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필터 기록

편집 필터 둘러보기 (처음 | 최근 필터의 바뀜 | 과거의 편집 검토하기 | 편집 필터 기록)
기록 430에 대한 자세한 정보

2015년 6월 20일 (토) 23:10: 책읽는달팽 (토론 | 기여)님이 BAL에서 "edit" 동작을 수행하여 필터 0이(가) 작동했습니다. 조치: 태그; 필터 설명: (검사)

편집에서 바뀐 내용

화학명은 dimercaprol. 분자식은 C<sub>3</sub>H<sub>8<sub>S</sub>2<sub>O.
2차 세계대전 도중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의 생화학자들이 루이사이트에 대한 해독제로 개발되어 British Anti Lewsite(BAL)이라는 관용명을 갖게 되었다.  근데, 개발해놓고 보니 납 중독같은 다른 중금속 중독에도 효과가 있어, 현대에는 [[수은]], [[금]], [[비소]], [[납]](EDTA와 혼합하여 사용), [[안티몬]], [[폴로늄]], [[구리]], [[크로뮴]], [[텅스텐]], [[니켈]], [[비스무트]], [[아연]]등 [[중금속]] 중독 해독제로 널리 사용하고 있으며, [[WHO]]가 지정한 필수 의약품중에 하나로 등록되어 있다. 요즘엔 더 좋은 킬레이팅 약제도 개발되어서 적용 대상이 줄어들긴 했지만.. 1950년대 몸에 구리가 축적되는 윌슨씨 병에도 먹힌다는걸 깨달아, 사용된 적이 있다.<s>2006년에도 이거 맞고 아파 죽을려는 윌슨씨 병 환자가 존재한다는건 [[함정]]</s>


다만 BAL이 지닌 자체적인 독성으로 인하여 치료 용량에 제한이 있으며, 또한 무진장 아픈 근육주사에 관리가 필요하며, 또한 제거하라던 비소를 특정 기관에 몰아버리는 문제가 있다[* 동물 실험에서 비소를 뇌에다 몰아넣는 흠좀무한 현상이 관측되었다. ]. 덤으로 카드뮴의 경우 배출을 촉진하지만, 한편 신장에 카드뮴을 축적시키기도 한다[* 대개의 경우 중금속들은 소변으로 배출되므로, 그 많은 중금속들이 지나가는 신장에 축적이 될 수밖에..]. 또한, 수은 중독의 경우엔 수은 배출에만 효력이 있고 독성이 중화되지는 않는다.
현재도 BAL은 루이사이트와 같은 몇몇 화학무기의 제독제로 사용되고 있으며, [[제2차 세계대전]]때 [[미군]]은 혹시모를 추축군의 생화학공격에 대비해 BAL 크림을 갖고 다녔다고 한다.

