과거 문서의 위키텍스트 (old_wikitext)
'{{인물 정보 |인물이름 = 김구 ㅣ김구의 학술적 성과 식민지 지식인 김구는 1928년 말 조선을 떠나 광복을 맞기까지 이국땅 중국(베이징, 봉천 등)에서 16년 이란 짧지 않은 인생을 살면서 적지 않은 학문적 성과들을 이루었는바 그러한 성과들은 오늘 다시 보아도 의미가 작지 않다. 전체적으로 볼 때 북경시절에는 김구의 교류는 루쉰, 저 우쭤런, 후스, 워이젠궁, 류반 등 문인들을 상대로 한 문화적 교류가 중심이었다면 봉천시절의 교류는 진위푸과 일본학자들 간의 학술적 교 류가 중심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우선 베이징 시절 김구는 중국의 현대 지식인들과 적극적인 교류를 통해 문화의 차이를 극복하고 나름의 새로운 문화 의식으로 불교학을 중심으로 한 동양학을 바라보고자 하였다, 특히 후스와 진위푸 등 중국 최고의 학자, 문인들과 교류하면서 그들 의 학술사상과 방법을 수용하는 한편 보다 객관적이고 폭넓은 동아시아 학술 연구 시각을 공유하고자 노력하였으며 이러한 학술 시각은 그의 동양학 연구에 소중한 바탕이 되었던 것이다. 이는 김구가 중국현대지식인들과의 사상, 문화적 교류에서 획득한 가장 값진 성과이기도 하다. 따라서 김구는 중•일 현대문인들과의 긴밀한 교류와 협력 속에서 돈황 (화)북) 석실자료교감 및 간행과 같은 중요한 업적들을 이루게 된다. 다 음, 봉천 시절에 이룩한 업적들도 의미가 크다. 김구는 중국의 학자들 못지않게 풍부한 지식과 다양하고 폭넓은 학술적 시각으로 만주역사와 언어 민속, 몽골어연구 등에서 적지 않은 성과들을 이루어냈는바 이러한 업적들은 개인적인 업적의 의미를 넘어서 한.중•일 3국의 동양학연구 에 대한 기여가 된다. 이 과정에 김구는 동아시아 3국의 학자, 문인들이 동양학연구에서 상호 소통하고 협력할 수 있도록 교량적 역할을 담 당했었는바 이는 민족과 국가의 경계를 넘어 세계와 통할 수 있는 동양학의 보편적인 가치에 대한 추구와 관련이 있다고 본다. 이러한 측면에 서 볼 때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추구했던 김구의 문화의식과 학술이념은 마땅히 학계의 정당한 평가를 받아야 한다. |원어이름 = |배경색 = |글자색 = |그림 = [[파일:Kim Gu in 1949.jpg|150px]] |그림설명 = |본명 = |다른이름 = |출생일 = {{출생일|1876|8|29}} |출생지 = [[조선]] 황해도 해주군 백운방 |사망일 = {{사망일과 나이|1949|6|26|1876|8|29}}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평동 [[경교장]] |국적 = |학력 = |직업 = |종교 = [[감리회]] |정당 = |신체 = |배우자 = 최준례 |가족 = |활동기간 = |소속사 = |웹사이트 = |비고 = |하위 틀 = {{인물 정보/국가원수 |국가원수 =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제9·10대 국무령<br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제18·19·20대 주석 |시호 = |임기 = 1926년 12월 14일 ~ 1927년 8월 (국무령)<br />1940년 3월 13일 ~ 1947년 3월 3일 (주석) |부원수 = 부통령<br />부주석 |부원수목록 = [[이인성]] (부통령)<br />[[김규식]] (부주석) |전임 = [[홍진]] <small>(제8대)</small><br />[[이동녕]] <small>(제17대)</small> |후임 = [[이동녕]] <small>(제11대)</small><br />[[이승만]] <small>(제21대)</small> }} }} '''김구'''(金九, [[1876년]] [[8월 29일]]<ref>[[음력 7월 11일]]</ref>~[[1949년]] [[6월 26일]])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이다. [[호 (이름)|호]]는 '''백범'''(白凡). 본명은 김창수이다. == 생애 == 1876년 몰락한 양반의 후손으로 태어났다. 1896년 백범 김구는 일본 상인이었던 쓰치다 조스케를 죽였다. 이를 치하포 사건이라고 하는데 당시 그는 쓰치다가 명성황후를 죽인 군인이라고 생각 하고 죽였다고 한다. 일제 강점기 시절 상하이로 망명 가면서 임시 정부 조직에 참여 했다. 이 시기 [[이봉창]], [[윤봉길]]의 의거를 돕기도 했다. 