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필터 기록

편집 필터 둘러보기 (처음 | 최근 필터의 바뀜 | 과거의 편집 검토하기 | 편집 필터 기록)
기록 20,043에 대한 자세한 정보

2018년 8월 8일 (수) 14:48: Chirho (토론 | 기여)님이 화천군에서 "edit" 동작을 수행하여 필터 0이(가) 작동했습니다. 조치: 태그; 필터 설명: (검사 | 차이)

편집에서 바뀐 내용

[[강원도]] 북부에 위치한 군이다. [[철원군]]과 [[양구군]], [[포천시]]에 둘러싸여 있다.  
==개요--
[[강원도]] 북부에 위치한 군으로. [[철원군]]과 [[양구군]], [[포천시]]에 둘러싸여 있다.  


== 소개==
==역사==
원래 낭천군이라 하였으나, [[1902년]]에 한자를 '이리 낭'에서 '빛날 화'로 고쳐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 일제강점기였던 [[1944년]]에 건설된 화천수력발전소가 유명하며, 해방 후 화천이 38선 이북 지역이 되고 춘천군에서 38선 이북으로 넘어간 사내면과 북산면, 사북면의 일부가 편입되었다. 5년 6.25전쟁이 발발하자 남북간의 치열한 격전지가 되었다. 결국 화천군은 수복되고 화천수력발전소를 탈환하는 데 성공하였으며, 이승만 대통령은 중공군을 많이 수장시켰다는 의미로 대붕호를 '파로호' 라 명명하였다. [[1954년]] 사내면을 공식적으로 춘천군으로부터 넘겨받았고, [[1979년]]에는 화천면이 읍으로 승격되어 현재 화천읍, 간동면, 하남면, 상서면, 사내면의 1읍 4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조선시대 낭천군이라 하였음
* [[1902년]] : 지명을 '이리 낭'에서 '빛날 화'로 고쳐 화천군이 됨
*[[1944년]] : [[화천댐]](화천수력발전소) 완공
*1945년 : 해방 후 38도선 이북으로 편입
*1953년 : 휴전협정 군 전체 완전수복
*[[1954년]] : 사내면을 공식적으로 춘성군으로부터 넘겨받음
* [[1979년]]에는 화천면이 읍으로 승격


== 특색==
==교통==
겨울에 산천어 축제로 많은 인파가 몰리며, 강원도 최전방지역이다 보니, 군부대가 많다. {{ㅊ|대한민국 남성들이 이 군을 싫어합니다.}}
화천군에는 고속도로, 철도 노선 모두 지나지 않는다. 분단으로 인해 어쩔 수 없는 오지지역이 되어버린 것.
*[[국도]]
**[[국도 제5호선]]
**[[국도 제56호선]]
**[[국도 제75호선]]
*[[지방도]]
**[[지방도 제391호선]] : [[경기도]] [[가평군]]에서 넘어오는 지방도이다.
**[[지방도 제403호선]]
**[[지방도 제407호선]]
**[[지방도 제460호선]]
**[[지방도 제461호선]]
**[[지방도 제463호선]]
 
==행정구역==
화천군의 행정구역은 1읍 4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천군의 행정구역}}
 
==기타==
*강원도 최전방지역이다 보니, 군부대가 많다. {{ㅊ|대한민국 남성들이 이 군을 싫어합니다.}} 사실 군사분계선은 화천군 북쪽의 [[철원군]]에 동서 방향으로 길게 걸쳐있지만 해당 지역은 본래 철원군이 아닌 김화군 남쪽에 해당하며 거리상 철원보다는 화천이 더 가까운지라 해당 지역 군부대들의 본부가 죄다 화천쪽에 몰려있는 것.


{{각주}}
{{각주}}
{{강원도의 기초자치단체}}
{{강원도의 기초자치단체}}
[[분류:강원도의 군]]
[[분류:강원도의 군]]

