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필터 기록

편집 필터 둘러보기 (처음 | 최근 필터의 바뀜 | 과거의 편집 검토하기 | 편집 필터 기록)
기록 49,230에 대한 자세한 정보

2022년 9월 21일 (수) 14:47: Chirho (토론 | 기여)님이 2022년 8월 폭우에서 "edit" 동작을 수행하여 필터 0이(가) 작동했습니다. 조치: 태그; 필터 설명: (검사)

편집에서 바뀐 내용

[[File:radarKMA.png|8월 9일 자정 무렵의 한국기상청 레이더 화면|섬네일]]
2022년 8월 8일을 전후한 시기에 중부지방 일대에 정체전선이 활성화되면서 집중호우가 발생한 사건으로 서울, 수도권 일대를 비롯한 지역에 막대한 피해가 발생한 사건


==원인==
이 시기는 평년 기준 8월 초순 무더위가 한참일 시기였으나 중부지방 상공에서 강력한 정체전선(장마전선도 정체전선의 일종에 해당)이 급속도로 발달하면서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상공 11~13km에 이르는 고도까지 이르는 매우 강력한 적란운대가 형성되었다.
통상 이런 여름철 정체전선의 발달은 여름 더위가 끝나가는 8월 후반이나 9월 초순의 가을장마 시기에 발생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나 이 폭우는 8월 초순을 막 지나는 상당히 이른 시기의 가을장마 패턴이 발생하는 기상현상에 해당한다.
<gallery>
File:850hPaKMA.png|한국기상청 850hPa영역 일기도 분석
File:500hPaKMA.png|한국기상청 500hPa영역 일기도 분석
File:200hPaKMA.png|한국기상청 200hPa영역 일기도 분석
</gallery>
당시 한반도 부근의 상층 기압배치를 보면 500hPa영역(5500~6500m부근 상공) 일기도상에서 캄차카 반도 부근에 고기압 블로킹이 자리잡고 있고, 한반도 바로 북쪽에 있는 한랭기압골(절리저기압)이 이 고기압 블로킹에 가로막혀 동진하지 못하고 남하하는 힘이 강하게 발생하였다. 한편, [[북태평양 고기압]]의 가장자리 경계선에 해당하는 5880gpm선은 수도권 일대까지 밀고 올라와서 전국이 폭염을 겪고 있는 상황이었는데, 이렇게 온도차가 상당히 큰 두 공기덩어리의 충돌{{ㅈ|6000m 상공에서 북태평양 고기압과 절리저기압간 상대온도차는 18℃수준이었음}}이 한반도 상공이라는 꽤 좁은 구역에서 발생하였으며, 이 두 기단이 충돌하는 전선면의 하층(850hPa영역)과 상층(200hPa영역)에서의 제트기류가 전선면 부근에서 일치하는 제트기류 커플링 현상이 발생하면서 대기불안정을 심화시키면서 가뜩이나 쉽게 발달하는 전선면의 상승기류를 더욱 가속화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
즉, 이러한 현상이 생긴 근본적인 원인은 캄차카 반도 상공의 고기압 블로킹이 원인인데 이 고기압 블로킹의 발생 원인으로는 7/30~8/1 기간동안 한반도 부근까지 북상하기는 하였으나 정작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연이어 소멸한 5호 태풍 송다와 6호 태풍 트라세의 남은 온기가 점차 상승, 캄차카 반도 부근 5500m 부근 상공에서 남북방향의 기압능의 형태로 자리하게 되었고,이 블로킹으로 인해 상층의 찬 공기가 동쪽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한반도 방향으로 남진하게 된 것이 근본 원인이라 할 수 있다.
==기록==
==피해==
==기타==
{{주석}}