해방 이후에는 신탁 통치가 일어나자 반대하고 공산 정권에 대해 부정적으로 봤다. 1949년, [[안두희]]에게 [[암살]]당하였다. == 여담 == *김구가 치하포 사건을 저질렀다는 점에서 킬구라는 별명을 얻었다. *[http://m.kmib.co.kr/view.asp?arcid=0922767790 김구에 대해 과대 평가를 한다는 이야기가 있다.] 백범은 통일국가 건설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미소 양군 철퇴 ⤍ 남북요인회담 ⤍ 남북총선거 실시 ⤍ 통일정부 수립이 그 방안이었다. 백범은 김규식과 함께 이를 추진하였고, 유엔위원단에게도 이러한 방안을 제 시하였다. 그리고 남북의 지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이 문제를 협의하자며, 김일성과 김두봉에게 남북요인회 담을 제의하는 서신을 보냈다. 1948년 4월 평양으로 올라가 남북협상을 전개하였고, 미소 양군 철퇴 ⤍ 전조 선정치회의 소집 ⤍ 임시정부 수립 ⤍ 통일적 입법기관 설립 ⤍ 통일적 민주정부 수립이라는 방안과 절차에 합의를 이루었다. 그러나 남과 북이 각각 단독정부를 수립하면서, 이는 실현되지 못하였다. == 저서 == *《백범일지》 {{각주}} [[분류:1949년 사망]] [[분류:해주시 출신]] [[분류: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분류:대한민국의 반공주의자]]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 [[분류: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수훈자]]'
편집 후 새 문서의 위키텍스트 (new_wikitext)
'{{특정판 삭제|[[:파일:1837160.pdf]]|[[특수:고유링크/1837160]] 이후 판}} {{인물 정보 |인물이름 = 김구 |원어이름 = |배경색 = |글자색 = |그림 = [[파일:Kim Gu in 1949.jpg|150px]] |그림설명 = |본명 = |다른이름 = |출생일 = {{출생일|1876|8|29}} |출생지 = [[조선]] 황해도 해주군 백운방 |사망일 = {{사망일과 나이|1949|6|26|1876|8|29}}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평동 [[경교장]] |국적 = |학력 = |직업 = |종교 = [[감리회]] |정당 = |신체 = |배우자 = 최준례 |가족 = |활동기간 = |소속사 = |웹사이트 = |비고 = |하위 틀 = {{인물 정보/국가원수 |국가원수 =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제9·10대 국무령<br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제18·19·20대 주석 |시호 = |임기 = 1926년 12월 14일 ~ 1927년 8월 (국무령)<br />1940년 3월 13일 ~ 1947년 3월 3일 (주석) |부원수 = 부통령<br />부주석 |부원수목록 = [[이인성]] (부통령)<br />[[김규식]] (부주석) |전임 = [[홍진]] <small>(제8대)</small><br />[[이동녕]] <small>(제17대)</small> |후임 = [[이동녕]] <small>(제11대)</small><br />[[이승만]] <small>(제21대)</small> }} }} '''김구'''(金九, [[1876년]] [[8월 29일]]<ref>[[음력 7월 11일]]</ref>~[[1949년]] [[6월 26일]])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이다. [[호 (이름)|호]]는 '''백범'''(白凡). 본명은 김창수이다. == 생애 == 1876년 몰락한 양반의 후손으로 태어났다. 1896년 백범 김구는 일본 상인이었던 쓰치다 조스케를 죽였다. 이를 치하포 사건이라고 하는데 당시 그는 쓰치다가 명성황후를 죽인 군인이라고 생각 하고 죽였다고 한다. 일제 강점기 시절 상하이로 망명 가면서 임시 정부 조직에 참여 했다. 이 시기 [[이봉창]], [[윤봉길]]의 의거를 돕기도 했다. 해방 이후에는 신탁 통치가 일어나자 반대하고 공산 정권에 대해 부정적으로 봤다. 1949년, [[안두희]]에게 [[암살]]당하였다. == 여담 == *김구가 치하포 사건을 저질렀다는 점에서 킬구라는 별명을 얻었다. *[http://m.kmib.co.kr/view.asp?arcid=0922767790 김구에 대해 과대 평가를 한다는 이야기가 있다.] == 저서 == *《백범일지》 {{각주}} [[분류:1949년 사망]] [[분류:해주시 출신]] [[분류: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분류:대한민국의 반공주의자]]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 [[분류: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수훈자]]'