명령 변수

변수
사용자의 편집 수 (user_editcount)
24949
사용자 계정 이름 (user_name)
'Chirho'
사용자 계정 만든 후 지난 시간 (user_age)
104509649
사용자 권한 그룹 (자동으로 부여된 권한 포함) (user_groups)
[ 0 => 'bureaucrat', 1 => 'checkuser', 2 => 'sysop', 3 => '*', 4 => 'user', 5 => 'autoconfirmed' ]
문서 ID (page_id)
12767
문서 이름공간 (page_namespace)
0
(이름공간을 뺀) 문서 제목 (page_title)
'화천군'
전체 문서 제목 (page_prefixedtitle)
'화천군'
동작 (action)
'edit'
편집 요약/이유 (summary)
''
사소한 편집으로 표시할지의 여부 (더 이상 쓰이지 않음) (minor_edit)
false
편집 전 과거 문서의 위키텍스트 (old_wikitext)
'[[강원도]] 북부에 위치한 군이다. [[철원군]]과 [[양구군]], [[포천시]]에 둘러싸여 있다. == 소개== 원래 낭천군이라 하였으나, [[1902년]]에 한자를 '이리 낭'에서 '빛날 화'로 고쳐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 일제강점기였던 [[1944년]]에 건설된 화천수력발전소가 유명하며, 해방 후 화천이 38선 이북 지역이 되고 춘천군에서 38선 이북으로 넘어간 사내면과 북산면, 사북면의 일부가 편입되었다. 5년 후 6.25전쟁이 발발하자 남북간의 치열한 격전지가 되었다. 결국 화천군은 수복되고 화천수력발전소를 탈환하는 데 성공하였으며, 이승만 대통령은 중공군을 많이 수장시켰다는 의미로 대붕호를 '파로호' 라 명명하였다. [[1954년]] 사내면을 공식적으로 춘천군으로부터 넘겨받았고, [[1979년]]에는 화천면이 읍으로 승격되어 현재 화천읍, 간동면, 하남면, 상서면, 사내면의 1읍 4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 특색== 겨울에 산천어 축제로 많은 인파가 몰리며, 강원도 최전방지역이다 보니, 군부대가 많다. {{ㅊ|대한민국 남성들이 이 군을 싫어합니다.}} {{각주}} {{강원도의 기초자치단체}} [[분류:강원도의 군]]'
편집 후 새 문서의 위키텍스트 (new_wikitext)
'==개요-- [[강원도]] 북부에 위치한 군으로. [[철원군]]과 [[양구군]], [[포천시]]에 둘러싸여 있다. ==역사== *조선시대 낭천군이라 하였음 * [[1902년]] : 지명을 '이리 낭'에서 '빛날 화'로 고쳐 화천군이 됨 *[[1944년]] : [[화천댐]](화천수력발전소) 완공 *1945년 : 해방 후 38도선 이북으로 편입 *1953년 : 휴전협정 후 군 전체 완전수복 *[[1954년]] : 사내면을 공식적으로 춘성군으로부터 넘겨받음 * [[1979년]]에는 화천면이 읍으로 승격 ==교통== 화천군에는 고속도로, 철도 노선 모두 지나지 않는다. 분단으로 인해 어쩔 수 없는 오지지역이 되어버린 것. *[[국도]] **[[국도 제5호선]] **[[국도 제56호선]] **[[국도 제75호선]] *[[지방도]] **[[지방도 제391호선]] : [[경기도]] [[가평군]]에서 넘어오는 지방도이다. **[[지방도 제403호선]] **[[지방도 제407호선]] **[[지방도 제460호선]] **[[지방도 제461호선]] **[[지방도 제463호선]] ==행정구역== 화천군의 행정구역은 1읍 4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천군의 행정구역}} ==기타== *강원도 최전방지역이다 보니, 군부대가 많다. {{ㅊ|대한민국 남성들이 이 군을 싫어합니다.}} 사실 군사분계선은 화천군 북쪽의 [[철원군]]에 동서 방향으로 길게 걸쳐있지만 해당 지역은 본래 철원군이 아닌 김화군 남쪽에 해당하며 거리상 철원보다는 화천이 더 가까운지라 해당 지역 군부대들의 본부가 죄다 화천쪽에 몰려있는 것. {{각주}} {{강원도의 기초자치단체}} [[분류:강원도의 군]]'
편집 전후의 차이 (edit_diff)