명령 변수

변수
사용자의 편집 수 (user_editcount)
31261
사용자 계정 이름 (user_name)
'Chirho'
사용자 계정 만든 후 지난 시간 (user_age)
234541544
사용자 권한 그룹 (자동으로 부여된 권한 포함) (user_groups)
[ 0 => 'boardmanager', 1 => 'bureaucrat', 2 => 'interface-admin', 3 => 'sysop', 4 => '*', 5 => 'user', 6 => 'autoconfirmed' ]
문서 ID (page_id)
0
문서 이름공간 (page_namespace)
0
(이름공간을 뺀) 문서 제목 (page_title)
'2022년 8월 폭우'
전체 문서 제목 (page_prefixedtitle)
'2022년 8월 폭우'
동작 (action)
'edit'
편집 요약/이유 (summary)
''
이전 콘텐츠 모델 (old_content_model)
''
새 콘텐츠 모델 (new_content_model)
'wikitext'
편집 전 과거 문서의 위키텍스트 (old_wikitext)
''
편집 후 새 문서의 위키텍스트 (new_wikitext)
'[[File:radarKMA.png|8월 9일 자정 무렵의 한국기상청 레이더 화면|섬네일]] 2022년 8월 8일을 전후한 시기에 중부지방 일대에 정체전선이 활성화되면서 집중호우가 발생한 사건으로 서울, 수도권 일대를 비롯한 지역에 막대한 피해가 발생한 사건 ==원인== 이 시기는 평년 기준 8월 초순 무더위가 한참일 시기였으나 중부지방 상공에서 강력한 정체전선(장마전선도 정체전선의 일종에 해당)이 급속도로 발달하면서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상공 11~13km에 이르는 고도까지 이르는 매우 강력한 적란운대가 형성되었다. 통상 이런 여름철 정체전선의 발달은 여름 더위가 끝나가는 8월 후반이나 9월 초순의 가을장마 시기에 발생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나 이 폭우는 8월 초순을 막 지나는 상당히 이른 시기의 가을장마 패턴이 발생하는 기상현상에 해당한다. <gallery> File:850hPaKMA.png|한국기상청 850hPa영역 일기도 분석 File:500hPaKMA.png|한국기상청 500hPa영역 일기도 분석 File:200hPaKMA.png|한국기상청 200hPa영역 일기도 분석 </gallery> 당시 한반도 부근의 상층 기압배치를 보면 500hPa영역(5500~6500m부근 상공) 일기도상에서 캄차카 반도 부근에 고기압 블로킹이 자리잡고 있고, 한반도 바로 북쪽에 있는 한랭기압골(절리저기압)이 이 고기압 블로킹에 가로막혀 동진하지 못하고 남하하는 힘이 강하게 발생하였다. 한편, [[북태평양 고기압]]의 가장자리 경계선에 해당하는 5880gpm선은 수도권 일대까지 밀고 올라와서 전국이 폭염을 겪고 있는 상황이었는데, 이렇게 온도차가 상당히 큰 두 공기덩어리의 충돌{{ㅈ|6000m 상공에서 북태평양 고기압과 절리저기압간 상대온도차는 18℃수준이었음}}이 한반도 상공이라는 꽤 좁은 구역에서 발생하였으며, 이 두 기단이 충돌하는 전선면의 하층(850hPa영역)과 상층(200hPa영역)에서의 제트기류가 전선면 부근에서 일치하는 제트기류 커플링 현상이 발생하면서 대기불안정을 심화시키면서 가뜩이나 쉽게 발달하는 전선면의 상승기류를 더욱 가속화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 즉, 이러한 현상이 생긴 근본적인 원인은 캄차카 반도 상공의 고기압 블로킹이 원인인데 이 고기압 블로킹의 발생 원인으로는 7/30~8/1 기간동안 한반도 부근까지 북상하기는 하였으나 정작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연이어 소멸한 5호 태풍 송다와 6호 태풍 트라세의 남은 온기가 점차 상승, 캄차카 반도 부근 5500m 부근 상공에서 남북방향의 기압능의 형태로 자리하게 되었고,이 블로킹으로 인해 상층의 찬 공기가 동쪽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한반도 방향으로 남진하게 된 것이 근본 원인이라 할 수 있다. ==기록== ==피해== ==기타== {{주석}}'
편집 전후의 차이 (edit_diff)
'@@ -1,0 +1,23 @@ +[[File:radarKMA.png|8월 9일 자정 무렵의 한국기상청 레이더 화면|섬네일]] +2022년 8월 8일을 전후한 시기에 중부지방 일대에 정체전선이 활성화되면서 집중호우가 발생한 사건으로 서울, 수도권 일대를 비롯한 지역에 막대한 피해가 발생한 사건 + +==원인== +이 시기는 평년 기준 8월 초순 무더위가 한참일 시기였으나 중부지방 상공에서 강력한 정체전선(장마전선도 정체전선의 일종에 해당)이 급속도로 발달하면서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상공 11~13km에 이르는 고도까지 이르는 매우 강력한 적란운대가 형성되었다. + +통상 이런 여름철 정체전선의 발달은 여름 더위가 끝나가는 8월 후반이나 9월 초순의 가을장마 시기에 발생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나 이 폭우는 8월 초순을 막 지나는 상당히 이른 시기의 가을장마 패턴이 발생하는 기상현상에 해당한다. + +<gallery> +File:850hPaKMA.png|한국기상청 850hPa영역 일기도 분석 +File:500hPaKMA.png|한국기상청 500hPa영역 일기도 분석 +File:200hPaKMA.png|한국기상청 200hPa영역 일기도 분석 +</gallery> +당시 한반도 부근의 상층 기압배치를 보면 500hPa영역(5500~6500m부근 상공) 일기도상에서 캄차카 반도 부근에 고기압 블로킹이 자리잡고 있고, 한반도 바로 북쪽에 있는 한랭기압골(절리저기압)이 이 고기압 블로킹에 가로막혀 동진하지 못하고 남하하는 힘이 강하게 발생하였다. 