편집 전후의 차이 (edit_diff)
'@@ -1,8 +1,5 @@ +{{특정판 삭제|[[:파일:1837160.pdf]]|[[특수:고유링크/1837160]] 이후 판}} {{인물 정보 |인물이름 = 김구 -ㅣ김구의 학술적 성과 -식민지 지식인 김구는 1928년 말 조선을 떠나 광복을 맞기까지 이국땅 중국(베이징, 봉천 등)에서 16년 이란 짧지 않은 인생을 살면서 적지 않은 학문적 성과들을 이루었는바 그러한 성과들은 오늘 다시 보아도 의미가 작지 않다. 전체적으로 볼 때 북경시절에는 김구의 교류는 루쉰, 저 우쭤런, 후스, 워이젠궁, 류반 등 문인들을 상대로 한 문화적 교류가 중심이었다면 봉천시절의 교류는 진위푸과 일본학자들 간의 학술적 교 류가 중심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우선 베이징 시절 김구는 중국의 현대 지식인들과 적극적인 교류를 통해 문화의 차이를 극복하고 나름의 새로운 문화 의식으로 불교학을 중심으로 한 동양학을 바라보고자 하였다, 특히 후스와 진위푸 등 중국 최고의 학자, 문인들과 교류하면서 그들 의 학술사상과 방법을 수용하는 한편 보다 객관적이고 폭넓은 동아시아 학술 연구 시각을 공유하고자 노력하였으며 이러한 학술 시각은 그의 동양학 연구에 소중한 바탕이 되었던 것이다. 이는 김구가 중국현대지식인들과의 사상, 문화적 교류에서 획득한 가장 값진 성과이기도 하다. -따라서 김구는 중•일 현대문인들과의 긴밀한 교류와 협력 속에서 돈황 (화)북) 석실자료교감 및 간행과 같은 중요한 업적들을 이루게 된다. 다 음, 봉천 시절에 이룩한 업적들도 의미가 크다. 김구는 중국의 학자들 못지않게 풍부한 지식과 다양하고 폭넓은 학술적 시각으로 만주역사와 언어 민속, 몽골어연구 등에서 적지 않은 성과들을 이루어냈는바 이러한 업적들은 개인적인 업적의 의미를 넘어서 한.중•일 3국의 동양학연구 에 대한 기여가 된다. 이 과정에 김구는 동아시아 3국의 학자, 문인들이 동양학연구에서 상호 소통하고 협력할 수 있도록 교량적 역할을 담 당했었는바 이는 민족과 국가의 경계를 넘어 세계와 통할 수 있는 동양학의 보편적인 가치에 대한 추구와 관련이 있다고 본다. 이러한 측면에 서 볼 때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추구했던 김구의 문화의식과 학술이념은 마땅히 학계의 정당한 평가를 받아야 한다. - |원어이름 = |배경색 = @@ -52,6 +49,4 @@ *김구가 치하포 사건을 저질렀다는 점에서 킬구라는 별명을 얻었다. *[http://m.kmib.co.kr/view.asp?arcid=0922767790 김구에 대해 과대 평가를 한다는 이야기가 있다.] - -백범은 통일국가 건설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미소 양군 철퇴 ⤍ 남북요인회담 ⤍ 남북총선거 실시 ⤍ 통일정부 수립이 그 방안이었다. 백범은 김규식과 함께 이를 추진하였고, 유엔위원단에게도 이러한 방안을 제 시하였다. 그리고 남북의 지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이 문제를 협의하자며, 김일성과 김두봉에게 남북요인회 담을 제의하는 서신을 보냈다. 1948년 4월 평양으로 올라가 남북협상을 전개하였고, 미소 양군 철퇴 ⤍ 전조 선정치회의 소집 ⤍ 임시정부 수립 ⤍ 통일적 입법기관 설립 ⤍ 통일적 민주정부 수립이라는 방안과 절차에 합의를 이루었다. 그러나 남과 북이 각각 단독정부를 수립하면서, 이는 실현되지 못하였다. == 저서 == '
새 문서 크기 (new_size)
2718
편집 중 추가된 줄 (added_lines)
[ 0 => '{{특정판 삭제|[[:파일:1837160.pdf]]|[[특수:고유링크/1837160]] 이후 판}}' ]
편집이 토르 끝 노드를 통해 바뀌었는 지의 여부 (tor_exit_node)
false
바뀐 시점의 유닉스 시간 기록 (timestamp)
'17002310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