'@@ -1,10 +1,35 @@ -[[강원도]] 북부에 위치한 군이다. [[철원군]]과 [[양구군]], [[포천시]]에 둘러싸여 있다. +==개요-- +[[강원도]] 북부에 위치한 군으로. [[철원군]]과 [[양구군]], [[포천시]]에 둘러싸여 있다. -== 소개== -원래 낭천군이라 하였으나, [[1902년]]에 한자를 '이리 낭'에서 '빛날 화'로 고쳐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 일제강점기였던 [[1944년]]에 건설된 화천수력발전소가 유명하며, 해방 후 화천이 38선 이북 지역이 되고 춘천군에서 38선 이북으로 넘어간 사내면과 북산면, 사북면의 일부가 편입되었다. 5년 후 6.25전쟁이 발발하자 남북간의 치열한 격전지가 되었다. 결국 화천군은 수복되고 화천수력발전소를 탈환하는 데 성공하였으며, 이승만 대통령은 중공군을 많이 수장시켰다는 의미로 대붕호를 '파로호' 라 명명하였다. [[1954년]] 사내면을 공식적으로 춘천군으로부터 넘겨받았고, [[1979년]]에는 화천면이 읍으로 승격되어 현재 화천읍, 간동면, 하남면, 상서면, 사내면의 1읍 4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역사== +*조선시대 낭천군이라 하였음 +* [[1902년]] : 지명을 '이리 낭'에서 '빛날 화'로 고쳐 화천군이 됨 +*[[1944년]] : [[화천댐]](화천수력발전소) 완공 +*1945년 : 해방 후 38도선 이북으로 편입 +*1953년 : 휴전협정 후 군 전체 완전수복 +*[[1954년]] : 사내면을 공식적으로 춘성군으로부터 넘겨받음 +* [[1979년]]에는 화천면이 읍으로 승격 -== 특색== -겨울에 산천어 축제로 많은 인파가 몰리며, 강원도 최전방지역이다 보니, 군부대가 많다. {{ㅊ|대한민국 남성들이 이 군을 싫어합니다.}} +==교통== +화천군에는 고속도로, 철도 노선 모두 지나지 않는다. 분단으로 인해 어쩔 수 없는 오지지역이 되어버린 것. +*[[국도]] +**[[국도 제5호선]] +**[[국도 제56호선]] +**[[국도 제75호선]] +*[[지방도]] +**[[지방도 제391호선]] : [[경기도]] [[가평군]]에서 넘어오는 지방도이다. +**[[지방도 제403호선]] +**[[지방도 제407호선]] +**[[지방도 제460호선]] +**[[지방도 제461호선]] +**[[지방도 제463호선]] + +==행정구역== +화천군의 행정구역은 1읍 4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천군의 행정구역}} + +==기타== +*강원도 최전방지역이다 보니, 군부대가 많다. {{ㅊ|대한민국 남성들이 이 군을 싫어합니다.}} 사실 군사분계선은 화천군 북쪽의 [[철원군]]에 동서 방향으로 길게 걸쳐있지만 해당 지역은 본래 철원군이 아닌 김화군 남쪽에 해당하며 거리상 철원보다는 화천이 더 가까운지라 해당 지역 군부대들의 본부가 죄다 화천쪽에 몰려있는 것. {{각주}} {{강원도의 기초자치단체}} '
새 문서 크기 (new_size)
1694
편집 중 추가된 줄 (added_lines)
[ 0 => '==개요--', 1 => '[[강원도]] 북부에 위치한 군으로. [[철원군]]과 [[양구군]], [[포천시]]에 둘러싸여 있다. ', 2 => '==역사==', 3 => '*조선시대 낭천군이라 하였음', 4 => '* [[1902년]] : 지명을 '이리 낭'에서 '빛날 화'로 고쳐 화천군이 됨', 5 => '*[[1944년]] : [[화천댐]](화천수력발전소) 완공', 6 => '*1945년 : 해방 후 38도선 이북으로 편입', 7 => '*1953년 : 휴전협정 후 군 전체 완전수복', 8 => '*[[1954년]] : 사내면을 공식적으로 춘성군으로부터 넘겨받음', 9 => '* [[1979년]]에는 화천면이 읍으로 승격', 10 => '==교통==', 11 => '화천군에는 고속도로, 철도 노선 모두 지나지 않는다. 분단으로 인해 어쩔 수 없는 오지지역이 되어버린 것.', 12 => '*[[국도]]', 13 => '**[[국도 제5호선]]', 14 => '**[[국도 제56호선]]', 15 => '**[[국도 제75호선]]', 16 => '*[[지방도]]', 17 => '**[[지방도 제391호선]] : [[경기도]] [[가평군]]에서 넘어오는 지방도이다.', 18 => '**[[지방도 제403호선]]', 19 => '**[[지방도 제407호선]]', 20 => '**[[지방도 제460호선]]', 21 => '**[[지방도 제461호선]]', 22 => '**[[지방도 제463호선]]', 23 => '', 24 => '==행정구역==', 25 => '화천군의 행정구역은 1읍 4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26 => '{{화천군의 행정구역}}', 27 => '', 28 => '==기타==', 29 => '*강원도 최전방지역이다 보니, 군부대가 많다. {{ㅊ|대한민국 남성들이 이 군을 싫어합니다.}} 사실 군사분계선은 화천군 북쪽의 [[철원군]]에 동서 방향으로 길게 걸쳐있지만 해당 지역은 본래 철원군이 아닌 김화군 남쪽에 해당하며 거리상 철원보다는 화천이 더 가까운지라 해당 지역 군부대들의 본부가 죄다 화천쪽에 몰려있는 것.' ]
편집이 토르 끝 노드를 통해 바뀌었는 지의 여부 (tor_exit_node)
0
바뀐 시점의 유닉스 시간 기록 (timestamp)
1533707336