명령 변수

변수
사용자의 편집 수 (user_editcount)
374
사용자 계정 이름 (user_name)
'책읽는달팽'
사용자 계정 만든 후 지난 시간 (user_age)
5624392
user_mobile
false
문서 ID (page_id)
0
문서 이름공간 (page_namespace)
0
(이름공간을 뺀) 문서 제목 (page_title)
'BAL'
전체 문서 제목 (page_prefixedtitle)
'BAL'
동작 (action)
'edit'
편집 요약/이유 (summary)
'예전에 IP 편집자로 편집한 글 가져오기'
사소한 편집으로 표시할지의 여부 (더 이상 쓰이지 않음) (minor_edit)
false
편집 전 과거 문서의 위키텍스트 (old_wikitext)
''
편집 후 새 문서의 위키텍스트 (new_wikitext)
'화학명은 dimercaprol. 분자식은 C<sub>3</sub>H<sub>8<sub>S</sub>2<sub>O. 2차 세계대전 도중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의 생화학자들이 루이사이트에 대한 해독제로 개발되어 British Anti Lewsite(BAL)이라는 관용명을 갖게 되었다. 근데, 개발해놓고 보니 납 중독같은 다른 중금속 중독에도 효과가 있어, 현대에는 [[수은]], [[금]], [[비소]], [[납]](EDTA와 혼합하여 사용), [[안티몬]], [[폴로늄]], [[구리]], [[크로뮴]], [[텅스텐]], [[니켈]], [[비스무트]], [[아연]]등 [[중금속]] 중독 해독제로 널리 사용하고 있으며, [[WHO]]가 지정한 필수 의약품중에 하나로 등록되어 있다. 요즘엔 더 좋은 킬레이팅 약제도 개발되어서 적용 대상이 줄어들긴 했지만.. 1950년대 몸에 구리가 축적되는 윌슨씨 병에도 먹힌다는걸 깨달아, 사용된 적이 있다.<s>2006년에도 이거 맞고 아파 죽을려는 윌슨씨 병 환자가 존재한다는건 [[함정]]</s> 다만 BAL이 지닌 자체적인 독성으로 인하여 치료 용량에 제한이 있으며, 또한 무진장 아픈 근육주사에 관리가 필요하며, 또한 제거하라던 비소를 특정 기관에 몰아버리는 문제가 있다[* 동물 실험에서 비소를 뇌에다 몰아넣는 흠좀무한 현상이 관측되었다. ]. 덤으로 카드뮴의 경우 배출을 촉진하지만, 한편 신장에 카드뮴을 축적시키기도 한다[* 대개의 경우 중금속들은 소변으로 배출되므로, 그 많은 중금속들이 지나가는 신장에 축적이 될 수밖에..]. 또한, 수은 중독의 경우엔 수은 배출에만 효력이 있고 독성이 중화되지는 않는다. 현재도 BAL은 루이사이트와 같은 몇몇 화학무기의 제독제로 사용되고 있으며, [[제2차 세계대전]]때 [[미군]]은 혹시모를 추축군의 생화학공격에 대비해 BAL 크림을 갖고 다녔다고 한다.'
편집 전후의 차이 (edit_diff)
'@@ -1 +1,6 @@ +화학명은 dimercaprol. 분자식은 C<sub>3</sub>H<sub>8<sub>S</sub>2<sub>O. +2차 세계대전 도중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의 생화학자들이 루이사이트에 대한 해독제로 개발되어 British Anti Lewsite(BAL)이라는 관용명을 갖게 되었다. 근데, 개발해놓고 보니 납 중독같은 다른 중금속 중독에도 효과가 있어, 현대에는 [[수은]], [[금]], [[비소]], [[납]](EDTA와 혼합하여 사용), [[안티몬]], [[폴로늄]], [[구리]], [[크로뮴]], [[텅스텐]], [[니켈]], [[비스무트]], [[아연]]등 [[중금속]] 중독 해독제로 널리 사용하고 있으며, [[WHO]]가 지정한 필수 의약품중에 하나로 등록되어 있다. 요즘엔 더 좋은 킬레이팅 약제도 개발되어서 적용 대상이 줄어들긴 했지만.. 1950년대 몸에 구리가 축적되는 윌슨씨 병에도 먹힌다는걸 깨달아, 사용된 적이 있다.<s>2006년에도 이거 맞고 아파 죽을려는 윌슨씨 병 환자가 존재한다는건 [[함정]]</s> +다만 BAL이 지닌 자체적인 독성으로 인하여 치료 용량에 제한이 있으며, 또한 무진장 아픈 근육주사에 관리가 필요하며, 또한 제거하라던 비소를 특정 기관에 몰아버리는 문제가 있다[* 동물 실험에서 비소를 뇌에다 몰아넣는 흠좀무한 현상이 관측되었다. ]. 덤으로 카드뮴의 경우 배출을 촉진하지만, 한편 신장에 카드뮴을 축적시키기도 한다[* 대개의 경우 중금속들은 소변으로 배출되므로, 그 많은 중금속들이 지나가는 신장에 축적이 될 수밖에..]. 또한, 수은 중독의 경우엔 수은 배출에만 효력이 있고 독성이 중화되지는 않는다. + +현재도 BAL은 루이사이트와 같은 몇몇 화학무기의 제독제로 사용되고 있으며, [[제2차 세계대전]]때 [[미군]]은 혹시모를 추축군의 생화학공격에 대비해 BAL 크림을 갖고 다녔다고 한다. '
편집 중 추가된 줄 (added_lines)
[ 0 => '화학명은 dimercaprol. 분자식은 C<sub>3</sub>H<sub>8<sub>S</sub>2<sub>O.', 1 => '2차 세계대전 도중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의 생화학자들이 루이사이트에 대한 해독제로 개발되어 British Anti Lewsite(BAL)이라는 관용명을 갖게 되었다. 근데, 개발해놓고 보니 납 중독같은 다른 중금속 중독에도 효과가 있어, 현대에는 [[수은]], [[금]], [[비소]], [[납]](EDTA와 혼합하여 사용), [[안티몬]], [[폴로늄]], [[구리]], [[크로뮴]], [[텅스텐]], [[니켈]], [[비스무트]], [[아연]]등 [[중금속]] 중독 해독제로 널리 사용하고 있으며, [[WHO]]가 지정한 필수 의약품중에 하나로 등록되어 있다. 요즘엔 더 좋은 킬레이팅 약제도 개발되어서 적용 대상이 줄어들긴 했지만.. 1950년대 몸에 구리가 축적되는 윌슨씨 병에도 먹힌다는걸 깨달아, 사용된 적이 있다.<s>2006년에도 이거 맞고 아파 죽을려는 윌슨씨 병 환자가 존재한다는건 [[함정]]</s>', 2 => '다만 BAL이 지닌 자체적인 독성으로 인하여 치료 용량에 제한이 있으며, 또한 무진장 아픈 근육주사에 관리가 필요하며, 또한 제거하라던 비소를 특정 기관에 몰아버리는 문제가 있다[* 동물 실험에서 비소를 뇌에다 몰아넣는 흠좀무한 현상이 관측되었다. ]. 덤으로 카드뮴의 경우 배출을 촉진하지만, 한편 신장에 카드뮴을 축적시키기도 한다[* 대개의 경우 중금속들은 소변으로 배출되므로, 그 많은 중금속들이 지나가는 신장에 축적이 될 수밖에..]. 또한, 수은 중독의 경우엔 수은 배출에만 효력이 있고 독성이 중화되지는 않는다.', 3 => false, 4 => '현재도 BAL은 루이사이트와 같은 몇몇 화학무기의 제독제로 사용되고 있으며, [[제2차 세계대전]]때 [[미군]]은 혹시모를 추축군의 생화학공격에 대비해 BAL 크림을 갖고 다녔다고 한다.' ]
편집이 토르 끝 노드를 통해 바뀌었는 지의 여부 (tor_exit_node)
0
바뀐 시점의 유닉스 시간 기록 (timestamp)
1434809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