한편, [[북태평양 고기압]]의 가장자리 경계선에 해당하는 5880gpm선은 수도권 일대까지 밀고 올라와서 전국이 폭염을 겪고 있는 상황이었는데, 이렇게 온도차가 상당히 큰 두 공기덩어리의 충돌{{ㅈ|6000m 상공에서 북태평양 고기압과 절리저기압간 상대온도차는 18℃수준이었음}}이 한반도 상공이라는 꽤 좁은 구역에서 발생하였으며, 이 두 기단이 충돌하는 전선면의 하층(850hPa영역)과 상층(200hPa영역)에서의 제트기류가 전선면 부근에서 일치하는 제트기류 커플링 현상이 발생하면서 대기불안정을 심화시키면서 가뜩이나 쉽게 발달하는 전선면의 상승기류를 더욱 가속화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 + +즉, 이러한 현상이 생긴 근본적인 원인은 캄차카 반도 상공의 고기압 블로킹이 원인인데 이 고기압 블로킹의 발생 원인으로는 7/30~8/1 기간동안 한반도 부근까지 북상하기는 하였으나 정작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연이어 소멸한 5호 태풍 송다와 6호 태풍 트라세의 남은 온기가 점차 상승, 캄차카 반도 부근 5500m 부근 상공에서 남북방향의 기압능의 형태로 자리하게 되었고,이 블로킹으로 인해 상층의 찬 공기가 동쪽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한반도 방향으로 남진하게 된 것이 근본 원인이라 할 수 있다. + +==기록== + +==피해== +==기타== + +{{주석}} '
새 문서 크기 (new_size)
3073
편집 중 추가된 줄 (added_lines)
[ 0 => '[[File:radarKMA.png|8월 9일 자정 무렵의 한국기상청 레이더 화면|섬네일]]', 1 => '2022년 8월 8일을 전후한 시기에 중부지방 일대에 정체전선이 활성화되면서 집중호우가 발생한 사건으로 서울, 수도권 일대를 비롯한 지역에 막대한 피해가 발생한 사건', 2 => '', 3 => '==원인==', 4 => '이 시기는 평년 기준 8월 초순 무더위가 한참일 시기였으나 중부지방 상공에서 강력한 정체전선(장마전선도 정체전선의 일종에 해당)이 급속도로 발달하면서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상공 11~13km에 이르는 고도까지 이르는 매우 강력한 적란운대가 형성되었다.', 5 => '', 6 => '통상 이런 여름철 정체전선의 발달은 여름 더위가 끝나가는 8월 후반이나 9월 초순의 가을장마 시기에 발생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나 이 폭우는 8월 초순을 막 지나는 상당히 이른 시기의 가을장마 패턴이 발생하는 기상현상에 해당한다.', 7 => '', 8 => '<gallery>', 9 => 'File:850hPaKMA.png|한국기상청 850hPa영역 일기도 분석', 10 => 'File:500hPaKMA.png|한국기상청 500hPa영역 일기도 분석', 11 => 'File:200hPaKMA.png|한국기상청 200hPa영역 일기도 분석', 12 => '</gallery>', 13 => '당시 한반도 부근의 상층 기압배치를 보면 500hPa영역(5500~6500m부근 상공) 일기도상에서 캄차카 반도 부근에 고기압 블로킹이 자리잡고 있고, 한반도 바로 북쪽에 있는 한랭기압골(절리저기압)이 이 고기압 블로킹에 가로막혀 동진하지 못하고 남하하는 힘이 강하게 발생하였다. 한편, [[북태평양 고기압]]의 가장자리 경계선에 해당하는 5880gpm선은 수도권 일대까지 밀고 올라와서 전국이 폭염을 겪고 있는 상황이었는데, 이렇게 온도차가 상당히 큰 두 공기덩어리의 충돌{{ㅈ|6000m 상공에서 북태평양 고기압과 절리저기압간 상대온도차는 18℃수준이었음}}이 한반도 상공이라는 꽤 좁은 구역에서 발생하였으며, 이 두 기단이 충돌하는 전선면의 하층(850hPa영역)과 상층(200hPa영역)에서의 제트기류가 전선면 부근에서 일치하는 제트기류 커플링 현상이 발생하면서 대기불안정을 심화시키면서 가뜩이나 쉽게 발달하는 전선면의 상승기류를 더욱 가속화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 14 => '', 15 => '즉, 이러한 현상이 생긴 근본적인 원인은 캄차카 반도 상공의 고기압 블로킹이 원인인데 이 고기압 블로킹의 발생 원인으로는 7/30~8/1 기간동안 한반도 부근까지 북상하기는 하였으나 정작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연이어 소멸한 5호 태풍 송다와 6호 태풍 트라세의 남은 온기가 점차 상승, 캄차카 반도 부근 5500m 부근 상공에서 남북방향의 기압능의 형태로 자리하게 되었고,이 블로킹으로 인해 상층의 찬 공기가 동쪽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한반도 방향으로 남진하게 된 것이 근본 원인이라 할 수 있다.', 16 => '', 17 => '==기록==', 18 => '', 19 => '==피해==', 20 => '==기타==', 21 => '', 22 => '{{주석}}' ]
편집이 토르 끝 노드를 통해 바뀌었는 지의 여부 (tor_exit_node)
false
바뀐 시점의 유닉스 시간 기록 (timestamp)
1663739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